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53053A - 디지털 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053A
KR20030053053A KR1020020081693A KR20020081693A KR20030053053A KR 20030053053 A KR20030053053 A KR 20030053053A KR 1020020081693 A KR1020020081693 A KR 1020020081693A KR 20020081693 A KR20020081693 A KR 20020081693A KR 20030053053 A KR20030053053 A KR 2003005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ommand
signal
display mod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꾸준야
시오지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0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58Sequential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brows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2201/216Arrangements for recording on different types of storage medium, e.g. IC card or magnetic tape; Recording on a plurality of storage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신호 처리 회로(22)는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복수 프레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 셔터 버튼(44a) 또는 셔터 버튼(46)이 조작되면, 1프레임의 정지 화상 데이터가 압축 상태에서 광 자기 디스크(38)에 기록된다.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 표시 모드 2가 선택되면, 기록된 최신의 정지 화상 데이터와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교대로 선택되고, 선택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동화상이 모니터(30)에 표시된다. 잔상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촬영 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복수 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모니터에 공급하고, 촬영 지시가 내려졌을 때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디지털 카메라의 일례가, 2001년 10월 26일자로 출원 공개된 일본 특개2001-298693호 공보[H04N 5/9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애니메이션 촬영 모드가 준비되어 있으며, 그 촬영 모드에 의해, 소위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피사체(예를 들면, 점토 세공한 인형)를 조금씩 변화시키면서 각 프레임의 촬영을 행함으로써, 촬영된 각 프레임의 정지 화상을 포함하는 동화상 파일이 얻어진다.
그러나, 피사체의 변화량이 크면 재생 시의 피사체의 움직임이 어색하게 되고, 피사체의 변화량이 작으면 재생 시의 피사체의 움직임이 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클레이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는 피사체의 변화량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할 필요가 있어, 제작자의 부담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서는 피사체의 변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책은 채용되고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애니메이션 촬영 시의 피사체의 변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뱅크 제어 회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의 (a)는 전환 타이밍 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이고, (b)는 논리 회로(32f)의 출력을 도시하는 파형도이고, (c)는 논리 회로(32g)의 출력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4의 (a)는 전환 타이밍 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이고, (b)는 논리 회로(32i)의 출력을 도시하는 파형도이고, (c)는 논리 회로(32j)의 출력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5는 표시 모드 0 또는 1에 있어서 뱅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6은 표시 모드 2에 있어서 뱅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7은 표시 모드 2-A에서 뱅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8은 표시 모드 2-B에서 뱅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9는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의 CPU의 처리 동작의 일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의 CPU의 처리 동작의 다른 일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의 CPU의 처리 동작의 또 다른 일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의 CPU의 처리 동작의 또 다른 일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표시 모드 0 또는 1에 있어서의 뱅크 A 및 B에의 액세스 형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14의 (a)는 표시 모드 0에 있어서의 모니터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해도이고, (b)는 표시 모드 1에 있어서의 모니터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15는 표시 모드 2에 있어서의 뱅크 A 및 B에의 액세스 형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16은 표시 모드 2에 있어서의 모니터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17은 표시 모드 2-A에서의 뱅크 A 및 B에의 액세스 형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18은 표시 모드 2-A에서의 모니터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19는 표시 모드 2-B에서의 뱅크 A 및 B에의 액세스 형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20은 표시 모드 2-B에서의 모니터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2는 표시 모드 2-A에서 뱅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23은 표시 모드 2-A에서의 뱅크 A 및 B에의 액세스 양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24는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의 CPU의 처리 동작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카메라
12 : 이미지 센서
22 : 신호 처리 회로
26 : SDRAM
28 : 비디오 인코더
30 : 모니터
32 : 뱅크 제어 회로
44 : 원격 제어 장치
46 : 셔터 버튼
48 : 조작 패널
본 발명은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복수 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촬영 수단, 기록 명령이 발생할 때마다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특수 표시 명령이 발생했을 때 최신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와 촬영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정지 화상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동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이다.
