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52827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827A
KR20030052827A KR1020010082943A KR20010082943A KR20030052827A KR 20030052827 A KR20030052827 A KR 20030052827A KR 1020010082943 A KR1020010082943 A KR 1020010082943A KR 20010082943 A KR20010082943 A KR 20010082943A KR 20030052827 A KR20030052827 A KR 20030052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ase station
matching
stat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881B1 (ko
Inventor
박지수
박남진
김영일
문영진
김현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8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8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 설계에 있어서 각종 서비스에 대하여 새로운 서비스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 각종 서비스의 기능을 충족하는 고속 실시간 트래픽 전송을 위하여, 기지국 내부와 제어국간의 물리적인 통신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내에서는 기지국 트랜시버(BT)내에 있는 글로벌 라우터와 정합하며, 제어국 정합을 위하여 STM-1과 E1 트렁크 등의 라인정합모듈(LIU)을 수용하고, 이 라인정합모듈(LIU)을 통해서 제어국(RNC)으로부터 망동기용 클럭을 수신하여 기지국내 시스템 클럭 생성/분배(CKGD)부에 기준 클럭을 송신하여 기지국내 시스템들의 클럭에 대한 동기를 이루며, 신뢰성을 위하여 부하 분담(load share)형으로 운용하고, 제어, 음성 및 영상 등 트래픽의 성질에 따라 AAL2/AAL5 형태의 상호변환 및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수용하며, 궁극적으로는 기지국 내부와 제어국간의 물리적인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이중화 제어 채널로서 HDLC 프로토콜 통신경로를 통해 제어정보를 전달하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와의 통신은 IPC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RNC interface apparatu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TS}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에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망 기반의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UTRAN : UTM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가입자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Node-B)의 제어국(RNC)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시대를 맞이하여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3세대 이동통신인 IMT-2000, UMTS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여러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선된 무선 접속으로 다양한 이동 환경하에서 여러 가입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 방식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만 가능한 상태이며, 패킷 통신,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의 수용은 불가능한 상태이며, 종래의 비동기 기지국(Node-B)의 제어국 정합장치는 AAL2(ATM Adaptation Layer 2) 및 AAL5의 ATM 셀과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ATM 정합부에 있어서 고려되지 않아 비동기 제어국((RNC : Radio Network Controller)과의 정합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 분야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저속의 음성에서 2Mbps까지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이동 가입자에게 전 세계 어디를 가든 통화할 수 있는 국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특히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UTRAN)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가입자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Node-B)의 제어국(RNC) 정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상기 도 1의 비동기 기지국(Node-B)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정합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국(UE) 20 : 무선접속망(RAN)
30 : 기지국(Node-B) 40 : 제어국(RNC)
50 : 핵심망(C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내의 제어국 정합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트랜시버내의 라우터 정합을 위한 라우터 정합수단; 상기 라우터 정합수단과 고속의 트래픽을 상호 교환하며, 음성 및 영상 트래픽 처리시 상기 제어국으로부터의 AAL(ATM Adaptation Layer)2 형태의 비동기전달모드(ATM) 트래픽을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으로 변환하고 AAL5 형태의 트래픽을 AAL2 형태의 트래픽으로 변환하며, 제어 트래픽 처리시 업로드 및 다운로드 방향에 있어서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을 바이패스시키는 AAL2/5 형태변환수단; 상기 AAL2/5 형태변환수단과 고속의 트래픽을 상호 교환하며, 제어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 정합수단; 상기 라우터 정합수단 및 상기 AAL2/5 형태변환수단, 상기 라우터의 ATM 경로의 장애 발생시에, 이중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 트랜시버내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로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정보 전달수단; 상기 제어국 정합 장치의 각 모듈의 상태를 점검 및 운용하고, 호처리시 상기 AAL2/5 형태변환수단내의 저장장치를 엑세스하여 채널을 개폐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과 상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간 ATM 전송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AAL5 프레임을 분할 및 재결합하기 위한프레임 분할/재결합수단; 