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5392A - 매체 고정 구조 및 그 구조를 갖는 화상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고정 구조 및 그 구조를 갖는 화상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392A
KR20030065392A KR10-2003-0005750A KR20030005750A KR20030065392A KR 20030065392 A KR20030065392 A KR 20030065392A KR 20030005750 A KR20030005750 A KR 20030005750A KR 20030065392 A KR20030065392 A KR 2003006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image input
clipping
plate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026B1 (ko
Inventor
호리데쯔야
야마노슈이찌
오가따히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6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two-dimensional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22Media holders, covers, supports, backgrounds; Arrangements to facilitate placing of th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36Scanning a picture-bearing surface lying face up on a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udio Device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Abstract

스탠드형 화상 입력 장치에서 설치대 상에 스캔되는 매체 자체를 평탄하게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화상 입력 장치의 설치대에는 매체를 클립하여 이 매체의 접힘이나 커얼을 펴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대에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있다. 다르게, 화상 입력 장치의 해상도보다 더 미세한 필라멘트로 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매체 고정 구조 및 그 구조를 갖는 화상 입력 장치{MEDIUM FIXING STRUCTURE AND IMAGE INPUT DEVICE HAV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촬상부가 피사체와 비접촉인 스탠드형 화상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탠드형 화상 입력 장치에서는, 스캐닝될 매체를 설치대에 설치하여 이 매체의 화상을 취득한다. 이 광학 렌즈는 매체와 비접촉으로 매체와 촬상부 간의 공간은 개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매체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구조에서는 매체의 접힘이나 컬링으로 인해 화상 입력 동안 왜곡이나 디포커싱이 발생하게 된다. 왜곡이나 디포커싱은 입력된 화상의 문자를 인식할 때 인식률의 저하를 초래한다.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는 두개의 다른 조건 하에서 화상을 스캔하고, 이 스캔된 화상을 합성하여 평면으로 전개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번호 2000-115510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일회 인식에 이회 이상의 화상 스캔을 필요로 하여, 스캐닝 시간의 증가라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합성 처리 등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이 증가하며, 이는 비용의 증가라는 또 다른 문제로 이어진다.
화상 인식 장치에서는, 스캐닝되는 용지나 막 등의 매체가 접히거나 컬링되어도, 매체는 스탠드형 화상 입력 장치의 설치대 상에 평탄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 구조에서는, 왜곡 및 디포커싱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취득하여, 매체의 접힘, 컬링 등으로 인한 문자 인식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화상 처리 장치는 스캐닝될 매체를 클립하여, 화상 인식 장치의 설치대 상에 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매체 고정 구조를 포함한다. 이 구조는 매체를 설치대 상에 평탄하게 고정시킨다.
또 다른 형태에서, 화상 처리 장치에는 화상 인식 장치의 설치대에 접착성을부여하여 화상 입력 장치의 해상도 보다 더 미세한 필라멘트로 매체를 고정하는 장표 고정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새로운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에서 일부 기재되고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일부가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하게 되거나 실시예들의 동작으로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특히 첨부한 청구범위에서 지적된 방법, 설비 및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현 및 취득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화상 입력 장치의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서의 설치대의 개략 상부도.
도 3의 (a) 및 (b)는 일반적인 매체 고정 구조의 일반 도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베드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a) 및 (b)는 설치대와 매체 고정 구조의 단면도.
도 6의 (a) 내지 (g)는 클리핑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a) 내지 (d)는 클리핑 기구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a) 내지 (b)는 매체 고정 구조의 일반 도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베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의 (a) 내지 (i)는 클리핑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의 (a) 내지 (b)는 장표 상의 ID의 설명도.
도 12의 (a) 내지 (c)는 다른 매체 고정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촬상부
2 : 설치대
3 : 스트러트
4 : 광학 시스템
5 : 화상 촬상 소자
7 : 출력 처리부
8 : 화상 처리부
9 : 출력부
10 : 외부 인터페이스(I/F)
11 : 매체 고정 구조
40 : 베드부
42 : 클리핑 기구
44 : 힌지
54 : 피팅 홀
70 : 홀더
실시예들이 이하 설명된다.
도 1은 예시한 실시예의 화상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는 주로 촬상부(1), 설치대(2), 스트러트(3), 및 매체 고정 구조(11)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예서, 매체 고정 구조(11)는 설치대(2)에서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촬상부(1), 설치대(2), 및 스트러트(3)는 독립된 화상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촬상부(1)는 스캔된 매체의 화상을 디지트화하여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하는 입력 소자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CCD 카메라를 이용했다. 입력 소자를 적용할 수 있는 매체로는, 디포짓 슬립(deposit slip) 및 그 외 재정 기관, 시청 등의 접수 데스크에서 사용되는 슬립 등의 장표, 및 운전 면허증 등의 증명서를 포함한다.