촬영 수단은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복수 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기록 수단은 기록 명령이 발생할 때마다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기록한다. 표시 수단은 특수 표시 명령이 발생했을 때, 최신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와 촬영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정지 화상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동화상을 표시한다.
동화상을 형성하는 정지 화상에는 최신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이 포함된다. 따라서, 잔상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최신의 기록 화면과 이제부터 기록하고자 하는 화면 사이에서의 피사체의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록 명령 및 특수 표시 명령은 카메라 본체와 별개의 부재로 준비되는 원격 제어 장치의 키 조작에 의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키 조작에 의해 카메라 본체의 자세가 변동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최신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는 제1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촬영 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 각 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는 제2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다. 또한, 동화상을 형성하는 정지 화상 신호의 판독처는 전환 수단에 의해 제1 메모리 수단 및 제2 메모리 수단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환 수단의 전환 동작은 특수 표시 명령 후의 전환 정지 명령에 응답하여 정지 수단에 의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제1 메모리 수단이 판독처로서 계속 선택되는 경우, 최신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제2 메모리 수단이 판독처로서 계속 선택되는 경우, 촬영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복수 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로 이루어지는 동화상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면밀히 확인할 수 있다.
전환 정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키를 더 구비하는 경우, 정지 수단은 입력 키에 조작 양태에 따라 전환 동작의 정지 시간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는 이미지 센서(12)를 포함한다. 피사체의 광상은 이 이미지 센서(12)의 수광면에 입사되고, 입사 광상에 대응하는 카메라 신호(가공되지 않은 화상 신호)가 광전 변환에 의해 생성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TG)(14)는 시그널 제너레이터(SG)(16)로부터 출력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이미지 센서(12)로부터 카메라 신호를 판독한다. 각 프레임의 카메라 신호는 1/30초마다 이미지 센서(12)로부터 출력된다. 출력된카메라 신호는 CDS/AGC 회로(18)에 있어서의 주지의 노이즈 제거 및 레벨 조정을 거쳐, A/D 변환기(2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 처리 회로(22)는 A/D 변환기(20)로부터 출력된 카메라 데이터에 색 분리, RGB 변환, 화이트 밸런스 조정, YUV 변환 등의 주지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휘도 성분(Y 데이터) 및 색차 성분(U 데이터, V 데이터)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 회로(24)에 공급되어, 메모리 제어 회로(24)에 의해 SDRAM(26)의 화상 데이터 저장 에리어(26a)에 기입된다.
비디오 인코더(28)는 화상 데이터 저장 에리어(26a)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인코드한다. 인코드된 화상 신호는 모니터(30)에 공급되어, 해당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이 화면에 표시된다.
뱅크 제어 회로(32)는 SG(16)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직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레벨을 변화할 수 있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저장 에리어(26a)에는 뱅크 A 및 B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모리 제어 회로(24)는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의 레벨에 따른 뱅크에 기입하고, 비디오 인코더(28)에 공급해야 되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의 레벨에 따른 뱅크로부터 판독한다.
JPEG 코덱(34)은 CPU(40)로부터 압축 명령을 받았을 때, 화상 데이터 저장 에리어(26a)에 저장된 1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JPEG 포맷에 준한 압축 처리를 실시한다. 해당 압축 처리에 의해 생성된 JPEG 데이터는 JPEG 코덱(34)으로부터 메모리 제어 회로(24)에 공급되고, 메모리 제어 회로(24)에 의해 JPEG 데이터 저장 에리어(26b)에 저장된다.
한편, CPU(40)로부터 신장 명령을 받으면, JPEG 코덱(34)은 JPEG 데이터 저장 에리어(26b) 또는 퇴피 영역(26c)에 저장된 1프레임분의 JPEG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판독하고, 판독한 JPEG 데이터에 대하여 JPEG 포맷에 준한 신장 처리를 실시한다. 신장 화상 데이터가 얻어지면, JPEG 코덱(34)은 해당 신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화상 데이터 저장 에리어(26a)에 저장한다.