및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망동기용 클럭을 입력받아 클럭 생성/분배부로 기준 클럭을 송신하고, 상기 클럭 생성/분배부로부터 시스템에 동기되어 생성된 기준 클럭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으로 제공하여,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에서 트래픽 전송시 상기 제어국과 상기 기지국의 링크간 동기를 위해 사용되도록 하는 클럭제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각종 서비스에 대하여 새로운 서비스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 각종 서비스의 기능을 충족하는 고속 실시간 트래픽 전송을 위한 것으로서, 기지국(Node-B) 내부와 제어국(RNC)간의 물리적인 통신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Node-B)내에서는 기지국 트랜시버(BT : Base station Transceiver)내에 있는 글로벌 라우터(Global Router Interface)와 정합하며, 제어국(RNC) 정합을 위하여 STM-1과 E1 트렁크 등의 라인정합모듈(LIU : Line Interface Unit)을 수용하고, 이 라인정합모듈(LIU)을 통해서 제어국(RNC)으로부터 망동기용 클럭을 수신하여 기지국(Node-B)내 시스템 클럭 생성/분배(CKGD)부에 기준 클럭을 송신하여 기지국(Node-B)내 시스템들의 클럭에 대한 동기를 이루며, 신뢰성을 위하여 부하 분담(load share)형으로 운용하고, 제어, 음성 및 영상 등 트래픽의 성질에 따라 AAL2/AAL5 형태의 상호변환 및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수용하며, 궁극적으로는 기지국(Node-B) 내부와 제어국(RNC)간의 물리적인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이중화 제어 채널로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 통신경로를 통해 제어정보를 전달하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와의 통신은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UTRAN)을 나타내며,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UTRAN)은 이동국(UE)(10), 비동기 무선접속망(RAN)(20), 그리고 무선통신 핵심망(예를 들면, GSM-MAP core network)(50)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UTRAN)은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통신 핵심망(50)에 연결된 여러 개의 비동기 무선접속망(RAN)(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Iu"는 무선통신 핵심망(50)와 비동기 무선접속망(RAN : Radio Access Network)(2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Iur"은 비동기 무선접속망(RAN)(20)의 제어국(RNC : Radio Network Controller)(40) 사이의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이며, 그리고 "Iub"는 제어국(RNC)(40)과 기지국(Node-B)(3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Uu"는 비동기 무선접속망(RAN)(20)과 이동국(UE : User Equipment)(10)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지국(Node-B)(3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에서 이동국(UE)(10)로 또는 이동국(UE)(10)로부터 무선 송수신을 책임지고 있는 논리적인 노드이다.
비동기 무선접속망(RAN)(20)은 제어국(RNC)(40)과 기지국(Node-B)(30)으로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기지국(Node-B)(30)은 1개 이상의 셀(Cell)을 관장하며,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국(RNC)(40)과 연결된다.
제어국(RNC)(40)은 기지국(Node-B)(30)간 핸드오버시 Combining/Splitting 기능을 수행하며, 동일 기지국(Node-B)(30)내의 셀간 핸드오버의 경우에는 Combining/Splitting 기능을 제어국(RNC)(40)이 할 수도 있고 기지국(Node-B)(30)이 할 수도 있다.
이동국(UE)(10)은 가입자 식별, 인증 알고리즘 수행, 인증과 암호 저장, 그리고 단말기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이동국(UE)(10)은 AMR 음성서비스 기능, 384kbps 3G-324/M 영상서비스 기능, 144kbps 고속 패킷서비스 기능, W-CDMA 변복조 기능, USIM 기능, 계층2, 계층3 프로토콜 기능, 기지국(Node-B)(30)과 무선 정합기능, 성능분석 장치 접속 기능, 핸드셋 및 MMI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Node-B)(30)은 채널 코딩, 인터리빙, 속도 정합, 스프레딩 등과 같은 공중(Air) 인터페이스인 계층1(Layer 1) 처리 기능 수행과 무선 자원 관리 운용을 수행한다. 즉, 기지국(Node-B)(30)은 IMT-2000/3GPP 무선접속 규격에 따르는 이동국(UE)(10)과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W-CDMA 송수신 방식을 통한 무선접속종단 기능, Multi-FA 및 Multi-sector 수용 구조(2FA/3sector구현) 및 소프터 핸드오버를 통한 송수신 안테나를 수용하여 무선으로 이동국(UE)(10)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 유선 구간의 경우 ATM 기반 트래픽 처리를 통한 이동국(UE)(100)과 제어국(RNC)(40) 사이의 유무선 채널 정합 기능, 음성 및 영상 호처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제어국(RNC)(40)은 무선접속망(RAN)(20)의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한 망 요소로서, 기지국(Node-B)(30) 및 패킷 기반 IMT-2000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핵심망(CN)(50)과 접속된다. 즉, 제어국(RNC)(40)은 유무선 채널관리(Resource Management), 이동국(UE)(10)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Node-B)(30) 프로토콜 정합 및 제어, 호처리 기능, 소프트 핸드오버 처리, 핵심망(CN)(50) 프로토콜 정합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핵심망(CN)(50)은 패킷 기반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위하여 UMTS/GPRS 서비스와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P) 서비스를 구현하고, 핵심망 백본은 IP 망이 되며, 공중 데이터망(Public Data Network) 및 사설 데이터망(Private Data Network)과 연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Node-B)(30)과 제어국(RNC)(40)간 Iub 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송방식은 제어, 음성 및 영상 등 트래픽의 형태에 따라 AAL2 및 AAL5 형태의 ATM 셀로 송수신을 이룬다.
