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에 필름상에 날짜 및 시간의 인자가 가능한 부가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원시 지명 정보와 상응하는 변경 지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경 지명 정보의 저장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저장 명령에 따라 상기 변경 지명 정보를 상기 원시 지명 정보와 상응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촬영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성 전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명령이 입력된 위치 정보를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위치 정보 표시 모드를 선택한 상태라면,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상응하는 원시 지명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원시 지명 정보와 상응하는 변경 지명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지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변경 지명 정보를 상기 필름상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인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이미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시 지명 정보와 상응하는 상징 도안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징 도안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징 도안 표시 모드를 선택한 상태라면, 상기 촬영 명령이 입력된 위치 정보와 상응하여 검출된 상기 원시 지명 정보와 상응하는 상징 도안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상징 도안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변경 지명 정보를 상기 필름상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인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데이터를 사전 등록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메시지 데이터 표시 모드를 선택한 상태라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필름상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인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에 필름상에 날짜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사용자가 설정한 지명 정보, 메시지 데이터의 인자가 가능한 부가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이미지형태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지리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임의의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문자, 숫자 입력 또는 모드 설정을 위해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부와,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수정 정보와 상기 입력된 문자, 숫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송수신부, 상기 GPS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자 입력부,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예를 들어, 촬영 날짜, 촬영 시간, 촬영 위치 정보, 사용자가 변경한 지명 정보, 메시지 데이터 등)가 상기 필름상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인자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은 광학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에 적용할 수 있으나, 이하로는 광학 카메라에 적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카메라부(110), 표시 제어부(112), 송수신부(114), 디스플레이부(116), GPS 수신부(118), 문자 입력부(120), 저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영상을 이미지형태로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의 광학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 구현되어 있는 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 제어부(112)는 송수신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지리 정보 데이터와 GPS 수신부(118)를 통해 수신되는 당해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되도록 하고, 문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나 저장부(122)에 저장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위치 정보나 임의의 문자는 사용자가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영상을 이미지로 촬영할 때 자동으로 필름에 인자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별도의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만 필름에 인자되도록 할 수 있다.
송수신부(114)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50) 또는 지리 정보 서버(160)로부터 지리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전자 지도 등)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송수신부(1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에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먼저 퍼스널 컴퓨터(15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이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 자체의 통신 기능 또는 외부 통신 기기(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와 결합하여 지리 정보 데이터를 지리 정보 서버(160)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6)는 표시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당해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의 위치 정보 또는 임의의 문자를 표시하기 수단이고, GPS 수신부(118)는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당해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의 현재의 좌표 및 고도 정보 등을 표시 제어부(112)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은 지구상의 모든 지역을 덮는(cover) 위성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 다시 말하면 GPS 위성(170)을 이용해 지구상의 모든 이동체의 위치를 거리 및 거리변동 속도계산에 의해 측정하는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GPS 수신부(118)와 표시 제어부(112)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시에 위성 전파 신호로 좌표 정보 및 고도 정보를 인식한 후 저장부(122)에 저장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 정보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에는 당해 위치 정보가 필름상에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문자 입력부(120)는 날짜, 시간, 위치 정보, 문자 등을 표시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설정 선택 모드와,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버튼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 선택이나 문자 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저장부(122)는 통신망과 결합된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50) 또는 지리 정보 서버(160)로부터 수신된 지리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전자 지도 등) 및/또는 문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저장 요청된 문자 또는 숫자 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수단이다.
저장부(122)에 저장되는 지리 정보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수신부(114)를 통해 수신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그 이외에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다운로드 단계를 거치지 않더라도 GPS 수신부(118)가 GPS 위성(170)으로부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부(122)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즉,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의 배면에 구성된 문자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16)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부(120)는 날짜 선택 모드 버튼(310), 시간 선택 모드 버튼(312), 위치 정보 선택 모드 버튼(314), 숫자 수정 버튼(316), 숫자 입력 버튼(318), 완료 버튼(320)을 포함할 수 있다.
