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3276A - 분리되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와 유압펌프 그리고 전기콘트롤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되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와 유압펌프 그리고 전기콘트롤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276A
KR20030063276A KR1020030042861A KR20030042861A KR20030063276A KR 20030063276 A KR20030063276 A KR 20030063276A KR 1020030042861 A KR1020030042861 A KR 1020030042861A KR 20030042861 A KR20030042861 A KR 20030042861A KR 20030063276 A KR20030063276 A KR 20030063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ydraulic unit
unit box
gat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ublication of KR2003006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27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본체(1)를 개폐하기 위한 실린더(4)를 언체(100)의 밀폐공간부(11)에 설치하여 수초 등의 불순물에 의해 실린더(4)가 고장을 일으킬 우려를 크게 줄이고,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자연생태계의 보존을 도모하며 ,수문을 기동시키는 작동 유니트를 언체 또는 수문의 내부에 구성시켜주어, 수문을 작동시키기 위해 수문과 결합되는 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배관라인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압식 수문들은 한결같이 제방에 기계실을 축조한다음 기계실내부에 전자제어 시스템과 연결되는 유압유니트를 구성시켜주어 유압유니트에서 발생되는 유압의 압력이 수문과 결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를 수축 또는 신장시켜줌으로 인하여 수문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하천 제방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유압유니트와 하천에 설치되는 수문의 사이에 장거리의 유압배관라인이 필요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문을 지지하고 있는 언체 또는 수문의 내부에 유압유니트를 구성시켜줌으로 인하여 수문과 유압유니트와의 거리이를 최대한 단축 시켜 유압라인의 파손과 장거리배관으로 인하여 소비되는 공사비를 줄이고자 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에 관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언체의 내부와 수문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가 원할히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압유니트가 안치되는 유니트 박스 내부에 습가가 차지 않도록해주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용이하게 해결 할수 있도록 유니트박스를 다중의 박스로 구성함과 함께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공기들을 빨아낼수 있는 진공펌프를 구성하여 유압유니트 박스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구성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수문을 작동시키는 유압유니트를 구성하여 줌으로 인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문을 작동 시킬수가 있을 뿐만아니라 장거리의 유압배관라인을 몇 m 정도의 유압배관만을 가지고도 수문을 설치할 수가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리되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와 유압펌프 그리고 전기 콘트롤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omitted}
본 발명은 수문을 작동 시켜주는 유압유니트를 언체의 내부 또는 수문의 내부에 다중으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를 구성시켜주어 유압배관라인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유압 유니트 박스에 다중의 습기 차단 방습망을 구성시켜주어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가 원천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 유니트 시스템을 구성시켜줌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수문을 작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법들은 한결같이 하천제방의 상단에 유압유니트와 전기 콘트롤 시스템을 동시에 설치하여 줌으로 인하여 하천의 넓이가 넓은 수중보에 자동보 수문을 설치하려고 하면 장거리의 유압 배관라인이 필요함으로 인하여 과다한 공사비가 소요 될 뿐만 아니라 배관라인의 이음 부분에서 누유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고려하여 발명 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수문본체 또는 언체의 내부에 수문을 작동 시키도록 유압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유니트를 구성시켜주어 장거리의 유압배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원할히 작동되는 수문의 작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언체 또는 수문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 유니트 박스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유압 유니트 박스에 차 있는 공기를 진공 펌프와 같은 배출기구를 이용하여 제거 시켜주어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가 항상 진공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습기가 없는 청결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압유니트의 개략적 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단 배출식 자동보의 사시도
제 3 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도식 자동보 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략적인 유압유니트의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니트 박스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유압유니트 박스 A-A 선 단면도
