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9797A - 이중셀 기계적 부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셀 기계적 부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797A
KR20030069797A KR1020027016774A KR20027016774A KR20030069797A KR 20030069797 A KR20030069797 A KR 20030069797A KR 1020027016774 A KR1020027016774 A KR 1020027016774A KR 20027016774 A KR20027016774 A KR 20027016774A KR 20030069797 A KR20030069797 A KR 2003006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uspension
liquid
vaporiza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이시멜빈
톨미케네스
티. 첸제임스시.
Original Assignee
페트레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트레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페트레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5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gas bubbles or moving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3/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et-separating apparatus or for dressing plant, using phys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02Froth-flotation processes
    • B03D1/028Control and monitoring of flotation processes; computer mode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06Flotation machines with special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flotation cells, e.g. positioning a flotation cell insid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12Flotation machines with baffles, e.g. at the wall for redirecting settling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43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flotation tanks
    • B03D1/1462Discharge mechanisms for the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6Flotation machines with impellers; Subaeration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6Flotation machines with impellers; Subaeration machines
    • B03D1/22Flotation machines with impellers; Subaeration machines with external bl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 C02F2103/2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from the paper or cellulose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Paper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단지 2개의 셀을 갖는 기계적 부유시스템은 셀이 많은 시스템 보다 효과적이며, 부유 오일 회수 플랫포옴 파동 효과와 마찬가지로 풋프린트가 상당히 작고 자본투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중 셀 기계적 부유시스템은 연속적으로 입구챔버와, 2개의 기화챔버 또는 셀과, 배출챔버를 가지며 상기 기화챔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스 흡입 및 혼합기구를 포함한다. 기화챔버를 분할하는 격벽의 상부에 위치된 공통의 주 스킴 수집채널은 부유 수집된 물질의 집합을 유도한다. 주 스킴 수집채널의 근방에서 용기의 상부에 현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은 용기가 부유 오일 생산 플랫포옴에 대한 파도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 현탁물을 함유한 유체의 운동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이중셀 기계적 부유 시스템{DUAL 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오일, 제지 및 펄프, 직물, 전기발생 및 음식물처리 등을 포함하는 여러 산업에서는 여러 처리과정의 부산물인 오수가 항상 문제가 되어 왔다. 특히 물은 해안가 플랫포옴에서 오일 및 가스를 생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물은 일반적으로 오일을 퍼올리기 위하여 포매이션(formation)내로 펌핑된다. 그 결과, 물은 포매이션에서의 고형물과 오일에 의해 오염되어, 이를 단순히 주위의 물로 쏟아 부어 배출할 수는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을 바다로 방출할 수 있을 정도의 레벨로 오수내의 오염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과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4.255.262호에 개시된 시스템은 탱크를 통해 흐르는 액체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가스를 미세한 방울 형태로 탱크내의 액체에 혼합 및 확산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는 탱크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드래프트 튜브(draft tube)를 거쳐 탱크내의 액체로 유도된다. 가스 유도는 용기에 함유된액체의 일부로서 이루어지며,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각각의 셀 또는 격벽을 통해 역순환된다. 상기 장치는 탱크의 액체 레벨부분 위로 축적되는 오염물내재 거품을 제거하는, 전기구동식 기계적 스키머 조립체를 사용한다. 상기 탱크는 장방형을 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는 여러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 스키머는 특히 오일 생산 및 화학 산업에서의 부식성 환경에 사용할 때유지비용이 높다는 점에서 부적당하다. 또한, 장방형 탱크는 그 구조에 있어서 내부압력이 2 oz/in2(0.8kPa)을 초과하는 경우에 견딜 수 없다. 이것은 오일/물 분리기 상부의 시스템 압력이 높거나 황화수소와 같은 독성가스 또는 치명적인 가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스키머를 포함하는 장방형 탱크는 탱크의 완전한 이용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체적 용량에 제한이 가해진다. 또한, 이러한 탱크는 기밀형태인 것으로 서술되고 있지만, 가스 압력은 대기로의 연속적인 통기에 의해 유지되는데, 이것은 치명적이거나 인화성인 가스가 존재할 경우 잠재적으로 위험한 행위인 것이다.