JPEG 데이터의 기록/재생 처리는 CPU(40) 및 디스크 드라이브(34)에 의해 행해진다. 기록 시, CPU(40)는 JPEG 데이터 저장 에리어(26b)에 저장된 JPEG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판독하고, 판독한 JPEG 데이터를 기록 명령과 함께 디스크 드라이브(36)에 공급한다. JPEG 데이터는 디스크 드라이브(36)에 의해 FAT(File Allocation Table) 방식으로 광 자기 디스크(38)에 기록된다. 재생 시, CPU(40)는 디스크 드라이브(36)에 재생 명령을 내리고, 디스크 드라이브(36)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38)로부터 판독된 JPEG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JPEG 데이터 저장 에리어(26b)에 기입한다. 또, 광 자기 디스크(38)는 착탈 가능한 불휘발성 기록 매체이다.
셔터 버튼(46) 및 조작 패널(48)은 시스템 컨트롤러(42)에 유선으로 접속되고, 원격 제어 장치(44)는 시스템 컨트롤러(42)에 무선으로 접속된다. 시스템 컨트롤러(42)는 셔터 버튼(46), 조작 패널(48) 또는 원격 제어 장치(44)가 조작되었을 때, 대응하는 상태 신호를 CPU(40)에 공급한다.
조작 패널(48)에는 촬영/재생 전환 키 SW, 애니메이션 키 AN, 세트 키 ST, 캔슬 키 CL, 기능 키 F1 및 F2가 설치된다. 원격 제어 장치(44)에는 셔터 버튼(44a) 외에, 촬영/재생 전환 키 SW', 애니메이션 키 AN', 세트 키 ST', 캔슬 키 CL', 기능 키 F1' 및 F2'가 설치되어 있다.
촬영/재생 키 SW 또는 SW'는 동작 모드를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키이다. 애니메이션 키 AN 또는 AN'는 촬영 모드에서 유효로 되고 또한 애니메이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 세트 키 ST 또는 ST'는 애니메이션 모드에서 유효로 되고 또한 표시 모드를 "0"∼"2"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키이다. 기능 키 F1 또는 F1'은 표시 모드 2를 표시 모드 2-A로 전환하기 위한 키이고, 기능 키 F2 또는 F2'는 표시 모드 2를 표시 모드 2-B로 전환하기 위한 키이다. 캔슬 키 CL 또는 CL'은 애니메이션 촬영 모드로부터 통상 촬영 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키이다.
뱅크 제어 회로(32)는,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전환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32a)는 SG(16)로부터 출력된 수직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1/30초마다 레벨이 변화하는 전환 타이밍 신호를 발생한다. 전환 타이밍 신호는, 도 3의 (a) 또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을 그린다. 기입용 레지스터(32b, 32c) 및 판독용 레지스터(32d, 32e)에는 표시 모드에 대응하는 수치가CPU(38)에 의해 설정된다. 기입용 레지스터(32b)는 기입용의 제1 비트값을 보유하고, 기입용 레지스터(32c)는 기입용의 제0 비트값을 보유한다. 또한, 판독용 레지스터(32d)는 판독용의 제1 비트값을 보유하고, 판독용 레지스터(32e)는 판독용의 제0 비트값을 보유한다.
전환 타이밍 신호는 논리 회로(32f, 32i)의 한쪽 입력단에 주어진다. 기입용의 제1 비트값은 논리 회로(32f)의 다른 쪽 입력단 및 논리 회로(32g)의 한쪽 입력단에 주어지고, 기입용의 제0 비트값은 논리 회로(32g)의 다른 쪽 입력단에 주어진다. 판독용의 제1 비트값은 논리 회로(32i)의 다른 쪽 입력단 및 논리 회로(32j)의 한쪽 입력단에 주어지고, 판독용의 제0 비트값은 논리 회로(32j)의 다른 쪽 입력단에 주어진다.
