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51874A - 텍스타일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텍스타일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874A
KR20030051874A KR10-2003-7006995A KR20037006995A KR20030051874A KR 20030051874 A KR20030051874 A KR 20030051874A KR 20037006995 A KR20037006995 A KR 20037006995A KR 20030051874 A KR20030051874 A KR 2003005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layer
foam
backing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긴스케네스비
티페트윌리엄
밀러스코트씨
Original Assignee
밀리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910,085 external-priority patent/US20020119281A1/en
Priority claimed from US09/960,114 external-priority patent/US20020142126A1/en
Application filed by 밀리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밀리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5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87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Landscapes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실시양태에서 안정화 물질 층(158) 및 접착제 물질 층(160)을 제 1 카페트(112) 아래 및 압축된 입자, 재생 및/또는 재결합 포움 또는 쿠션화 물질의 층(178) 위에 혼입하는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과 같은 층화된 쿠션 복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텍스타일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TEXTILE PRODUCT AND METHOD}
본원에 언급된 미국 특허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4,522,857 호, 제 5,540,968 호, 제 5,545,276 호, 제 5,948,500 호 및 제 6,203,881 호(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있음)는 쿠션 백킹을 갖는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을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948,500 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원에 제시된 바와 같이, 터프트(tufted) 카페트 제품(10A)의 예가 도 1A에 도시되고 있고, 결합 카페트 제품(10B)의 예가 도 1B에도시되고 있다.
도 1A의 터프트 카페트(10A)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2)은 유리 스크림(scrim) 층(18)을 내장하는 접착제 층(16)에 결합된다. 상기 접착제 층(16)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포움 베이스 복합물(19)이 접착제로 결합된다. 이러한 터프트 카페트 구조물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2)은 통상의 터프트 방법에 의해 제 1 백킹(22)(예: 부직 텍스타일)을 통과하는 터프트 루프 파일(loop pile) 층(20)을 포함하며, 라텍스의 예비-코트 백킹 층(24) 또는 기타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터프트 카페트 제품(10A)의 포움 베이스 복합물(1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포움 층(28)에 몰딩된 중간층(26)을 포함한다.
도 1B의 결합 카페트 제품(10B)은 유리 스크림 층(18)에 배치된 접착제 라미네이트 층(16)에 의해 접착제로 결합된 동일 유형의 포움 베이스 복합물(19)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제 1 결합 카페트 패브릭(12)은, 접착제(36)(예: PVC, 라텍스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내에 주입된 절단 파일 얀(34)을 갖고, 유리섬유,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물질의 직조- 또는 부직-보강 또는 기재 층(38)을 갖는다는 점에서, 터프트 제품(10A)의 것과는 다소 상이한 구성성분을 갖는다.
터프트 형태 또는 결합된 형태의 종래 쿠션 카페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포움 베이스 복합물(19)의 형성 방법에서는, 전형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있는) 틸로트손(Tillotson)의 미국 특허 제 4,171,395 호, 제 4,132,817 호 및 제 4,512,83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 관행에 의해, 버진(virgin) 우레탄 포움을캐리어 또는 백킹 물질을 가로질러 예비-형성 및 경화시키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포움 베이스 복합물은 카페트 베이스에 적층되며, 이로 인해 쿠션 구조물을 수득할 수 있다.
전술된 특허 제 5,948,500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듈 형성 및 조립체 실시 관행과 관련된 비용은,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스크림 등의 안정화 층과 함께 또는 이를 제외하고서 폴리우레판-형성 조성물에 직접 적층시킨 후, 상기 폴리우레탄을 경화시키는 간편한 작업에 의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이 카페트 베이스를 접합시키기 전에 어떠한 예비-경화도 요구되지 않는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특허 제 5,948,500 호에 기술된 발명 이전에 공지되어 있는, 폴리우레판-쿠션 백킹을 패브릭 기재에 적용시키는 것에 관한 공지 방법들에서는,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접합 패브릭 층 모두에서, 제 1 카페트를 적층시켜 복합 구조물을 형성시키기 전에 폴리우레탄을 예비-경화시킴으로써 안정화되도록 하는 매우 근접한 온도 제어에 의존적이었다. 이러한 예비-경화는 제 1 카페트 백킹이 적용되는 안정한 포움 구조물을 수득하는데 크게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가열 패브릭 백킹의 조이너(joiner) 전에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가열하면, 포움 혼합물을 포움의 붕괴(collapse)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중합체 가교결합을 허용하였다.
또한, 특허 제 5,948,500 호에 기술된 발명은 안정한 쿠션 카페트 복합물의 동일반응계 형성에 순응하는 특히 간단한 복합 구조물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제1 카페트 패브릭을 어느 정도로 예비가열시키거나 또는 예비가열시키지 않고서 적층시킴으로써, 모든 쿠션 카페트 복합물 층을 함께 폴리우레탄의 경화 전에 중간층 물질이 없는 기계적으로 발포된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에 직접 이동시키는데 단일 공정이 사용된다.