촬상부(1)는 광학 시스템(4), 화상 촬상 소자(5), 출력 처리부(7), 화상 처리부(8), 출력부(9), 및 외부 인터페이스(I/F; 10)를 포함한다. 광학 시스템(4)은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렌즈 등을 포함한다. 화상 촬상 소자(5)는 결상된 피사체상을 공간적으로 샘플링하여, 이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하는 CCD 또는 CMOS 등의 촬상 센서이다. 출력 처리부(7)는 수신된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를 증폭, 상관 2중 샘플링, A-T 변환 등으로 처리하여, 이 취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8)는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쉐이딩 보정(shading correction), γ 보정, MTF 보정 등으로 처리한다. 출력부(9)는 외부 I/F(10)의 프로토콜에 기초한 제어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설치대(2)는 매체 고정 구조(11)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이다. 다르게, 매체 고정 구조(11)를 이용하지 않고 화상 입력이 행해지는 경우, 설치대(2)는 입력되는 매체가 세트되어 있는 플랫폼으로 이용된다. 설치대(2)는 또한 촬상부(1)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로 이용된다. 촬상부(1)는 스트러트(3)로 설치대(2) 위에 고정된다. 매체 고정 구조(11)가 설치대(2) 상에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매체나 화상 입력의 피사체는 설치대(2) 상에 위치되며, 매체의 화상은 광학 시스템(렌즈; 4)를 통해 화상 촬상 소자(5) 상에 형성되게 된다.
설치대(2)의 표면은 매트 블랙(matte black)으로 코팅된다. 이 코팅은 매체 고정 구조(11)를 이용하지 않고 행해지는 경우의 매체 보다 다른 소스로부터의 반사를 감소시킨다. 블랙 코팅은 가장 바람직하지만 다른 코팅법도 덜 반사적이라면 이용할 수 있다. 스트러트(3)는 촬상부(1)를 지지하는 지주이다. 이 스트러트(3)에서 외부 I/F(10)가 실행되며, 이는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 등에 보낸다.
설명된 예는 스캔되는 매체는 촬상부(1)에서 멀리 떨어져 세트되어 있는 비접촉형 화상 입력 장치 또는 스탠드형 화상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매체에 광을 투사하는 램프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외부 환경의 주변 광을 이용하는 화상 입력 장치의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램프로부터의 발광으로 화상 입력이 행해지고 있는 화상 입력 (도시 생략)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의 (a) 및 (b)는 매체 고정 구조(11)가 없는 화상 입력 장치의 상부도이다. 도 2의 (a)는 촬상부(1)가 설치대(2)의 단부 위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 2의 (b)는 스트러트(3)가 설치대(2)의 실질적인 중앙부 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촬상부(1)가 설치대(2)의 실질적인 중앙부 위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 2의 (a)에서, 설치대(2)는 제어 박스(12), 위치 고정용 핀(13), 및 스캐닝 등록 마크(14)를 포함한다. 제어 박스(12)는 내측에 제어부를 갖고 있다. 제어부는 촬상부(1)에 의해 화상 스캐닝을 제어한다. 제어부 상에 위치된 스위치(12a)가 눌려지면, 제어부에 의해 촬상부(1)가 화상을 스캐닝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처리부(7 및 8)는 촬상부(1)에 내장되어 있다. 이들은 제어부와 함께 제어 박스(12) 내에 내장되어 있다. 촬상부(1)로부터의 I/F(10)는 제어 박스(12)에 노출되어 있고, 화상 데이터는 화상 입력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보내진다.
위치 고정용 핀(13)은 매체 고정 구조(11) 없이 화상 입력이 행해질 때 매체가 세트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위치 고정용 핀(13), 또는 설치대(2)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위치 고정용 기구로 사용된다. 위치 고정용 핀(13)은 설치대(2)의 두 인접측 상에 설치되므로 매체의 한 코너가 핀에 대향 접촉될 수가 있다.
스캐닝 등록 마크(14)는 네 코너 및 설치대(2) 표면의 네 측면 각각의 중심에서 백색으로 페인트된다. 이들은 화상 입력이 촬상부(1)에 의해 행해질 때 이용되게 된다. 스캐닝 등록 마크(14)로부터 반사된 광을 측정하여 설치대(2) 상의 조명을 결정하고, 이 정보를 제어부에 의해 화상 입력 조건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한다.