따라서, 도 3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입용의 제1 비트값이 "1"이면 도 3의 (a)에 도시하는 전환 타이밍 신호와 역위상의 펄스 신호가 논리 회로(32f)로부터 출력되고, 기입용의 제1 비트값이 "0"이면 하이 레벨 신호가 논리 회로(32f)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입용의 제1 비트가 "1"이면 하이 레벨 신호가 논리 회로(32g)로부터 출력되고, 기입용의 제1 비트값이 "0"이면 기입용의 제0 비트값에 따른 레벨의 신호가 논리 회로(32g)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도 4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판독용의 제1 비트값이 "1"이면 도 4의 (a)에 도시하는 전환 타이밍 신호와 동위상의 펄스 신호가 논리 회로(32i)로부터 출력되고, 판독용의 제1 비트값이 "0"이면 하이 레벨 신호가 논리회로(32i)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용의 제1 비트가 "1"이면 하이 레벨 신호가 논리 회로(32j)로부터 출력되고, 판독용의 제1 비트값이 "0"이면 판독용의 제0 비트값에 따른 레벨의 신호가 논리 회로(32j)로부터 출력된다.
논리 회로(32h)는 논리 회로(32f, 32g)의 출력에 논리곱을 실시하여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논리 회로(32k)는 논리 회로(32i, 32j)의 출력에 논리곱을 실시하여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표시 모드 0 또는 1이 선택되면, 표 1에 나타내는 수치가 CPU(40)에 의해 기입용 레지스터(32b, 32c) 및 판독용 레지스터(32d, 32e)에 설정된다. 또한, 표시 모드 2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표 2에 나타내는 수치가 CPU(40)에 의해 기입용 레지스터(32b, 32c) 및 판독용 레지스터(32d, 32e)에 설정된다. 또한, 표시 모드 2-A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표 3에 나타내는 수치가 CPU(40)에 의해 기입용 레지스터(32b, 32c) 및 판독용 레지스터(32d, 32e)에 설정되고, 표시 모드 2-B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표 4에 나타내는 수치가 CPU(40)에 의해 기입용 레지스터(32b, 32c) 및 판독용 레지스터(32d, 32e)에 설정된다.
제1 비트 제0 비트
기입용 레지스터 1 -
판독용 레지스터 1 -
제1 비트 제0 비트
기입용 레지스터 0 0
판독용 레지스터 1 -
제1 비트 제0 비트
기입용 레지스터 0 0
판독용 레지스터 0 0
제1 비트 제0 비트
기입용 레지스터 0 0
판독용 레지스터 0 1
따라서,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는 표시 모드 0 또는 1에서 도 5에 도시하는 파형을 그리고, 표시 모드 2에서 도 6에 도시하는 파형을 그리고, 표시 모드 2-A에서 도 7에 도시하는 파형을 그리고, 표시 모드 2-B에서 도 8에 도시하는 파형을 그린다.
촬영/재생 전환 스위치 SW 또는 SW'에 의해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애니메이션 키 AN 또는 AN'이 조작되었을 때, CPU(40)는 도 9∼도 12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처리한다. 또, 해당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ROM(50)에 기억되어 있다.
단계 S1에서는, 표시 모드 0을 선택하기 위해 표 1에 나타내는 수치를 뱅크 제어 회로(32)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가 뱅크 제어 회로(32)로부터 출력되고, 화상 데이터의 기입/판독은 도 13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행해진다. 즉,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의 기입처가 뱅크 A이면, 비디오 인코더(28)에 주어지는 화상 데이터의 판독처는 뱅크 B가 된다. 반대로,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의 기입처가 뱅크 B이면, 비디오 인코더(28)에 주어지는 화상 데이터의판독처는 뱅크 A가 된다.
표시 모드 0에서는, 또한 도시하지 않은 캐릭터 제너레이터를 온 상태로 한다. 캐릭터 제너레이터는 모드 정보를 나타내는 캐릭터 데이터를 출력하고, 해당 캐릭터 데이터는 비디오 인코더(28)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 다중화된다. 이 결과, 피사체의 리얼타임 동화상과 모드 정보(ANM. 30fps DUR. 0:00:00.01)가,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모니터(30)에 표시된다.