미국특허 제4.564.457호에는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분리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입구챔버와, 다수의 기화챔버와, 정지형 출구 챔버를 구비한 원통형 탱크를 포함한다. 스킴 트라프(skim trough)는 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입구 챔버내로 기화챔버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각각의 챔버를 분리시키는 수직 배플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탱크의 바닥과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유체는 탱크의 바닥을 따라 입구챔버로부터 출구챔버로 흐르게 된다. 각각의 기화챔버에는 그 하부의 중앙에 위치된 추출 노즐조립체가 설치된다. 상기 노즐조립체는 출구챔버로부터 펌핑된 유체의 재순환을 제공한다.
작동시, 유체는 입구챔버를 통해 탱크로 유입된 후 각각의 기화챔버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출구챔버로 유입되며, 여기서 유체의 일부가 배출되어 이덕터 노즐을 통해 재순환된다. 처리된 유체의 평형은 용도에 따른 또 다른 처리와, 방출 또는 저장을 위하여 출구챔버에서 해제된. 재순환된 유체는 노즐조립체를 통해 펌핑되며, 각각의 노즐은 재순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공통 헤더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노즐은 이덕터 트로트 조립체에서 동축으로 위치된다. 각각의 이덕터 트로트 조립체는 폭기(曝氣) 챔버와 출구챔버와 공통인 탱크의 상부에서 가스 체적에 의해 제공된 가스 헤더에 연결된다. 노즐을 통과하는 고속 유체의 통로는 가스를 기화챔버에 추출하며, 가스는 유체에서 작은 방울 형태로 떠오른다. 이러한 가스 방울은 그 상승시에 오일 및/또는 현탁의 고형 오염물을 수집하여, 기화챔버의 상부에 오염물내재 거품을 형성한다.
이러한 장치는 미국특허 제4.255.262호에 개시된 장치에 대해서는 이와 연관된 기계적 스키머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제거하지만, 내부의 높은 고압상태에서의 작동능과, 탱크의 가용체적에 대한 양호한 사용에 대해서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탱크로부터 오염물내재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탱크로부터의 유동은 차단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연속한 유체 흐름이 요구될 경우에는 불리하다. 또한, 스킴 트라프는 기화챔버를 통해 출구챔버로 연장되므로, 거품이 정지형 출구챔버로 흘러서 유출물을 오염시킨다. 그리고, 입구챔버의 상부에 축적될 수도 있는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과, 유입물에 포함되어서 입구챔버에 축적되는 가스를 통기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스킴 출구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가스를 용기에 지지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만일 독성의 치명적인 가스 또는 연소성 가스가 탱크에 존재할 경우에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태를 야기시킬 수 있다.
탱크 바닥위로 일정거리를 두고 종료되는 배플에서 경험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은 유입물의 일부가 고난류영역으로 지향되어 가스 방울과 접촉하지 않고 배플의 하부로 통과되려는 경향을 갖는다는 점이다.
또한, 탈가스화 챔버에서의 유동속도가 매우 높아 오일/물에 대한 최종적인 분리가 불충분하게 된다.
미국특허 제4.782.789호에는 입구챔버와 다수의 기화챔버 및 출구챔버가 구비된 정적유도 부유(induced static flotation:ISF) 셀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오염된 액체는 입구챔버로 유입되어 기화챔버를 통과한 후 출구챔버를 통해 배출된다. 가스 거품은 각각의 기화챔버의 바닥으로 유도되어, 상승시 현탁된 오염물 및/또는 오일을 끌어당긴다. 오염물내재 거품은 셀의 상부에 형성되며, 출구챔버에서 제1스킴트라프를 통해 제거된다. 액체 레벨변위 제어기는 제1스킴트라프의 상부에 인접하거나 또는 그 아래로 유체의 레벨을 유지하며, 제2스킴트라프는 출구챔버 및 기화챔버에서의 액체 사이의 비중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타이머 맥동장치는 부가적인 스키밍(skimming)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레벨을 주기적으로 상승시킨다. 가스는 기화챔버 바닥으로의 유도를 위하여 셀의 상부로부터 재순환된다.