제6-1도는 제5도에 도시된 유압 유니트 박스 B-B 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제1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전도식 수문의 설치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일 측면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 제2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부상식 수문의 설치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일측면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수문을 비상시 작동시키는 엔진 시스템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유압 시스템에 적용되는 부호 설명
1. Hyaraulic Cilinder 유압실린더
2-1. Air Drain Valve 공기 배출기 (열림)
2-2. Air Drain Valve 공기 배출기 (닫힘)
3. Flow Control Valve 흐름 조절밸브 (전기)
4. Pilot Check Valve 압력 체크밸브 (전기)
5. Solenoid Valve 전자 밸브 (전기)
6. Pressure Detector 압력 감지기 (전기)
7. Pilot Relief Valve 압력 조절기 (전기)
8. Pressure Gauge 압력계 (전기)
9. In-Line Check Valve 역 흐름 방지밸브 (전기)
10. Hydraukic Pump 유압유 이송펌프 (전기)
11. Electronic Motor 전기모터 (전기)
12. Supply Line Filter 유압유 공급라인 필터 (전기)
13. Return Line Filter 유압유 회수라인 필터 (전기)
14-1. Ball Valve 수동 조작밸브 (수동열림)
14-2. Ball Valve 수동 조작밸브 (수동닫힘)
15. 4Way Manual Valve 수동 조작레버 (수동)
16. Pressure Gauge 압력계 (수동)
17. In_Line Check Valve 역 흐름 방지밸브 (수동)
18. Hydraulic Pump 유압유 이송펌프 (수동 잭)
19. Supply Line Filter 유압유 공급라인 필터 (수동)
20. Return Line Filter 유압유 회수라인 필터 (수동)
21. Supply Line Filter 유압유 공급라인 필터 (비상)
22. Emergency Engine 비상 엔진 (비상)
23. Hydraulic Pump 유압유 이송펌프 (비상)
24 In-Line Check Valve 역 흐름 방지밸브 (비상)
25. Ball Valve 비상 조작밸브 (비상)
26. Ball Valve 유압유 배출밸브
27. Oil, Temperature Gauge 유압유량, 온도 게이지
28. Oil-Line Cap 유압유 주입구
29. Oil Tank 유압유 저장탱크
30. Control Panel 수문 제어판넬 (전기)
31. Control Line 전기 제어선 (전기)
32. Detector Line 수위 감지선 (전기)
33. Water Detector 수위 감지기 (전기)
111. 수문본체 11. 실린더 밀폐공간부, 16. 싸이폰 통로 22.유압실린더 33. 유입수 배출구 34, 부유물질제거판 35. 로울러 36.실린더로드 37. 탄성부재 겸 유동흰지 38. 실린더(회동부재) 39. 실린더 실 44.유입수 유입구 551. 수압유도판 552. 어류이동 유도끈 100. 언체 및 에프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문의 작동 시스템은 어도의 기능을 발휘하면서 오염된 수질의 자연적개선 작용을 발휘하는 싸이폰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 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부상식 자동보 수문 또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를 수문의 내부 또는 언체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성시켜주어, 장거리 유압배관을 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유압의 압력을 제공 받아 수문을 작동 시킬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유니트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문의 지지체는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구조체가 축조되고 지지구조체 사이에 중공의 사각 판 형상인 수문본체가 경사지게 배치되며 수문본체의 상부는 중심축에 의해지지 구조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문본체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언체부 내에 실린더가 수납되는 밀폐공간부가 형성됨과 함께 이 밀폐공간부에는 수문을 지지하는 지지축과 실린더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에 실린더가 배치되고 실린더의 상단은 밀폐공간부 상측에 고정된 지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실린더의 하단은 일단부가 중심축에 연결된 링크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실린더를 신축하는 것에 의해 수문본체가 중심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문본체의 저수측 하부에서 수문본체의 상부 가까이를 통하여 수문본체의 배수측 하부로는 싸이폰 배수통로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문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실린더를 수문본체의 양측부의 언체부 밀폐공간에 설치하여 수초 등의 불순물에 의해 실린더가 고장을 일으킬 우려를 크게 줄인 것이므로 수문본체의 개폐를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용이하고 내구성 있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부유물질들이 수문의 상단에 보기 흉하도록 걸리게 되어도 신속하게 부유물질제거판을 작동시켜주어 부유물질들이 하천의 하류부로 떠내려 가도록 구성한다.
또한 평소에 수문이 열려 있을 때에 하천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소상하는 물고기들이 쎈 물살을 헤치고 올라가는 것을 도와주기 위한 방편으로 수문이 설치되는 에프런의 상류부 바닥과 하류부 바닥에 다수의 수압 유도판을 구성 한 후 수압유도판의 후면부에 브러쉬와 같은 부재로 구성되는 어류이동 유도끈을 구성하여 하천생태계를 복원하는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1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압유니트이 개략적 개념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단 배출식 자동보의 사시도이며,제 3 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도식 자동보의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략적인 유압유니트의 회로도이며,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니트 박스의 사시도이며,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유압유니트 박스 A-A 선 단면도이고,제6-1도는 제5도에 도시된 유압유니트 박스 B-B선 단면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 제1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전도식 수문의 설치사시도이며.제8도는 제7도의 일 측면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부상식 수문의 설치사시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의 일 측면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고,제11도는 본 발명의 수문을 비상시 작동시키는 엔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이다.
