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754Y1 - 스트랩버클 - Google Patents

스트랩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4Y1
KR200300754Y1 KR20-2002-0030302U KR20020030302U KR200300754Y1 KR 200300754 Y1 KR200300754 Y1 KR 200300754Y1 KR 20020030302 U KR20020030302 U KR 20020030302U KR 200300754 Y1 KR200300754 Y1 KR 200300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ortions
buckle
product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범
Original Assignee
조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범 filed Critical 조준범
Priority to KR20-2002-0030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스트랩버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트랩(2)의 양단부가 걸려지는 걸림부(12,14)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ㄷ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고리부(10)와, 상기 고리부(10)의 걸림부(12,14) 선단에서 X자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연결부(17,19)와, 상기 탄성연결부(17,19)의 선단에서 상기 걸림부(12,14)와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쌍의 누름부(20,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12,14)와 누름부(20,22) 사이에는 끼움공간(16,18)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2,14)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12,14)가 누름부(20,22)에 근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버클(3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트랩버클{a strap buckle}
본 고안은 스트랩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스트랩버클에 관한 것이다.
제품을 단위갯수씩 결속시키거나 포장하는 경우에는 흔히 합성수지로 된 스트랩을 사용한다. 이러한 스트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스트랩버클을 사용하거나 또는 스트랩의 양단부를 열접합시켜 스트랩의 양단부를 연결시킨다.
한편, 스트랩버클은 다양한 형태로 금속으로 제조되는데, 종래의 버클을 이용해 스트랩의 양단부를 연결시키면, 금속으로 된 버클이 제품과 닿아 제품이 손상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스트랩 버클은 초기에 타이트하게 결속시키더라도 점차 스트랩이 느슨하게 풀어져서, 제품을 운반할 때 제품이 흐트러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품의 결속상태가 완전히 와해되어 제품이 떨어져서 손상되기도 하였다.
또한, 별도의 버클을 사용하지 않고 스트랩의 양단부를 열접합시켜 스트랩의 양단부를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고가인 열접합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는 스트랩을 풀 때 가위와 같은 절단기구를 스트랩과 제품 사이에 넣고 절단하여야 하므로 스트랩이 제품을 타이트하게 결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위를 스트랩과 제품사이에 넣기가 용이하지 않아 스트랩을 절단하기 곤란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위 등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클이 제품에 직접 닿지 않아 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없으며, 제품을 타이트하게 결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이트하게 결속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스트랩버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스트랩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스트랩 10. 고리부
12, 14. 걸림부 16,18. 끼움공간
17,19. 탄성연장부 20, 22. 누름부
본 고안에 따르면, 스트랩(2)의 양단부가 걸려지는 걸림부(12,14)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ㄷ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고리부(10)와, 상기 고리부(10)의 걸림부(12,14) 선단에서 X자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연결부(17,19)와, 상기 탄성연결부(17,19)의 선단에서 상기 걸림부(12,14)와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쌍의 누름부(20,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12,14)와 누름부(20,22) 사이에는 끼움공간(16,18)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2,14)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12,14)가 누름부(20,22)에 근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버클(30)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스트랩(2)의 양단부가 걸려지는 걸림부(12,14)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ㄷ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고리부(10)와, 상기 고리부(10)의 선단에서 X자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연결부(17,19)와, 이 탄성연결부(7,19)의 선단에서 상기 걸림부(12,14)와 나란하게 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누름부(20,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랩버클(30)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금속와이어를 절곡하여 이루어지는데, 먼저, 금속와이어를 ㄷ자형상으로 절곡하여 고리부(10)를 만들고 이 고리부(10)의 양쪽 선단부를 X자형상으로 교차시켜 탄성연결부(17,19)를 만든다. 그리고 탄성연결부(17,19)의 양선단부를 상기 걸림부(12,14)의 하측으로 절곡시켜 누름부(20,22)를 만든다. 이때 상기 누름부(20)는 고리부(10)의 걸림부(12,14)와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걸림부(12,14)와 누름부(20,22) 사이에는 끼움공간(16, 1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품(4)을 결속시킬 스트랩(2)의 일단을 스트랩버클(30)에 먼저 연결시킨다. 이때에는 스트랩(2)의 일단이 고리부(10)의 일측 걸림부(12)에 감겨지도록 하는데, 스트랩(2)의 단부를 고리부(10)의 내부 하측으로부터 끼우고 고리부(10)의 외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스트랩(2)의 단부를 걸림부(12)와 누름부(20) 사이의 끼움공간(16)에 끼워 스트랩(2)을 누름부(20) 하측으로 인출시켜 잡아 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스트랩(2)의 단부가 걸림부(12)와 누름부(20) 사이에 끼어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트랩(2)으로 제품을 둘러 맨 다음, 스트랩(2)의 타단부를 전술한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버클(30)에 연결시킨다. 즉, 스트랩(2)의 타단부를 고리부(10)의 내부 하측으로부터 끼우고 고리부(10)의 외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스트랩(2)을 걸림부(14)와 누름부(22) 사이의 끼움공간(18)에 끼워서 스트랩(2)을 누름부(22) 하측으로 인출시켜 당긴다. 이어서 스트랩(2)의 양단부를 잡아 당겨 제품(4)이 타이트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트랩(2)이 체결된 상태에서 버클(30)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연결부(17,19)에 의해 스트랩(2)이 감겨진 걸림부(12,14)가 다소 하향되도록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걸림부(12,14)가 누름부(20,22)에 근접되면서 끼움공간(16,18)은 좁아지며, 스트랩(2)이 버클(30), 즉, 금속와이어의 표면에 강하게 가압되어 스트랩(2)이 풀어지지 않고 타이트하게 체결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트랩(2)에 가해지는 장력이 클수록 상기 탄성연결부(17,19)의 탄성력에 의해 고리부(10)의 걸림부(12,14)가 누름부(20,22)와 더욱 효과적으로 근접되어 스트랩(2)이 버클(30)과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버클(30)이 제품과 직접 닿지 않게 되므로 제품을 타이트하게 체결된 상태에서도 제품이 버클(30)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다. 이상에서는 버클이 금속와이어를 절곡시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버클은 금속외에도 고강도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버클이 제품에 직접 닿지 않아 제품이손상될 우려가 없으며, 제품을 타이트하게 체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체결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트랩에 가해지는 장력이 클수록 탄성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스트랩과 버클이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어 스트랩이 풀어질 우려가 없으므로 타이트하게 체결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스트랩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스트랩(2)의 양단부가 걸려지는 걸림부(12,14)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ㄷ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고리부(10)와, 상기 고리부(10)의 걸림부(12,14) 선단에서 X자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연결부(17,19)와, 상기 탄성연결부(17,19)의 선단에서 상기 걸림부(12,14)와 이격되게 나란하도록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누름부(20,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12,14)와 누름부(20,22) 사이에는 끼움공간(16,18)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2,14)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12,14)가 누름부(20,22)에 근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버클(30).
KR20-2002-0030302U 2002-10-10 2002-10-10 스트랩버클 Expired - Fee Related KR200300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02U KR200300754Y1 (ko) 2002-10-10 2002-10-10 스트랩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02U KR200300754Y1 (ko) 2002-10-10 2002-10-10 스트랩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4Y1 true KR200300754Y1 (ko) 2003-01-14