도 2 는 상기 도 1의 비동기 기지국(Node-B)의 상세 구성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31"은 기지국 트랜시버(BT : Base station Transceiver), "32"는 제어국 정합부(본 발명에 따른 제어국 정합 장치, RNC Interface Block), 그리고 "33"은 클럭 생성/분배(CKGD : Clock Gegeration & Distribution)부(Block)를 각각 나타낸다.
비동기 기지국(Node-B)(30)은 기지국 트랜시버(BT)(31)와 제어국 정합부(32) 블록부, 시스템 클럭 생성/분배(CKGD)부(33)로 구성되어 질 수 있으며, 기지국 트랜시버(31)는 송수신 안테나를 수용하고 무선주파수(RF : Radio Frequency) 전단(Front End) 및 중간 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 상향/하향 변환기능을 수행하며, 기저대역 변복조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기지국(Node-B)(30)내의 호처리 및 유지보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국 정합부(32)와 기지국 트랜시버(31)와의 통신 프로토콜은 이더넷(Ethernet)을 통한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CP(UDP)/IP)나 혹은 ATM 전송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프로세서간 통신(IPC : 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제어국(RNC)(40)과 기지국(Node-B)(30)은 모두 상위의 망으로부터 클럭을 복원 사용하는 수신종속방식으로 동작하는데, 클럭 생성/분배부(33)에서 상위망인 제어국(40)으로부터 복원한 클럭과 자체 발생시킨 클럭의 위상을 동기시켜 기지국(30)에 필요한 클럭을 생성/분배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국 정합부(32)에서 제어국(40)에 동기된 시스템 클럭을 클럭 생성/분배부(33)에 기준 클럭으로 제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정합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321"은 라우터 정합(RI : Router Interface) 모듈, "322"는 AAL2/5 형태변환(ATC : AAL2/5 Type Conversion) 모듈, "323"은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모듈, "324"는 CPU 모듈, "325"는 SAR(Segment & Reassembly) 모듈, "326"은 라인 정합(Line Interface Unit) 모듈, 그리고 "327"은 클럭(CLK : Clock) 모듈을 각각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내의 제어국 정합 장치인 제어국 정합부(32)는, 기지국 트랜시버(31)내의 라우터 정합을 위한 라우터 정합 모듈(321)과, 라우터 정합 모듈(321)과 고속의 트래픽을 상호 교환하며, 음성 및 영상 트래픽 처리시 제어국(40)으로부터의 AAL2 형태의 ATM 트래픽을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으로 변환하고 AAL5 형태의 트래픽을 AAL2 형태의 트래픽으로 변환하며, 제어 트래픽 처리시 업로드 및 다운로드 방향에 있어서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을 바이패스시키는 AAL2/5 형태변환 모듈(322)과, AAL2/5 형태변환 모듈(322)과 고속의 트래픽을 상호 교환하며, 제어국(40) 정합을 위한 라인 정합 모듈(326)과, 라우터 정합 모듈(321) 및 AAL2/5 형태변환 모듈(322), 라우터의 ATM 경로의 장애 발생시에, 이중화 제어 채널(b)을 통해 기지국 트랜시버(31)내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로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HDLC 모듈(323)과, 제어국 정합부(32)의 각 모듈의 상태를 점검 및 운용하고, 호처리시 AAL2/5 형태변환 모듈(322)내의 저장장치를 엑세스하여 채널을 개폐하는 CPU 모듈(324)과, CPU 모듈(324)과 기지국 트랜시버(31)내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간 ATM 전송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AAL5 프레임을 분할 및 재결합하기 위한 SAR 모듈(325)과, 라인 정합 모듈(326)을 통해 제어국(40)으로부터 수신된 망동기용 클럭을 입력받아 클럭 생성/분배부(33)로 기준 클럭을 송신하고, 클럭 생성/분배부(33)로부터 시스템에 동기되어 생성된 기준 클럭을 수신받아 라인 정합 모듈(326)로 제공하여, 라인 정합 모듈(326)에서 트래픽 전송시 제어국(40)과 기지국의 링크간 동기를 위해 사용되도록 하는 클럭 모듈(327)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국 정합 장치인 제어국 정합부(32)내의 각 모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라우터 정합 모듈(321)은 기지국 트랜시버(31)내에 있는 글로벌 라우터(Global Router)와 정합하기 위한 모듈인데, 기지국 트랜시버(31)와의 경로(a)는 UTOPIA 인터페이스나 Cell-bus 시스템을 구현하는 등 ATM 셀을 전송하기에 적합한 경로를 사용한다.
