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59532A -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532A
KR20030059532A KR1020010088397A KR20010088397A KR20030059532A KR 20030059532 A KR20030059532 A KR 20030059532A KR 1020010088397 A KR1020010088397 A KR 1020010088397A KR 20010088397 A KR20010088397 A KR 20010088397A KR 20030059532 A KR20030059532 A KR 20030059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sc
switching center
mobile communication
mobil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9532A/ko
Publication of KR2003005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532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과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고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 연결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기지국과의 PCM 트래픽 전송을 상기 IP 네트워크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P) 전송 및 트래픽의 데이터 포맷 변환(Transcoding)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발생시 호 제어를 위한 신호 및 트래픽 처리를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처리할지 또는 자체적으로 처리할 지를 판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IP BASED MOBILE SWITCHING CENT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고 함)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이하 BSC라고 함)와 E1중계선 상에서 A-Interface 신호 처리를 통하여 호 제어 및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고,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기존의 MSC는 팻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 Pseudo 패킷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팻킷 데이터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 관리를제공한다. 이는 전송 기술의 발달로 인한 전송 속도의 증가와, 가입자 수 증가 및 데이터 서비스 내용의 확대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 접속률 증가 시 현재의 MSC는 증가해 가는 가입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음성 통화처리 위주의 MSC는 증가하는 팻킷 데이터 서비스의 요구로 인해 MSC의 과부하 및 호 제어 불능상태까지 발생 할 수 있다.
한편, 제3세대 CDMA 시스템은 인터넷 서비스를 필수적으로 제공하며, 유선 인터넷망 가입자가 초기 홈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로부터 할당받은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CDMA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Mobile IP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동통신망에서 IP 기반의 인터넷 프로토콜 수용은 점차적인 추세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인터넷 프로토콜은 이동통신망의 일부 요소 기술로 자리잡아 가고 있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의 모든 인프라를 IP로 대체하는 "ALL IP Network" 개념이 제안되었는데, ALL IP망이 실현된다면 무선 구간에서 인터넷 프레임이 직접 전송되고, 기존 전화망에 적용되던 공통망 신호 방식의 전용 망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이는 BSC로부터의 E1중계선상에서의 PCM 전송 정보를 IP Network상으로 VoIP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 MSC와 병행하여 MSC의 트래픽 전송 부하(load) 부담을 분산하는 기능 또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측면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VoIP/SIP(Session Initiated Protocol) 기반에서 실시간/비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인터넷 망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서비스 품질로 제공 받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E1 중계선을 이용하여 PCM 트래픽을 전송하는 기술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반이 될 Public IP Network을 활용하는 IP기반의 MSC를 사용하게 될 경우, 기존 MSC와 IP기반의 MSC를 병행하여 운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Telecommunication Technical Paradigm에 맞추어 IP 기반의 MSC를 수용하는 경우, 기존 MSC와 병행하여 운용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호 제어 방안(policy)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P기반의 MSC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신호처리 및 음성 및 데이터의 분할 전송(Voice/Data off-load) 방법을 제공하여 증가하는 트래픽에 대해 시스템의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국과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고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 연결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PCM 트래픽 전송을 상기 IP 네트워크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P) 전송 및 트래픽의 데이터 포맷 변환(Transcoding)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발생시 호 제어를 위한 신호 및 트래픽 처리를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처리할지 또는 자체적으로 처리할 지를 판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 기반 MSC를 이용한 이통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망에서 off-load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이동 통신망에서 패킷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번이 SIP(Session Initiated Protocol) phone 가입자인 경우의 