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8624A -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624A
KR20030068624A KR1020020008087A KR20020008087A KR20030068624A KR 20030068624 A KR20030068624 A KR 20030068624A KR 1020020008087 A KR1020020008087 A KR 1020020008087A KR 20020008087 A KR20020008087 A KR 20020008087A KR 20030068624 A KR20030068624 A KR 20030068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lient
sharer
updater
managem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기
Original Assignee
홍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기 filed Critical 홍정기
Priority to KR102002000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624A/ko
Publication of KR2003006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 및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 각각에 정보의 송·수신을 전담하는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를 기 설치함과 아울러, 시스템측에 앞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출력되는 갱신 정보를 특정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의 로그인과 동시에 해당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로 선별·전송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가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최단 시간 내에 동기화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 갱신내역이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에 최단 시간 내에 반영되는 경우, 서로 거래 관계에 있는 개별 사용자들은 별도의 불편함 없이, 서로 간의 정보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정보의 온라인 동기화가 체계화되는 경우, 정보 갱신자측에서는 전화, 팩스, 전자메일 등의 사용 관행을 손쉽게 배제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불필요한 시간낭비, 비용낭비 등이 대폭 저감되는 효과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Method for synchronizing a information of a client based on the internet-network}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일련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출력되는 갱신 정보를 특정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의 로그인과 동시에 해당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로 선별·전송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보 공유자측클라이언트의 정보가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최단 시간 내에 동기화 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업무 인프라(On-line business infra)가 폭 넓게 구축되면서,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정보처리 클라이언트의 업무 이용도 또한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통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업무처리 체제하에서, 임의의 사용자는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자신이 보유한 정보처리 클라이언트를 통해 갱신·관리하게 되며, 추후, 이 정보들을 여러 업무분야에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업무처리 체제하에서, 각 사용자가 작성한 정보는 개별 정보처리 클라이언트를 통해 독립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와 거래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측에서는 해당 사용자측의 정보가 새롭게 갱신되더라도, 이를 최단 시간 내에 파악하기가 매우 힘들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측에서 관리되는 주소록 정보가 새롭게 갱신된다 하더라도, 해당 사용자와 거래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측에서는 이를 최단 시간 내에 전혀 파악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서로 거래관계에 있는 개별 사용자가 양측의 정보 갱신상황을 단시간 내에 파악할 수 없는 경우, 각 사용자들은 서로 원활한 업무 협조를 이룰 수 없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 하에서, 결국, 정보를 갱신한 사용자는 해당 갱신내역을 예컨대, 전화, 팩스, 전자메일 등과 같은 별도의 수단을 통해 자신과 거래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통지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시간낭비, 비용낭비 등을 고스란히 부담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 및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 각각에 정보의 송·수신을 전담하는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를 기 설치함과 아울러, 시스템측에 앞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출력되는 갱신 정보를 특정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의 로그인과 동시에 해당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로 선별·전송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 갱신내역이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에 최단 시간 내에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서로 거래 관계에 있는 개별 사용자들이 별도의 불편함 없이, 서로 간의 정보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의 온라인 동기화를 체계화하여, 전화, 팩스, 전자메일 등의 사용 관행을 배제하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시간낭비, 비용낭비 등을 대폭 저감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의 플랫폼 디스플레이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의 데이터 베이스 필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망에 개별 접속중인 임의의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 및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에 기 설치된 일련의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들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은 구체적으로, 앞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일련의 갱신정보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갱신정보 송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시스템측의 기 저장정보를 해당 갱신정보에 맞추어 변경하는 단계와, 앞의 갱신정보를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정보 갱신자에 의해 특정된 일련의 정보 공유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정보 공유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정보 공유자 데이터에 기록된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가 시스템에 로그인 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가 시스템에 로그인한 경우, 임시 저장되어 있던 갱신정보를 해당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시스템(100)은 크게,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 D/B 관리 서버(104), D/B 블록(105)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앞의 D/B 블록(105)에는 회원정보 D/B(106), 공유정보 D/B(107) 등이 배치된다.