기화챔버의 제2배플은 가스를 기화챔버로 분배하는 이덕터 조립체 위로의 가스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난류영역의 가스 및 액체에 의한 바이패스를 방지한다. 출구챔버에 한쌍의 배플을 사용하므로써, 유체 보존시간이 증가되어 액체/오염물 분리를 개선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986.903호에는 오일함유 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원통형의 수평 용기는 격벽에 의해 단일의 기화챔버로 분리되며, 상기 격벽은 용기의 내부챔버를 통해 연장되어 두 챔버간의 유체연통을 허용한다. 처리될 액체는 분배 헤더를 통해, 가스와 액체의 보다 친밀한 화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 이덕터와 조합되는 다른 입구노즐 및/또는 용기의 바닥에 인접하여 유도된다. 가스 이덕터의 출구는 분배 헤더의 출구 보다 약간 위에 배치된다. 해제된 가스 방울은 용기의 상부를 향해 오일 및 현탁물을 이송하며, 이러한 상부에서 주 스킴 수집트라프를 통해 거품이 수집되며, 상기 수집트라프는 기화챔버에서 수직으로 조정가능한(비중에 기초하여) 제2스킴 수집깔때기로부터 기화챔버를 통해 연장된다. 스킴 수집은 용기에서 액체 레벨을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미국특허 제5.011.597호 및 5.080.780호에는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하부 기화챔버를 중간 기화챔버 및 상부 가스챔버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벽이 제공되는 단일셀의 원통형 수직 유압부유 용기를 포함한다. 용기내에서 액체의 체적을 제어하므로써 스킴 수집을 제어하고, 스킴 수집출구의 출구밸브 또는 처리된 액체 출구밸브에 신호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는 조정가능한 타이머를 사용하므로써 액체의 체적을 변화시키기 위한 다른 여러 장치도 제안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용기에 유도되는 액체와 가스의 보다 친밀한 화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에 액체를 유도하는 또 다른 대안을 제공한다.
따라서,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에서, 특히 장치에 가해지는 파도의 운동이 현탁물이 회수된 물을 오염시키게 되는, 부유된 해안 탄화수소 회수 플랫포옴에 사용되는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여러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안가 탄화수소 회수 플랫포옴에서 물(water)로부터 현탁 오물 및/또는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이중셀 기계적 부유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된 해안 탄화수소 회수 플랫포옴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풋프린트(footprint)가 감소되고 동력소모가 적으며 자본 투하 및 유비비용이 절감되고, 부유 플랫포옴에 대한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중셀의 기계적 원통형 가스 부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기타 다른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현탁물이 포함되어 있는 액체 흐름을 수용하는 용기를 구비한,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용기를 입구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와, 출구챔버로 분할하고 각각의 인접한 챔버들은 서로 유체연통되어 있는 다수의 격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는 출구챔버와 유체연통된 배출챔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액체의 흐름을 입구챔버로 유도하는 입구와, 분류된 액체를 배출챔버로부터 제거하는 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가스를 흡입하여 이를 각각의 기화챔버내 액체와 혼합하여 난류영역을 생성하여 현탁물을 끌어당기고 현탁물을 용기의 상부로 이송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의 상부에 현탁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제1기화챔버와 제2기화챔버 사이에서 격벽의 상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주 스킴 수집채널과, 상기 주 채널과는 독립적이며 입구챔버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스킴 수집채널과, 상기 주 채널 및 제2스킴 수집채널과는 독립적이며 배출챔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스킴 수집채널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주 스킴 수집채널의 근방에 배치되어 용기의 운동으로 유발된 액체운동을 완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일 및 기타 다른 현탁입자에 의한 오염되는 지류에 대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서술될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현탁물 및/또는 오일을 액체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 사용되고, 현탁물, 액체 이들 양자가 바람직한 처리 생성물이 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장치인 시스템(10)은 현탁물이혼합되어 있는 액체(14)의 흐름을 수용하는 용기(12)를 포함하며;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12)는 연속한 원통형 측벽을 포함하며, 생성된 물을 오일벽으로부터 처리할 때 유발될 수도 있는 내압에 견딜 수 있다. 