[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84883A - 원터치 낚시용 소품지갑 - Google Patents

원터치 낚시용 소품지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883A
KR20030084883A KR1020030072826A KR20030072826A KR20030084883A KR 20030084883 A KR20030084883 A KR 20030084883A KR 1020030072826 A KR1020030072826 A KR 1020030072826A KR 20030072826 A KR20030072826 A KR 20030072826A KR 20030084883 A KR20030084883 A KR 2003008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ishing
card
freshwater
plastic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이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희 filed Critical 이용희
Publication of KR2003008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8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를 하기 위하여 또는 낚시를 하는 도중에 필요로 하는 잡다한 소품(예: 바늘, 케미컬라이트, 도래, 추 등등)을 보관할 지갑으로 도구함과 같은 용도로 정의할 수 있다.
도구함이라 하면 딱딱한 재질의 금속이나 플라스틱이지만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 지갑에 보관된 내용물에 따라 용적이 가변적이어서 낚시가방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자유롭고 지갑내부의 정리정돈이 확실하며 소품끼리 뒤섞이지 않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소품을 간편하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부분적으로는 고탄성의 재질을 사용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지갑의 내부는 크게 채비카드와 원터치비닐봉투로 나누어지는데 채비카드는 다수의 민물낚시채비와 중층낚시채비를 좁은 면적에 효율적으로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원터치비닐봉투는 잔잔한 소품들을 투명비닐봉투에 원터치로 개폐하여 보관을 함과 동시에 바늘과 같은 금속이면서 틈새에 끼어 손에 잘 잡히지 않는 소품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무자석을 일부봉투의 일측면에 부착하였고 비닐봉투는 투명하여 내부의 소품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입구에는 PP(폴리프로필렌)재질의 스프링을 장착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원터치 낚시용 소품지갑{One Touch Fishing Tool Box}
본 발명은 낚시를 하는데 필요한 각종 소품을 보관할 지갑으로 체계적으로 정리정돈이 되며 보관내용물의 양에 따라 지갑의 크기가 가변적이며 원터치투명비닐봉투를 사용하여 내부의 소품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기존제품과 비교하여 사용동작이 절감된다.
일반적으로 도구함이라 하면 딱딱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내용물의 양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때론 공간의 낭비적인 면이 심각하고 실제로는 소품을 체계적으로 정리보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도구함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질 경우, 또는 굴러버릴 경우 내용물이 서로 뒤죽박죽 뒤엉켜서 정리를 포기하고 폐기할 때가 많다.
낚시가방은 낚시대, 받침대, 파라솔, 찌통, 버너, 코펠, 렌턴, 떡밥 등등 부피가 큰 다양한 도구들을 보관하며 케미컬라이트, 도래, 찌고무, 낚시줄, 추 등등의 소품을 도구함에 넣어 이들과 함께 낚시가방에 보관하는데 낚시를 하러 갈 때 현지의 사정에 따라 챙겨가는 도구가 달라지며, 때문에 가방내부의 공간이 여유가 있을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많아 도구함의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느라 애를 먹기도 하고 무리한 힘과 충격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낚시용 도구함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소품들이 서로 뒤섞이지 않고 체계적으로 보관 관리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용물에 따라 부피가 가변적이고 낭비적인 공간을 제거하여 휴대가 간편한 소품지갑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민물채비카드와 중층*바다낚시채비카드는 외부의 힘이 작용할 때 굽히거나 부러지지 않고 휘어지면서 외부의 힘이 소멸되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진 PP재질의 카드이며 바늘이 쉽게 걸리도록 충분한 크기의 타원형 구멍에 바늘을 넣고 PP채비카드의 중간중간에 반원형의 덮개를 만들어 채비의 목줄을 걸치게 하거나 목줄을 마무리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낱바늘, 추, 케미컬라이트, 도래, 찌고무 등등 작은 소품들은 투명비닐봉투에 각각 보관하는데 봉투의 입구에는 채비카드와 같은 고탄성재질의 PP스프링을 만들어 비닐봉투입구의 크기에 맞게 2개를 절단하여 비닐봉투의 입구의 양면에 부착한 후 입구의 양끝을 잡고 중앙을 향하여 힘을 주면 입구가 열리며 손에서 이탈시키면 입구는 스프링의 복원되는 성질로 인하여 닫히게 된다. 금속제의 유사한 스프링이 안경케이스 입구에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얇은 비닐제품이기에 금속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비닐봉투의 수명을 좌우할 수 있고 또한 낚시인의 손에 물이 묻어 있는 상황에서 수시로 지갑을 사용할 경우 금속스프링의 부식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금속스프링에 비교하여 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의 원터치비닐봉투 다수를 소품지갑에 장착하여 다수의 소품을 정리보관토록 하며 일부 원터치비닐봉투의 일측면에 고무자석을 부착하면 낚시바늘과 같은 작은 금속 소품은 틈새에 끼이거나 흩어지지 않고 고무자석 부위에만 몰려 있어 쉽게 집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모양의 민물채비카드와 중층채비카드 그리고 원터치비닐봉투를 표지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해 PP경첩을 만들어 PP경첩을 먼저 표지안쪽 중앙에 초음파로 부착시키고 민물채비카드와 중층채비카드 그리고 원터치비닐봉투를 필요한 수량만큼 가감하여 PP경첩의 고리에 끼운 후 고정하면 된다.