이때, 회원정보 D/B(106)에는 예컨대, "시스템(100)측에 가입한 정보 갱신자/정보 공유자 인증 아이디/인증 비밀번호, 정보 갱신자가 지정한 정보 공유자 데이터, 정보 갱신자/정보 공유자 메일계정, 정보 갱신자/정보 공유자 시스템 방문이력‥‥" 등과 같은 일련의 회원 관련 정보가 저장되며, 공유정보 D/B(107)에는 예컨대, "정보 갱신자 주소록 정보, 정보 공유자 주소록 정보, 정보 갱신자 제품정보, 정보 공유자 제품정보‥‥" 등과 같은 일련의 공유 정보가 저장된다. 물론, 이러한 공유 정보는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앞의 D/B 관리 서버(104)는 상술한 회원정보, 공유정보 등을 D/B 블록(105)의 필요 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앞의 회원정보 D/B(106), 공유정보 D/B(107) 등으로부터 상술한 각종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관리 서버(104)는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D/B 관리 서버(104)를 체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회원정보, 공유정보 등의 저장 및 추출 여부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정보 갱신자, 정보 공유자 등은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 등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시스템(100)에 온라인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의 일부에는 정보 갱신자에 의한 정보 갱신과정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해당 정보 갱신자에 의해 갱신된 일련의 갱신정보를 시스템(100)측으로 전송하는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가 기 설치되며,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의 일부에는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갱신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가 기 설치된다.
이 경우, 앞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 등은 예컨대, TCP/IP 기반의 소켓(Socket)을 이용하여, 앞의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와 일련의 데이터 교환과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102)은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200,300) 및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 사이를 매개한 상태에서,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200,300)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이벤트 데이터들을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200,3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앞의 D/B 관리 서버(104), 인터페이스 모듈(102)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로더(103),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 등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때, 앞의 어플리케이션 로더(103)는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로부터 일련의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 등의 로딩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에이전트(200,300)를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로 전달함으로써,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 각각에 앞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 정보 수신 관리에이전트(300) 등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일련의 서비스를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정보 갱신자, 정보 공유자 등은 본 발명을 본격적으로 이용하기 이전에,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시스템(100)에 초기 접속하여, 일련의 가입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 등의 일부 영역에 상술한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200,300)가 미리 설치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와 함께, 앞의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는 예컨대,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에 설치된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부터 일련의 갱신정보가 송신되고, 이에 대응하여,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로부터 일련의 "갱신정보 임시 저장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부터 전송된 일련의 정보 갱신자측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는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로부터 "정보 공유자 데이터 임시 저장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정보 공유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함으로써,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에 의한 일련의 정보 동기화 과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시스템(100)을 이용한 본 발명 고유의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일련의 갱신정보 동기화 서비스를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정보 갱신자는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에 기 설치되어 있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를 실행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 작성용 플랫폼(401)을 활성화시킨 후, 이 정보 작성용 플랫폼(401)을 활용하여, 일련의 정보 갱신 프로세스를 진행시킨다(단계 S100).
추후, 정보 갱신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 예컨대, 주소록 정보를 일부 갱신하고, 갱신을 선택하는 경우,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는 그 즉시, 송신자가 작성한 갱신 데이터를 네트워크 전송용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이 완료된 갱신 데이터를 일련의 소켓통신을 통해, 시스템(100)측의 인터페이스 모듈(102)로 전송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부터 일련의 갱신정보 전송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정보 갱신자가 아직, 일련의 정보 갱신 프로세스를 모두 완료하지 못하여,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부터 별도의 갱신정보 전송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정보 갱신자가 정보 작성용 플랫폼(401)의 "특정 대상자 주소 리스트 항목(402)"을 변경하고, 갱신 항목(403)을 선택하여,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부터 일련의 갱신정보 전송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D/B 관리 서버(104)를 활용하여, 회원정보 D/B(106)에 저장되어 있던 회원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회원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정보 갱신자의 등록 여부를 인증한다(단계 S3). 물론, 정보 송신 관리에이전트(200)로부터 송신된 갱신정보에는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가 이와 같은 인증 프로세스를 손쉽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정보 갱신자의 인증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 예컨대, 정보 갱신자 인증 아이디, 정보 갱신자 인증 비밀번호 등이 기 첨부된다.
이러한 인증과정이 완료되고, 해당 정보 갱신자의 등록 여부가 정상적으로 확인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D/B 관리 서버(104)를 활용하여, 공유정보 D/B(107)에 저장되어 있던 공유정보, 예컨대, 정보 갱신자측 주소록 정보를 앞의 갱신정보에 맞추어 업데이트함으로써(단계 S4), 시스템(100)측이 보유한 정보가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가 보유한 정보에 정확하게 매칭(Matching)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로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부터 송신된 갱신정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게 되며,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는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로부터 이러한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해당 갱신정보를 안정적으로 임시 저장한다(단계 S5).
앞의 과정을 통해,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에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부터 송신된 갱신정보가 임시 저장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D/B 관리 서버(104)를 활용하여, 회원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던 예컨대, "정보 갱신자가 지정한 정보 공유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정보 공유자 데이터를 앞의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로 전달함으로써, 이 정보 공유자 데이터가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에 안정적으로 임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6,S7).