특허 제 5,948,500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베이스는 부직 유리 보강 물질 층에 접착제로 결합되어 예비 복합물을 형성한다.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 퍼들(puddle)은 직조 또는 부직 백킹 물질을 가로질러 동시에 침착된다. 그 다음 거의 곧바로, 예비 복합물 및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은 함께 상기 예비 복합물이 상기 폴리우레탄-형성 퍼들내에 적층되며 그에 의해 지지된다. 그 다음, 구조물 전체는 가열되어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이 경화된다. 예비 복합물은 약 120℉로 약간 가열될 수 있으며, 비록 상기 과정이 이러한 예비-가열없이 실시될 수 있을지라도, 열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조지아주 라그란지 소재의 밀리켄 앤드 캄파니(Milliken & Company)에 의해 상표명 콤포트 플러스(Comfort Plus, 등록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것과 같이, 현재 시장에 시판중인 우수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 또는 모듈 쿠션 백(back) 카페트 타일은, 약 20 내지 40oz/yd2의 표면 중량, 약 38 내지 54oz/yd2의 고온 용융 층, 약 0.10 내지 0.2인치 두께의 쿠션, 약 28 내지 34oz/yd2의 쿠션 중량, 약 18lbs/ft3의 쿠션 밀도 및 약 0.4 내지 0.8인치의 제품 전체 높이를 갖는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갖는다.
이 우수한 쿠션 백 카페트 타일은 우수한 레질리언스 및 족하 편안감(under foot comfort)을 제공하고, 상업적 규모의 대량 사용을 위해 평가되는 성능 특징들을 나타내며, 산업 전반을 통해 우수한 외관, 감촉, 내마모성, 편안함, 및 쿠션 특징, 성능, 특성 등을 갖는 것과 같은 현저한 상태가 달성되었다. 이러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에서는, 사용되는 물질의 높은 품질 및 양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비교적 높다.
저품질 물질을 사용하여 바닥 피복재 또는 카페트의 비용을 절감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지만, 이러한 시도에서는 특별한 성공을 이루지 못했다. 저품질 제품은 외관, 감촉, 내마모성, 편안함, 쿠션 등의 관점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품은 산업에서 수용되지 못했으며 상업적으로 실패하였다.
비교적 저비용의 바닥 피복재,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 및 이러한 제품의 제조방법의 성공 사례중 하나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있는) 미국 특허출원 제 09/587,654 호에 기술되어 있다. 특허출원 제 09/587,654 호에는 안정한 쿠션 카페트 복합물로서 동일반응계 형성에 순응하는 저중량 복합 구조물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저중량 쿠션 카페트 복합물의 한 실시양태에서는, 보강 물질 층에 접착제로 결합되는, 터프트 또는 결합된 구조를 갖는 낮은 표면 중량의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혼입하여 예비 복합물을 형성하고 있다. 그 다음, 이 예비 복합물은 폴리우레탄-형성 물질 퍼들내에 적층된다. 그 다음, 생성된 구조물은 폴리우레탄-형성 물질을 경화시키도록 가열되어 쿠션 구조물이 수득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는, 쿠션 또는 포움 물질을 혼입하는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 층, 예컨대 재결합 포움 또는 기타 압축된 입자 포움을 바람직하게 혼입하고 있는, 비교적 낮은 비용의 환경 친화적이고 미적으로 탁월하며 안정한 및/또는 내마모성인 적층된 쿠션화 텍스타일 제품, 복합물 또는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표면 피복재, 벽 피복재 또는 바닥 피복재와 같은 종래의 텍스타일 제품, 복합물 또는 구조물보다 우수한 이점 및/또는 대안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그와 동시에, 본 발명의 텍스타일 또는 카페트 구조물은 포움 물질의 예비-형성된 예비-경화 층의 적층, 예비-형성된 제 1 카페트와 예비-형성된 포움 층의 적층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 또는 인-라인 응용 방법에 의한 제조에 적합하다. 레질리언트 접착제 물질 층(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불연속적일 수 있거나, 또는 충분히 다공성인 안정화 물질이 존재하면 이 물질 층을 가로질러 혼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층들"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불연속적이고 혼합된 덩어리 모두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조물은 간편하고도 더욱 섬세한 제조방법 모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그의 실질적 다양성을 특징으로 한다. 앞선 설명에 견주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일반적인 목적은,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예: 재결합 포움)로 제조된 물질로 형성된 포움 층 또는 쿠션을 갖는 쿠션 또는 포움 백킹 표면 피복재, 벽 피복재, 바닥 피복재, 바닥 물질,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텍스타일 제품, 복합물 또는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목적은 쿠션 또는 포움 백킹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약 45oz/yd2이하의 표면 중량의 카페트를 갖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약 70oz/yd2이하의 레질리언스 또는 고온 용융 층을 갖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경중량 표면 및/또는 쿠션을 갖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목적은 약 0.04 내지 0.50인치 두께,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09인치 두께의 경중량 쿠션을 갖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약 25lbs/ft3이하의 밀도를 갖는 재결합 포움 또는 압축된 입자 쿠션을 갖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약 4 내지 25lbs/ft3의 밀도를 갖는 재결합 포움 또는 압축된 입자 쿠션을 갖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목적은 약 26oz/yd2이하의 중량의 경중량 쿠션을 갖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목적은, 재생 포움 및/또는 입자 내용물과 함께 포움 물질을 갖는 카페트 제품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목적은, 하나 이상의 화염-적층된(flame laminated) 접합부를 갖는 백킹을 갖는 카페트 제품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 목적은,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 층을 갖는 쿠션 또는 포움 백킹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재결합 포움 층을 갖는 카페트 제품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 목적은, ASTM 