도 2의 (b)에서, 도 2의 (a)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힌다. 도 2의 (b)의 제어 박스(12)에는 또한 제어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자(12b)가 제공되어 있다. 도 2의 (b)의 예는 I/F로 전용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도 2의 (a)의 예와 다르다. 이 인터페이스로는 USB 인터페이스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화상 입력 장치에는 피사체로서의 매체를 편평하게 고정하기 위한 매체 고정 구조(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의 (a) 및 (b)는 이 실시예의 매체 고정 구조(11)의 일 예를 나타낸다. "고정"은 접힘이나 구김 등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매체 고정 구조(11)는 매체를 고정하기 위해 자력을 이용한다. 도 3의 (a)는 개방된 클립의 상부도이다. 도 3의 (b)는 개방된 클립을 일 측면 상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의 (a) 및 (b)의 매체 고정 구조(11)는 주로 베드부(40) 및 클리핑 기구(42)를 포함한다. 베드부(40)는 매체가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이다. 클립(42)은 클리핑 기구의 일 예이다. 클리핑 기구(42)는 플레이트 상에 위치된 매체를 클립하여 이 매체를 고정시킨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힌지(44)를 개방 및 밀폐하기 위한 클립이나, 스프링을 갖는 클립 등을 클리핑 기구(42)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클립(42)은 힌지(44)에서 베드부(40)상에 나사 결합된다.
매체 고정 구조(11)는 클리핑 기구(42)의 측면 상의 일 측면이 도 2의 (a)의 설치대(2)의 상측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화상 입력 장치 상에 세트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체 고정 구조(11)를 설치하게 되면 피사체인 매체에 접힘의 영향을 덜 받는 화상 입력이 가능하게 되며, 정보 처리 장치의 인식률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의 매체 고정 구조(11)에서 이탈된 베드부(40)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베드부(40)는 클리핑 기구 장착부(50)를 가지며, 나사 홀(52) 및 피팅 홀(54)이 더욱 설치되어 있다. 베드부(40)는 매체 이외의 다른 소스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소시키도록 매트 블랙으로 코팅되어 있다.
클리핑 기구 장착부(50)는 클리핑 기구(42)가 베드부(4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부분이다. 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은 클리핑 기구 장착부(50), 클리핑 영역(57) 및 클리핑 기구(42)를 갖는다. 클리핑 기구 장착부(50), 클리핑 영역(57) 및 클리핑 기구(42)는 이들 사이에 매체를 협지하여 고정시킨다. 다른 예로는, 클리핑 기구가 독자적으로 매체를 클립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베드부(40) 상의 클리핑 기구(42)를 힌지(44)로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나사용으로 나사홀(52)이 뚫려 있다. 나사는 힌지의 일 측면 내로 삽입되며, 그 다른 측면(44)은 클리핑 기구(42) 상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 홀(52)에 조인다. 따라서, 클리핑 기구(42)는 베드부(40) 상에서 힌지(44)로 고정되어 있다. 힌지(44)로 클리핑 기구(42)와 설치대(2)를 결합함으로써 클리핑 동작은 안정되게 된다.
피팅 홀(54)은 매체 고정 구조(11)가 설치대(2) 상에 설치되어 있을 때 설치대(2) 상에 위치 고정용 핀(13)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게 된다. 위치 고정용 핀(13)을 피팅 홀(54)에 끼워 맞춤으로써 매체 고정 구조(11)를 설치대(2) 상에 위치 조정할 수 있다. 피팅 홀(54)에 근접하는 영역, 특히 협지 영역이 클리핑 기구(42)와 함께 매체를 클립하는 클리핑 영역(57)이 된다.
베드부(40)의 네 코너와 측면 모서리에 커트부(56)가 만들어진다. 커트부(56)는 매체 고정 구조(11)가 설치대(2) 상에 설치된 후에 설치대(2) 상의 스캐닝 등록 마크(14)가 촬상부(1)에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커트부(56)는 매체 고정 구조를 들어올리기 쉽게 하여 이 매체 고정 구조(11)를 설치대(2) 상에 설치하고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5의 (a)는 매체 고정 구조(11)가 설치대(2) 상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 고정용 핀(13)에 근접한 영역의 단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위치 고정용 핀(13)이 베드부(40)의 피팅 홀(42)을 통과하여 베드부(40)의 상측면을 통해 돌출하도록 위치 고정용 핀(13)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즉, 위치 고정용 핀의 높이가 베드부(40)의 높이 보다 더 높게 위치 고정용 핀(13)을 설계한다.