PP경첩을 사용함에 따라 각각의 채비카드와 원터치비닐봉투 중에서 일부가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기능이 비정상일 경우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개인에 따라 불필요한 부분은 제거하고 모자란 부분은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PP경첩은 기존의 금속경첩이나 플라스틱경첩과 비교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의 위험이 없으며 부식이 되지 않으며 조립과 제조과정이 단순하여 경비 또한 월등히 절감된다.
도1은 원터치 낚시용 소품지갑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원터치비닐봉투 4장의 내부에 소품이 들어있는 전면도로 소품지갑의 일부분.
도3은 원터치비닐봉투의 입구가 닫힌 상태의 PP스프링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일측면에 고무자석을 부착한 단면도
도4는 원터치비닐봉투의 입구가 열린 상태의 PP스프링이 가지는 각도를 도3과 비교할 수 있는 단면도이며 바늘과 같은 금속 소품이 고무자석에 붙어있는 도면.
도5는 원터치비닐봉투의 일측면에 고무자석이 붙어있는 전면도
도6은 민물채비를 보관할 수 있는 PP민물채비카드(29)와 중층,바다낚시채비를 정리 보관할 수 있는 PP중층,바다채비카드(30)의 전면도.
도7은 표지 안쪽 중앙에 초음파로 부착하여 원터치비닐봉투와 민물채비카드, 그리고 중층*바다낚시채비카드를 끼워 고정할 PP경첩의 사시도.
도8은 PP경첩이 표지 안쪽 중앙에 초음파접착으로 부착된 사시도.
도9는 원터치비닐봉투와 민물, 중층*바다낚시채비카드를 PP경첩에 결합시켰을 때의 PP경첩이 마무리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원터치낚시용소품지갑의 사시도. 11: 소품지갑의 표지 안쪽.
12: 원터치비닐봉투. 14: PP경첩에 의해 고정될 고리구멍.
19: PP스프링이 일정한 방향으로 각져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다수의 선.
20: 고무자석. 21: PP스프링.
26: 민물채비목줄을 고정할 고정덮개. 27: 민물채비.
28: 바늘구멍. 29: 민물채비카드
30: 중층,바다채비카드. 31: 중층,바다채비 고정덮개
32, 40: 중층,바다목줄 걸이덮개 33: PP경첩
34: 경첩고리구멍 35: 경첩고리삼각
36: PP경첩과 표지의 초음파 접착부위
15, 16, 17, 18, 23, 27, 39: 각종 낚시소품(순서별: 유동찌고무, 좁쌀추, 케미, 도래바늘, 민물채비, 중층,바다채비) 으로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으나 도면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그렸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1은 낚시용소품지갑(100)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내부는 도2의 원터치비닐봉투(12)와 도6의 민물채비카드(29)와 중층,바다낚시채비카드(30)로 구성되어 있고 겉표지는 1mm 전후의 두께를 가진 PP재질로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 내용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적을 때는 얇아지고 많을 때는 두꺼워져서 결과적으로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2는 원터치비닐봉투(12) 4개에 각종 소품이 들어있는 도면으로 다수의 원터치비닐봉투(12)를 설치하면 봉투 수 만큼의 소품을 정리 보관할 수 있다.