날짜 선택 모드 버튼(310)은 필름상에 날짜 정보가 인자되거나 인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고, 시간 선택 모드 버튼(312)은 필름상에 시간 정보가 인자되거나 인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며, 위치 정보 선택 모드 버튼(314)은 필름상에 당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인자되거나 인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다.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6)에는 사용자가 날짜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가 모두 필름상에 인자되도록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 당해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한 후에 필름 현상을 하면 사진상에 당해 사진이 촬영된 날짜, 시간, 위치 정보가 모두 표시된다.
숫자 수정 버튼(316)은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날짜 정보나 시간 정보가 잘못된 경우에 이를 바로 잡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이고, 숫자 입력 버튼(318)은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복수개의 숫자 중에서 잘못된 숫자를 정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이며, 완료 버튼(320)은 숫자의 정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6)에 '00. 06. 21'이라는 날짜 정보가 표시된 경우에, 실제 금일의 날짜 정보가 '00. 08. 21'이라면, 사용자는 먼저 숫자 수정 버튼(316)을 누르면, '00. 06. 21'의 제일 앞에 위치한 '0'이 점멸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나, '0'이라는 숫자는 올바른 숫자이므로 정정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완료 버튼(320)을 선택하면 첫 번째 위치한 '0'은 정지 상태로 전환되고 두 번째 위치한 '0'이 점멸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런 방법으로 '6'의 위치까지 이동한 후, 점멸 상태인 '6'의 위치에서 숫자 입력 버튼(318)을 누르면 '6'이 '7'로 변경된다. 즉, 숫자 입력 버튼(318)을 한 번 누를 때마다 숫자가 하나씩 증가하게 되며, '9'까지 증가한 후에는 다시 '0'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후, '6'을 원하는 숫자인 '8'로 변환한 후, 완료 버튼(320)을 계속 눌러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숫자를 모두 경유한 후 숫자 정정을 완료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버튼(예를 들어, 설정 완료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당해 버튼을 누르면 그 위치에서 즉시 설정 변경 가능 상태가 완료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도 표시 가능한 촬영 날짜, 촬영 시간 정보를 인화된 사진 내에 표시하는 방법과 관련한 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50) 또는 지리 정보 서버(16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지리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전자 지도 등)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410의 검사 결과로 만일 지리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415로 진행하여 수신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계 42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단계 410의 검사 결과로 만일 지리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420으로 바로 진행한다.
단계 420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즉,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에 부가된 셔터를 누르는 등의 행위 등)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420의 검사 결과로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42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20에서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순간까지 대기한다.
단계 425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GPS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즉,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한 검사는 주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 내의 GPS 수신부(118)에서 담당하게 된다).
단계 425의 검사 결과로 만일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430으로 진행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필름을 인쇄(즉, 이미지 형태로의 영상, 날짜, 시간 등을 필름에 인쇄)한다. 물론, 부가 정보 표시장치(100)가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앞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에 따른 정보를 필름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25의 검사 결과로 만일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435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선택 모드를 선택(ON 상태)하였는지 여부(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과는 무관하게 위치 정보 인쇄 선택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435의 검사 결과로, 만일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선택 모드를 선택(ON 상태)한 경우에는 단계 440으로 진행하여 단계 410을 통해 수신한 지리 정보 데이터와 단계 425를 통해 수신한 당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위치 정보(예를 들어, 경복궁 등)를 필름에 인쇄한다. 물론, 이때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필름을 인쇄(즉, 이미지 형태로의 영상, 날짜, 시간 등을 필름에 인쇄)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에 따른 정보를 필름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앞서 단계 410의 검사 결과로 지리 정보 데이터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50) 또는 지리 정보 서버(160)로부터 수신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에 의한 사진 촬영시에 GPS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였고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위치 좌표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데이터)가 인식되었다면 당해 위치 좌표 정보만이 필름상에 인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계 435의 검사 결과로 만일 사용자가 위치 정보 표시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OFF 상태)에는 단계 430으로 진행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필름을 인쇄한다.
도 4에 도시된 순서도에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가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해석하여 필름상에 인쇄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가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는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해석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필름상에 인쇄되는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촬영 명령을 입력한 순간의 위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인화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되고 인화된 사진 내에는 종래에 표시되던 영상 이미지, 날짜 및/또는 시간 정보 외에 당해 사진이 촬영된 촬영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KAUAI IN HAWAII)가 표시되어 있다.