지시부호 51은 유압유니트 박스를,지시부호 52는 개략적으로 표현한 진공펌프이고,지시부호 53은 조임볼트를,지스부호54는 3중 방습뚜껑을,지시부호55는 2중 방습뚜껑을 ,지시부호56은 1단계 방습뚜껑을 ,지시부호57은 와이어 메쉬를,지시부호 58은 3중 방습외벽을 ,지시부호59는 2중방습외벽을 ,지시부호60은 3중방습내벽을, 지시부호62는 2중 방습내벽을,지시부호63은 첫째 방습외벽을,지시부호64는 첫째 방습내벽을,지시부호81은 받침대를,지시부호82는 유압펌프와 결합되는 전기모타안치실을, 지시부호84는 중간 공간을, 지시부호85는 내부칸막이를,지시부호86은 유니트 안치실을,지시부호153은 지수 패킹을,지시부호100은 언체부를 지시부호111은 수문을,지시부호200은 전기히터를 개략적으로 각각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자동보 수문(AW)과 그 구성방법은, 종래와 같이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구조체(100)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수문본체(111)는 사각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수문본체(111)의 상부에는 중심축(555)이 구성되며, 이 중심축(555)은 수문(111)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언체(100)의 내부 구성되는 지지축(24)에 흰지 고정된다.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문본체(111)는 중심축(55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문본체(111)를 지지하는 지지축(24)을 기점으로 긴 밀폐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밀폐공간부에 실린더(222)가 흰지에 의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222)의 상단은 밀폐공간부 상측에 고정된 수문(111)의 지지브라켓(24)에 링크(9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실린더(222)의 하단은 일단부가 실린더 고정축(71)에 고정 연결된 핀(72)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실린더(222)를 신축하면 도 9과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본체(111)는 중심축(55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로를 개폐할 수 있고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실린더(222)는 수문본체(111)의 양측부 언체 밀폐공간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물질들이 실린더 밀폐 공간부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이물질들에 의한 고장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위와 같은 작동에 있어서 수문본체(11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저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문본체(111)의 저수측 하부에서 수문본체(111)의 상부 가까이를 통하여 수문본체(111)의 배수측 하부로 싸이폰 배수통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저수측 배수통로(미도시)는 차단판(미도시)에 의해 수문(111)이 개방되었을 때에싸이폰 통로(미도시)를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흰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수문본체(111)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51]의 구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구성된다.
유압유니트박스[15]의 부재는 철이나 비철금속 또는 강화 프라스틱 또는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또는 목재등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그 재료를 한정적으로 정하는 것은 아니다.
장방형의 사각형 박스[64]를 구성 한다음 박스[64]의 외벽에 철망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와이어메쉬[57]를 부착 구성한 후, 와이어메쉬[57]의 상단에 세멘트와 모래 그리고 방수부재와 단열부재를 혼합한 몰탈[63]등을 이용하여 첫째 방습외벽[63]을 구성 한 다음,일정한 공간[61]을 두고 첫재 방습 외벽[63]의 내부에 또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2중 방습 벽체[62]를 받침대[81]을 이용하여 구성한다음 2중 방습 벽체[62]의 외부에 철망과 같은 와이어메쉬[57]를 덧붙힌 후,와이어메쉬[57]상단에 세멘트와 모래 그리고 방수부재와 단열부재가 혼합된 몰탈[61]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는 단열부재를 이용하여 2중 방습외벽[61]을 구성시켜줌과 함께,2중 방습외벽[61]의 외벽에 일정한 공간[61]을 두고 받침대[81]를 이용하여 또 다시 3중 방습 벽체[60]를 구성시켜준 후, 3중 방습 벽체[60]의 외면둘레에 철망과 같은 와이어메쉬[57]를 부착시킨 다음 그 둘레 공간사이에 세멘트와 모래 그리고 방수부재와 단열부재들을 혼합한 몰탈[58]를 도포시켜 구성되는 3중 방습 외벽[58]의 구조로서,3중으로 구성되는 방습 벽체 즉 유니트박스[51]가 안치되는 외부케이스[미도시]사이사이는 방수부재와 단열부재가 혼합된 액체로 구성되는 단열 몰탈을 이용하여 충진 시켜주거나 또다른 단열 및 방열부재인 스치로폼 또는 우레탄과 같은 충진부재를 이용하여 방습벽체 즉 유니트박스[51]가 안치되는 외부 케이스[미도시]의 사이를 충진 시켜줌으로서 벽체의 사이사이에서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3중으로 구성되는 유니트박스[51]의 상단에는 지수고무 패킹[153]을 박스[51]의 상단에 덧댓 후 조임볼트[53]등을 이용하여 첫째 방습 뚜껑[56]을 첫째 방습내벽[64] 상단과 결합 시켜준 다음,2중 방습벽체[62]와 볼트[53] 결합되는 2중 방습뚜껑[55]과 3중 방습 벽체[60]의 상단과 볼트[53] 결합되는 3중 방습 뚜껑[54]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볼트[53]조임하여 주면 본 발명의 유압유니트박스[51]는 완성 되는 것이다.