도 5의 (a)의 구성에서, 위치 고정용 핀(13)의 높이를 4.0㎜로 세트하고 베드부(40)의 높이를 0.8㎜로 세트하여 위치 고정용 핀이 베드부(40)의 표면을 통해 3.2㎜ 돌출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고정용 핀(13)을 베드부(40)로부터 돌출시키게 되면 매체 고정 구조(11) 상에 매체의 세트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매체 고정 구조(11)의 세트 위치와 매체 고정 구조(11) 상의 매체의 세트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설치대(2) 상의 위치 고정용 핀(13)과 피팅 홀(54)을 이용하게 되면 하나의 기구로 매체 고정 구조 상에 매체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촬상부(1)의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시스템에는 자동 포커싱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위치 고정용 핀(13)이 도 5의 (a)의 구성과 같이 피팅 홀(13)을 통해 베드부(40) 상에 매체를 위치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위치 고정용 핀(13)이 거의 수직 상향되어 핀의 단면적이 설치대(2) 상의 저부 레벨에서 베드부(40)의 상부 레벨까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 구조에서 설치대(2) 상의 위치 고정용 핀(13)에 대향 접속하여 세트된 매체의 위치가 매체 고정 구조(11) 상에 세트된 매체의 위치와 일치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시야가 이 실시예의 화상 입력 장치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화상 입력 장치에서도 정확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용 핀(13)과 맞물리는 피팅 홀(54)이 제공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 5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고정용 핀(13)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체는 돌출된 커버부에 대향 접속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커버부는 베드부(40) 상에서 매체를 위치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매체가 설치대(2) 상의 위치 고정용 핀에 대향 접촉되는 위치는 매체가 커버부에 대향 접촉되는 위치와는 다르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커버부의 두께를 감소시켜 편차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여러 도면은 클리핑 기구(42)을 나타낸다. 도 6의 (a)는 클리핑 기구(42)의 측면도이다. 도 6의 (b)는 "b"의 방향에서 본 클리핑 기구를 나타낸다. 도 6의 (c)는 "c"의 방향에서 본 클리핑 기구를 나타낸다. 도 6의 (d)는 "d"의 방향에서 본 클리핑 기구(42)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서, 클리핑 기구(42)에는 베드부(40)와 함께 매체를 클립하는 제1 면으로 클리핑면(60)을, 후술하는 홀더에 대향 접촉하는 제2 면으로 접촉면(61)을 제공하고 있다. 클리핑면(60) 및 접촉면(61)은 거의 직각으로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클리핑 기구(42)의 단면은 L 형상으로 되어 있다. L 형상의 코너는 깍아낸다. 깍아낸 코너는 클리핑 기구(42)의 피봇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의 (b)는 위에서(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본 클리핑면(60)의 내측을 나타낸다. 클리핑면(60)는 제2 피팅 홀(62) 및 윈도우(63)을 갖는다. 제2 피팅 홀(62)은 베드부(40)를 관통하는 설치대(2) 상의 위치 고정용 핀(12)과 맞물리는 홀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 위치 고정용 핀의 높이는 베드부(40)의 높이 보다 적어도 더 높다. 이러한 구성으로 위치 고정용 핀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높은 위치 고정용 핀으로 매체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윈도우(63)는 설치대(2)의 상측부의 중심부에 놓인 스캐닝 등록 마크(14)에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은 매체 고정 구조(11)가 설치대(2) 상에 설치되어 있을 때 설치대(2) 상에 놓인 스캐닝 등록 마크(14)가 촬상부(1)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의 (c)는 화살표 c의 방향에서 본 접촉면(61)의 내측을 나타낸다. 접촉면에는 그 중심에 자석(65)이 접합되는 원형 리세스가 제공되어 있다. 이 자석(65)은 후술하는 홀더(도 7의 70)를 끌어당겨, 클리핑 기구가 쓸모없어질 때 클리핑 기구(42)가 후퇴 유지되게 하는 데에 사용된다. 접촉면(61)에는 나사홀(64)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나사홀(64)을 뚫어 상술한 힌지(44)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한다. 힌지가 고정되는 접촉면(61)의 영역에 힌지를 내장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세스 내에 내장되면, 힌지(44)는 접촉면(61)에서 돌출되지가 않는다. 이는 자석(65)과 홀더가 서로 끌어당기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홀더를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석(65)도 생략할 수 있다.
도 6의 (d)는 "d"의 방향에서 본 클리핑면(60)의 외측을 나타낸다. 클리핑면(60)의 외측의 양 단부에 근접하여 리세스가 형성되며, 각 리세스에는 자석(66)이 내장되어 있다. 자력을 이용하는 경우, 이전(도 4의 (b) 참조)의 실시예에서는 철 플레이트를 설치대(2)에 내장해야 하고, 또는 이 실시예에와 같이 베드부로서의 철 플레이트(18)를 설치대(2) 상에 설치하여야 한다.
자석(63)이 대향 접촉되는 베드부(42)의 클리핑 영역(54)은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클리핑 영역(54)과 자석(66)이 서로 접촉하면, 이들 사이에 위치된 매체가 클립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석(66)이 클리핑면(60)에 내장되어 있지만, 클리핑면(60)이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클리핑 영역(54)에 자석이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클리핑 영역(54)을 강자성 물질로 만드는 대신에, 전체 베드부(60)를 강자성 물질로 만들 수 있다. 가능한 클리핑력의 소스는 중량, 스프링, 자력 등을 포함한다.