물론, 촬영한 시점을 나타내는 날짜, 시간 정보나 위치 정보는 종래의 카메라 등으로 영상을 촬영한 경우와 같이 영상 이미지의 하단 영역 등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이미지 영역 외의 일정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사진 촬영시 사용자가 위치 정보 등을 표시할 영역을 미리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에 디폴트(default)로 지정된 영역 내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난 위치 정보(즉, HAWAII)는 GPS 위성(170)과 GPS 수신부(118) 통해 인식되고 표시 제어부(112)를 통해 표시되고 필름상에 인쇄되는 것으로서 앞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의 배면에 구성된 문자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16)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도 3과 비교할 때, 도 6에 도시된 문자 입력부(120)는 정보 선택 영역(610)과 문자 입력 영역(6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보 선택 영역(61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6), 날짜 선택 모드 버튼(310), 시간 선택 모드 버튼(312), 위치 정보 선택 모드 버튼(314), 숫자 수정 버튼(316), 숫자 입력 버튼(318), 완료 버튼(320)외에 메시지 선택 모드 버튼(620), 메시지 검색 버튼(6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선택 모드 버튼(620)은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 데이터를 필름상에 인자되도록 하거나 인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버튼이고, 메시지 검색 버튼(625)은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630)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저장부(122)에 저장한 적어도하나의 메시지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문자 입력 영역(630)은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당해 문자 입력 버튼들은 통상적으로 커버(cover)에 의해 보호되어 커버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 3과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630)의 커버를 오픈(open)하면, 커버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들이 노출되며, 이러한 문자 입력 버튼은 예를 들어, 숫자, 한글 문자, 영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입력 버튼 등과 유사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 저장 버튼이나 취소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 한글 문자 및/또는 영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문자 입력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되는 메시지 데이터는 정보 선택 영역(610)의 디스플레이부(116)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문자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임의의 메시지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는 저장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부(122)에 저장하거나, 취소 버튼을 선택하여 재입력이 가능한 상태로의 전환 또는 메시지 데이터 입력을 중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정보 선택 영역(610)과 문자 입력 영역(630)이 도 6과 같이 구분되어 배치되지 않고 하나의 문자 입력부(120)로서 통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정보 선택 영역(610) 내에 별도로 메시지 선택 모드 버튼(620), 메시지 검색 버튼(625)을 구비하도록 하지 않더라도, 문자 입력 영역(63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 중에 기능 선택 버튼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4와 비교할 때,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단계 410 및 단계 420)가 도 7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데이터를 입력 및 저장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사용자가 문자 입력부(120)의 정보 선택 영역(610)과 문자 입력 영역(630)을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음은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단계 710의 검사 결과로 만일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에 대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715로 진행하여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부(122)에 저장한 후 단계 720으로 진행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720으로 즉시 진행한다.
단계 720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즉,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에 부가된 셔터를 누르는 등의 행위 등)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720의 검사 결과로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72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720에서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순간까지 대기한다.
단계 725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GPS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725의 검사 결과로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73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750으로 진행한다.
단계 730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선택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과는 무관하게 위치 정보 인쇄 선택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730의 검사 결과로 현재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ON 상태)에는 단계 735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현재 메시지 선택 모드도 선택(ON 상태)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러나, 단계 730의 검사 결과로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선택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OFF 상태)에는 단계 75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 735의 검사 결과로 사용자가 현재 메시지 선택 모드도 선택한 경우(ON 상태)에는 단계 740으로 진행하여, 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지리 정보 데이터와 단계 725를 통해 수신한 당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위치 정보(예를 들어, 경복궁 등)와 단계 715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 데이터)를 필름에 인쇄한다. 그러나, 저장부(122) 내에 어떠한 메시지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메시지 데이터가 필름에 인쇄되지 않도록 하거나 메시지 데이터가 인쇄될 영역에 자동으로 'NO MESSAGE' 등의 메시지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필름을 인쇄(즉, 이미지 형태로의 영상, 날짜, 시간 등을 필름에 인쇄)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에 따른 정보를 필름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단계 735의 검사 결과로 당해 사용자가 메시지 선택 모드는 선택하지 않은 경우(OFF 상태)에는 단계 745로 진행하여, 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지리 정보 데이터와 단계 725를 통해 수신한 당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위치 정보(예를 들어, 경복궁 등)를 필름에 인쇄한다.