유니트박스[51]의 내부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수문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유압펌프가 작동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전기모타가 고속 회전하게 되면서 많은 양의 열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 과부하로 인하여 모타가 타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니트박스[51]의 중간에 일정한 공간[84]을 구성하여준 후 이중으로 구성되는 이중 칸막이[85]를 이용하여 두개의 공간[82][86]으로 만들어 준 구조이다.
한쪽의 모터실[82]에는 유압펌프10][상세도 미도시]와 결합되는 전기모타[11][상세도 미도시]를 안치한 다음 또다른 유니트 박스[86]에는 압력체크밸브[04],역흐름방지밸브[17],압력조절기07],전자밸브[05],등과 결합되는 유압유니트 세트들을 안치하는 구조이다.
이때에 별도로 구성되는 모터실[82]에는 전기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도록 냉각수가 채워지며, 냉각수가 겨울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액과 냉각수가 혼합되는 구조이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는 유니트 세트와 유압모타의 유압 배관 결합은 모타실[82]과 유니트실[86]의 사이에 구성되는 유압배관 통로[88]를 통하여 유압의 압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도1에 예시한 유압유니트 세트의 구조와 같은 방식에 따라 수문의 작동을 원할히 해주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유니트 세트들은 별도의 유니트실[86]에 유니트들을 구성하고, 유압펌프와 전기모터는 모타실[82]에 별도로 안치하여 수문을 작동시킬수 있도록 구성한는 구조이다, 전기모타는 수중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수중모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구성되는 유니트세트와 결합되는 유압부품의 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또한 유압펌프와 모타가 원할히 작동하기 위하여 추가 결합되는 부품의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압유니트와 결합되는 유압배관라인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하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습뚜껑[54,55,56]을 구성함에 있어서, 뚜껑의 하단부에서 결로 현상이 원천적으로 발생되지 못하도록 단열부재[87]를 도포 하여주거나 또는 목재판넬등을 부착시켜주어 결로현상이 원천적으로 발생되지 못하도록 구성한 구조이다, 이때에 사용되는 단열부재는 얼마든지 변형하여 구성하여 줄수가 있는 것임으로 변형하여 구성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이와같은 방법으로 유압 유니트[51] 벽체들을 구성하여 줄때에 유압 유니트 박스[51]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뽑아 낼 수 있도록 진공펌프[52]를 [상세도면과 배관라인 미도시]구성시켜주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완성 되는 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유압 유니트박스[15]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기구들과 연결되는 유압배관라인과 전기 배관라인은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유인트박스[51]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구성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유니트박스[51]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구성이 가능한 것이므로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수문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51]의 구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구성된다.
유압유니트박스[51]의 부재는 철이나 비철금속 또는 강화 프라스틱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그 재료를 한정적으로 정하는 것은 아니다.
장방형의 사각형 박스[64]를 구성 한 다음 박스[64]의 외벽에 철망과 같은형태로 구성되는 와이어메쉬[57]를 부착 구성한 후, 와이어메쉬[57]의 상단에 세멘트와 모래 그리고 방수부재와 단열부재를 혼합한 몰탈[63]을 이용하여 첫째 방습 외벽[63]을 구성 한다음,첫재 방습 외벽[63]의 내부에 또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2중 방습 벽체[62]를 구성 한 다음 2중방습 벽체[62]의 외부에 와이어메쉬[57]를 덧붙힌 후,와이어메쉬[57] 상단에 세멘트와 모래 그리고 발수부재와 단열부재가 혼합된 몰탈[61]을 이용하여 2중방습 외벽[61]을 구성시켜줌과 함께,2중 방습외벽[61]의 외벽에 또 다시 3중 방습벽체[60]를 구성시켜준 후, 3중 방습 벽체[60]의 외면둘레에 철망과 같은 와이어메쉬[57]를 부착시킨다음 그 공간 둘레에 세멘트와 모래 그리고 방수부재와 단열부재를 혼합한 몰탈[58]를 도포시켜 구성되는 3중 방습 외벽[58]의 구조로서 ,3중으로 구성되는 벽체의 사이사이는 액체 상태로 혼합 구성되는 몰탈을 이용하여 또다시 충진 시켜 줌으로서 방습 벽체와 방습벽체의 사이사이에서 발생되는 빈 공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3중으로 구성되는 유압 유니트박스[51]의 상단에는 지수고무 패킹[153]을 박스[51]의 상단에 덧댓후 조임볼트[53]등을 이용하여 첫째 방습 뚜껑[56]을 첫째 방습내벽[64] 상단과 결합시켜준 다음,2중 방습벽체[62]의 뚜껑[55]과 3중 방습벽체[60]의 상단 뚜껑[54]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볼트[53]조임하여 주면 본 발명의 유압유니트[51]는 완성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유압 유니트박스[51]를 수문[111] 내부에 구성하여 줄때에 유압 유니트 박스[51]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들을 뽑아낼수 있도록 진공펌프[52]를 구성 할 때에 유압 유니트 박스[51]와 배관 연결[미도시]하여 수문[11]의 표면에 공기 배출구를 구성시켜주면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완성 되는 것이다.