단계 S3에서는 세트 키 ST 또는 ST'의 조작 유무를 판별하여, "예)"이면 단계 S5 및 S9에서 현 시점의 표시 모드를 판별한다. 현 시점의 표시 모드가 "0"이면, 단계 S5로부터 단계 S7로 진행하고, 표시 모드 1을 선택하기 위해 캐릭터 제너레이터를 오프한다. 화면 표시는 도 14의 (a)로부터 도 14의 (b)로 변화한다.
현 시점의 표시 모드가 "1"이면, 단계 S9로부터 단계 S11로 진행하고, 표시 모드 2를 선택하기 위해 표 2에 나타내는 수치를 뱅크 제어 회로(32)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가 뱅크 제어 회로(32)로부터 출력되고, 화상 데이터의 기입/판독은 도 15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행해진다. 단계 S13에서는 SDRAM(26a)의 퇴피 영역(26c)에 퇴피된 JPEG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JPEG 코덱(34)에 명령한다. JPEG 코덱(34)은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퇴피 영역(26c)으로부터 JPEG 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JPEG 데이터를 신장한다. 신장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 회로(24)에 의해 화상 데이터 저장 영역(26a)의 뱅크 B에 기입된다.
후술하겠지만, 퇴피 영역(26c)에 저장된 JPEG 데이터는 최신의 셔터 조작에응답하여 기록된 피사체의 데이터이다. 이러한 JPEG 데이터를 신장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가 뱅크 B에 저장되고,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리얼타임으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가 뱅크 A에 저장되고, 그리고 판독처가 뱅크 A 및 B 사이에서 1/30초마다 전환된다. 이 결과,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정지 화상 데이터와 기록된 최신의 정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동화상이 도 16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모니터(30)에 표시된다.
현 시점의 표시 모드가 "2"이면, 단계 S9로부터 단계 S15로 진행하고, 표시 모드 0을 선택하기 위해 표 1에 나타내는 수치를 뱅크 제어 회로(32)에 설정하고, 또한 캐릭터 제너레이터를 온 상태로 한다. 모니터(30)의 표시는 도 14의 (a)로 되돌아간다.
단계 S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면 도 10에 도시하는 단계 S17에서 현 시점의 표시 모드를 판별하여, 표시 모드가 "2"일 때에 단계 S19∼S45의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단계 S19에서 타이머 T1 및 T2를 스톱하고, 단계 S21에서 타이머 T1 및 T2의 수치를 리세트한다. 단계 S23, S27 및 S37에서는 기능 키 F1, F1', F2 또는 F2'의 조작을 판별한다.
예를 들면 기능 키 F1, F1', F2 또는 F2'가 1초 동안 계속 눌러진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42)는 가압 개시 시에 온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1회 출력하고, 가압 해제 시에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1회 출력한다. 가압 상태가 계속되는 1초 동안은 어떠한 상태 신호도 출력되지 않는다. 단계 S23에서는 기능 키 F1 또는 F1'의 가압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S27에서는 기능 키 F2 또는 F2'의 가압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단계 S37에서는 기능 키 F1, F1', F2 또는 F2'의 가압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능 키 F1 및 F1'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온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가 출력되면, 단계 S23으로부터 단계 S25로 진행하고, 표시 모드 2-A를 선택하기 위해 표 3에 나타내는 수치를 뱅크 제어 회로(32)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가 뱅크 제어 회로(32)로부터 출력되고, 화상 데이터의 기입/판독은 도 17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행해진다. 즉, 뱅크 A가 비디오 인코더(28)에 공급하는 화상 데이터의 판독처로서 항상 선택되고, 모니터(30)에는 피사체의 리얼타임 동화상이 도 18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표시된다.