상기 용기(12)는 입구챔버(16)와, 적어도 하나의 제1기화챔버(18)와, 제2기화챔버(20)와, 출구챔버(22)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챔버는 서로 완전히 유체연통되어 있고 즉, 하나의 챔버내 유체는 인접한 챔버내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2)는 출구챔버(22)와의 유체연결부(26)인 배출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연결부(26)는 밸브(28)가 내장되는 일반적인 파이프이다. 상기 챔버(16, 18, 20, 22)는 다수의 수직 격벽(42, 44, 46, 48)에 의해 분할된다. 상기 격벽(42, 46)은 용기(12)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용기(1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인접한 챔버들 사이의 유체연통을 허용한다. 제1 및 제2기화챔버(18, 20)를 분할하는 격벽(44)은 용기(1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제외하고는 그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챔버들 사이의 가스연통을 허용하며, 상기 격벽(44)은 용기(12)의 측부에 의해 지지된다. 출구챔버(22)와 배출챔버(24)를 분할하는 격벽(48)은 유체연결부(26)를 제외하고는 용기(12)의 상부로부터 외주 전체를 밀봉하고 있는 바닥까지 완전히 연장된다. 격벽(42, 44, 46)의 길이는 각각의 격벽 하부에서 유동비 편차로 인한 압력편차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유체연결부(26)는 유체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동제어장치를 구비한 기타 다른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입구챔버(16)는 액체(14)의 흐름을 입구챔버(16)로 유도하는 입구(30) 이다. 각각의 기화챔버(18, 20)는 가스를 흡입하여 이를 각각의 기화챔버(18, 20)내 액체와 혼합하여 난류영역을 생성하여 현탁물을 끌어당기고 현탁물을 각각의 챔버(18, 20)에 대한 용기의 상부로 이송하는 기구(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스 흡입 및 혼합기구(32)는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미국특허 제3.993.563호에 개시된 장치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간단한 통기장치와 같은 다른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3.993.563호에 개시된 기구(32)는 가스를 용기(12)의 상부에 형성된 증기 공간으로부터 기구(32)의 로터조립체로 이송하는 하나이상의 가스 드래프트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흡입 및 혼합기구(32)는 가스를 용기(12)의 바닥으로부터 기구(32)의 로터조립체로 배타적으로 이송하는 물 드래프트 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물 드래프트 튜브를 포함하므로써 로터조립체에 유입되는 모든 물이 용기(12)의 바닥으로부터 로터흡입부로 향하게 되어 난류영역 주위의 유체 우회유동 및 단락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동일한 형상내에서의 용량 변화가 촉진된다. 처리된 유출물은 밸브(36)가 내장된 출구(34)를 통하여 용기로부터 배출된다. 용기(12)를 통과하는 흐름은 펌프를 통하여 또는 본래의 시스템압력(도시않음)으로 유지된다.
격벽(44)의 상부는 두 기화챔버(18, 20)의 상부에 현탁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제1기화챔버(18) 및 제2기화챔버(20) 사이에서 격벽(44)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주 스킴 수집채널(40) 이다.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을 향하고 있는 상기 스킴 수집채널(40)은 일반적으로는 트라프이며, 도면에서는 V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연속한 형태의 다른 트라프(예를 들어 U형 등)도 사용될 수 있다. 거품 레벨(50)은 채널(40)의 상부 엣지(52)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된다. 상기 주 스킴 수집채널(40)은 기화챔버(18, 20)에서 생성된 오염물내재 거품을 수용하며, 이러한 거품은 채널(40)로부터 주 스킴 출구(54)를 통해 제거된다. 용기 측벽에서 채널(40)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스킴 출구(54)가 배치된다. 상기 채널(40)은 채널(40)로부터 스키밍의 양호한 제거를 위하여 바닥부가 경사져 있다(예를 들어 V 또는 좁은 U형). 두 기화챔버(18, 20)에 대해 공통의 매니폴드 또는 채널(40)을 사용하므로써, 장치(10)의 효율이 증가되고 자본투하가 절감된다. 주 스킴 수집채널의 위에는 개방된 공간(56)이 제공되어, 각각의 기화챔버(18, 20) 사이의 기체연통을 허용한다.
용기(12)의 운동에 의해 유발된 액체(14)의 운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 스킴 수집채널(40)의 근방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플(60)이 제공되며, 이러한 운동은 부유 탄화수소 회수 플랫포옴(도시않음)에 대한 파도운동에 의해 유발된다. 상기 배플(60)은 가장 낮은 또는 말단 엣지(62)를 포함한다. 용기(12)는 수평인 것으로 간주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2)의 상부 및/또는 바닥에 대해 평행하다. 만일 채널(40)의 상부 엣지(52)와 배플(60)의 말단 엣지(62) 사이의 선이 용기(12)의 수평면에 대해 약 5°내지 15°일 경우에는 오일과 거품을 채널(40)내로 넘치게 할 동안 액체(14)의 운동이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A)는 약 10°가 된다.