Family

ID=4939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30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0754Y1 (ko) 2002-10-10 2002-10-10 스트랩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0393B2 (en) Releasable tie
US6842948B2 (en) Rubber band retainer apparatus
US5012558A (en) Reuseable, multi-purpose, easy release pressure band
US8322297B2 (en) Securing device
ATE310418T1 (de) Gurteinheit
CA2507921A1 (en) Tie strap assembly and fastening device
US20070067968A1 (en) Connectable Bungee Cord
JP2009509108A (ja) 縦長の対象装置を保持する装置
KR200300754Y1 (ko) 스트랩버클
US7181807B2 (en) Rope clamp
US9682807B1 (en) Multi-surface cable tying apparatus
CN106795947B (zh) 线张紧器
US6161261A (en) Fastening tension strap with integral handle extensions
US20050015937A1 (en) Fastening strap structure
US20010047573A1 (en) Bungi-claw
WO2005115103A3 (en) Specialized strap system
JP6513821B2 (ja) 切開型ケーブルタイ
JP2982401B2 (ja) 荷物緊帯用ストッパー
EP2281717A2 (en) Tightening cord provided with connecting means
KR20000058481A (ko) 벨크로 타입 밴드 스트랩
KR200367392Y1 (ko) 원형고무밴드용 체결부재
US113200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ope, flat-strap, and bungee securing device
JP3070648U (ja) 携帯品用ストラップ
KR200370061Y1 (ko) 밴드용 금속벨트 조임연결을 위한 클립
JP2021007505A (ja) 連結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0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0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9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