다시 단계 725와 단계 730을 참조하면, 단계 725의 검사 결과로 GPS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단계 730의 검사 결과로 당해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선택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OFF 상태)에는 단계 750으로 진행한다.
단계 750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당해 사용자가 메시지 선택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750의 검사 결과로 메시지 선택 모드가 선택된 경우(ON 상태)에는 단계 755로 진행하여 단계 715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 데이터)를 필름에 인쇄한다. 그러나, 저장부(122) 내에 어떠한 메시지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메시지 데이터가 필름에 인쇄되지 않도록하거나 메시지 데이터가 인쇄될 영역에 자동으로 'NO MESSAGE' 등의 메시지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750의 검사 결과로 메시지 선택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OFF 상태)에는 단계 760으로 진행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필름을 인쇄(즉, 이미지 형태로의 영상, 날짜, 시간 등을 필름에 인쇄)한다.
물론,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가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앞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에 따른 정보를 필름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리 정보 데이터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50) 또는 지리 정보 서버(160)로부터 수신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에 의한 사진 촬영시에 GPS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였고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위치 좌표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데이터)가 인식되었다면 당해 위치 좌표 정보만이 필름상에 인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인화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되고 인화된 사진 내에는 종래에 표시되던 영상 이미지, 날짜 및/또는 시간 정보 외에 당해 사진이 촬영된 촬영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KAUAI IN HAWAII)와 메시지 데이터(예를 들어, On my travels with TOM)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촬영한 시점을 나타내는 날짜,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메시지 데이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등으로 영상을 촬영한 경우와 유사하게 영상 이미지의 하단 영역 등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이미지 영역 외의 일정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사진 촬영시 사용자가 위치 정보 등을 표시할 영역을 미리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에 디폴트(default)로 지정된 영역 내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의 배면에 구성된 문자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16)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문자 입력부(12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선택 영역(910)과 문자 입력 영역(9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보 선택 영역(910)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6), 날짜 선택 모드 버튼(310), 시간 선택 모드 버튼(312), 위치 정보 선택 모드 버튼(314), 숫자 수정 버튼(316), 숫자 입력 버튼(318), 완료 버튼(320)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영역(920)은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당해 입력 버튼은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 저장 버튼, 취소 버튼 및 기능 버튼(9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이용하여 저장부(122)에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취소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과 관련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문자 입력 영역(920)에 포함된 기능 버튼(925)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를 참조하여, 만일 사용자가 기능 버튼(925)을 선택하기 전이라면 정보 선택 영역(9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10과 같은 정보(즉, 사용자가 사진 촬영시 필름에 인쇄될 정보)가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920)의 커버를 오픈(open)한 후, 복수의 입력 버튼 내에 포함된 기능 버튼(925)을 선택하면 정보 선택 영역(9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20과 같은 선택 정보(즉, 1. 메시지 관리, 2. 지명 등록, 3. 취소)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 중에서 숫자 '1'을 선택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1. 메시지 관리'를 선택하면, 당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30과 같은 선택 정보(즉, 1. 메시지 등록, 2. 메시지 검색, 3. 메시지 표시 <ON>, 4. 취소)가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숫자 '1'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16)에 메시지 등록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메시지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 중에서 숫자 '2'를 선택함으로써 '2. 메시지 검색'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40과 같은 메시지 데이터 검색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택된 메시지 데이터가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 필름에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1020에 예시된 선택 정보 중에서 '2. 지명 등록'을 선택한 경우를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1020에 도시된 선택 정보 중에서 '2. 지명 등록'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60과 같은 선택 정보(즉, 1. 현재 지명 변경, 2. 나만의 지명 등록, 3. 등록 지명 표시 <OFF>, 4. 취소)가 표시된다.
'1. 현재 지명(즉, 원시 지명 정보) 변경'이란 1010에 표시된 위치 정보(즉, KAUAI IN HAWAII)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 가능한 메뉴이고, '2. 나만의 지명 등록'은 어떤 지역 내의 위치 정보나 지명(예를 들어, 조선호텔)을 사용자 스스로 원하는 지명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로서, 변경된 지명 정보는 변경 지명 정보를 의미한다..