밀폐된 바닥과 폐쇄된 측부와 개방된 상부를 갖는 제2스킴 수집채널 또는 버킷(64)은 양호한 실시예에서 격벽 또는 벽(42)에서 입구챔버(16)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2스킴 수집채널(64)은 레벨(66)에서 거품을 수집하도록 위치되며, 이러한레벨은 기화챔버(18, 20)에서는 바람직하기로는 레벨(50) 이하가 된다. 제2스킴 수집채널(64)은 바닥이 경사져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V형 또는 U형 단면을 갖는다. 제2스킴 수집채널(64)은 제2수집 스킴 출구(68)를 통해 거품을 제거한다. 수집된 현탁물을 용기(12)로부터 분배하기 위하여 주 스킴출구(54) 및 제2스킴출구(68)와 연결된, 용기(12)의 외부 등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합병된 수집채널(트라프, 파이프 등등)이 제공된다.
주 스킴 수집채널(40) 및 제2스킴 수집채널(64)과는 독립적인, 제3스킴 수집채널(70)은 배출챔버(24)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3스킴 수집채널(70)은 챔버(24)의 중앙에 위치된 나선형 파이프 이다. 이러한 채널은 배출챔버(24)내의 액체와 기화챔버(18, 20)내의 액체 사이의 비중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미국특허 제4.782.789호에는 정적 유도 부유수집채널이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제3스킴 수집채널(70)은 주 스킴출구(54) 및 제2스킴출구(68)로부터 거품을 수집하는 합병 수집채널과 연결되거나, 또는 현탁물을 용기(12)로부터 분배하기 위한 그 자신의 수집채널 또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레벨전송기(LT)로부터 레벨 정보를 획득하여 출구챔버(22)와 배출챔버(24) 사이에서 유체연통된 레벨 제어밸브(LCV)(28)를 통해 유량을 제어하므로써 제1 및 제2기화챔버(18, 20)의 액체레벨을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컨트롤러(PLC)와 같은 제어기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레벨전송기(74)는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개방된 하부 격벽(44)에 위치된 자체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배출챔버 또는 박스(24)에서의 흐름 레벨(76)의 제어는 LT(78)로부터 레벨정보를 획득하여 출구(34)에서 LCV(36)를 통해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PLC(72)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PLC(72)와 LCV(28, 36) 및 레벨전송기(74, 78)의 정확한 레벨특성은 중요한 사항이 아니라 본 기술분야에서는 일반적인 내용이지만, 그러나 본 발명의 이중셀 기계적 부유시스템에서의 조작(implementation)은 특허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계적 부유시스템(10)은 이중셀 디자인 즉, 단지 2개의 기화 셀(18, 2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셀이 4개인 종래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셀 또는 챔버에 대한 유지시간은 약 1분이며, 95%의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단지 2개의 기화챔버 또는 셀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챔버에 대한 유지시간은 약 2.0 내지 2.5분이었으며, 달성된 효율은 약 92%이었지만, 동력소비가 감소되었다. 즉,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면, 효율은 약간 감소되었지만, 마력에 대한 요구사항은 종래 시스템에 비해 약 절반 정도 이며(그 이유는 가스 흡입/혼합 기구가 4개가 아니라 단지 2개만 사용되었기 때문), 이러한 장치에 의해 소비된 풋프린트 또는 영역은 거의 절반으로 감소되었는데, 이것은 공간이 매우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해안에서는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폴리머 또는 해유화제를 사용하여 계량된 양의 화학 엉김제를 유체(14)내로 분배하여 유입액을 처리하므로써 물로부터 오염물을 최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표준 공급유니트인 최적의 화학 공급유니트(도시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용기(12)의 바닥에 수집되는 슬러지의 블로우다운을 위하여 밸브가 제공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출물의 압력과 가스의 흐름을 관찰하기 위하여 최적의 게이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현탁물의 혼합된 액체(14)의 연속한 흐름은 입구(30)를 통하여 입구챔버(16)로 유도된다. 입구챔버(16)에서는 입구챔버(16)의 상부로 거품 레벨(66)을 부유시키므로써 현탁물의 일부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품 또는 현탁물은 제2스킴 수집챔버(64)에서 수집된 후, 제2스킴 출구(68)를 통하여 용기(12)로부터 멀리 이격된 합병 수집채널을 통과한다.