3936에 따라 선형 인치당 5lbs보다 큰 탈층(delamination) 강도를 갖는 카페트 제품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 목적은, 레질리언스 및 족하 편안감(under foot comfort)을 갖는 모듈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상업적 규모의 대량 사용을 위해 평가되는 성능 특징들을 나타내는 모듈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 목적은, 바닥재, 카페트, 카페트 복합물, 카페트 타일 등과 같은 포움 또는 쿠션 백킹 텍스타일 제품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레질리언스 및 족하 편안감을 갖고, 상업적 규모의 대량 사용을 위해 평가되는 성능 특징들을 나타내는 모듈 카페트 타일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목적은, 보강 층이 제 1 카페트내에 또는 그 아래에 배치되는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관련 목적은, 제 1 카페트 패브릭이 보강 층 및 포움 압축성 또는 쿠션 백킹에 접합되는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목적은, 제 1 카페트 패브릭, 보강 층, 폴리우레탄 쿠션 물질 및 백킹 층을 포함하는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관련 목적은, 제 1 카페트와 백킹 층 사이에 보강 층을 갖는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의 연속식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목적은, 제 1 카페트 패브릭 및 그에 접착제 층에 의해 부착된 쿠션 백킹을 갖는 포움 백킹 또는 쿠션 백킹 카페트 복합물 또는 제품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관련 목적은, 포움 백킹 또는 쿠션 백킹 카페트 복합물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카페트 복합물 및 카페트 타일이, 통상의 쿼터 턴(quarter turn) "Parquet" 또는 바닥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애쉴러 (브릭) 기법(ashler (brick) technique)에 의할 뿐만 아니라, 타일을 절단하지 않고서 디자인에 부합되게 적절하게 봉합하고 카페트가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디자인 또는 배향-비의존적 디자인으로 날염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예시적인 목적에 따라, 모듈 카페트 타일이 형성되도록 절단될 수 있는 모듈 카페트 복합물은, 예컨대 약 45oz/yd2이하의 표면 중량, 약 70oz/yd2이하의 고온 용융 층 및 약 0.04 내지 0.50인치 두께의 쿠션을 갖는 제 1 카페트 또는 그레이지(greige) 카페트를 포함한다. 상기 쿠션은 약 25lbs/ft3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재생 내용물을 가지며 예기치 못한 우수한 외관, 내마모성, 레질리언스 및 족하 편안감을 가지고, 상업적 규모의 대량 사용을 위해 평가되는 성능 특징을 갖는 압축된 입자 포움 또는 재결합 포움을 혼입하는 모듈 카페트 복합물 또는 모듈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카페트 복합물 또는 카페트 타일을 표준 쿠션 백킹되거나 경질 백킹된 카페트 타일 또는 광폭 카페트 대신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재료 요구량을 감소시키며, 중량을 줄이고, 에너지 요구량을 줄이며, 환경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특정한 목적에 따라, 예를 들어 6피트 또는 12피트 폭의 모듈 카페트 복합물은 예를 들어 18인치×18인치, 36인치×36인치, 50cm×50cm, 1미터×1미터, 48인치×48인치 등과 같은 모듈 카페트 타일 또는 카페트 사각형으로 절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페트 복합물 또는 카페트 타일은 무접착제 설치, 자가-교착 등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것 뿐 만이 아닌 모든 통상적인 설치 기법에 의해 위치 또는 바닥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페트 복합물 및 카페트 타일은 배향 의존적인 디자인, 또는 디자인과 합치되도록 타일이 절단될 것을 요하고 바닥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카페트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도록 해주는 적절히 봉합하는 능력을 갖는 디자인으로 날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우수한 외관, 감촉, 내마모성, 레질리언스, 및 족하 편안감을 갖고 상업적 규모의 대량 사용을 위해 평가되는 성능 특징을 갖는 카페트 복합물 또는 카페트 타일은 제 1 카페트를 고온 용융 또는 레질리언트(resilient) 층 및 재결합 포움 쿠션과 조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저중량 모듈 카페트 타일은 카페트 타일의 구조(층 또는 성분의 수)에 따라 약 0.10 내지 0.75인치 두께,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50인치 두께의 전체 높이를 갖도록 제공되며, 임의의 통상적인형상 또는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카페트 복합물은 특히 모듈 카페트 타일용으로 어울리지만, 다른 카페트 또는 바닥재, 예컨대 카페트, 광폭융단, 영역 깔개(area rug), 러너(runner), 바닥 매트 등과 같은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특징은 재결합 포움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된 보강층과 층류(laminar) 관계로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층은 제 1 카페트 패브릭 및/또는 폴리우레탄 포움의 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특징은 부직 백킹층에 인접하게 배치된 폴리우레탄 포움과 층류 관계로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특징은 보강층 및 재결합 포움층과 층류 관계로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강층은 제 1 카페트 패브릭 및/또는 폴리우레탄 포움의 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특징은 하나 이상의 보강 물질을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기부 및/또는 쿠션층의 상부 표면에 접착시키는 동시적인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특징은 보강 물질을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기부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재결합 폴리우레탄 포움 및 백킹층을 보강 물질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특징은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형성하거나 수득하는 단계, 재결합 폴리우레탄 포움층을 형성하거나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상기 재결합 폴리우레탄 포움층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다른 추가적인 특징은 하나 이상의 접착제 도포 단위 또는 보강층을 제 1 카페트 패브릭 및/또는 포움층의 상부 표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의 연속식 인-라인 형성에 사용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특징은 접착제 조성물 또는 다른 적당한 중합체를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기부 및 포움 또는 쿠션층의 상부 표면에 침착시키기 위한 중합체 도포 단위를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의 형성에 사용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또 다른 추가적인 특징은 보강층을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기부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도포 장치를 포함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의 형성에 사용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이 제공된다. 