기능 키 F2 및 F2'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온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가 출력되면, 단계 S27로부터 단계 S29로 진행하고, 표시 모드 2-B를 선택하기 위해 표 4에 나타내는 수치를 뱅크 제어 회로(32)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가 뱅크 제어 회로(32)로부터 출력되고, 화상 데이터의 기입/판독은 도 19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행해진다. 즉, 뱅크 B가 비디오 인코더(28)에 공급하는 화상 데이터의 판독처로서 항상 선택되고, 모니터(30)에는 기록된 최신의 정지 화상이 도 20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표시된다.
단계 S25 또는 S29의 처리를 종료하면, 단계 S31에서 타이머 T1 및 T2를 스톱하고, 단계 S33에서 타이머 T1 및 T2를 리세트하고, 그리고 단계 S35에서 타이머T1을 개시한다. 즉, 기능 키 F1 또는 F2의 가압이 개시되었을 때는 타이머 T1에 의한 시간 계측만이 개시된다. 단계 S35의 처리를 종료하면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기능 키 F1, F1', F2 및 F2'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가 출력되면, 가압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간주하여, 단계 S37로부터 단계 S39로 진행한다. 단계 S39에서는 타이머 T1에 의한 계측 시간을 1000㎳와 비교한다. 계측 시간이 1000㎳를 초과하면, 단계 S43으로 진행하고, 표시 모드 2를 선택하기 위해 표 2에 나타내는 수치를 뱅크 제어 회로(32)에 설정한다. 즉, 기능 키 F1, F1', F2 또는 F2'의 가압 시간이 1초 이상이면, 가압의 해제와 동시에 표시 모드 2가 선택된다. 단계 S43의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 S17로 되돌아간다.
타이머 T1에 의한 계측 시간이 1000㎳ 이하이면, 단계 S41에서 타이머 T2를 개시하고, 그 후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타이머 T2에 의한 계측 시간은 단계 S45에서 판별하고, 해당 계측 시간이 2000㎳를 초과하면, 단계 S43에서 표시 모드 2를 선택한다. 즉, 기능 키 F1, F1', F2 또는 F2'의 가압 시간이 1초 이하이면, 가압의 해제와 동시에 타이머 T2에 의한 시간 계측이 개시되고, 가압의 해제로부터 2초 경과한 시점에서 표시 모드 2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기능 키 F1, F1', F2 또는 F2'의 조작 양태에 따라 표시 모드 2에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차가 생기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현행의 표시 모드가 "0" 또는 "1"이면, 단계 S17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하고, 단계 S47에서 셔터 버튼(44a) 또는 셔터 버튼(46)의 조작 유무를 판별함과 함께, 단계 S51에서 캔슬 키 CL 또는 CL'의 조작 유무를 판별한다. 셔터 버튼(44a) 또는 셔터 버튼(46)이 조작되었을 때는 단계 S49에서 촬영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 S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캔슬 키 CL 또는 CL'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애니메이션 모드를 종료한다.
단계 S49의 촬영 처리는 도 12에 도시하는 서브 루틴에 따라 실행된다. 우선, 단계 S61에서 수직 동기 신호의 발생 유무를 판별하여, "예"이면 단계 S63에서 TG14를 오프한다. TG14의 오프에 의해,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중단된다. 단계 S65에서는 커런트 뱅크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압축을 JPEG 코덱(34)에 명령한다.
JPEG 코덱(34)은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커런트 뱅크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에 JPEG 압축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생성된 JPEG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 회로(24)에 의해 JPEG 데이터 저장 영역(26b)에 기입된다. 또, 커런트 뱅크는, 뱅크 A 및 B 중 최신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뱅크이다.
단계 S67에서는 JPEG 데이터 저장 영역(26b)에 저장된 JPEG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판독하고, 판독한 JPEG 데이터를 기록 명령과 함께 디스크 드라이브(36)에 공급한다. JPEG 데이터는 디스크 드라이브(36)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38)에 기록된다.