AAL2/5 형태변환 모듈(322)은 음성 및 영상 트래픽에 대하여 제어국(40)으로부터의 AAL2 형태의 ATM 트래픽을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으로 변환하여 기지국 내부로 전달하고, 역으로 기지국 내부로부터의 AAL5 형태의 트래픽을 AAL2 형태의 트래픽으로 변환하여 제어국(40)으로 전송하며, 제어 트래픽에 대해서는 업로드 및 다운로드 방향에 있어서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을 바이패스(By-pass)시키는 모듈로서 별도의 PBA에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AAL2/5 형태변환 모듈(322)과 라우터 정합 모듈(221)간의 경로(f)와, AAL2/5 형태변환 모듈(322) 및 라인 정합 모듈(326)과 SAR 모듈(325) 및 라인 정합 모듈(326)간의 경로(g)는 UTOPIA 인터페이스 방식을 적용하여 고속의 트래픽을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HDLC 모듈(323)은 이중화 제어 채널로서 HDLC 프로토콜 통신경로(b)를 통해 기지국 트랜시버(31)내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로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모듈이다. 즉, HDLC 모듈(323)은 라우터 정합 모듈(321), AAL2/5 형태변환 모듈(322), 혹은 상대 기지국 트랜시버(31)내 라우터의 ATM 경로에 대하여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이중화 제어 채널로서 HDLC 프로토콜 통신경로(b)를 통해 기지국 트랜시버(31)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에게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CPU 모듈(324)은 각 모듈의 상태를 점검 및 운용하고, 호처리시 AAL2/5 형태변환 모듈(322)내에 CAM이나 DPRAM 등의 저장장치를 엑세스하여 채널을 열고 닫는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SAR 모듈(325)은 CPU 모듈(324)과 기지국 트랜시버(31)내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간 ATM 전송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AAL5 프레임의 분할 및 재결합(Segment & Reassembly) 기능을 수행하며, 라인 정합 모듈(326)은 E1 링크나 STM-1 링크 등으로 궁극적인 제어국(40)과의 물리적 통신 경로(c)를 제공하는데, E1 트렁크 정합시 AAL2 및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효율적인 ATM 역다중화 장치를 이용한 하나의 고속 데이터 스트림을 다수의 저속 E1 정합 링크(Link)를 통해 전송하는 ATM Inverse 멀티플렉서 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제어국(40)과의 정합을 위해 PBA 1매당 ATM 16E1 접속기능을 가지며, AAL2/AAL5 상호 변환 처리 용량을 감안하여 할당 채널수를 700 CDMA 채널/LIU PBA로 할 때 최대 4매로 운용하도록 구성하며, CLK 모듈(327)은 라인 정합 모듈(326)에서 제어국(40)으로부터 수신한 망동기용 클럭을 입력받아 클럭의 송수신 경로(d)를 통해 시스템 클럭 생성/분배부(33)에 기준 클럭을 송신하고, 시스템 클럭 생성/분배부(33)로부터 시스템에 동기되어 생성된 기준 클럭은 다시 CLK 모듈(327)에 수신되어 라인 정합 모듈(326)에서 트래픽 전송시에 제어국(40)과 기지국간의 링크간 동기를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지국의 시스템 클럭이 GPS 수신기에만 의존하지 않고서도 상위의 망으로부터 클럭을 복원 사용하는 수신종속방식으로 상위 망과의 시스템 클럭을 동기시킬 수 있으며, 상위의 제어국 등의 망동기를 이용하여 저속의 2Mbps까지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이동 가입자에게 전세계 어디를 가든 통화할 수 있는 국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지국내의 제어국 정합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트랜시버내의 라우터 정합을 위한 라우터 정합수단;
    상기 라우터 정합수단과 고속의 트래픽을 상호 교환하며, 음성 및 영상 트래픽 처리시 상기 제어국으로부터의 AAL(ATM Adaptation Layer)2 형태의 비동기전달모드(ATM) 트래픽을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으로 변환하고 AAL5 형태의 트래픽을 AAL2 형태의 트래픽으로 변환하며, 제어 트래픽 처리시 업로드 및 다운로드 방향에 있어서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을 바이패스시키는 AAL2/5 형태변환수단;
    상기 AAL2/5 형태변환수단과 고속의 트래픽을 상호 교환하며, 제어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 정합수단;
    상기 라우터 정합수단 및 상기 AAL2/5 형태변환수단, 상기 라우터의 ATM 경로의 장애 발생시에, 이중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 트랜시버내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로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정보 전달수단;
    상기 제어국 정합 장치의 각 모듈의 상태를 점검 및 운용하고, 호처리시 상기 AAL2/5 형태변환수단내의 저장장치를 엑세스하여 채널을 개폐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과 상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간 ATM 전송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AAL5 프레임을 분할 및 재결합하기 위한 프레임 분할/재결합수단; 및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망동기용 클럭을 입력받아 클럭 생성/분배부로 기준 클럭을 송신하고, 상기 클럭 생성/분배부로부터시스템에 동기되어 생성된 기준 클럭을 수신받아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으로 제공하여,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에서 트래픽 전송시 상기 제어국과 상기 기지국의 링크간 동기를 위해 사용되도록 하는 클럭제공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 정합수단과 상기 AAL2/5 형태변환수단, 상기 AAL2/5 형태변환수단과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 상기 프레임 분할 및 재결합수단과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간의 통신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유토피아(UTOPIA) 인터페이스 방식을 적용하여 고속의 트래픽을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 정합수단은,
