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9130A - 유/무선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130A
KR20030069130A KR20030045098A KR20030045098A KR20030069130A KR 20030069130 A KR20030069130 A KR 20030069130A KR 20030045098 A KR20030045098 A KR 20030045098A KR 20030045098 A KR20030045098 A KR 20030045098A KR 20030069130 A KR20030069130 A KR 2003006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cknowledgment
service
send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4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섭
박태상
Original Assignee
(주) 소프트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소프트길드 filed Critical (주) 소프트길드
Priority to KR2003004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9130A/ko
Publication of KR2003006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130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왑(wap)/웹(web)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로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의 수신확인 시간과 회수 등의 수신확인 정보를 중복적으로 확인하여 알려 주는 서비스 시스템(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무선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Mobile message multiple check system using wire or wireless internet}
종래 휴대전화 메시지의 전송은 SMS 서비스와 PUSH 서비스 등 2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SMS서비스는 SMSC(SMS Center)라는 서버를 이용하여 제공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SMS는 이동통신망 운영에 있어서 이동 중인 휴대전화의 기지국 ID 등록을 위해서 필수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동통신서비스 운영상에서 필수이던 SMS 서비스가 One way의 Messaging 서비스로서 등장하게 되었고, Phone to Phone 방식과 PC to Phone 방식의 SMS 서비스가 활성화되었다. SMS는 원래 국내보다도 유럽에서 훨씬 더 활성화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SMS를 이용한 BtoB와 BtoC 모델들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SMS의 1회 전송 데이터는 이동 통신 사업자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80byte 기준(callback 번호 제외)이며, 메시지를 받은 사람은 보낸 사람의 휴대전화로 곧바로 one touch 회신이 가능하다.현재 국내에는 기업용 SMS Gateway 서비스를 하는 업체들이 상당수이며, 이들 업체는 5대 이동 통신 사업자의 SMSC 서버와 Interface 작업을 완료하고, 고객 사들에게는 동시에 모든 휴대전화 가입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휴대전화 기반의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대두되기 시작한 서비스가 Push 서비스이다. SMS 서비스와 매우 유사하나 SMS의 경우는 Callback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메시지를 보내지만, Push 서비스는 Accessback URL을 내려보냄으로써 수신자는 One Click으로 전송자가 지정한 무선인터넷 사이트로 접속이 가능한 형태의 서비스이다.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기술과 무선 데이터 기술 등 제반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기반으로 탄생한 프로토콜이다. WAP는 현재사용되고 있는 웹을 기반으로 생겨났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웹과 매우 관련이 깊으며,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다.
그런데, 앞서 본 바와 같은 현재의 휴대전화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서는 송신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뿐 전송한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수신 여부나 수신 시간, 수신 회수 등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전송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관심의 정도를 파악하여 이를 마켓팅 등에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요한 메시지를 전송하였는데도 수신자가 이를 수신 확인하지 아니한 경우 재전송할 기회조차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송신자가 전송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수신 여부 및 그 시간, 회수 등을 중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및 방법(다중 수신 확인 서비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런데, 메시지 전송 방법이 종래의 일반적인 단문메시지 방식인 경우에는 수신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어 있으나 웹 또는 왑을 이용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모든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 대하여 중복적으로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방법이 웹/왑을 이용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송신자가 웹/왑을 통하여 휴대전화 메시지 내용 및 다중 수신 확인 방법을 입력하는 제1단계; 입력된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 DB서버에서 전송 DB와 수신확인 DB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2단계; 메시지를 전송 DB에서 메시지전송대행업체의 SMS/PUSH G/W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자의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제3단계; 수신자가 수신확인 DB에 접속하여 전송된 메시지의 본문 내용을 확인하는 제4단계; 수신자의 수신확인 DB 접속시마다 수신확인 DB 내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파일에 수신 시간을 반복적으로 기록하여 저장하고 전송 DB로 전송하는 제5단계; 수신확인 DB로부터 전송된 수신 시간 및 회수에 관한 정보를 전송 DB에서 메시지전송대행업체의 SMS/PUSH G/W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를 송신자의 휴대전화 및 웹상으로 알려 주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위 제3단계의 전송에 있어서는 기존의 PUSH서비스의 Accessback URL방식을 사용하고, 제6단계의 전송에 있어서는 기존의 SMS 서비스 방식을 각 그대로 사용할 것이므로 그 이외의 단계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가 본 발명의 핵심적 과제가 된다.