원터치비닐봉투(12)는 지퍼백과 유사하나 지퍼백은 입구의 개폐시 양손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원터치비닐봉투는 한손으로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도3의 PP스프링(21)을 비닐봉투 입구에 통로를 좌우 1개씩 만들어 각각 PP스프링(21)을 넣고 스프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통로를 접착한다. 비닐봉투의 입구에 설치된 좌우 PP스프링(21)은 고탄성으로 외부의 힘이 작용하면 굽히거나 부러지지 않고 휘어지면서 외부의 힘이 소멸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스프링 두장을 비닐봉투의 입구에 설치하여 봉투의 좌우 끝에서 중앙을 향하여 힘을 가하면 PP스프링의 중앙부분은 서로 멀어지면서 입구가 열리고 도4와 같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3에서 PP스프링에 한쪽 방향으로 다수의 각(19)을 주어 좌우스프링(21)은 전체적으로 마주보는 괄호 "( )" 와 같은 모양을 하게 되는데 이는 마주보는 2장의 스프링(21)이 스프링의 양끝에서 중앙을 향하여 듯 손가락으로 힘을 가하면 스프링의 중앙은 각각 서로 멀어지면서 입구가 개봉되도록 하는 구조이며 상기의 구조를 가진 PP스프링은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입구가 개봉되었을 경우 도4의 (19)처럼 각도가 벌어지고 외부의 힘이 소멸되면 PP스프링의 복원력을 강하게 하여 입구가 닫혔을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3은 원터치비닐봉투(12)의 내부 일측면에 고무자석(20)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에 부착할 경우 소품지갑은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기에 먼지와 떡밥가루, 빗물, 이슬 등이 접착제 사이로 침투할 경우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어 내부의 일측면에 부착하여 낚시바늘, 도래와 같은 작은 금속소품들을 넣어 보관하면 이들은 틈새로 파고들지 않고 고무자석(20) 부위에 몰려 있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재질의 낚시소품은 많지 않기에 모든 원터치비닐봉투에 고무자석을 부착할 필요는 없다.
도5는 원터치비닐봉투(12)의 내부에 고무자석(12)이 부착된 전면도이다.
도6은 민물낚시채비카드(29)와 중층,바다낚시채비카드(30)를 나타낸 그림으로 민물채비(27)의 바늘을 바늘구멍(28)에 끼운 후 목줄 길이의 3/4위치에 목줄고정덮개(26),(31)를 만들어 덮개(26),(31)의 틈새에 목줄을 끼워서 고정시키는데 덮개는 한쪽만 끼워놓으면 목줄이반대방향으로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어 상하좌우에서 목줄(27)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목줄고정덮개(26),(31)를 만들어 끼워주면 확실하게 고정된다.
도6의 민물채비카드(29)는 1장에 민물채비(27) 10개를 정리보관할 수 있지만 구멍 하나에 바늘을 2개 이상도 끼워 보관할 수 있으나 너무 많이 끼우면 서로 엉킬 수 있어 2개씩만 끼워도 카드 1장에 채비 20개를 정리 보관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과 유사한 모양의 바늘채비카드가 시중에 있지만 모두 종이로 만들어 일회용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으며 민물낚시채비 5개 정도를 보관토록 되어 있지만 5개 중 2∼3개를 사용할 때쯤이면 종이가 구겨지고 채비가 서로 엉켜버려서 폐기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도6의 중층,바다낚시채비카드(30)는 중층낚시채비와 바다낚시채비를 함께 정리보관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는데 바늘구멍(28)에 바늘을 끼운 후 긴 목줄을 윗걸이덮개(32)와 아래걸이덮개(40)에 반복하여 감은 후 목줄고정덮개(31)에 끼워 정리 보관한다.
민물채비카드(29)와 중층,바다낚시채비카드(30) 그리고 PP스프링(21)은 같은 고탄성의 PP(폴리프로필렌)재질로 0.7∼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 본 발명의 목적이 요구하는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7은 PP경첩(33)의 사시도이며 경첩을 PP재질을 사용하는 까닭은 금속경첩과 비교하여 부식이 되지않아 항상 물을 가까이 하는 낚시소품지갑의 특성상 안성마춤이고 플라스틱재질은 사출금형제작비와 같은 제조상의 비용에 있어서 경쟁의 우위를 갖으며 인장강도나 충격에 강하다.
도7의 모형으로 재단하여 도8의 소품지갑표지 안쪽(11)의 중앙에 초음파접착(36)으로 접착시킨 후 경첩고리삼각(35)을 원터치비닐봉투(12)의 경첩고리구멍(14)와 도6의 민물채비카드(29) 그리고 중층,바다낚시채비카드(30)의 경첩고리구멍(14)과 조립하여 도9의 그림과 같이 고리삼각(35)을 경첩마무리구멍(34)에 비틀어 넣은 후 비틀린 부분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면 고리삼각(35)의 넓은 면적은 경첩마무리구멍(34)의 좁은구멍에 걸려 고정이 되면서 튼튼하고 저렴한 PP경첩이 된다.