즉, '1. 현재 지명 변경' 메뉴는 현재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명 정보(즉,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등록한지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지명 정보) 중에서 1010에 표시된 위치 정보를 즉시 변경하기 위한 메뉴이다. 이는 '2. 나만의 지명 등록'이라는 메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현재 지명 정보도 변경할 수는 있으나, 현재 지명 정보에 한해서는 '1. 현재 지명 변경' 메뉴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편리할 것이다.
또한, '3. 등록 지명 표시 <OFF>'는 사용자가 '1. 현재 지명 변경' 메뉴나 '2. 나만의 지명 등록' 메뉴를 이용하여 변경한 지명 정보로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지리 정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지명 정보로 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주는 메뉴로서, 현재 <OFF>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지리 정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지명 정보로 표시하게 될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문자 입력 버튼 중에서 '3'을 한번 더 선택하면 <OFF> 상태가 <ON> 상태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1020에 표시된 선택 정보 중에서 '2. 나만의 지명 등록' 메뉴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1020에 표시된 선택 정보 중에서 '2. 나만의 지명 등록' 메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65와 같은 선택 정보(즉, 1. 현재 지역 보기, 2. 전체 지명 보기, 3. 취소)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 중에서 숫자 '2'를 선택하는 방법 등으로 '2. 전체 지명 보기'를 선택하면, 당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70과 같은 전체 지명 정보가 표시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지명 정보에는 사용자가 이미 변경한 지명 정보와 지리 정보 데이터 상의 지명 정보 상태로 표시되는 지명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미 변경한 지명 정보라면 107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리 정보 데이터 상의 지명 정보와 사용자가 변경한 지명 정보가 함께 표시(예를 들어, 1. HAWAII HOTEL → MY SWEET ROOM)되도록 하거나, 변경된 지명 정보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전체 지명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2. KAUAI IN HAWAII'를 자신만의 지명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입력 버튼 중에서 숫자 '2'를 선택하였다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75와 같은 지명 변경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1075와 같은 지명 변경 화면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지명으로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1070에 표시된 전체 지명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이미 변경한 지명 정보를 지리 정보 데이터상의 지명 정보로 다시 변경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가 도 10a에 도시된 화면 표시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선택(예를 들어, '2. IN HAWAII')하고 10b에 도시된 화면 표시를 이용하여 지명 정보(예를 들어, KAUAI IN HAWAII → BEAUTIFUL HAWAII)를 변경하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80과 같은 부가 정보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한다면 1080에 표시된 부가 정보가 필름에 인쇄되어 인화된 사진 내에 표시될 것은 자명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진 촬영 등을 하는 경우에, 지리 정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지명 정보(예를 들어, 경복궁, MIT 공과대학 등)에 상응하여 원하는 지명 정보를 미리 변경하여 등록하면, 사진 촬영시에 자동으로 필름에 인쇄되는 사진 촬영 위치와 상응하는 지명 정보는 당해 사용자가 변경하여 등록한 지명 정보로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리 정보 데이터 상으로는 동일한 장소(예를 들어, 63빌딩)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더라도,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지명 표시(예를 들어, 63 SEA WORLD)로 필름상에 인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 자체에서 지리 정보 데이터 내에 포함된 현재 지명(즉, 원시 지명 정보)을 사용자가 원하는 지명 정보인 변경 지명 정보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 이외에도 지리 정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지명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지명 정보로 변경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어 질 수 있다.
첫째, 사용자가 지리 정보 서버(160)로부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가 보유한 통신 기기(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 통신망과 결합된 퍼스널 컴퓨터 등)를 이용하여 지리 정보 서버(160)에 접속한 후, 지리 정보 서버(160)에서 제공가능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열람한 후, 변경을 원하는 지명 정보를 선택하여 원하는 지명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지명 정보로 변환된 지리 정보 데이터를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로 다운로드하는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지명 정보로 한꺼번에 변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키보드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익숙한 입력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둘째, 앞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지리 정보 서버(160)에 접속하여 지명 정보를 원하는 지명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면, 추후 당해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 상응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가 GPS 위성(170)을 통해 자동으로 수신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 당해 지역과 상응하여 이미 당해 사용자가 지명 정보를 변환하였다면 지명 정보가 변환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지리 정보 표시 장치(100)에서 수신하게 된다.