도 1 모바일 메시지 전송 시스템 구성도
도 2 모바일 메시지 수신자의 메시지 수신 시스템 구성도
도 3 모바일 메시지 송신자의 수신확인 시스템 구성도
도 4 모바일 메시지 전송 및 다중 수신 확인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도 5 모바일 메시지 전송 순서도
도 6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웹/왑서버
24 : 메시지 저장 DB 서버
25 : SMS/PUSH Gateway
이하에서는 도면을 이용하여 우선 기존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고 이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중 수신 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SMS, PUSH 서비스의 개략도이다. 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하고 있는 고객사에서 고객들은 사용자 혹은 서비스 업체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정보(휴대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SMS/PUSH G/W(GateWay)(11)를 통해 이동통신망의 SMSC(12)로 전송하게 된다. SMSC서버는 이동통신사의교환기(13)를 거쳐 수신자에게 전송을 하기 위하여 기지국(14)으로 이동하여 전송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단순한 메시지 전송방식이 아니라 송신자인 웹사용자(21)와 왑사용자(22)가 웹/왑서버(23)에 접속을 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여기에서 전송 장비인 SMS/PUSH G/W(25) 앞단에 메시지 저장 DB(Database)서버(24)를 두어 메시지를 저장한 후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제1, 2, 3단계). 메시지 저장 DB서버는 전송할 메시지와 함께 송신자에게 정확히 메시지가 전송되었는지 여부 및 수신자가 언제 메시지를 수신확인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제2, 5단계). 메시지 수신자는 수신과 동시에 웹/왑서버에 접속을 하게 되고 접속과 동시에 저장 DB서버 내의 수신확인 DB에 저장된 전송 메시지 본문 내용을 읽게 된다(제4단계).
수신자가 위와 같이 메시지를 읽게 되면 그 때마다 도 3의 저장 DB서버(33)에 저장되어 있던 메시지 파일에 수신 시간을 반복적으로 기록하여 저장(제5단계)함과 아울러 수신 시간 및 회수에 관한 정보를 메시지전송대행업체의 SMS/PUSH G/W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신자의 휴대전화 및 웹상으로 알려 주게 된다(제6단계).
도 4에서는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메시지 저장 DB서버를 보여 주고 있다. 메시지 저장 DB서버에는 2가지 DB를 가지게 되는데 그것은 메시지 전송 DB(41)과 수신확인 DB(44)이다. 메시지 전송 DB는 전송 정보 및 간략한 메시지 내용을 가지게 되고, 수신확인 DB는 전송 메시지 전문과 수신자의 수신확인시간과 회수에 관한 정보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메시지 수신 여부와 시간, 횟수를 판단 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자. 도 5는 송신자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순서 및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송신자가 접속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질 수가 있다. 그 첫 번째 방식은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에 의한 접속 방식인 웹(51)과 무선인터넷 사용자들에 의한 접속 방식인 왑(52)에 의한 방식이 있다. 제1단계에서는 위와 같은 두가지 방식으로 접속한 송신자가 메시지 전송 서버(53)에 접속을 하여 전송 메시지 내용을 작성하고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방법을 선택하여 이를 작성된 메시지와 함께 전송 요청한다. 제2단계에서는 입력된 메시지와 다중 수신 확인 방법이 메시지 전송 데이터 베이스(54)와 메시지 수신 확인 데이터베이스(55)에 저장된다. 제3단계에서는 메시지 전송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서 확인한 후 수신자(57)에게 전송한다. 제4단계에서는 수신자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메시지 수신 데이터베이스(63)에 접속을 하여 메시지의 본문 내용을 확인한다. 제5단계에서는 수신자의 수신 확인 DB 접속시마다 수신 확인 DB 내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 파일에 수신 시간을 반복적으로 기록하여 저장하고 전송 DB로 이를 전송하게 된다. 제6단계에서는 수신확인 시간과 횟수 등 수신 확인 메시지가 송신자가 함께 전송한 수신확인 방식이 실행되어 그에 따라 송신자에게 전송되고 이와 동시에 메시지 수신 데이터 베이스에 그 값을 업데이트하게 된다.