이 상태에서,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 등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로부터 일련의 정보 공유자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이때, 정보 공유자가 시스템(100) 로그인을 위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로부터 별도의 정보 공유자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플로우를 단계 S9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정보 공유자가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에 기 설치되어 있던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를 실행시켜,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로부터 일련의 정보 공유자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D/B 관리 서버(104)를 활용하여, 회원정보 D/B(106)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정보 공유자의 시스템 방문이력"을 체크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해당 정보 공유자가 앞서 언급한 갱신정보의 도착이후 최초로 시스템(100)에 로그인 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이때, 해당 정보 공유자가 갱신정보의 도착이후 두 번 이상의 로그인 과정을 기 진행한 정보 공유자 이어서, 후술하는 단계 S12~S16을 진행시킬 필요성이 없는 경우,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플로우를 단계 S11로 진행하여, 해당 정보 공유자가 선택한 다른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그러나, 해당 정보 공유자가 갱신정보의 도착이후 최초로 시스템(100)에 로그인한 정보 공유자인 경우,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를 활용하여, 이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정보 갱신자측 갱신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갱신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하여,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2).
이 경우,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에 기 설치되어 있던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는 일련의 소켓통신을 통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로부터 전송된 정보 갱신자측 갱신정보를 수신한 후, 이 정보를 자신의 D/B(도시안됨)에 신속하게 저장하게 되며,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의 데이터 필드(404)에 포함된 "특정 대상자 주소 리스트 항목(405)"은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가 보유한 정보에 정확하게 매칭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각 사용자가 작성한 정보는 개별 정보처리 클라이언트를 통해 독립적으로 관리되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와 거래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측에서는 사용자측의 정보가 새롭게 갱신되더라도, 이를 최단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 및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 각각에는 정보의 송·수신을 전담하는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200,300)가 기 설치되고, 시스템(100)측에는 앞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부터 출력되는 갱신 정보를 특정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300)의 로그인과 동시에 해당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300)로 선별·전송할수 있는 모듈환경이 구축되기 때문에,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의 정보 갱신내역은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2)에 최단 시간 내에 반영될 수 있으며, 결국, 서로 거래 관계에 있는 개별 사용자들은 별도의 불편함 없이, 서로 간의 정보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정보의 온라인 동기화가 체계화되는 경우, 정보 갱신자측에서는 전화, 팩스, 전자메일 등의 사용 관행을 손쉽게 배제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불필요한 시간낭비, 비용낭비 등이 대폭 저감되는 효과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2를 통해, 일련의 정보 갱신자측 갱신정보가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로 송신된 상태에서,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로부터 일련의 정보 갱신 완료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이때,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로부터 아직, 별도의 정보 갱신 완료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플로우를 단계 S14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가 자신의 D/B를 정보 갱신자측 갱신정보에 따라, 안정적으로 변경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여,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300)로부터 일련의 정보 갱신 완료 메시지가 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을 제어하여, 이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정보 갱신자측 갱신정보를 모두 삭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5). 이 경우,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는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의 제어 하에, 일련의 정보 삭제루틴을 신속하게 진행시킴으로써, 자신이 임시 저장하고 있던 정보 갱신자측 갱신정보를 안정적으로 삭제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정보 공유자측의 정보가 정보 갱신자측의 갱신정보에 맞추어 안정적으로 변경되고,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정보가 모두 삭제되면,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정보 공유자측의 정보가 안정적으로 갱신되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한 일련의 동기화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동기화 결과 메시지를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6).