off-load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P 기반 MSC를 이용한 이통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이동 통신망에서 off-load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이동 통신망에서 MS간의 호(자국호)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는 도 5의 이동 통신망에서 패킷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5의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번이 SIP(Session Initiated Protocol) phone 가입자인 경우의 off-load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스위치를 이용한 이통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 기반 MSC를 이용한 이통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전체 도면에서 A1 인터페이스는 BSC와 MSC간 호 프로세싱 시그날을 위한 것이고, A2 인터페이스는 BSC와 MSC간의 56/64kbps PCM 전송을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은 BTS(10,20)를 제어하는 BSC(30), MSC(40) 및 IP_MSC로 구성된다. BSC(30) 및 MSC(40)는 기존 이동 통신망에서의 BSC 및 MSC이고, IP_MSC(Internet Protocol MSC)(50)는 IP기반의 MSC(Mobile Switching Center)이다. 이 IP_MSC(50)는 ALL IP NAM(Network Architecture Model)의 SCM(Session Control Manager), MRF(Media Resource Function), TSG(Trunk Signaling Gateway), RSG(Roaming Signaling Gateway),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및 MGW(Media Gateway)를 포함한다. SCM은 Session을 설정 및 상태를 관리하고 네트워크간의 핸드오프시 필요한 Session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MRF(Media Resource Function)는 매체 자원 기능이라 하며 가입자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코어(Core) 망의 자원을 제공한다. TSG(Trunk Signaling Gateway)는 트렁크 신호 통로이며 코어 네크워크의 신호와 PSTN 신호를 상호 연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RSG(Roaming Signaling Gateway)는 로밍 신호 통로이며그 기능은 패킷 신호의 전송과 회선 교환망의 신호를 외부망과 전송에 관련되는 모든 책임을 지며, 또한 내부망의 세션 제어 기능을 담당한다.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매체(Media)의 상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MGW(Media Gateway)는 매체의 상호 정보가 가능하도록 변환(Convension)과 베어러(Bearer) 제어 및 신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IP_MSC(40)는 BSC(30)와의 PCM 트래픽 전송을 IP Network(70)로 VoIP 전송을 수행한다. 즉 IP_MSC(50)는 트래픽의 데이터 포맷 변환(Transcoding)을 수행한다. 즉, 호 제어를 위한 모든 신호 처리 시그날은 IP_MSC(50)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흐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이동 통신망에서 off-load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3은 이동 통신망에서 패킷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번이 SIP(Session Initiated Protocol) phone 가입자인 경우의 off-load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MS)가 발신하면, BSC(30)는 IP_MSC(50)으로 호 발신 메시지를 발신한다. 이를 수신한 IP_MSC(50)는 호 제어를 위한 신호 처리 및 트래픽을 IP_MSC(50)에서 처리 할 것인지, 아니면 MSC(40)에서 처리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를 고려 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사항으로 판단한다.
① 패킷[데이타] 서비스인 경우 IP_MSC에서 처리한다.(Packet CallProcessing off-load)
BSC(30)에서 IP_MSC(50)로의 발신 메시지의 내용 중 Service Option Parameter의 값이 패킷 호를 나타내는 경우는 IP_MSC(50)에서 신호 처리 및 트래픽을 처리한다. 즉, IP_MSC(50)에서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IP_MSC(50)는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기능을 포함한다.) 발신 측으로 무선채널 할당을 요청한 후 발신 가입자가 Service 중이라는 상태 관리를 수행한다. 발신 측 무선 채널이 할당 된 후 BSC/PCF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과 R-P Interface(A10/A11 interface)를 통해 패킷 서비스를 수행한다(도 2 참조).
② 기존 MSC의 부하 상태에 결정한다.
i) 음성 호인 경우(Voice off-load)
BSC(30)에서 IP_MSC(50)으로의 발신 메시지의 내용 중 Service Option Parameter의 값이 음성 호를 나타내는 경우 MSC(40)의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MSC(40)의 과부하(Over-Load)의 기준은 운용 사업자가 결정하며, MSC(40)의 부하상태 관리는 IP_MSC(50)와 MSC(40)간의 A1 인터페이스 메시지(interface Message)를 통해 주기적으로, MSC(40)의 부하 정보를 IP_MSC(50)에서 관리한다. MSC(40)의 부하가 정상적인 경우는 MSC(40)로 시그날(signaling)을 전송하고, MSC(40)에서는 신호처리 및 트래픽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MSC로의 bypass). 모든 A-인터페이스는 IP_MSC(50)를 경유한다. 이때, 트래픽 경로는 MS-BTS-BSC-MSC-PSTN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MS-to-MS인 경우에는 MS-BTS-BSC-MSC-착신 MS로 이루어진다.
MSC(40)의 부하 상태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는 IP_MSC(50)에서 신호 처리를수행하여 BSC(30)와 IP_MSC(50)간의 중계선을 할당하고 PCM 트래픽을 VoIP로 변환하여 IP Network으로 전송한다. 핸드오프(hand off)시 IP_MSC(50)가 Anchor가 된다(도 3 참조).
ii) Circuit 데이터 호인 경우(Circuit Switched Data(CSD) Off-load)
BSC(30)에서 IP_MSC(50)로의 발신 메시지의 내용 중 Service Option Parameter의 값이 Circuit service를 나타내는 경우 MSC(40)의 Load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처리한다.
③ 착신 번호에 따라 결정한다.
착신번이 SIP(Session Initiated Protocol) phone 가입자인 경우, IP_MSC(50)에서 처리한다(도 4 참조).