단계 S69에서는 JPEG 데이터 저장 에리어(26b)에 저장된 JPEG 데이터를 퇴피 영역(26c)에 복사한다. 구체적으로는, JPEG 데이터 저장 영역(26b)에 저장된 JPEG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일단 판독하고, 판독한 JPEG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퇴피 영역(26c)에 기입한다. 이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38)에 기록된 최신의 JPEG 데이터와 동일한 JPEG 데이터가 퇴피 영역(26c) 내에 얻어진다. 단계 S69의 처리를 끝내면, 단계 S71에서 TG14를 온 상태로 하고, 그 후 상위 계층의 루틴으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회로(22)는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복수 프레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 셔터 버튼(44a) 또는 셔터 버튼(46)이 조작되면, 1프레임의 정지 화상 데이터가 압축 상태에서 광 자기 디스크(38)에 기록된다.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 표시 모드 2가 선택되면, 기록된 최신의 정지 화상 데이터와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교대로 선택되고, 선택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동화상이 모니터(30)에 표시된다. 따라서, 잔상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44)에 의한 키 입력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표시 모드의 전환 시나 셔터 조작 시에 카메라 자세가 변동하지 않고,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모드 0 또는 1에서는 표 5에 나타내는 수치가 뱅크 제어 회로(32)에 설정되고, 도 22에 도시하는 기입용 뱅크 제어 신호 및 판독용 뱅크 제어 신호가 뱅크 제어 회로(32)로부터 출력된다. 화상 데이터의 기입/판독은 도 23에 도시하는 요령으로 행해진다. 즉, 뱅크 A가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의 기입처, 및 비디오 인코더(28)에 공급하는 화상 데이터의 판독처로서 항상 선택된다.
제1 비트 제0 비트
기입용 레지스터 0 0
판독용 레지스터 0 0
애니메이션 모드에 있어서 셔터 버튼(44a) 또는 셔터 버튼(46)이 조작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촬영 처리는, 도 24에 도시하는 서브 루틴에 따라 실행된다. 우선, 단계 S1에서 수직 동기 신호의 발생 유무를 판별하여, "예"이면 단계 S83에서 기입용 레지스터(32b, 32c)에 "0" 및 "1"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단계 S81에서 "예"라고 판단된 후에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뱅크 B에 기입된다. 단계 S85에서는 수직 동기 신호의 발생 유무를 재차 판별하여, "예"라고 판단되면 단계 S87에서 TG14를 오프한다. 이에 의해, 뱅크 B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가 후속의 화상 데이터에 의해 덮어쓰기되지는 않는다.
단계 S89에서는 뱅크 B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압축을 JPEG 코덱(34)에 명령한다. JPEG 코덱(34)은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뱅크 B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에 JPEG 압축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생성된 JPEG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 회로(24)에 의해 JPEG 데이터 저장 영역(26b)에 기입된다.
단계 S91에서는 JPEG 데이터 저장 영역(26b)에 저장된 JPEG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 회로(24)를 통해 판독하고, 판독한 JPEG 데이터를 기록 명령과 함께 디스크드라이브(36)에 공급한다. JPEG 데이터는 디스크 드라이브(36)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38)에 기록된다.