상당한 현탁물을 아직도 포함하고 있는 유체(14)는 격벽(42)의 하부로 흘러 제1 및 제2기화챔버(18, 20)로 흘러들고, 이러한 챔버에서는 가스 흡입 및 혼합기구(32)에 의해 가스 흐름이 챔버내의 액체(14)로 유도되어, 챔버(18, 20)의 입구에서 난류를 형성하여 가스가 현탁물을 끌어당겨 이를 레벨(50)에서 부유되어 있는 용기(12)의 상부로 이송한다. 이러한 현탁물은 챔버(18, 20) 사이에서 격벽(44)의 상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주 스킴 수집채널(40)에 수집된다. 현탁물은 주 스킴출구(54)를 통해 수집채널에 수집되며, 이러한 수집채널은 제2스킴출구(68)로 작용하는 상기 합병 수집채널이나 기타 다른 합병 수집채널이다. 레벨(50)은 레벨(66)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주 스킴 수집채널(40) 근방의 적어도 하나의 배플(60)은 탄화수소 생성 플랫포옴을 강타하는 파도에 응답하여 용기가 흔들리거나 이동할 때 발생되는 유체(14)의 운동을 완화시킨다.
현탁물이 거의 없는 유체(14)는 격벽(46)의 하부로 흘러서 입구챔버(22)로 유입된다. 출구챔버(22)로부터 파이프 또는 유체연결부(26)를 통과하는 유체(14)의 통과는 레벨전송기(74)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따라 PLC(72)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레벨 제어밸브(28)에 의해 제어된다.
배출챔버(24)내의 유체(14)는 제3스킴 수집채널(70)에 의해 수집되는 레벨(76)로 상기 현탁물을 부유시키므로써 남아있는 현탁물이 제거된다. 채널(70)은 배출챔버(24)내의 액체(14)와 기화챔버(18, 20)내의 액체(14) 사이의 비중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ISF형 이다. 정화된 액체가 배출챔버(24)로부터 제거되는 비율은 LT(78)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PLC(72)에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응답하여 출구(34)에서의 LCV(36)에 의해 제어된다.
요약한다면, 본 발명의 장점은 풋프린트가 감소되고(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이 감소되고) 동력소모가 적으며 자본투하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플랫포옴 파도운동 효과에 대한 개선된 내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파도 표면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정한 배플링 디자인을 갖는 이중 셀 기계적 원통형 가스 부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의 이중 레벨 제어는 가스 흡입기구의 적절한 로터 잠김을 보장할 것이며, 거품 표면에서 안정된 레벨을 제공하여 제어된 스키밍 및 성능강화를 허용할 것이다. 2개의 기화챔버 사이에 공통의 스키밍 수집 매니폴드 또는 채널을 사용하므로써 효율이 더욱 강화된다. 가스 흡입 및 혼합기구와의 연결부에 드래프트 튜브를 사용하므로써 광범위한 용량에 대한 단락을 최소화할 것이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기계적 부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명세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여러 챔버의 체적과 격벽 사이의 거리는 변경될 수 있거나 도시된 및 서술된 바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특정의 장치에서는 특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스 흡입 및 혼합기구와 레벨 전송 및 제어장치는 본 발명에 도시 및 서술된 것과는 다를 수 있으며, 이들은 첨부의 청구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4)

  1.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현탁물이 포함된 액체 흐름을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를 입구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와, 출구챔버를 연속적으로 분할하는 다수의 격벽과,
    출구챔버와의 유체연결부를 구비한 배출챔버와,
    액체의 흐름을 입구챔버로 유도하는 입구와,
    난류영역을 생성하고 현탁물을 끌어당기고 현탁물을 용기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가스를 각각의 기화챔버에 흡입 및 혼합하는 기구와,
    현탁물을 상기 두 기화챔버의 상부에 수집하기 위하여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 사이에서 격벽의 상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주 스킴 수집채널과,
    상기 주 채널과는 독립적이며 입구챔버의 상부에 위치된 제2스킴 수집채널과,
    상기 주 채널 및 제2채널과는 독립적이며 배출챔버의 상부에 위치된 제3스킴 수집채널과,
    배출챔버로부터 정화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한 각각의 챔버는 서로 유체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출구챔버와 배출챔버 사이의 유체연결부에서 밸브를 통해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제1 및 제2기화챔버에서의 액체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배출챔버로부터 출구에서 밸브를 통해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배출챔버의 액체레벨을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용기의 운동에 의해 유발된 액체의 운동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주 스킴 수집채널의 근방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배플은 그 내측의 상부면으로부터 최하부의 말단 엣지까지 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주 스킴 수집채널과 배플의 말단 엣지 사이의 선은 수평면에 대해 5°내지 1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제거장치.