도 6의 (e) 내지 (h)는 각 절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의 (f) 내지 (h)는 자석(63 및 66)이 제거된 클리핑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의 여러 도면은 자력을 이용한 클리핑 기구(42)을 이용예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매체를 클립하지 않을 때의 클리핑 기구(42)를 나타낸다. 도 7의 (b)는 클리핑에서 해제될 때의 클리핑 기구를 나타낸다. 도 7의 (c)는 매체를 클립하는 클리핑 기구를 나타낸다. 도 7의 (d)는 홀더(70)가 설치된 클리핑 기구를 나타낸다.
도 7의 (a)에서, 매체를 클립하기 위해서, 클리핑 기구(42)를 제거하는 대신에, 클리핑 기구(42)의 상측부인, 접촉면(61)을 눌러 그 정면부를 올린다. 도 7의 (b)에서 매체가 삽입되고, 도 7의 (c)에서 정면부가 내려진다.
이 실시예에서, 클리핑 기구에 홀더(70)가 설치된다. 홀더(70)는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매체를 고정할 필요가 없어 클리핑 기구(42)를 이용하지 않으면, 클리핑 기구(42)는 설치대(2) 상에 설치된 홀더(70)에 당겨지도록 만들어진다. 상술한 홀더(70)를 설치하게 되면 클리핑 기구(42)가 후퇴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클리핑 기구(42)가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또한, 클립되어야 하는 매체와 될 필요가 없는 매체 둘 다 있는 경우에도, 매체가 변경될 때 마다 매체 고정 구조(11)에 부착 또는 이탈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 능력의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클리핑 기구(42)가 홀더(70)로 후퇴되는 경우, 클리핑 기구(42)의 클리핑력으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이는 클리핑력으로 중력이나 스프링을 선택하게 되면, 언클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압력을 이용해야만 하고, 이는 기구를 복잡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서, L자 형상의 클리핑 기구(42)는 그 양측면 상에(설치대(2)의 측면과 홀더(70)의 측면 상에) 자석이 내장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매체 고정 구조(11)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나타낸 매체 고정 구조(11)는 베드부(40')와 클리핑 기구(42')를 또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클리핑 기구(42')의 클리핑면은 폭이 좁다.
스탠드형 화상 입력 장치가 매체 고정 구조(11)를 장착하고 있으면, 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발광 환경에 따라서 클리핑 기구(42) 등의 쉐도우가 매체 상에 생겨, 스캔된 화상의 노이즈 생성이 초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의 영역에 근접해서는 클리핑 기구(42)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실시예는 시일드 방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매체로서 장표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장표는 그 좌측 상단부에 프린트된 장표의 식별을 위한 데이터, 시스템의 중요 정보의 검색을 위한 ID를 갖는다. 이 경우, 장표 ID가 프린트된 영역에 근접해서는 클리핑 기구(42)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클리핑 기구(42)의 설치 위치와 클리핑 기구(42)의 길이를 시일드 방지 기구로서 고려하지 않았다.
도 11의 (a) 및 (b)는 클리핑 기구(42)와 장표상의 ID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1의 (a)는 도 3의 매체 고정 구조가 의도한 장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b)는 도 8의 매체 고정 구조가 의도한 장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a)에서, 이 장표를 식별하기 위한 ID(110)는 장표의 상단 좌측 코너에 프린트되어 있다. 내부 코너, 즉 ID(110)의 장표 중심부에 가장 근접한 코너는 장표의 좌측 모서리에서 30㎜ 상측 모서리에서 10㎜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매체 고정 구조(11)는 클리핑 기구(42)의 좌측 모서리가 최좌측 피팅 홀에서 40㎜ 떨어져 위치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표가 매체 고정 구조(11)에서 돌출된 위치 고정용 핀(13)에 대향 접촉되게 장표가 세트되어 있으면, ID(110)의 내부 코너와 클리핑 기구(42)의 좌측 모서리 간에는 10㎜의 간격이 생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드 방지 기구를 제공하여 중요 정보를 명확히 판독할 수가 있다.
도 3의 매체 고정 구조는 또한 시일드 방지 기구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매체 고정 구조의 길이가 더 길어, 매체를 고정할 능력이 더 양호하다. 그러나 도 3의 매체 고정 구조에서는, 클리핑 기구(42)의 길이가 베드부(40)의 측면 보다 더 짧아, 여기에 클리핑 기구가 부착되게 된다. 이 구조는 매체 상의 중요 정보가 들어오는 코너에 공간을 부여한다.