단계 S93에서는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의 기입처를 뱅크 A로 되돌리도록, 기입용 레지스터(32b, 32c)에 "0" 및 "0"을 설정한다. 단계 S93의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 S95에서 TG14를 온 상태로 하고, 그 후 상위 계층의 루틴으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드 0 또는 1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처가 뱅크 A에 고정되고, 셔터 버튼(44a) 또는 셔터 버튼(46)이 조작되면 그 시점의 화상 데이터가 뱅크 B에 확보된다. 따라서, 표시 모드 2가 선택될 때마다 JPEG 데이터를 신장할 필요가 없고, 모드 전환에 대한 응답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모드 2가 선택되었을 때, 리얼타임 동화상을 형성하는 정지 화상과 기록된 최신의 정지 화상을 1프레임마다 교대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지만, 각각의 정지 화상이 반드시 선택되는 한, 전환 주기는 임의로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리얼타임 동화상을 형성하는 정지 화상을 M(M: 정수) 프레임 표시할 때마다 기록된 최신의 정지 화상을 N 프레임(N:M 이외의 정수) 표시하도록 해도 되고, 리얼타임 동화상을 형성하는 정지 화상을 L(L:2 이상의 정수) 프레임 표시할 때마다 기록된 최신의 정지 화상을 L 프레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전환 주기는 랜덤하게 변동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원격 제어 장치는 시스템 컨트롤러에 무선 접속되지만, 케이블에 의한 유선 접속으로 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신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이 동화상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잔상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복수 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촬영 수단과,
    기록 명령이 발생할 때마다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특수 표시 명령이 발생되었을 때 최신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와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정지 화상 신호에 따라 형성되는 동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와 별개의 부재로 준비되고 또한 키 조작에 의해 상기 기록 명령 및 상기 특수 표시 명령 중 적어도 한쪽을 발생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신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1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 각 화면의 정지 화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수단과,
    상기 동화상을 형성하는 정지 화상 신호의 판독처를 상기 제1 메모리 수단 및 상기 제2 메모리 수단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표시 명령의 후의 전환 정지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환 수단의 전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정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지 수단은 상기 입력 키에 조작 양태에 따라 상기 전환 동작의 정지 시간을 결정하는 디지털 카메라.
KR1020020081693A 2001-12-21 2002-12-20 디지털 카메라 KR20030053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9896A JP2003198900A (ja) 2001-12-21 2001-12-21 ディジタルカメラ
JPJP-P-2001-00389896 2001-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053A true KR20030053053A (ko) 2003-06-27

Family

ID=1918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693A KR20030053053A (ko) 2001-12-21 2002-12-20 디지털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117512A1 (ko)
JP (1) JP2003198900A (ko)
KR (1) KR20030053053A (ko)
CN (1) CN14276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322A (ko) * 2013-03-15 2015-11-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0905B2 (ja) * 2007-10-16 2012-05-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230381B2 (ja) * 2008-11-28 2013-07-10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03428433B (zh) * 2012-05-23 2024-04-16 杭州美盛红外光电技术有限公司 影像处理装置、影像处理系统和影像处理方法
JP5817858B2 (ja) * 2014-01-30 2015-11-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943A (en) * 1991-08-20 1996-12-31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still image signals and analog still image signals in respective recording areas
US6359649B1 (en) * 1995-04-04 2002-03-19 Canon Kabushiki Kaisa Video camera integrated with still camera
JP3435288B2 (ja) * 1996-06-20 2003-08-1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JP3551181B2 (ja) * 1999-07-05 2004-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EP1081946A3 (en) * 1999-09-03 2004-01-02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of video sig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322A (ko) * 2013-03-15 2015-11-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장치
US9742999B2 (en) 2013-03-15 2017-08-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98900A (ja) 2003-07-11
CN1427615A (zh) 2003-07-02
US20030117512A1 (en)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2690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for recording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and its control method
US6542192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digital still camera providing rapid image display by displaying low resolution image followed by high resolution image
KR100541301B1 (ko) 디지탈 카메라
US7705904B2 (en) Moving-image recording device for recording moving image
US7450162B2 (en) Digital camera creating moving image files from a plurality of captured still images
WO2000064154A1 (en) Imag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CN1981305A (zh) 图像处理器
JPH05167908A (ja) ディ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7064780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selection of still image to be recorded from multi-picture display
KR20030053053A (ko) 디지털 카메라
CN101656828B (zh) 照相机
JPH10108123A (ja) 画像再生装置
JPH06133221A (ja) 撮像装置
JP3683462B2 (ja) 動画表示装置
JP5567858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390097B2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6211324A (ja) 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ならびに、データ構造体
JP2000041163A (ja) カメラ装置
JP2000106666A (ja) 画像再生装置
KR100292498B1 (ko) 멀티모드캠코더및그의제어방법
JP2019208252A (ja) 画像再生装置
JP6562138B2 (ja) 画像再生装置
JP4225434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063405B1 (ko) 특수효과 처리 화면 분할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분할 디스플레이 방법
JPH1155619A (ja) 電子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