④ 착신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i) TDM 송수신인 경우
IP_MSC(50)에서 신호 처리 시그날을 수신한다. MSC 부하상태를 확인한 후 과부하인 경우IP_MSC(50)에서 신호 처리 및 트래픽 전송(TDM relay)을 수행한다. MSC(40)의 부하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는 MSC(40)로 시그날을 전송하여 MSC(40)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ii) VoIP 수신인 경우
VoIP 수신인 경우 IP_MSC(50)가 신호 처리 및 트래픽 전송을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P 기반 MSC를 이용한 이통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IP 기반 MSC 기능을 모듈화 개념을 도입하여 제어부분과 트래픽 전송 부분으로 분할하여 망을 구성할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은 BSC30), MSC(40), MGW(80), MSC Server(90) 및 CA(Call Agent)(100)으로 구성된다.
BSC(30) 및 MSC(40)는 기존 이동 통신망에서의 BSC 및 MSC이다. MGW(Media Gateway)(80)는 매체 변환(Conversion)과 베어러(Bearer) 제어 및 시그날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MGW(80)는 BSC(30)으로부터의 트래픽을 TDM(PCM)에서 VoIP로 변환 전송한다. MSC 서버(Server)(90)는 기존 이동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을 제공하며, IP 코어(Core)망으로 SIP 클라이언트(Client) 기능을 수행한다. CA(100)는 Call Agent로 IP 코어 망에서의 중계 호처리를 수행한다. MSC 서버(90)와 MSC(40)간에는 A1 인터페이스로 신호 처리한다. MSC 서버(90)와 MGW(80) 그리고 CA(100)와 MGW(80)간에는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를 통하여 베어러(Bearer) 채널(channel)을 설정 및 종료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MSC 서버(40)와 CA(100)간에는 IP Network 상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로 호 제어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2의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이동 통신망에서 off-load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7은 MS간의 호(자국호)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8는 패킷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9는 착신번이 SIP(Session Initiated Protocol) phone 가입자인 경우의 off-load 호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최초 발신가입자로부터의 발신이 있을 경우, BSC(30)는 MSC 서버(90)로 발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MSC 서버(90)는, MSC(40)에서 발신호 및 트래픽을 처리할 것인지 또는 MSC 서버(90) 및 MGW(80)에서 처리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이때 판단하는 기준은 도 1의 이동 통신망에서와 동일하다.
BSC(30)에서 MSC 서버(90)으로의 발신 메시지의 내용 중 Service Option Parameter의 값이 음성 호를 나타내는 경우 MSC(40)의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MSC(40)의 과부하(Over-Load)의 기준은 운용 사업자가 결정하며, MSC(40)의 부하상태 관리는 MSC 서버(90)와 MSC(40)간의 A1 인터페이스 메시지(interface Message)를 통해 주기적으로, MSC(40)의 부하 정보를 MSC 서버(90)에서 관리한다. MSC(40)의 부하가 정상적인 경우는 MSC(40)로 시그날(signaling)을 전송하고, MSC(40)에서는 신호처리 및 트래픽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모든 A-인터페이스 시그날은 MSC 서버(90)를 경유한다. 이때, 트래픽 경로는 MS-BTS-BSC-MSC-PSTN으로 이루어진다(MSC로의 Bypass). 한편, MS-to-MS인 경우에는 MS-BSS(BTS+BSC)-MSC-착신 MS로 이루어진다. MSC(40)의 부하 상태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는 MSC 서버(90)에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BSC(30)와 MSC 서버(90)간의 중계선을 할당하고 PCM 트래픽을 VoIP로 변환하여 IP Network으로 전송한다. 핸드오프(hand off)시 IP_MSC(50)가 Anchor가 된다(도 6, 도 7 참조).