도 8의 예의 경우, ID(110)의 내부 코너는 장표의 중심에 더 근접하고, 클리핑 기구(42')의 길이는 조절되어야 한다. 또한, 클리핑 기구(42)의 길이는 베드부(40')의 측면 보다 더 짧다. 따라서, 도 8의 매체 고정 구조에서는, ID의 측면 상의 클리핑면의 단부의 길이 l은 대향 측면 상의 길이 l' 보다 더 짧다.
도 9는 이 실시예에서의 베드부(40')를 나타낸다. 이 베드부와 도 4의 베드부(40) 간의 주요한 차이점은 클리핑 기구 장착부(90)이다. 이는 클리핑 기구(42')의 접촉면(61)이 폭이 좁고 클리핑 기구(42')가 도 4의 경우와 달리 하나의 힌지로 베드부(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베드부(40')와 도 4의 베드부(40) 간의 다른 차이점은 베드부의 하측면에 커트부(92)가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도 8의 매체 고정 구조가 도 2의 (a)의 화상 입력 장치 상에 설치하기 위한 것인 반면, 도 3의 매체 고정 구조는 도 2의 (b)의 화상 입력 장치 상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도 2의 (b)의 경우, 스캔된 등록 마크(13)는 설치대(2)의 하측 단부의 실질적인 중심부에 놓이지 않지만, 도 2의 (a)의 화상 입력 장치에서는 스캔된 등록 마크(13)가 설치대(2)의 하측 단부의 실질적인 중심부에 놓인다.
도 10의 여러 도면들은 클리핑 기구(42')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클리핑 기구(42')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b)는 "b"의 방향에서 본 클리핑 기구(42')를 나타낸다. 도 10의 (c)는 "c"의 방향에서 본 클리핑 기구(42')를 나타낸다. 도 10의 (d)는 "d"의 방향에서 본 클리핑 기구(42')를 나타낸다. 도 10의 (e) 내지 (i)는 각 절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f), (c) 및 (h)는 자석(63 및 66)이 제거된 클리핑 기구를 나타낸다.
도 10의 클리핑 기구(42')와 클리핑 기구(42) 간의 주요 차이점은클리핑면(100)의 일 단부의 길이 l이 다른 단부의 길이 l' 보다 짧다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클리핑 기구(42')가 하나의 힌지(44)로 베드부(40') 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 접촉면(101)도 또한 짧다. 다른 차이점은 클리핑면(100)에 내장된 자석(102)의 위치이다. 도 6의 클리핑 기구(40)에는, 클리핑면(60)에 형성된 피팅 홀(62)과 클리핑면(60)의 단부 간에 자석이 내장되어 있다. 반면, 도 10의 클리핑 기구(42')에는, 자석(102)이 클리핑면(100)에 형성된 피팅 홀들(103) 사이, 즉 이 면의 단부에 가까운 피팅 홀과 이 면의 중심부에 가까운 피팅 홀 사이에 내장되어 있다. 이 구성은 클리핑면(100)의 일단부의 길이가 더 짧기 때문이다.
매체를 상술한 매체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이 매체의 하측 단부를 수동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식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 방법은 4중으로 접힌 A-4 사이즈의 45개의 장표(인식 타겟의 수: 1260 필드, 각각 7 내지 10개의 수자 문자를 포함함)에 적용하면, 인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매체 고정 구조를 적용하지 않을 때 정확한 필드 인식률은 13.5%가 되고 매체 고정 구조를 적용할 때에는 98.0%가 된다. 본 발명은 스탠드형 화상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시스템에 매우 효율적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클리핑 기구(42, 42')는 서비스 조건에 따라서 설치대(2)의 상측 단부나 하측 단부 뿐만 아니라,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를 포함하여, 어느 최적의 지점에나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개별의 유닛으로 형성된 매체 고정 구조(11)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상 입력 장치에는, 매체 고정 구조(11)를 설치대(2)나 스트러트(3)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미리 고정해야 하는 매체가 자주 처리되는 것이라면, 클리핑 기구(11)를 설치대(2) 상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매체가 한 지점에 고정되며 클리핑 기구(42)가 베드부(40)의 상측부에 설치된다. 이 구성을 채용하게 되면, 매체를 변경하고 화상 입력을 반복하여 행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와 다른 유사한 경우에, 매체의 상측 단부를 클리핑 기구(42, 42')로 고정한 후에, 화살표의 방향으로 매체를 수동으로 펴고 매체의 하측 단부를 그 화상이 스캔되기 전에 수동으로 고정시킨다. 이 과정은 수동으로 하는 대신에, 문진(文鎭) 등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매체의 하측 단부는 문진의 중량으로, 또는 자석으로 만들어진 문진으로부터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가 있다. 또한, 설치대(2)에 접착성을 부여하여 매체를 고착시켜 평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체는 반복적으로 고착되고 벗겨지므로; 실리콘계 물질과 우레탄계 재료 등과 같이 약한 접착성 재료가 이에 적합하다. 이들 재료들이 더러워지면, 그 재료를 댐프포로 닦아 접착성을 재생한다. 도 12의 (a)에서, 접착 영역(120)은 설치대(2)의 네 코너에 형성되어 있다. 접착 영역(120)은 서비스 조건에 따라 전체 표면을 포함하여, 최적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대(2)는 내부에 흡입 기구(122)가 설치된다. 이 경우, 흡입 홀(122)을 통해 매체가 흡입되어 평탄하게 고정될 수 있다. 흡입 홀(122)은 서비스 조건에 따른 최적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입력 장치의 해상도 보다 더미세한 필라멘트(124)로 매체를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하게 되면 매체를 평탄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필라멘트(124)는 테니스 라켓에서와 같이, 특정 레벨의 중량을 갖는 프레임(126)에 배열되어 있어, 매체를 이 배열면으로 고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캐닝된 매체가 접히거나 컬링되는 경우, 스탠드형 화상 입력 장치 상에서 펴진 다음에 스캐닝된다. 그 결과, 스캐닝된 화상에서 문자 인식 등을 실행하면, 정확한 인식률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는 최상의 모드 및/또는 다른 실시예로 고려되고 있는 바를 설명하고 있지만, 여러 변형을 실행할 수 있고 여기에 개시된 발명은 여러 형태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여러 어플리케이션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개념의 영역 내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과 수정을 청구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31)

  1. 매체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장착된 스트러트,
    상기 스트러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의 매체 고정 구조
    를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고정 구조는 상기 지지대 상에 위치된 베드부 및 상기 베드부 상에 매체를 클립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용 핀을 가지고,