  6. 액체로부터 현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현탁물이 포함된 액체 흐름을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를 입구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와, 출구챔버를 연속적으로 분할하는 다수의 격벽과,
    출구챔버와의 유체연결부를 구비한 배출챔버와,
    액체의 흐름을 입구챔버로 유도하는 입구와,
    난류영역을 생성하고 현탁물을 끌어당기고 현탁물을 용기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가스를 각각의 기화챔버에 흡입 및 혼합하는 기구와,
    현탁물을 상기 두 기화챔버의 상부에 수집하기 위하여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 사이에서 격벽의 상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주 스킴 수집채널과,
    상기 주 채널과는 독립적이며 입구챔버의 상부에 위치된 제2스킴 수집채널과,
    상기 주 채널 및 제2채널과는 독립적이며 배출챔버의 상부에 위치된 제3스킴 수집채널과,
    배출챔버로부터 정화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출구와,
    용기의 운동에 의해 유발된 액체의 운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 스킴 수집채널의 근방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과,
    배출챔버로부터 출구에서 밸브를 통해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배출챔버에서의 액체레벨을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한 각각의 챔버는 서로 유체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출구챔버와 배출챔버 사이의 유체연결부에서 밸브를 통해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제1 및 제2기화챔버에서의 액체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제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배플은 그 내측의 상부면으로부터 최하부의 말단 엣지까지 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주 스킴 수집채널의 상부 엣지와 배플의 말단 엣지 사이의 선은 수평면에 대해 5°내지 1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물 제거장치.
  9. 현탁물로부터 액체를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를 입구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와, 출구챔버와, 상기 출구챔버와 유체연통되는 배출챔버로 연속적으로 분할하는 다수의 격벽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현탁물을 포함하는 액체 흐름을 입구를 통해 입구챔버에 유도하는 단계와,
    난류영역을 생성하고 가스가 현탁물을 끌어당기고 현탁물을 용기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가스 흐름을 각각의 제1 및 제2기화챔버에 유도하는 단계와,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 사이에서 격벽의 상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주 스킴 수집채널에 현탁물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주 채널과는 독립적이며 입구챔버의 상부에 위치된 제2스킴 수집채널에현탁물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주 채널 및 제2채널과는 독립적이며 배출챔버의 상부에 위치된 제3스킴 수집채널에 현탁물을 수집하는 단계와,
    정화된 액체를 배출챔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한 각각의 챔버는 서로 유체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화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입구챔버와 배출챔버 사이의 유체연결부에서 밸브를 통해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제1기화챔버 및 제2기화챔버에서의 액체레벨을 제어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화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배출챔버로부터 출구에서 밸브를 통해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배출챔버에서의 액체레벨을 제어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화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플에 의해 상기 주 스킴 수집채널 근방에서 액체의 운동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화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주 스킴 수집채널 근방에서의 액체운동 완화단계는 그 내측의 상부면으로부터 용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플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배플을 최하부 말단 엣지를 가지며, 상기 주 스킴 수집채널의 상부 엣지와 배플의 말단 엣지 사이의 선은 5°내지 1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화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화챔버에서의 잔류시간은 2.0분 내지 2.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정화방법.