도9의 경첩고리(38) 위치에 원터치비닐봉투와 각종 채비카드(29), (30)의 경첩구멍(14)에 관통되어 소품지갑에 고정되는데 도면에서는 고리의 허리(37)부분이 90°각도로 꺽여 있으나 실제 제품에서는 포물선 형태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갑에 다수의 원터치비닐봉투를 부착하여 다수의 소품들을 정리보관하며 원터치비닐봉투의 개폐를 단순화하였기에 사용시 동작과 시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일부 원터치비닐봉투의 일측면에 고무자석을 부착하여 손에 잘 잡히지 않는 낚시바늘과 같은 작은 금속 소품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민물채비카드와 중층채비카드는 좁은 공간에 2∼3회 낚시를 찰 수 있는 채비를 서로 엉키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정리 보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원터치비닐봉투와 각종채비카드를 PP경첩에 고정시켜 원터치소품지갑에 내장되게 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경비절감과 함께 조립단계를 줄이고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소품지갑에 보관된 소품의 종류와 양에 비해 소품지갑의 크기가 작아서 낚시가방에 넣을 때 공간을 마련하기 쉽고 낚시조끼의 주머니에도 넣을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원터치자석비닐봉투: 도3의 (21)과 같은 구조(허리부분이 다수의 각도로 꺽여 있어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만 휘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PP(폴리프로필렌)재질의 스프링 2개를 비닐봉투 입구의 양쪽에 설치하고 비닐봉투 내부의 일측면에 고무자석을 부착하여 작은 금속소품이 자석부위에 몰려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원터치자석비닐봉투
  2. 민물,중층 채비카드: PP재질로 낚시바늘구멍 1개와 목줄을 고정시킬 목줄고정덮개 1개가 짝을 이루어 카드 1장에 다수의 민물채비를 정리보관할 수 있으며 목줄을 목줄고정덮개에 끼웠을 때 목줄이 상하좌우 어느쪽으로도 밀려나지 않도록하는 구조(도6의 (26))를 특징으로 하는 민물채비카드.
    낚시바늘구멍 1개와 긴 목줄을 반복하여 감을 수 있도록 2개의 목줄걸이덮개를 설치하고 목줄끝이 상하좌우 어느쪽으로도 밀려나지 않도록하는 목줄고정덮개를 가진 중층채비카드.
  3. PP경첩: 원터치비닐봉투와 민물채비카드, 중층채비카드 등의 각종 내용물을 표지내부에 부착하는 도구로 다수의 경첩고리에 내용물을 고정하여 도8의 고리삼각(35)을 경첩고리구멍(34)에 비틀어 넣은 후 비틀린 부분을 복원시키면 도9의 고리삼각(35)이 경첩고리구멍(34)에 고정되도록 하는 도8의 (33)과 같은 구조의PP장식.
KR1020030072826A 2003-07-07 2003-10-10 원터치 낚시용 소품지갑 KR20030084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565 2003-07-07
KR1020030046565 2003-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883A true KR20030084883A (ko) 2003-11-01

Family

ID=3238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826A KR20030084883A (ko) 2003-07-07 2003-10-10 원터치 낚시용 소품지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48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360A (ko) * 2020-09-07 2022-03-15 이석종 낚시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360A (ko) * 2020-09-07 2022-03-15 이석종 낚시가방
EP4212017A4 (en) * 2020-09-07 2024-10-09 Lee, Seuk Jong FISHING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0178A (en) Transparent holder
US6959806B2 (en) Jewelry case
US6678923B2 (en) Bag closure system
US20100200581A1 (en) Box that is held and opened with one hand
US7320411B1 (en) Selectively sealable container liner
US20090134190A1 (en) Cellular phone carrying case
US20060266776A1 (en) Armband diaphragm reed call case
KR20030084883A (ko) 원터치 낚시용 소품지갑
KR200482104Y1 (ko) 다기능 가방
US6301826B1 (en) Fishing lure storage system
JP3146029U (ja) 釣り用小物入れ
KR200346132Y1 (ko) 원터치 낚시용 소품지갑.
KR100890731B1 (ko) 레저용 파우치
US20040118706A1 (en) Combination eyeglass case and eyeglass strap
KR100532078B1 (ko) 낚시가방
KR200279480Y1 (ko) 낚싯바늘 보관구
KR20040005764A (ko) 낚시용 채비 케이스.
US20230301409A1 (en) Jewelry Storage and Display Device
US20080210723A1 (en) Doggie wallet
KR200465197Y1 (ko) 선글라스 거치용 액세서리
JP3239125U (ja) 紛失防止タグ用ケース
US10925365B2 (en) Totebag
KR200298659Y1 (ko) 바다 부력망
KR200374479Y1 (ko) 낚시용 구명조끼
KR20250042323A (ko) 쇼핑백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1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5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5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