    상기 베드부는 상기 위치 고정용 핀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피팅 홀을 갖는 화상 입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용 핀은 상기 베드부의 높이 보다 더 높은 화상 입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클립이 상기 매체를 클립할 때 상기 위치고정용 핀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피팅 홀을 갖는 화상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베드부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클립의 길이는 상기 베드부의 상기 측면의 길이 보다 더 짧은 화상 입력 장치.
  7. 매체 고정 구조를 갖는 화상 입력 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화상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장착된 스탠드,
    상기 스탠드를 지지하기 위한 설치대, 및
    상기 설치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매체를 클립하는 매체 클리핑 기구
    를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 기구는,
    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제1 평탄한 플레이트,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제2 평탄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와 제2 평탄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코너 상에 상기 클리핑 기구를 피봇하는 피봇 기구
    를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기구는 하나 이상의 힌지를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 기구는 상기 설치대 상에 위치된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는 제1 자석과 결합하고,
    상기 클리핑 기구가 매체를 클립할 때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상기 플레이트부 부분은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화상 입력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 기구가 매체에서 해제되는 동안 상기 클리핑 기구를 고정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상기 클리핑 기구를 고정할 때 상기 제2 평탄한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향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는 화상 입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클리핑 기구의 상기 제2 평탄한 플레이트는 제2 자석과 결합하는 화상 입력 장치.
  15. 매체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 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화상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장착된 스트러트,
    상기 매체가 위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배열되어, 상기 매체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용 기구, 및
    상기 위치 고정용 기구 위에서 상기 지지대 상에 장착된 매체 고정 구조
    를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용 기구는 상기 지지대의 상측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고정 구조는 매체가 설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매체를 클립하기 위한 클리핑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홀을 가지는 화상 입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홀을 가지는 화상 입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 기구는,
    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제1 평탄한 플레이트,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제2 평탄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평탄한 플레이트의 결합 코너 상에서 상기 클리핑 기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
    를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 기구는,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매체가 설치되는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는 상기 클리핑 기구가 매체를 클립할 때 상기 제1 평탄한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가 강자성 물질로만들어지는 화상 입력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 기구가 해제되는 동안 상기 클리핑 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더 포함하는 화상 입력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평탄한 플레이트에 대향 접촉되는 표면을 가지는 화상 입력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접촉면은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클리핑 기구의 상기 제2 평탄한 플레이트는 제2 자석과 결합하는 화상 입력 장치.
  23. 매체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제1 위치 고정용 기구를 가지는 화상 입력 장치에 장착되는 매체 고정 구조에 있어서,
    매체를 클립하기 위한 클립,
    매체가 위치되어 있는 베드 플레이트, 및
    상기 매체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제2 위치 고정용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용 기구는 상기 화상 입력 장치의 상기 제1 위치 고정용 기구 쪽에 대향하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 영역에 배치되는 매체 고정 구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고정용 기구는 상기 화상 입력 장치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용 기구는 상기 돌출부와 맞물리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대향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매체 고정 구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 보다 더 높은 매체 고정 구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베드 플레이트에 대향 접촉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홀이 형성되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대향면에 접촉되는 매체 고정 구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을 더 구비하는 매체 고정 구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서로 중첩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높이 보다 더 높은 매체 고정 구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홀이 형성되는 영역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매체 고정 구조.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이 매체를 해제할 때 상기 클립을 고정하기 위한 홀딩 기구를 더 포함하는 매체 고정 구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홀딩 기구에 접촉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과 결합하고,
    상기 홀딩 기구는 강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매체 고정 구조.