쿠션 카페트는 제 1 기부 및 한쪽 면으로부터 외부로돌출된 다수의 파일-형성 사를 갖는 제 1 카페트를 포함한다. 보강 물질의 층을 상기 파일-형성 사 반대쪽 면 상에서 제 1 기부에 결합시킨다. 보강 물질은 재결합 포움과 같은 포움 또는 쿠션층에 인접하여 부착된다. 선택적인 백킹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쿠션층의 밑면에 배치된다. 백킹층은 쿠션층과는 반대 면에 접착제 백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이 제공된다. 쿠션 카페트는 제 1 기부 및 한쪽 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파일-형성 사를 갖는 제 1 카페트를 포함한다. 보강 물질의 층은 파일-형성 사와는 반대 면에서 제 1 기부에 결합된다. 보강 물질은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과 같은 중합체의 포움 또는 쿠션층에 인접한다. 선택적인 백킹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쿠션층의 밑면에 배치된다. 백킹 물질은 쿠션층 반대쪽에 접착제 백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이 제공된다. 쿠션 카페트는 제 1 기부 및 한쪽 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파일-형성 사를 갖는 제 1 카페트를 포함한다. 쿠션층은 파일-형성 사와는 반대 면에서 제 1 기부에 결합된다. 보강 물질은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의 2개의 층과 같은 쿠션층에 내장될 수 있다. 쿠션층은 고온 용융물과 같은 접착제의 층에 의해 제 1 카페트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인 백킹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쿠션층의 밑면에 배치된다. 백킹 물질은 쿠션층과는 반대 면에서 접착제 백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쿠션 카페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제공된다. 상기 공정은 제 1 기부의 한쪽 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파일-형성 사를 포함하는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제조 또는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강 물질의 층은 파일-형성 사가 그로부터 연장되지 않는 면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에 접착되어, 예비 복합물을 형성한다. 이후 예비 복합물을 포움 또는 쿠션층에 접착시킨다. 이 접합 조작 이후에, 카페트를 말거나, 분할(slit)하거나, 크기로 또는 타일로 절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제공된다. 상기 공정은 제 1 기부의 한쪽 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파일-형성 얀을 포함하는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후 제 1 카페트 패브릭은 포움 또는 쿠션층에 부착된다. 이 접합 조작 이후에, 복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열 경화시키고, 코딩(coding)한 후, 카페트를 타일로 절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제공된다. 상기 공정은 제 1 기부의 한쪽 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파일-형성 사를 포함하는 제 1 카페트 패브릭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강 물질의 층은 파일-형성 사가 그로부터 연장되지 않는 면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에 접착되어, 예비 복합물을 형성한다. 이후 예비 복합물은 재결합 포움 또는 쿠션층에 부착된다. 이 접합 조작 이후에 복합물을 말거나, 분할하거나, 타일로 절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보강 물질의 층을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밑면에 결합시켜 예비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보강 결합 단위, 및 예비 카페트 복합물을 포움 또는 쿠션층에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결합 단위 및 접합 단위는 연속적, 동시적 방식으로 조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보강 물질의 층을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밑면에 결합시켜 예비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보강 결합 단위, 중합체 조성물을 쿠션층의 표면을 가로질러 분산시키기 위한 중합체 도포 단위, 및 상기 카페트 복합물과 쿠션층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합 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보강 물질의 층을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밑면 및 쿠션의 정상면에 결합시켜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보강 결합 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모듈 카페트 타일은 약 45oz/yd2이하 중량으로 광폭융단을 터프트하고, 광폭융단 형태로 디자인을 인쇄하고, 재결합 포움 또는 쿠션 백킹 시스템을 도포하고, 카페트 타일이 되도록 절단함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잠재적으로 바람직한 모듈 카페트 타일은 심미적으로 쾌감을 주고 상업적, 환대, 및/또는 주거 용도를 위해 평가되는 성능 특징을 나타낸다. 카페트 패브릭, 접착제, 및 쿠션 백킹의 조합물은 또한 레질리언스 및 족하 편안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카페트, 복합물, 및 타일은 a. 터프트 구조의 카페트, b. 적용된 디자인, 패턴, 또는 색상, 및 c. 