    통신 링크(E1 링크나 STM-1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어국과의 물리적 통신 경로를 제공하되, E1 트렁크 정합시 AAL2 및 AAL5 형태의 ATM 트래픽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TM 역다중화 장치를 이용한 하나의 고속 데이터 스트림을 다수의 저속 E1 정합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ATM Inverse 멀티플렉서 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제어국간 정합을 위해 PBA 1매당 ATM 16E1 접속기능을 가지며, AAL2/AAL5 상호 변환 처리 용량을 감안하여 할당 채널수를 700 CDMA 채널/LIU PBA로 할 때 최대 4매로 운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망동기용 클럭을 상기 클럭제공수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클럭제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시스템에 동기되어 생성된 기준 클럭을 트래픽 전송시에 상기 제어국과 상기 기지국간의 링크간 동기를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 정합 장치와 상기 기지국 트랜시버와의 통신 프로토콜은,
    이더넷을 TCP(UDP)/IP나 ATM 전송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KR10-2001-0082943A 2001-12-21 2001-12-2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KR10041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943A KR100411881B1 (ko) 2001-12-21 2001-12-2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943A KR100411881B1 (ko) 2001-12-21 2001-12-2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827A true KR20030052827A (ko) 2003-06-27
KR100411881B1 KR100411881B1 (ko) 2003-12-24

Family

ID=2957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943A KR100411881B1 (ko) 2001-12-21 2001-12-2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33B1 (ko) * 2004-05-03 2006-07-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8657A (en) * 1996-04-02 1998-01-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interfacing mobile switching center(MSC) with base station controller(BSC) of CDMA mobile system
KR100258178B1 (ko) * 1997-12-03 2000-06-01 정선종 차세대 이동통신망 제어국의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장치
KR100248074B1 (ko) * 1997-12-22 2000-03-15 정선종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KR100337639B1 (ko) * 1999-08-16 2002-05-23 오길록 차세대 이동통신망 제어국의 비동기 전송모드 정합모듈의 구조
KR20010026644A (ko) * 1999-09-08 2001-04-06 정선종 고속 실시간성 패킷 전송을 위한 기지국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노드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33B1 (ko) * 2004-05-03 2006-07-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881B1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589B2 (en) Multi-processor platform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artitioned protocol stack
AU75220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base station transceivers
US20090003831A1 (en) Network Interconn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Separated Controlling And Bearing
CN101374266A (zh) 数据发送、接收方法及无线接入点设备、网关、通信系统
CA2319528C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ata services
CN100403821C (zh) 基站及其实现方法和基站测试系统/网络系统
KR20050040087A (ko) 멀티 프레임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방법
US7092366B2 (en) Radio network controller in IMT-2000 asynchronous system
KR10041188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KR100285322B1 (ko) 비동기전송모드를 이용한 아이엠티-2000망 시스템의 제어국 장치
Ayanoglu et al. Mobile information infrastructure
Awater et al. Wireless ATM—an overview
KR19990016603A (ko) 개인 휴대 통신망
KR100447700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KR10037008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전송 모드 연결 방법
EP1597936B1 (en) Network ele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ATM and TDM traffic
JPH063046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フ方式
KR100337647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제어국 장치
EP1208719A1 (en)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Cong Wireless ATM-An Overview
Louvros et al.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Using a Wireless ATM Platform
KR20000059574A (ko) 아이엠티-2000망 시스템의 제어국내 에이에이엘 데이터의
KR20000019640A (ko) 이동통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9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6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