KR10-2003-0005750A 2002-01-30 2003-01-29 매체 고정 구조 및 그 구조를 갖는 화상 입력 장치 KR100511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0882 2002-01-30
JP2002020882A JP3622729B2 (ja) 2002-01-30 2002-01-30 画像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392A true KR20030065392A (ko) 2003-08-06
KR100511026B1 KR100511026B1 (ko) 2005-08-31

Family

ID=2760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750A KR100511026B1 (ko) 2002-01-30 2003-01-29 매체 고정 구조 및 그 구조를 갖는 화상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53931B2 (ko)
JP (1) JP3622729B2 (ko)
KR (1) KR100511026B1 (ko)
CN (1) CN1214608C (ko)
TW (1) TWI2217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3219B1 (en) 2001-07-27 2009-03-25 Bridgestone Corporation Natural rubber master batch,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natural rubber composition
JP4380338B2 (ja) * 2004-01-23 2009-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125A (en) * 1975-11-14 1981-03-24 Edhlund Ronald D Method of making hand proofs of color prints
JPS5467424A (en) 1977-11-09 1979-05-30 Canon Inc Carriage for copying machine
JPS6218533A (ja) 1985-07-17 1987-01-27 Olympus Optical Co Ltd 原稿支持装置
JPH04194919A (ja) 1990-11-27 1992-07-14 S P Kizai:Kk 写真撮影原稿セット用台座
JP2611636B2 (ja) 1993-10-25 1997-05-21 コクヨ株式会社 用箋挟
US6317155B1 (en) * 1995-04-11 2001-11-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input apparatus with illumination devices stored away from camera image pickup
JPH09163048A (ja) * 1995-12-06 1997-06-20 Ricoh Co Ltd スキャナの原稿押え装置
MY118364A (en) * 1996-11-26 2004-10-30 Sony Corp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target pattern and an access indication pattern
KR19980062008U (ko) * 1997-03-29 1998-11-16 유기범 복사기의 원고 고정용 투명 커버
JP3487142B2 (ja) * 1997-09-12 2004-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原稿位置合わせ方法
EP0917344A1 (en) * 1997-11-11 1999-05-19 Primax Electronics Ltd Adjustable flatbed scanner
JP3608955B2 (ja) 1998-09-30 2005-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接触型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53931B2 (en) 2007-08-07
TW200302661A (en) 2003-08-01
TWI221725B (en) 2004-10-01
JP3622729B2 (ja) 2005-02-23
JP2003222962A (ja) 2003-08-08
CN1435989A (zh) 2003-08-13
KR100511026B1 (ko) 2005-08-31
US20030142369A1 (en) 2003-07-31
CN1214608C (zh)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6874A3 (en) Apparatus for centering and blocking an ophthalmic lens disc
JP2000032230A (ja) 走査装置における取外し可能な媒体ホルダーの取付システム
KR100511026B1 (ko) 매체 고정 구조 및 그 구조를 갖는 화상 입력 장치
JP200100800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69192A (ja) 非接触光学読取装置の原稿浮き防止器具
US6894813B2 (en) Integrated imaging module for wide format scanner
JP4655546B2 (ja) フィルムホルダ及び画像読み取り装置
US201002840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ning a Document During Imaging
JP3653958B2 (ja) スキャナレンズホルダー及びこのレンズホルダーを有したスキャナフレーム
US20030234962A1 (en) Scanner comprising a housing configured to facilitate manual removal of an object from the scanner platen
CN217982423U (zh) 一种人证阅读设备
CN210490992U (zh) 思政知识归纳梳理用的资料扫描装置
JP4154642B2 (ja) 画像読取装置のプラテンガラス位置決め方法及びプラテンガラス位置決め装置
JP3908754B2 (ja) 原稿読取装置
JPH11341235A (ja) 画像読取装置
US20080137057A1 (en) Film holder for supporting positive film or negative film
JPH08289099A (ja) 画像読取装置
JPS63107362A (ja) 画像読取装置
JP2004226462A (ja) カメラのフォーカス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6035600B2 (ja) 媒体反射防止ケース
JPH07303175A (ja) 画像入力装置
KR101433001B1 (ko) 고품질 스캐너
JPH07273948A (ja) 原稿保持台
JPH0943743A (ja) 原稿マスクシート
JPH03272263A (ja) 情報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