제2의 실시예 또한 제1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방법에 따라 변형 구성하여도 그 구성의 방법을 충실히 이행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제1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수문의 내부에 유압유니트세트와 유압펌프와 전기모타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유니트박스[51]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기구들과 연결되는 유압배관라인과 전기 배관라인은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누유가 안 되도록 구성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유니트박스[51]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구성이 가능한 것이므로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의 구성방법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데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다중의 방습망을 구성하거나 또는 유압유니트 박스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일례로 유압유니트박스의 옆에 질소가스실을 만든다음 유압유니트 박스를완전 밀폐 시킨다음 질소가스실에 있는 질소가스가 유압유니트박스실로 옴겨지도록 충진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유압유니트 박스에 습가가 차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유압유니트 박스실 옆에 공기 또는 산소 발생장치를 구성시켜주어 유압유니트박스를 밀봉한 상태에서 유압유니트 박스에 고압의 산소와 또는 공기를 충진시켜주면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구성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방법을 이용하여 독립된 형태로 유압유니트 박스를 구성하여주면 얼마든지 유압유니트 박스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재인 오일탱크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공간사이에 변형 구성이 가능한 것임으로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방의 상단에 구성되는 전기콘트롤 판넬실에 공기발생장치를 구성한다음 주기적으로 유압유니트 박스에 공기를 불어 넣어주면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와 유니트박스의 공간사이에 에 전기 히터[200]를 구성하여 주면 일정한 온도이하가 되면 자동적으로 전기가 연결되어 전기히터[200]가 가동되면서 유압유니트 박스내부의 온도를 높혀 줄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니트 시스템이 작동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를 사용한 유압 시스템 동작 계통
1. 유압유의 흐름 순서도
- 유압유의 공급 : 공급라인필터(12) 유압펌프(10) 역흐름 방지밸브(9) 전자밸브(5) 압력체크밸브(4) 흐름조절밸브(3) 유압실린더(1)
- 유압유의 회수 : 유압실린더(1) 압력체크밸브(4) 전자밸브 (5) 회수라인필터(13)
- 수동으로 수문을 열고자 할때는 제방에 설치되는 전기 콘트롤 시스템 판넬에 구성되어 있는 수동 버튼을 이용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수문[111]을 개문시킨다.
수문[111]의 열림이 필요 할때에 자동 콘트롤 판넬[30]에 구성되어 있는 전환 스위치를 수동에 위치하고 열림 스위치를 누르면 유압유니트박스[51]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전자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유압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유압유 이송펌프가 유압유를 보낸다.
유압 공급라인 필터를 통한 유압유는 유압 이송펌프를 거쳐 역 흐름 방지밸브를 지나 전자밸브 압력 체크밸브와 흐름 조절밸브 를 거쳐 수문 열림라인에 공급되어 유압실린더에 충진된다. 유압유가 실린더에 계속 충진될수록 배관 및 시스템에 압력이 올라가며 유압 압력 감지기에 의하여 모터가 자동 정지하고 유압은 더 이상 충진되지 않고 배관내 그 압력을 유지하여. 수문이 완전 열림 상태로 고정된다.
수문[11]이 열리는 도중에 하천제방에 구성되어 있는 자동콘트롤 시스템[30]의 정지 버튼을 누르면 유압유니트박스[51]안에 구성되어 있는 유압모터가 정지하고 유압은 더 이상 충진되지 않고 배관내 그 압력을 유지하여 수문의 현열림 상태로 고정된다.
유압 압력감지기의 공급 압력은 압력 조절기에 의하여 일정 압력으로 공급된다.
유압유의 회수는 공급과 동시에 수문 닫힘배관을 지나 압력 체크밸브 전자밸브를 거쳐 유압유 회수필터를 통해 탱크내에 저장된다.
- 수동으로 수문을 닫고자 할때
수문을열려고 할때에 하천제방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자동 콘트롤시스템[30]의 전환 스위치를 수동에 위치하고 닫힘 스위치를 누르면 전자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유압유니트박스[51]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유압유 이송펌프가 유압유를 유압실린더로 보낸다.