이 경우,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200)는 일련의 소켓통신을 통해,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된 동기화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 내역을 자신의 D/B(도시안됨)에 신속하게 반영하고, 이러한 반영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동기화 결과를 일련의 표시 플랫폼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정보 갱신자가 자신이 진행한 데이터 변경 과정이 정보 공유자측에 안정적으로 반영되었음을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정보 동기화 관리 서버(101)는 임의의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갱신정보 송신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앞의 D/B 관리 서버(104), 데이터 임시저장 버퍼(108) 등을 탄력적으로 활용하여, 정보 동기화 프로세스를 신속하게 시행함으로써, 정보 공유자측의 정보가 정보 갱신자측의 갱신정보에 맞추어 최단시간 내에 일치화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 및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 각각에 정보의 송·수신을 전담하는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를 기 설치함과 아울러, 시스템측에 앞의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출력되는 갱신 정보를 특정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의 로그인과 동시에 해당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들로 선별·전송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가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최단 시간 내에 동기화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의 정보 갱신내역이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에 최단 시간 내에 반영되는 경우, 서로 거래 관계에 있는 개별 사용자들은 별도의 불편함 없이, 서로 간의 정보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정보의 온라인 동기화가 체계화되는 경우, 정보 갱신자측에서는 전화, 팩스, 전자메일 등의 사용 관행을 손쉽게 배제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불필요한 시간낭비, 비용낭비 등이 대폭 저감되는 효과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정보 관리과정을 일련의 무선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진행시킬 수도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인터넷망에 개별 접속중인 임의의 정보 갱신자측 클라이언트 및 정보 공유자측 클라이언트에 기 설치된 일련의 정보 송·수신 관리 에이전트들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되며,
    상기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일련의 갱신정보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송신 관리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갱신정보 송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시스템측의 기 저장정보를 상기 갱신정보에 맞추어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정보를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정보 갱신자에 의해 특정된 일련의 정보 공유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상기 정보 공유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자 데이터에 기록된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가 시스템에 로그인 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가 시스템에 로그인한 경우, 임시 저장되어 있던 상기 갱신정보를 상기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정보를 상기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정보 수신 관리 에이전트가 상기 갱신정보의 도착이후 최초로 시스템에 로그인 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KR1020020008087A 2002-02-15 2002-02-15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KR20030068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087A KR20030068624A (ko) 2002-02-15 2002-02-15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087A KR20030068624A (ko) 2002-02-15 2002-02-15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624A true KR20030068624A (ko) 2003-08-25

Family

ID=3222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087A KR20030068624A (ko) 2002-02-15 2002-02-15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6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01A (ko) * 2002-11-07 2004-05-13 주식회사 태니 변이캐릭터 출력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86573A (ko) * 2014-01-17 2015-07-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8A (ja) * 1996-06-14 1998-01-06 Kyushu Nippon Denki Software Kk 電子計算機システム間のデータ一致方式
US5926816A (en) * 1996-10-09 1999-07-20 Oracle Corporation Database Synchronizer
JP2000112803A (ja) * 1998-09-30 2000-04-21 Fujitsu Ltd データ自動更新システム
JP2000132444A (ja) * 1998-10-23 2000-05-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サ―バ、クライアント、適応同期方法、デ―タ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10085501A (ko) * 2000-02-28 2001-09-07 김두현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3674A (ko) * 2000-06-24 2002-01-15 정승채 데이타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8A (ja) * 1996-06-14 1998-01-06 Kyushu Nippon Denki Software Kk 電子計算機システム間のデータ一致方式
US5926816A (en) * 1996-10-09 1999-07-20 Oracle Corporation Database Synchronizer
JP2000112803A (ja) * 1998-09-30 2000-04-21 Fujitsu Ltd データ自動更新システム
JP2000132444A (ja) * 1998-10-23 2000-05-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サ―バ、クライアント、適応同期方法、デ―タ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10085501A (ko) * 2000-02-28 2001-09-07 김두현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3674A (ko) * 2000-06-24 2002-01-15 정승채 데이타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01A (ko) * 2002-11-07 2004-05-13 주식회사 태니 변이캐릭터 출력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86573A (ko) * 2014-01-17 2015-07-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4680B2 (en) A Method For Sharing Functionality And/Or Data Between Two Or More Linked Entities
JP4381655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ストレージ装置、及び該ストレージ装置を利用した情報共有方法
US20030014477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access to files
WO2005015432A1 (en) Collaborative email
JP2009296449A (ja) 映像編集システム、映像編集サーバ、通信端末
JP4869804B2 (ja) 情報共有制御システム
JP2009169660A (ja) プレゼンス技術を用いた対話的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840640B2 (en) Mail exchange between users of network game
EP1619842B1 (en) Exchange system for connecting terminals of different systems
US20120096258A1 (en) Service system
KR20030068624A (ko)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US20060069731A1 (en) Sender address setting when generating return mail
US7814156B2 (en) Management of account information in a network game service for mail exchange
KR100640512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에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1339422A (ja) メール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100420551B1 (ko)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19457B1 (ko)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창 장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4280229A (ja) プレゼンスシステム、プレゼンス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055950A (ja) 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20024356A (ko)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2002190820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及び電子メール配信方法
KR20050096077A (ko) 서버 주도형 클라이언트 동기화 방법
KR100833224B1 (ko) 이동 사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H10320339A (ja)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
JP2004110687A (ja) 通信端末の個人識別情報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