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4532A - 전력 증폭 모듈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532A
KR20030064532A KR1020020004860A KR20020004860A KR20030064532A KR 20030064532 A KR20030064532 A KR 20030064532A KR 1020020004860 A KR1020020004860 A KR 1020020004860A KR 20020004860 A KR20020004860 A KR 20020004860A KR 20030064532 A KR20030064532 A KR 20030064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amplified
unit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532A/ko
Publication of KR2003006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5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증폭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로 구성되어,
신호 증폭부에 전류를 공급하여 신호 증폭부에서 신호가 증폭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를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로 형성하고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상기 신호 감지부를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감지 장치가 필요 없어 전체 소자의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 증폭 모듈{Power Amplitude Module}
본 발명은 전력 증폭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에 송신하려는 신호를 증폭하고 그 전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증폭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고 안테나를 통해 외부에 송신하려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10)와, 상기 전력 증폭부(10)에 증폭된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증폭감지부(30)와, 상기 전력증폭감지부(30)와 상기 전력증폭부(10)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증폭부(10)에서 증폭된 송신신호에 해당하는 신호가 상기 전력증폭감지부(30)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테나를 통해 외부에 송신하려는 신호가 상기 전력 증폭부(10)에 입력되면 상기 전력증폭부(10)에서 신호가 외부에 송신되기에 적합하도록 증폭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력증폭부(10)에서 증폭된 신호에 해당하는 신호가 상기 커플러(20)에서 감지되고 그 신호는 상기 전력증폭감지부(30)에 입력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력증폭감지부(30)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부(10)에서 증폭된 신호의 전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전력 증폭부(10)와 상기 전력증폭감지부(30)가 별도의 개별소자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전력증폭모듈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로 송신하려는 신호를 증폭할 경우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전력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 신호의 전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증폭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40: 신호 증폭부42: 입력 정합부
43: 출력 정합부50: 전원 공급부
60: 신호 감지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증폭 모듈의 특징에 따르면,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증폭 모듈은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40)와, 상기 신호 증폭부(40)가 신호를 증폭할 수 있도록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와, 상기 전원 공급부(50)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증폭부(40)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력 증폭 모듈은 입력단자(40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정합을 위한 입력 정합부(42)와, 상기 전력 증폭 모듈에 의해 증폭된 신호가 출력 단자(40b)를 통해 출력되기 적합하도록 정합하는 출력 정합부(4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증폭부(40)는 제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Collector)에 연결되는 저항(R1)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 정합부(6)는 상기 컬렉터(Collector)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정합부(42)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Base)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50)는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는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collector)와 베이스(Base)가 연결된 형태이다.
이때,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Base)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Base)가 연결되도록 하면 상기 제2 및 제1 트랜지스터(Q2, Q1)의 컬렉터(Collector)에 일정한 비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를 각각 n 및 m 개를 사용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Collector)에 흐르는 전류를 Io1라 하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Collector)에 흐르는 전류는 Io2 는 Io2 = (m/n)×Io1 에 따라 계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부(5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알면 상기 신호 증폭부(40)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신호 감지부(60)는 베이스(Base)가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Base)와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Q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collector)에는 저항(R3)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신호 감지부(60)에는 상기 전원공급부(50)의 커런트미러(Current mirror)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50)와 동일한 크기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신호 증폭부(40), 전원 공급부(50) 및 신호 감지부(60)의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Q1~Q3)가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는 각 동작 전원단(41, 51, 61)으로부터 바이어스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입력 단자(40a)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상기 입력 정합부(42)에서 임피던스가 매칭되고, 그 신호는 상기 신호 증폭부(40)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50)의 전류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Base)에 입력되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에서는 상기 입력 정합부(42)를 통과한 신호가 증폭되게 된다.
또한, 상기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는 상기 전원 증폭부(50) 및 신호 감지부(60)에도 흐르게 되어 상기 신호 감지부(6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알수가 있고 이로 인해 신호의 증폭률 또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력 증폭 모듈은 신호 증폭부에 전류를 공급하여 신호 증폭부에서 신호가 증폭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를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로 형성하고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상기 신호 감지부를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감지 장치가 필요 없어 전체 소자의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려는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 감지부 및 신호 증폭부가 상기 커런트 미러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감지부에서 상기 신호 증폭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모듈.
KR1020020004860A 2002-01-28 2002-01-28 전력 증폭 모듈 KR20030064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860A KR20030064532A (ko) 2002-01-28 2002-01-28 전력 증폭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860A KR20030064532A (ko) 2002-01-28 2002-01-28 전력 증폭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532A true KR20030064532A (ko) 2003-08-02

Family

ID=3221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860A KR20030064532A (ko) 2002-01-28 2002-01-28 전력 증폭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53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917U (ko) * 1996-11-06 1998-08-05 조희재 전력 증폭기 회로
JPH10341117A (ja) * 1997-06-09 1998-12-22 Nec Corp 電力増幅装置
KR20010036311A (ko) * 1999-10-07 2001-05-07 박종섭 고정 효율을 갖는 전력 증폭기
WO2001073941A2 (en) * 2000-03-28 2001-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bias boosting circuit for a power amplif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917U (ko) * 1996-11-06 1998-08-05 조희재 전력 증폭기 회로
JPH10341117A (ja) * 1997-06-09 1998-12-22 Nec Corp 電力増幅装置
KR20010036311A (ko) * 1999-10-07 2001-05-07 박종섭 고정 효율을 갖는 전력 증폭기
WO2001073941A2 (en) * 2000-03-28 2001-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bias boosting circuit for a power ampl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8853B2 (en) Power detector for mismatched load
US6329809B1 (en) RF power amplifier output power sensor
WO2005022740A3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integrated load matching using adaptive power amplifier compensation
DK1219967T3 (da) Impedansdetektionskredslöb, impedansdetektor og fremgangsmåde til detektion af impedans
WO2002047251A3 (en) Low noise amplifier having bypass circuitry
US6952005B2 (en) Optical receiver circuit
US7141910B2 (en) Transconductance circuit for piezoelectric transducer
JP4113824B2 (ja) 光空間通信用受信回路
AU2005234374B2 (en) Transconductance circuit for piezoelectric transducer
JP2012169898A (ja) 可変利得増幅回路
TW200508825A (en) Sensor signal detection device
US20090076760A1 (en) Sensor interface with integrated current measurement
CN221768001U (zh) 一种跨阻放大器电路和光接收模块
KR20030064532A (ko) 전력 증폭 모듈
US9059763B2 (en) Receiver control circui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JP2002280971A5 (ko)
US6768384B1 (en) High-speed differential preamplifier
CN217443438U (zh) 一种电流检测电路及芯片
KR20070061175A (ko) 이득 제어 기능을 갖는 트랜스임피던스 전치 증폭기
JP6323921B2 (ja) 光受信回路
JP4567177B2 (ja) 広帯域プリアンプ
KR100190852B1 (ko) 수신신호레벨검출기의히스테리시스회로_
CN116840538A (zh) 一种电流检测电路及芯片
JP3991982B2 (ja) 信号出力回路
KR20240059955A (ko) 로봇에 적용된 센서의 미소 신호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