물론, 이외에도 지리 정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지명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지명 정보로 변경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방법이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인화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도 표시 가능한 촬영 날짜, 촬영시간 정보를 인화된 사진 내에 표시하는 방법과 관련한 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10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50) 또는 지리 정보 서버(16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지리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전자 지도 등) 및/또는 로고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리 정보 데이터 및/또는 로고 이미지를 저장부(122)에 저장한다.
단계 1115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즉,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에 부가된 셔터를 누르는 등의 행위 등)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1115의 검사 결과로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11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115에서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순간까지 대기한다.
단계 1120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GPS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즉,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한 검사는 주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 내의 GPS 수신부(118)에서 담당하게 된다).
단계 1120의 검사 결과로 만일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1125로 진행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필름을 인쇄(즉,이미지 형태로의 영상, 날짜, 시간 등을 필름에 인쇄)한다. 물론,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가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앞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에 따른 정보를 필름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120의 검사 결과로 만일 GPS 위성(170)으로부터 위성 전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1130으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선택 모드를 선택(ON 상태)한 상태인지 여부(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과는 무관하게 위치 정보 인쇄 선택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1130의 검사 결과로, 만일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선택 모드를 선택(ON 상태)한 상태라면 단계 1135로 진행하여 당해 사용자가 현재 로고 이미지 표시 모드를 선택한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도 12에 사용자가 로고 이미지 표시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예시되어 있다. 도 12는 앞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영역(630)에 별도의 기능 선택 버튼(925 - 도 9 참조)이 구비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이외에도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선택 영역(610) 내에 별도의 로고 이미지 선택 모드 버튼(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이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만일 사용자가 기능 버튼(925)을 선택하기 전이라면 정보 선택 영역(9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210과 같은 부가 정보(즉, '[DATE] 00. 06. 21 <ON> / [TIME] 10:23 AM <ON> / [LOCATION] The South Gate<ON><L> / [MESSAGE] My first trip abroad')가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앞서 설명한 도 9와는 달리 도 12에서는 '[LOCATION]' 항목에 '<L>'이 더 표시되고 있으며, 이는 저장부(122)에 저장된 로고 이미지가 필름상에 인쇄된다는 표시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문자 입력 영역(920)의 커버를 오픈(open)한 후, 복수의 입력 버튼 내에 포함된 기능 버튼(925)을 선택하면 정보 선택 영역(9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220과 같은 선택 정보(즉, 1. 메시지 관리, 2. 지명 등록, 3. 로고 이미지 관리, 4. 취소)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 중에서 숫자 '3'을 선택하는 방법 등으로 '3. 로고 이미지 관리'를 선택하면, 당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230과 같은 선택 정보(즉, 1. 로고 이미지 등록, 2. 나만의 로고 이미지 지정, 3. 로고 이미지 표시 <ON>, 4. 취소, 5. 확인)가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숫자 '1'을 선택하여 '1. 로고 이미지 등록'을 선택하여 단계 1110을 통해 수신한 로고 이미지이외의 로고 이미지(예를 들어, 스스로 생성한 로고 이미지)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거나 저장부(122)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로고 이미지의 수신만을 위해서라면 별도의 선택 항목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통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즉시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숫자 '2'를 선택하여 '2. 나만의 로고 이미지 지정'을 선택한 경우라면 디스플레이부(116)에 저장부(122)에 저장된 지명 정보와 선택 가능한 로고 이미지들이 표시될 것이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임의의 지명 정보에 상응하는 로고 이미지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6)에 '3. 로고 이미지 표시 <ON>'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숫자 '3'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3. 로고 이미지 표시 <ON>'이 '3. 로고 이미지 표시 <OFF>'로 변환되어 표시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5. 확인'을 선택하면 1210에 표시된 '[LOCATION]' 항목의 '<L>'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즉, 사용자가 현재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하면 로고 이미지가 존재해도 필름상에 인쇄되지 않음).