유압 공급라인 필터를 통한 유압유는 유압 이송펌프를 거쳐 역 흐름 방지밸브를 지나 전자밸브 압력 체크밸브 를 거쳐 수문 닫힘라인에 공급되어 유압실린더에 충진 된다. 유압유가 실린더에 계속 충진될수록 배관 및 시스템에 압력이 올라가며 유압압력 감지기에 의하여 유압 모터가 자동 정지하고 유압은 더 이상 충진되지 않고 배관내 그 압력을 유지하여 수문이 완전 닫힘 상태로 고정된다.
수문의 닫힘도중 하천제방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콘트롤시스템[30]의 정지 버튼을 누르면 언체 또는 수문[111]의 결합되어 있는 유압유니트박스[51]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압모터가 정지하고 유압은 더 이상 충진되지 않고 배관내 그 압력을 유지하여 수문의 현 닫힘 상태로 고정된다.
유압 압력감지기의 공급 압력은 압력 조절기에 의하여 일정 압력으로 공급된다.
유압유의 회수는 공급과 동시에 수문 열림배관을 지나 흐름 조절밸브를 거치며 서서히 압력 체크밸브 전자밸브를 거쳐 유압유 회수필터를 통해 탱크내에 저장된다.
- 자동으로 수문을 작동할때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전기 자동 콘트롤 시스템[30]에 구성되어 있는 전환 스위치를 자동에 위치하면 하천에 설치된 수위 감지기에 의하여 수위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감지된 신호는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자동 콘트롤 시스템[30]에 구성되어 있는 신호 처리기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언체[100] 또는 수문[111]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압유니 박스[51]속에 구성되어 있는 전기 모터가 자동으로 회전하며 전자밸브를 현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유압유의 이송 방향을 수위가 상승하여 E2로 올라가면 수문은 조금열리며 그래도 계속수위가 상승하면 수문은 현재보다 더 많이열려 하천에 방류량을조절하며 설정된 담수량을 조절한다.
홍수시 수위가 E1에 까지 올라가면 수문은 완전히 개방되어 하천내 자동보를 보호한다.
갈수위시 E4까지 수위가 내려가면 수문은 완전 닫힌 상태로 동작을 멈춘다.
2. 유압 부품별 역할
1. 유압 실린더 : 수문을 직접적 으로 구동한다.
2. 공기 배출기 : 유압 시스템 설치후 배관내 공기를 제거시 사용
3. 흐름 조절밸브 : 회수되는 유압유의 양을 조절한다.
4. 압력 체크밸브 : 유압유의 공급이 중단되면 배관 및 실린더 내의 현재 유압을 유지함.
5. 전자 밸브 : 유압유의 흐르는 방향을 조절함.
6. 압력 감지기 : 유압유의 압력을 감지하여 일정 압력에 도달시 모터 및 전자밸브의 작동을 중단한다.
7. 압력 조절기 : 유압계통의 이상으로 압력이 높아질 때 설정된 압력 외의 유압을 회수 라인으로 흘려 보낸다.
8. 압력계 (전기) : 현재의 유압 압력을 나타낸다.
9. 역 흐름 방지밸브 : 유압유가 거꾸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10. 자동 유압펌프 : 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유압유를 이송한다.
11. 전기 모터 : 유압 펌프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12. 공급 라인필터 : 유압 계통에 유압유를 전달하며 이물질을 제거한다.
13. 회수 라인필터 : 회수되는 유압유를 받아 이물질을 제거.
14. 진공펌프: 유니트 박스에 차있는 공기를 봅아내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수문[111]을 작동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하천제방에 별도로 구성되어 잇는 자동콘트롤 시스템[30]의 기능에 의해 언체[100]의 내부 또는 수문[111]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니트박스[51]에 안치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을 자동 또는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언체[100] 또는 수문[111]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박스[51]의 단열 기능에 의해 유압유니트박스[51]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를 현저하게 줄여줌으로 인하여 유압유니트박스[51]속에 구성되는 전기제품의 수명을 안정적으로 보호 할 수가 있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수문[111]의 내부와 언체[100]의 일정공간에 설치 할 수 있는 유니트박스[51]의 구성은 수천가지로 변형하여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틀리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열거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 정 하는 것은 아니다. 즉,진공펌프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은 현재 통용되고 있는 피스톤 펌프방식을 이용하여 유니트 박스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유니트박스의 내부를 진공으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진보된 기술을 이용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공 펌프의 구성방법을 달리하는 것은 그 기술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들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발명에 구성되는 단열부재와 방수부재들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 부재들을 이용하면 당해 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변경은 아주 쉬운 일이다, 그러므로 약간의 설계 변경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완성 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과 구조를 약간 변형하여 구성한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변형 구성한 수문 제작 기술들은그 모양과 형상이 동일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해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발휘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성 할 수 있는 수문의 작동방식은 전도식이 되었건 부상식이 되었건 모두 이용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어느 방식의 수문에 적용시킨다 해도 모두 사용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작동방식을 달리하여 구성하였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방습 칸막이의 갯 수를 달리하거나 방습 칸막이의 구성부재와 방수재료를 달리하여 수문 또는 언체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를 구성한다 해도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이와 같이 변경 구성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 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토목공사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본체를 개폐하기 위해 구성되는 실린더를 신속 조작하기 위해 유압유니트 시스템을 언체의 내부와 또는 수문의 내부에 구성하여 줌으로 인하여 하천제방과 수문사이에 장거리 배관라인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중대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언체의 