위 각 단계에 있어 다중 수신 확인 방법은 송신자가 메시지와 함께 작성하여 이를 전송 요청하면 메시지의 전송에 관한 간단한 정보 파일은 전송 DB에 저장되고 메시지 전문 파일은 수신 확인시간을 기록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는 파일로 변경되어 수신확인 DB에 저장되었다가 수신자의 수신확인 접속시마다 수신확인 시간을 중복적으로 업데이트하면서 저장되며 이와 동시에 수신자의 수신확인 여부 및 시간, 횟수 등 수신확인 메시지가 송신자에게 전송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한편, 본 발명은 웹/왑을 전송수단으로 하는 이상 다중수신확인대상에 있어서는 단문 및 장문의 문자메시지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음성이나 음악 등 소리 메시지,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등 모든 형태의 전송메시지에 대하여 확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자가 웹/왑 서버를 통해 수신자의 휴대전화로 모바일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 수신자 측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메시지의 수신 확인 시간과 횟수 등 수신확인 정보를 송신자에게 다시 발송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송신자는 전송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관심의 정도를 파악하여 이를 마켓팅 등에 활용하거나 중요한 메시지에 대하여 반복적인 재전송을 통하여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웹/왑을 통하여 휴대형 이동전화로 전송된 메시지의 수신 확인 여부 및 그 내역을 송신자에게 알려 주는 메시지 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시 전송 메시지를 저장 DB 서버의 전송 DB와 수신 확인 DB에 저장하는 과정, 수신자가 저장 DB 내의 수신확인 DB에 접근하여 전송된 메시지의 본문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 수신자의 수신 확인 여부 및 시간, 횟수 등 그 내역에 관한 정보를 중복적으로 수신확인 DB에 저장하는 과정과 수신확인정보를 송신자에게 웹, 왑 또는 휴대형 이동전화에 의한 단문 메시지로 알려 주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문 및 장문의 문자 메시지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다중 수신 확인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확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음성 및 음악 등 소리 메시지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는 다중 수신 확인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확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정지 및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는 다중 수신 확인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확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메시지의 전송방법이 웹, 왑 또는 휴대형 이동전화에 의한 단문 메시지 등 모든 형태의 경우에 적용되는 다중 수신 확인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확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수신확인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이 웹, 왑 또는 휴대형 이동전화에 의한 단문 메시지 등 모든 형태의 경우에 적용되는 다중 수신 확인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확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20030045098A 2003-07-04 2003-07-04 유/무선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 KR20030069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5098A KR20030069130A (ko) 2003-07-04 2003-07-04 유/무선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5098A KR20030069130A (ko) 2003-07-04 2003-07-04 유/무선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130A true KR20030069130A (ko) 2003-08-25

Family

ID=3222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5098A KR20030069130A (ko) 2003-07-04 2003-07-04 유/무선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91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69B1 (ko) * 2004-12-10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 방법
KR100915910B1 (ko) * 2007-04-18 2009-09-07 티플렉스(주) 멀티 에스엠에스 메시지 열람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단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69B1 (ko) * 2004-12-10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 방법
KR100915910B1 (ko) * 2007-04-18 2009-09-07 티플렉스(주) 멀티 에스엠에스 메시지 열람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단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352B1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US73953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remote mailboxe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DP connections of a GPRS system
EP2063590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ail and a push mail server
CN1767508B (zh) 即时消息传送服务中的文件传输方法以及用于支持该方法的移动通信终端
KR1009054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장치 및방법
JP2002532796A5 (ko)
CN101115260B (zh) 移动通信终端及其实时播放消息的方法
KR20050088011A (ko) 모바일 메시지 수신 시스템을 이용한 메시지 수신 및수신거부 방법
KR20030069130A (ko) 유/무선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메시지 다중 수신 확인 시스템
US20050059382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submitting a message deposited in an in-box of a messaging service
CN100396129C (zh) 自动合并查看来自同一号码的未阅读讯息的方法及系统
US62928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messages of varying protocols over a single communications network
KR100611967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 개선된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130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룹 메시지 수신 확인 장치 및방법
KR100710074B1 (ko) 유알엘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단말기 및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47221B1 (ko) 웹 서버에서 제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멀티미디어메시징 서비스 방법
KR2006003041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확인 신호처리 방법
KR200600228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CN1985483A (zh) 从发射机经终端向另外终端传送多媒体消息的方法和系统
KR100361729B1 (ko)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1799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실시간 음성메시지 수신방법
KR101013639B1 (ko) 이메일 전송오류 확인방법
KR20050122527A (ko) 무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회신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09422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1022332B1 (ko) 능동형 통합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