부착된 재결합 포움 또는 쿠션 백킹 때문에 광폭융단 또는 롤 제품으로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제 1 카페트 아래 및 포움 또는 쿠션층 위에 있는 레질리언트 중합체성 접착제의 분리되거나 상호혼합된 층 중간에 보강층이 배치되어 중합체성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층의 면 상에 배치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도록 된 복합물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또는 타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카페트 아래에 있고 포움층의 상부 표면에 인접한 레질리언트 중합체성 접착제의 분리되거나 상호혼합된 층 중간에 보강층을 배치하여 상기 중합체성 접착제가 제 1 카페트를 포움층에 결합시키고 상기 보강층이 상기 제 1 카페트와 포움층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의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카페트 아래 및 포움층 위에 있는 레질리언트 중합체성 접착제의 분리되거나 상호혼합된 층 중간에 섬유 유리의 보강층이 배치되어 상기 중합체성 접착제를 형성하는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상기 보강층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카페트 아래 및 포움층 위에 있는 레질리언트 중합체성 접착제의 분리되거나 상호혼합된 층 중간에 보강 또는 안정화 층 또는 물질이 배치되어 상기 중합체성 접착제를 형성하는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간층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카페트 아래 및 포움 또는 쿠션층의 위에 있는 접착제의 분리되거나 상호혼합된 층 중간에 보강 또는 안정화 층이 배치되어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보강 또는 안정화층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카페트 아래 및 포움 또는 쿠션층 위에 하나 이상의 보강층 또는 물질이 배치되어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층 또는 물질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 재결합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카페트 아래 및 포움층 위에 접착제의 하나 이상의 층에서 유리 물질의 보강층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층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보강층이 제 1 카페트 및 포움 또는 쿠션층 중간에 배치된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보강 또는 안정화층이 제 1 카페트 아래에 배치된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보강 또는 안정화층이 포움 또는 쿠션층 위에 배치된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보강 또는 안정화층을 갖는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에는 포움 또는 쿠션층 위에 제 1 카페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보강 또는 안정화 물질 또는 층이 제 1 카페트 또는 포움 또는 쿠션층 내에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에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의 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를 형성하는 적층 공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르면,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을 형성하는 인-라인 공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카페트 아래 및 포움층 위에 고온 용융 중합체성 접착제의 층들 사이에 부직 유리의 보강층이 배치되어 고온 용융 중합체성 접착제가 제 1 카페트와 포움층의 한쪽 면 사이에 연결 관계로 연장되고 상기 보강층이 상기 포움층과 제 1 카페트 사이의 위치에 고온 용융 중합체성 접착제 내에 보유되어 고온 용융물 중합체성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층의 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하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이 제공된다. 선택적인 백킹 물질 또는 다성분 백킹 복합물은 쿠션층의 밑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 또는 실시양태에 따르면, 예비형성 재결합 포움 또는 패드가 상업적 등급의 쿠션 카페트 타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약 13lb/ft3밀도의 재결합 패드는 그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결합된 각각의 부직 물질을 갖도록 예를 들어 화염 적층에 의해 개질된다. 복합물 재결합 패드는 약 0.25"의 두께를 가지며, 이를 반으로 분할하여 각각 약 0.125"의 두께를 갖고 부직 물질이 한쪽 표면에 부착된 2개의 포움 백킹을 제조한다. 다음에, 각각의 분할된 백킹을 고온용융 접착제를 사용하여 예비-코팅된 터프트 카페트 또는 라텍스 기제 결합 카페트에 직접 결합시킨 후 타일이 되도록 절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에는 직조되거나 엠보싱된 표면, 점성 표면, 접착제 표면, 마그네틱 시이트, 마그네틱 스트립 등과 같은 마찰 또는 접착력 보강 백킹 표면, 물질, 또는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6ft 폭의 쿠션 광폭융단, 12ft 폭의 쿠션 광폭융단, 4ft×8ft 쿠션 시이트 또는 타일, 4ft×4ft 쿠션 시이트 또는 타일, 36인치×36인치 타일, 1미터×1미터 타일 등과 같은 포움 또는 쿠션 백킹 카페트 또는 바닥재 복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바닥재(flooring), 카페트, 카페트 타일, 그의 구성성분 등을 비롯한, 표면 피복재, 벽 피복재 또는 바닥 피복재와 같은 텍스타일 제품, 복합물 또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결합 포움 또는 압축된 입자 포움과 같은 포움 또는 쿠션 물질을 혼입한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카페트 타일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쿠션- 또는 포움-백킹(backed) 복합물 또는 구조물을 제조, 형성, 설치 또는 사용하는 공정,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예시적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는, 본원에 인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음과 같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시될 것이다.
도 1A는 쿠션 복합물 구조의 터프트 카페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1B는 쿠션 복합물 구조를 혼입하는 결합 카페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른 카페트 구조를 형성하는 조립 공정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공정 도면이다.
도 3A는 루프 파일 터프트 제 1 카페트 표면을 혼입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른 카페트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3B는 절단 루프-터프트 제 1 카페트 표면을 혼입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카페트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3C는 결합된 제 1 카페트 표면을 혼입하는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카페트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카페트 구조를 형성하는 조립 공정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공정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카페트 구조의 조립에 대한 개략적인 공정 라인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카페트 구조의 조립에 대한 개략적인 공정 라인이다.