BSC(30)에서 MSC 서버(90)로의 발신 메시지의 내용 중 Service Option Parameter의 값이 패킷 호를 나타내는 경우는 IP_MSC(50)에서 신호 처리 및 트래픽을 처리한다. 즉, 패킷[데이타] 서비스인 경우 MSC 서버(90)에서 처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스위치를 이용한 이통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ALL IP NAM 표준 모델의 AGW(Access GateWay)[FA포함]와 Softswitch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IP 기반 MSC는 IP 기반의 멀티미디어(Multimedia) 이동 단말기(MS)가 아닌 기존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만을 제공한다. 이는 ALL IP NAM 규격의 Legacy MS Domain Function을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은 BSC(30), MSC(40), AGW/FA(110), Softswitch(120)으로 구성된다. AGW(Access GateWay)/FA(110)는 보이스 트래픽(Voice Traffic)의 PCM를 VoIP로 전송 및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처리한다. Softswitch(120)는 IP 코어망에서의 호처리 시그날(Signaling)을 처리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 및 도 5의 이동 통신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이동 통신망은 Non off-load 호인 경우 트래픽 경로를 IP_MSC(50)를 통해 MSC(40)로 라우팅(Routing)하는 구성만 제외하고 도 1의 이동 통신망과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유사하게, 도 11의 이동 통신망은 Non off-load 호인 경우 트래픽 경로를 MGW(80)를 통해 MSC(40)으로 라우팅하는 구성만 제외하고 도 5의 이동 통신망과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LL IP 망으로의 변화가 필요시 되는 시점에서 자연스런진화(Seamless Migration)을 위해 기존 MSC와 IP_MSC의 공존은 필요하다. 이때 2개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 전송(off-load)라는 개념을 도입하게 되면, 증가하는 음성 및 데이터의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시스템의 신뢰성 및 다양한 Level의 통화 품질 또한 제공 가능하다. 또한 Public IP 망을 활용함에 있어서 전송로 및 시설 유지보수에 경제적이고, ALL IP망 개발로의 중간 단계로서 기술 확보에 중요한 축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7)

  1. 기지국과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고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 연결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PCM 트래픽 전송을 상기 IP 네트워크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P) 전송 및 트래픽의 데이터 포맷 변환(Transcoding)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발생시 호 제어를 위한 신호 및 트래픽 처리를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처리할지 또는 자체적으로 처리할 지를 판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은 발신 가입자에 대한 이동성을 제공하는 이동 교환국 서버와, 상기 IP 네트워크에서 중계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중계자(CA)와, 매체 변환(Conversion)과 베어러(Bearer) 제어 및 시그날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 게이트웨이(MG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은 보이스 트래픽(Voice Traffic)의 PCM를 VoIP로 전송 및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처리하는 AGW(Access GateWay)/FA와, 상기 IP 네트워크에서의 호처리 시그날(Signaling)을 처리하는 소프트스위치(Softswi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은 상기 발생한 호가 패킷 호인 경우 신호 및 트래픽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은 상기 호 발생시 상기 이동 교환국의 부하가 과부하인 경우 신호 및 트래픽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은 상기 호 발생시 착신번이 SIP(Session Initiated Protocol) 폰 가입자인 경우 신호 및 트래픽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은 상기 호 발생시 VoIP 호인 경우 신호 및 트래픽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010088397A 2001-12-29 2001-12-29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KR20030059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397A KR20030059532A (ko) 2001-12-29 2001-12-29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397A KR20030059532A (ko) 2001-12-29 2001-12-29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532A true KR20030059532A (ko) 2003-07-10

Family

ID=3221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397A KR20030059532A (ko) 2001-12-29 2001-12-29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95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606A1 (fr) * 2004-06-11 2005-12-22 Utstarcom Telecom Co., Ltd.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la gestion des ressources multimedia dans un commutateur logiciel (soft-switch)
KR100662188B1 (ko) * 2005-12-26 2006-12-27 (주) 엘지텔레콤 관문국 교환기로서 동작하는 소프트 상호접속 게이트웨이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606A1 (fr) * 2004-06-11 2005-12-22 Utstarcom Telecom Co., Ltd.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la gestion des ressources multimedia dans un commutateur logiciel (soft-switch)
KR100662188B1 (ko) * 2005-12-26 2006-12-27 (주) 엘지텔레콤 관문국 교환기로서 동작하는 소프트 상호접속 게이트웨이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4802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技術分野で呼設定を行うための手法
US7085260B2 (en) Internet protocol based wireless call processing
EP1325618B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voice over wireless packet-switched networks
US200300864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voice over IP calls
JP4532048B2 (ja) セルラ・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呼制御とベアラ制御とを分離して、レイヤ・アドレスと論理ポイントとを逆方向に転送する、基本的呼の設定の実施方法
US200903033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video call service and video interworking gateway device
KR20050023116A (ko) 다양한 억세스망들이 중첩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및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502135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p packets between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nd another element of a mobile radio network
JP4418136B2 (ja) 通信システム
JP2002185555A (ja) 通信方式および方法ならびに交換ノード
US7068644B1 (en) Wireless access gateway to packet switched network
KR20020082877A (ko) 패킷데이터용 패킷데이터 가입자 컨텍스트를 활성화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697119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베어러 인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55375A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핵심 망에서 무선 이동 통신액세스 망을 연동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7436817B2 (en) Call clearing for legacy mobile circuit switched domain wireless systems
CN102111414A (zh) 一种在窄带业务中实现宽带放音的方法及系统
EP1252783B1 (en) Method for data connection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7467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ssociated network connection with a mechanism of terminating the same
US7742450B2 (en) Method for efficient bearer traffic rou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9040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in packet switched local area networks
KR20030059532A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US20100290432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Bale Voice and Internet multimedia in UMTS networks
US20060099951A1 (en) Handover processing method in media gateways
KR100553552B1 (ko) Wcdma r4 분리형 구조 하에서의 호 처리 자원의감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