KR1020027016774A 2000-06-09 2001-06-07 이중셀 기계적 부유 시스템 KR20030069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069200P 2000-06-09 2000-06-09
US60/210,692 2000-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797A true KR20030069797A (ko) 2003-08-27

Family

ID=2278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774A KR20030069797A (ko) 2000-06-09 2001-06-07 이중셀 기계적 부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55763B2 (ko)
EP (3) EP2218510B1 (ko)
KR (1) KR20030069797A (ko)
AT (1) ATE471763T1 (ko)
AU (1) AU2001275311A1 (ko)
BR (1) BR0111758B1 (ko)
CA (1) CA2411097C (ko)
DE (1) DE60142435D1 (ko)
NO (3) NO330411B1 (ko)
WO (1) WO20010960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54523C (en) * 2002-11-07 2010-10-05 Petreco International Limited Dual-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with intermittent skimming
US7438809B2 (en) * 2005-02-02 2008-10-21 Petreco International Inc.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US8173016B2 (en) * 2005-04-01 2012-05-08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Mechanical flotation device for reduction of oil, alkalinity and undesirable gases
US7416661B2 (en) * 2005-04-01 2008-08-26 Petreco International Inc. Mechanical flotation device for reduction of oil, alkalinity and undesirable gases
US8029668B2 (en) * 2006-07-20 2011-10-04 CCS Energy Services, LLC Fluid treatment device and method
ES2564477T3 (es) * 2009-09-07 2016-03-23 Aerofloat (Holdings) Pty Ltd Un aparato y un método para el tratamiento de agua
CN107537774A (zh) * 2017-07-27 2018-01-05 昆明理工大学 一种餐具和餐饮残余物分离回收车
CN110508036A (zh) * 2019-06-27 2019-11-29 北京点域科技有限公司 一种油水分离塔及油水分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6203A (en) * 1953-02-09 1956-10-09 Union Oil Co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US3993563A (en) 1975-04-28 1976-11-23 Envirotech Corporation Gas ingestion and mixing device
US4255262A (en) 1979-03-26 1981-03-10 U.S. Filter Corporation Hydraulic powered mixing apparatus
US4564457A (en) 1983-11-03 1986-01-14 L'eau Claire Systems, Inc. Upflow gas eductor induced air floatation separator
FR2605898B1 (fr) * 1986-11-04 1990-04-27 Elf Aquitaine Separateur pour deux liquides non miscibles
US4824579A (en) * 1987-04-20 1989-04-25 George Albert L Water cla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4782789A (en) 1987-10-26 1988-11-08 Eau Claire Systems Inc Induced static flotation cell
US5011597A (en) 1988-10-11 1991-04-30 Canzoneri Anthony S Single cell vertical static flow flotation unit
US4986903A (en) 1988-10-11 1991-01-22 Canzoneri Anthony S Induced static single flotation cell
US5080780A (en) 1988-10-11 1992-01-14 Process Development Company Single cell vertical static flow flotation unit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FI88268C (fi) * 1991-03-27 1993-04-26 Outomec Oy Flotationsmaskin
FR2682048B1 (fr) * 1991-10-03 1994-01-14 Ceca Sa Flottateur pour le traitement d'eaux polluees par les hydrocarbures.
US6074557A (en) * 1998-02-02 2000-06-13 Lyles, Sr.; Robert G. Wate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71763T1 (de) 2010-07-15
BR0111758A (pt) 2003-06-24
NO20110039L (no) 2003-02-04
CA2411097C (en) 2010-08-10
NO20110040L (no) 2003-02-04
BR0111758B1 (pt) 2011-07-12
EP2218510B1 (en) 2012-05-23
NO20025910D0 (no) 2002-12-09
EP2218511B1 (en) 2014-07-09
EP1296771B1 (en) 2010-06-23
NO20025910L (no) 2003-02-04
EP2218510A1 (en) 2010-08-18
NO330411B1 (no) 2011-04-11
NO336968B1 (no) 2015-12-07
US20030213735A1 (en) 2003-11-20
AU2001275311A1 (en) 2001-12-24
BR0111758C1 (pt) 2004-06-08
US6955763B2 (en) 2005-10-18
WO2001096026A3 (en) 2002-06-13
NO336966B1 (no) 2015-12-07
DE60142435D1 (de) 2010-08-05
EP1296771A2 (en) 2003-04-02
CA2411097A1 (en) 2001-12-20
WO2001096026A2 (en) 2001-12-20
EP2218511A1 (en)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8493C (en) A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horizontal tanks into gas flotation separators
US5080802A (en) Induced gas liquid coalescer and flotation separator
KR101722099B1 (ko) 미세기포의 안정적 발생구조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수처리장치
US5156745A (en) Induced gas liquid coalescer and flotation separator
US4800025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gas flotation purification of oil-contaminated water
US2766203A (en)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NO20110039L (no) Dobbeltcellet, mekanisk flotasjonssystem
JP2015083302A (ja) 排出ノズ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排出ノズル装置を用いた流体の分配方法および処理方法
US8173017B2 (en)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CA2454523C (en) Dual-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with intermittent skimming
EP0826404B1 (en) Tank for deaeration of water
WO2001005708A1 (en) A process and a plant for purifying of a liquid
JPH08196941A (ja) 溶解空気浮選および同様な気液接触操作の為の方法と装置
RU204047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епарации масловодяной эмульсии коагуляцией и флотацией
SU983066A1 (ru) Флотатор
JPS621612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