도 5B는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다른 카페트 구조의 조립에 대한 다른 공정 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개별의 접착제 예비-코트를 갖지 않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개별의 접착제 예비-코트를 갖지 않는 절단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2개의 상이한 접착제 층들 사이에 배치된 보강 층을 갖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7B는 2개의 상이한 접착제 층들 사이에 배치된 보강 층을 갖는 절단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7C는 2개의 상이한 접착제 층들 사이에 배치된 보강 층을 갖는 결합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8A는 2개의 라텍스 접착제 층들 사이에 배치된 보강 층을 갖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8B는 2개의 라텍스 접착제 층들 사이에 배치된 보강 층을 갖는 절단 파일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9A는 제 1 백킹의 밑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유리 보강 물질를 갖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0A는 다성분 백킹 복합물을 포함하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0B는 다성분 백킹 복합물을 포함하는 절단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0C는 다성분 백킹 복합물을 포함하는 결합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1A는 백킹 없이 포움 쿠션을 포함하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1B는 백킹 없이 포움 쿠션을 포함하는 절단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1C는 백킹 없이 포움 쿠션을 포함하는 결합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A는 이형성 접착제 백킹을 갖는 포움 쿠션을 포함하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B는 이형성 접착제 백킹을 갖는 포움 쿠션을 포함하는 절단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C는 이형성 접착제 백킹을 갖는 포움 쿠션을 포함하는 결합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3A는 밑면에 박리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성분 복합물 백킹을 포함하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3B는 밑면에 박리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성분 복합물 백킹을 포함하는 절단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3C는 밑면에 박리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성분 복합물 백킹을 포함하는 결합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4A는 쿠션 복합물 구조의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4B는 쿠션 복합물 구조를 혼입하는 결합 카페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혼입하는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추가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혼입하는 결합 카페트 구조의 추가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6A는 보강 층을 갖지 않는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6B는 보강 층을 갖지 않는 결합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7A는 터프트 카페트 구조에 대한 다른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17B는 결합 카페트 구조에 대한 다른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양태에 따른 모듈 카페트 타일 제조의 대표적인 간단한 개략적 흐름도 및 더욱 복잡한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9 내지 2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양태, 실시예, 또는 측면에 따른 대표적인 터프트 및 결합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의 구조 또는 층의 측단면도이다.
도 19A 및 20 내지 27이 제 1 카페트에서의 터프트 루프 파일을 도시하고 도 19B가 결합된 절단 파일 제 1 카페트를 도시하고 있지만, 터프트 또는 결합된 루프 및/또는 절단 파일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파일은 목적에 따라 장식, 날염, 염색 및/또는 기타 등이 처리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도 28 내지 30은 본 발명의 카페트 구조에 유용한 재결합 포움 시트 또는 패드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양태에 관한 것이다.
도 28은 칩 및 바인더의 재결합 전구체 또는 슬러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9A 및 29B는 도 28의 슬러리로부터의 재결합 포움 블록 또는 로그의 제조를 예시하는 대표적인 개략도이다.
도 30은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재결합 포움 시이트 또는 층의 제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1 내지 32는 도 30의 재결합 포움 시이트로부터의 카페트 구조의 예시적인 조립 공정을 제시하고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도 30의 포움 층을 포함하는화염-적층된 쿠션 또는 포움 복합물의 제조를 대표하는 개략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쿠션 또는 포움 복합물을 포함하는 카페트 구조의 조립에 대한 예시적인 공정 라인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통상의 폴리우레탄 포움 쿠션 물질의 횡단면의 현미경사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작은 칩 크기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른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 물질의 횡단면의 현미경사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여러 제품의 헥사포드(Hexapod) 평가 비교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 및 37은 각각 직조 및 부직 카페트 또는 바닥재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카페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 공정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도 39 및 4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선택된 실시양태에 따른 터프트 및 결합 카페트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41은 마그네틱 시이트를 포함하는 복합물 백킹을 포함하는 터프트 카페트 구조의 다른 실시양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42 및 43은 각각 내장된 마그네틱 스트립을 갖는 백킹을 포함하는 터프트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의 측단면 및 단부 구조 또는 층 도면이다.
도 44 및 45는 각각 코팅물 또는 필름 물질의 백킹을 포함하는 터프트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의 측단면 구조 또는 층 도면이다.