내부 또는 수문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의 구조로 인하여 유압유니트 박스의 외부와 유압유니트 박스 내부의 온도차이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에 의한 습기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므로 인하여 유압유니트 박스속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유니트 박스 속에 안치되는유압유니트 세트들의 수명을 안정적으로 보장하여 줄 수가 있는 중대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또한 유압유니트 박스속의 공기를 뽑아 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 펌프의 역할에 의해 유압유니트 박스속에 안치되어 있는 유압유니트 기구들의 수명을 안정적으로 확보 할 수가 있는 중대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구조체(100)가 축조되고 지지구조체(100) 사이에 중공의 사각판 형상인 수문본체(1)가 경사지게 배치되며 수문본체(1)의 상부는 중심축에 의해 지지구조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수문과, 수문본체(1)의 저수측 하부에서 수문본체(1)의 상부 가까이를 통하여 수문본체(1)의 배수측 하부로는 하천수의 하층부분을 유입 시켜 배출 시킬수 있도록 유입수 유입구(44)가 구성되며,유입수 유입구(44) 상부에는 싸이폰 배출통로(16)가 유입수 배출구(33)와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만큼만 수문[1]이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싸이폰 통로[16]를 통하여 수문[1]의 후면부로 연속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 수문을 가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수문에 있어서,
    언체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51]를 다중의 방습 칸막이로 구성함과 함께;
    유인트박스의 안에는 유압펌프와 결합되는 전기모터를 별도로 안치 할 수 있는 모터실[82]이 구비되는 다중의 칸막이[85] 사이에 열차단 공간[84]를 구성함과 함께 유압유니트 세트를 별도로 안치 시킬수 있는 유압유니트실[86]이 모터실[82]과 별도로 구성되며 ,모타실[82]에 안치되어 있는 유압모타에서 발생시킨 유압이 유압배관라인 통로[88]를 통하여 유압유니트에 도달하면 유압유니트를 구성하는 부품의 작용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자동보 수문과 유압유니트 박스의 외부 온도와 유압 유니트 박스안의 내부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유압유니트 박스안에서 습기가 발생 하지 않도록 공간사이에 다중으로 구성되는 방습 칸막이의 구조에 의해;
    두쌍의 박스 안에 별도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기구들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도록 다중의 방습 칸막이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박스의 구성방법과 유압유니트 박스안에 안치되는 유압유니트 세트와 집적 연결되는 유압발생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수문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문의 내부에 유압유니트 박스[51]를 다중의 칸막이로 구성하여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서 결로 현상에 의해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유압유니트박스의 구조에 이해 유압유니트 박스이 내부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기구들의 수명을 연장 시킬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압유니트박스;와
    유압유니트 박스안에 안치되는 유압유니트 세트와 집적 연결되는 유압발생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수문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문의 내부 또는 언체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51]를 다중의 칸막이로 구성하여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서 결로 현상에 의해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작 할 수 있는 피스톤펌프로 구성되는 진공펌프를 구성함과 함께;
    유압 유니트 박스 안의 공기를 뽑아 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펌프의 조작하여 유압유니트박스 안에 채워져 있는 공기들을 강제로 뽑아내므로 인하여 유압유니트 박스 안에 구성되는 유압 유니트 시스템들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도록 가동 시킬수 있는 진공펌프와 결합되는 유압유니트 박스의 구성방법과 유압유니트 박스안에 안치되는 유압유니트 세트와 집적 연결되는 유압발생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장거리 유압배관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수문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수문의 내부 또는 언체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51]의 내부에 두 개의 공간과 다중의 칸막이로 구성하여 한쪽에는 유압유니트 세트들을 한쪽에는 유압펌프와 결합되는 전기모터를 결합시켜줌과 함께 별도로 각각의 공간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와 유압압력 발생 시스템(유압펌프와 전기모터와 오일탱크)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시스템의 구조와;
    이러한 구조에서 발생되는 유압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수문의 구조와;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서 결로 현상에 의해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공기를 뽑아 낼 수 있도록 작용하는 진공펌프를 구성함과 함께; 유압유니트 박스안의 공기를 뽑아 낼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펌프의 구조에 의해 유압유니트박스안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기구들의 수명을 연장 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압유니트박스의 구성방법과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자동제어시스템의 지시에 의해 작동할 수 있도록언체 또는 수문의 내부에 구성되는 유니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장거리 유압배관을 이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수문을 조작 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수문의 내부 또는 언체에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박스[51]의 내부에서 결로현상에 의한 습기가 차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 할 수 있도록 전기히터를 구성시켜줌과 함께;