면, 디스플레이부(116)에 메시지 등록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메시지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문자 입력 버튼 중에서 숫자 '2'를 선택함으로써 '2. 메시지 검색'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1040과 같은 메시지 데이터 검색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택된 메시지 데이터가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 필름에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35의 검사 결과로 현재 로고 이미지 표시 모드 상태가 아니라면 단계 1140으로 진행하여 단계 1110을 통해 수신한 지리 정보 데이터와 단계 1120을 통해 수신한 당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위치 정보(예를 들어, MIT 공과대학)를 필름에 인쇄한다.
그러나, 단계 1135의 검사 결과로 현재 로고 이미지 표시 모드 상태라면 단계 1145로 진행한다.
단계 1145에서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현재 위치 정보(예를 들어, MIT 공과대학)와 상응하는 로고 이미지(예를 들어, MIT 공과대학의 상징 도안)가 저장부(122)내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1145의 검사 결과로 로고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1150으로 진행하여 단계 1110을 통해 수신한 지리 정보 데이터와 단계 1120을 통해 수신한 당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위치 정보(예를 들어, MIT 공과대학) 및 당해 위치 정보와 상응하는 로고 이미지를 필름에 인쇄한다. 물론, 이때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필름을 인쇄(즉, 이미지 형태로의 영상, 날짜, 시간 등을 필름에 인쇄)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정보(즉, 날짜 인쇄 선택 및/또는 시간 인쇄 선택)에 따른 정보를 필름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단계 1145의 검사 결과로 로고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단계 1140으로 진행하여 필름에 위치 정보만을 인쇄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설정 과정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하면 부가 정보 표시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단계를 수행하여 필름에 위치 정보, 로고 이미지, 메시지 데이터, 촬영 날짜, 촬영시간 등을 인쇄하게 되고, 당해 필름이 인화된 사진은 도 13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에서는 부가 정보가 영상 이미지 이외의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외에도 부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도록 하거나, 미리 지정된 여러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로고 이미지를 필름상에 인자하기 위해서는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에 로고 이미지를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내의 저장부(122)에 저장하여 이용하는 방법 외에, 사전에 저장부(122)에 임의의 지명 정보와 상응하는 로고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지 않더라도 별도의 설정 변경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별도의 설정 변경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란, 먼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휴대하고 임의의 지역(예를 들어, 고궁, 산업현장 등)을 방문할 때, 당해 지역의 입구에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변경 장치를 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변경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당해 지역과 상응하는 로고 이미지와 설정 변경 명령을 지속적으로 전송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휴대하고 당해 지역의 입구를 통과하는 시점에 당해 로고 이미지가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내의 저장부(122)에 자동으로 저장되고,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의 설정 모드는 수신되는 설정 변경 명령에 따라 당해 로고 이미지가 필름에 인자될 수 있도록 로고 이미지 표시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면, 임의의 사용자가 미리 로고 이미지를 저장부(122)에 저장하지 않더라도 임의의 지역에 적합한 로고 이미지를 현장에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당해 지역 사업자는 불특정 다수에 대한 광고 선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를 휴대하고 코카콜라 공장을 견학하는 경우라면, 코카콜라 공장 입구에서 로고 이미지 표시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당해 코카콜라 공장 내부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 코카콜라를 의미하는 상징 도안이 자동으로 필름상에 인자되도록 할 수 있게되어 불특정 다수인에 대해 추가 비용 부담없이 코카콜라에 대한 광고 선전을 시도할 수 있다.
물론,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의 설정 가능한 모드로서 외부 설정 허용 모드를 포함시킨 후, 당해 사용자가 외부 설정 허용 모드를 온(ON)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에만 외부 설정 변경 장치의 명령에 따른 설정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100)는 설정 변경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설정 변경 명령이 짝수 번째 수신되는 경우라면 자동으로 로고 이미지 표시 모드를 오프(OFF)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당해 지역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입구(즉, 출구)에서 자동으로 로고 이미지 표시 모드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 추후 당해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에 당해 지역과 상응하는 로고 이미지가 필름상에 인쇄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당해 지역을 벗어난 이후에는 현재 위치와 상응하는 로고 이미지가 자동으로 검색되어 필름상에 인쇄되므로 앞서 방문한 지역과 상응하는 로고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필름상에 인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