본 발명이 이제까지 설명되었고 이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양태, 실시예, 실행 및 절차와 관련하여 기술되고 개시될 것이지만, 이는 이러한 특정 실시양태, 실시예, 실행 및 절차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되고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및 그에 대한 모든 동등물의 실제 취지 및 범주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대안 및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라서, 표면 피복재, 벽 피복재 및 바닥 피복재와 같은 표면 또는 제품을 보호하는데, 또는 광폭 카페트 또는 바닥재 또는 모듈러 카페트 타일를 비롯한 제품을 보호하는데 사용하기 적합한 쿠션 복합물 또는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카페트 구조물 내의 성분들의 기본적인 조립 과정이 도 2, 3A, 3B 및 3C에 제공되어 있다. 유효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프트 또는 결합 카페트 구조물(110A, 110B, 110C)은 보강 물질(158) 시이트의 상부에 파일 형성 제 1 카페트 패브릭(112)과 층화된 배열로서 혼입하고 있으며, 상기 보강 물질 시이트는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임의의 백킹 층(170)(도 3A, 3B, 3C) 또는 다성분 백킹 복합물(도 10A 내지 C 및 도 13A 내지 C)를 포함할 수 있는, 재결합 포움 또는 압축 입자 포움과 같은 쿠셔닝 또는 포움(178)의 층의 상부에 위치한다. 임의의 백킹 층(170)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아크릴, 다른 적절한 섬유 또는 혼방의 부직포 또는 직포이며, 착색제, 결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복합물의 면 구성에 따라 약 80%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약 20%의 폴리프로필렌 섬유, 약 50%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약 50%의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약 100%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부직 구조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50%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20%의 폴리프로필렌 및 30%의 아크릴 섬유의 혼방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아크릴 섬유는 백킹에 바라는 색상 또는 외형을 부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선택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포움 또는 백킹은 유사한 색상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포움 및/또는 백킹은 녹색, 청색, 자주색 또는 금색을 갖는다. 백킹의 색상은 예를들면 백색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유색의 아크릴 섬유를 사용하거나 유색의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보강 물질(158) 시이트는, 이 보강 물질(158) 시이트의 각 면에 연장된, 열가소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바람직하게는, 고온 용융 접착제 등)와 같은 접착제 층(160) 들 사이에 바람직하게 위치하여 제 1 카페트 패브릭(112)과 재결합 쿠셔닝 또는 포움(178) 사이에 결합관계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 층(160)들은 상기 층들 사이에 배리어를 형성하여 보강 물질(158)와 실질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접착제 층(160) 들은 보강 물질(158)에서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섞일 수 있다. 이러한 각 경우에, 보강 물질(158)과 접착제 층(160)들 사이에 긴밀한 결합 관계 때문에 보강 물질(158)와 결합하고 있는 접착제 층(160)은 쿠셔닝 포움 또는 재결합 포움(178)과 제 1 카페트 패브릭(112) 사이를 실질적으로 안정하게 연장하는 가교 복합물을 형성한다.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은 도 1A 및 1B, 및 도 3A, 3B 및 3C와 관련하여 기재한 바와 같이 터프트 또는 결합된 배열(루프 또는 절단 파일)을 결합할 수 있다는 것도 생각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페트(112)는 임의 수의 다른 파일 형성 또는 비-파일 형성 구조물, 예를들어 제직, 편직 또는 부직 구조를 갖는 플랫 또는 가공사 패브릭(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도 36 내지 도 37).
유효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베이스의 한 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파일-형성 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 1 카페트(112)가 도 3A 및 3B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터프트 카페트인 경우, 이의 배열은 도 1A에 설명된 제 1 카페트(12)의 배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지만, 도 3B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의 파일 형성 사(121)가 선단 전단 또는 루프 절단이 실시되어 절단 파일 구조물을 형성한다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제 1 카페트(112)가 도 3C에 설명된 바와 같은 결합 제품인 경우, 이것의 배열은 도 1B에 설명된 바와 같은 결합된 제 1 카페트(12)의 배열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 1 카페트는 하나 이상의 백킹 또는 베이스 층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제 1 터프트 또는 결합 카페트 패브릭(12)이 다른 실시양태를 가질 수 있기때문에,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성분 구성은 본 발명에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파일 형성부 및 제 1 베이스 또는 백킹을 가진 임의의 제 1 카페트 패브릭이 제 1 카페트 패브릭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 1 베이스"는 임의 단일 층 또는 복합 구조, 예를들면 그 중에서도 터프트 제품(도 1A)과 관련하여 이미 기술된 제 1 백킹(22) 및 라텍스 예비-코트(24)과 결합된 제품(도 1B)과 관련하여 이미 기술된 보강 기재(38)를 가진 접착제 층(36)과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층화 복합물을 의미한다. 기대되는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구조에 폴리에스테르 또는 안정화된 물질을 사용하면 상기 구조에 실시되는 최종적인 가열 경화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당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일어날 수 있는 다른 실시양태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결합된 제품에서, 파일 형성 사는 미국 특허 제 5,443,881 호(본원에 참조로 결합됨)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재(38)에 가열 고정되어 간단한 제 1 카페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마셀(Machell)의 미국 특허 제 4,576,665 호(본원에 참조로 결합됨)에 기술된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양태가 마찬가지로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의 층들 사이에 끼인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구조와 같은 특정화된 제 1 백킹이 안정성에 관한 바라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 1 터프트 카페트에 사용함으로써 이후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 2 백킹 또는 라텍스 예비-코트에 대한 필요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만일 예비-코트가 사용되는 경우라면 임의 접착제 결합 실시 전에 직접적으로 즉시 작업 중에 첨가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의 터프트 카페트 구조물(110A)(도 3A)에 있어서, 잘 공지되고, 라텍스,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우레탄계 접착제와 같은 결합 물질 또는 접착제의 예비-코트 층(124)에 의해 그 자리에 유지된 제 1 백킹(122)에 터프트 파일-형성 사(120)의 루프 파일 층을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코트 층(124)은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형성 동안에 예비 처리 단계에서 제 1 백킹(122)에 적용될 수 있거나, 도 5A와 관련하여 이후에 기술되는 방식으로 쿠션 카페트 구조물의 형성 동안에 즉시 첨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비 카페트 패브릭(112)은 직접 또는 간접 제트 염색 또는 날염과 같은 후속의 날염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혹은 필요에 따라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비-코트 층(124)의 첨가 후에 스팀화 및/또는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은 보강 물질(158) 및/또는 쿠션 물질 또는 포움(178)의 층을 첨가하기 전에 날염 또는 염색될 수 있다.