    수문 또는 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압유니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히터의 작동은 유압유니트박스의 내부 온도에 따라서 하천의 제방에 구성되는 전기제어 시스템에서 자동제어 하여줌으로 인하여 유압유니트박스의 내부와 외부에서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압유니트 박스와 유니트박스 공간에 전기 히터[200]를 결합시켜 유압유니트 박스안에서 습기 발생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유압유니트박스의 내부 공간에 별도로 구성되는 모터실[82]에 안치되어 있는 유압펌프와 전기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 줄 수 있도록 모터실[82]에 냉각수를 충진 함과 함께 충진되어진 냉각수가 결빙되지 못하도록 냉각수에 부동액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1020030042861A 2003-06-12 2003-06-27 분리되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와 유압펌프 그리고 전기콘트롤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200300632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078 2003-06-12
KR1020030038078 2003-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276A true KR20030063276A (ko) 2003-07-28

Family

ID=3222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861A KR20030063276A (ko) 2003-06-12 2003-06-27 분리되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와 유압펌프 그리고 전기콘트롤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27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28B1 (ko) * 2009-06-08 2010-01-12 (주) 삼보하이드로테크 부구장치 및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수문용 자동 전기제어장치
CN104047270A (zh) * 2014-06-30 2014-09-17 江阴市顺通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模块式组合闸门
KR101707894B1 (ko) * 2016-06-08 2017-03-06 일성보산업(주) 가동보의 유압 개폐장치
KR102277999B1 (ko) * 2021-03-08 2021-07-14 안종범 수문의 파손과 이물질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판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CN114808866A (zh) * 2022-04-27 2022-07-29 黄河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防冻闸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28B1 (ko) * 2009-06-08 2010-01-12 (주) 삼보하이드로테크 부구장치 및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수문용 자동 전기제어장치
CN104047270A (zh) * 2014-06-30 2014-09-17 江阴市顺通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模块式组合闸门
KR101707894B1 (ko) * 2016-06-08 2017-03-06 일성보산업(주) 가동보의 유압 개폐장치
KR102277999B1 (ko) * 2021-03-08 2021-07-14 안종범 수문의 파손과 이물질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판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CN114808866A (zh) * 2022-04-27 2022-07-29 黄河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防冻闸门
CN114808866B (zh) * 2022-04-27 2023-09-05 黄河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防冻闸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76826A (en) Siphonic device for changing water in estuary underground reservoir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KR20110095430A (ko) 하층수 배출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첨단 친환경 공법
KR20030063276A (ko) 분리되어 구성되는 유압유니트와 유압펌프 그리고 전기콘트롤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20080064349A (ko) 파형강판 보호형 고무댐
KR200327251Y1 (ko)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유압유니트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자동보 수문
KR100807404B1 (ko) 하천의 제방보다 더 높은 형태로 구성되는 대용량의 다단계저수공간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방법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CN215482414U (zh) 混流管涵截流槽防淤积装置
KR100638485B1 (ko) 무동력 자동수문을 이용한 어도장치
KR101965109B1 (ko) 지연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 구조물
CN114301024A (zh) 一种公路隧道电缆沟隔热保温、温控和防潮系统
CN221000886U (zh) 一种河道的导流截流装置
JP2003301510A (ja) 合流式下水道の特殊人孔の構造
JP7576216B2 (ja) 万能長城型発電堤防
KR20030007248A (ko) 이중 개폐 시스템의 구조에 의해 수문의 틈새가 완전수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과그 구성방법
KR200308612Y1 (ko) 이중 배출 시스템의 역활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정화되도록 작용하는 어도 겸용 수질개선용 자동보 수문
JPH0886119A (ja) 浸水防壁工法
KR20040108445A (ko) 부력식 가동보
KR100933510B1 (ko) 조력발전용 복층형 수문 구조물
KR20010069395A (ko)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저항홈과 연결대에 의해개폐되는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KR860001676Y1 (ko) 하천제방의 카바식 수문장치
KR100296342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20010008037A (ko) 자동보의 구성방법
KR20090057783A (ko) 보조수문을 구비한 수문
KR200217658Y1 (ko) 자동보 수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8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3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5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727

Appeal identifier: 2006101007866

Request date: 2006090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906

Effective date: 200707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7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0906

Decision date: 20070727

Appeal identifier: 2006101007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