두 개의 기본적인 제 1 백킹 구조물은 직조 폴리에스테르 및 부직 폴리에스테르이다. 각 물질은 특정 최종 용도에 따라 공학화된 다양한 구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효과적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바람직한 제 1 백킹 물질(122)은 니들 펀치화 나일론 플리스와 함께 직조 폴리프로필렌을 인치당 20픽으로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의 절단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물(110B)(도 3B)에 있어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은 잘 공지되고, 라텍스,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우레탄계 접착제와 같은 결합 물질의 예비-코트 층(124)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 제 1 백킹(122)에 터프트 파일-형성 사(120)의 루프 파일 층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파일 형성 사(120)는 선단 전단 또는 루프 절단 작업이 실시되어 도시된 바와 같은 절단 파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예비-코트 층(124)은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형성 동안 예비 처리 단계에서 제 1 백킹(122)에 적용되거나 도 5A와 관련하여 추가로 하기에 기술되는 방식으로 쿠션 카페트 구조물의 형성 동안 즉시 첨가될 수 있다.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은 예비-코트 층(124)의 첨가 후에 스팀화 및/가열되어 직접 또는 간접 분사 염색 또는 날염과 같은 후속의 날염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두 개의 기본 제 1 백킹 구조물은 직조 폴리프로필렌 및 부직 폴리에스테르이다. 각 물질은 특정 최종 용도를 위해 공학화된 다양한 구조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효과적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제 1 백킹 물질(122)은 니들 펀치화 나일론 플리스와 함께 직조 폴리프로필렌을 인치당 20픽으로 갖는다.
본 발명의 결합 카페트 구조물(110C)(도 3C)에 있어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은 유리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비롯한 직조 또는 부직 물질의 보강 또는 기재층(138)에 라미네이트화된 접착제(136)(예, 라텍스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에 삽입된 다수의 절단 파일 사(134)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이러한 기재 층(138)은 열의 인가시 절단 파일 사(134)와 함께 용융 접착되도록 라텍스 또는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로 예비-코트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사(120, 121, 및 134)는 스펀 또는 필라멘트 사일 수 있으며, 미국 델라웨어윌밍톤 소재의 듀폰(DuPont) 또는 미국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솔루티아 파이버(Solutia Fibers)와 같은 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아미드 중합체(예, 나일론 6 스테이플, 나일론 6 필라멘트, 나일론 6,6 스테이플 또는 나일론 6,6 필라멘트)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적합한 천연 또는 합성사 또는 혼방사가 당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잘 인지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의 보기로서 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또는 필라멘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올레핀류(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스테이플 또는 필라멘트); 레이욘; 및 폴리비닐 중합체(예, 폴리아크릴로니트릴)를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데니어, 플라이, 트위스트 정도, 공기 포획도 및 열경화 특성등이 실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 바람직한 물질은 나일론 6,6, 필라멘트, 1360 데니어, 1플라이, 비트위스트, 비공기 포획, 및 비열경화; 나일론 6,6, 스테이플, 3.15 면 번수, 2플라이, 트위스트, 및 열경화; 나일론 6,6, 약 1360의 총 실의 데니어를 갖는 혼방 필라멘트; 나일론 6,6, 약 2400의 총 실의 데니어를 갖는 혼방 필라멘트; 및 나일론 6,6, 약 1.8cc의 면번수를 갖는 스펀 섬유 및 2플라이를 포함한다.
비록 사(또는 섬유)가 백색 또는 밝은 색이어서 이것의 사출 염색 또는 날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가 용액 염색, 천연 착색과 같은 임의의 성질 및 색상일 수 있으며, 건조 사출 날염, 스크린 날염, 전사 날염, 그래픽 터프트, 제직, 편직 등을 위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라, 카페트에 대한 실의 면 중량은 야드 제곱당 약 20온스 미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야드 제곱당 약 15온스 이하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야드 제곱당 약 12 온스 이하일 수 있다. 비열경화 형태에서 충분한 데니어(약 1000d 내지 1400d의 범위)의 비트위스트된 실의 사용은 후속의 염색 및 스팀 작동 동안 일어나는 벌크화 때문에 비교적 낮은 면 중량에서도 플러시 범위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서, 카페트에 대한 실의 면 중량은 야드 제곱당 약 20 내지 60온스이며, 바람직하게는 야드 제곱당 약 20 내지 28 온스이다.
터프트 제품에서, 접착제 예비-코트(124)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또는 라텍스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아크릴, 및 비투멘,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EVA 또는 이것들의 기재화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블랜드와 같은 기타 적합한 물질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고온 용융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직조 또는 부직 섬유유리,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크림과 같은 보강 물질이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부가적인 접착제 층의 사용없이도 복합 라미네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접착제 예비-코트(124)은 루프 파일(120)이 제 1 백킹(122)과 적합하게 안전한 관계로 터프트되는 경우 터프트 제품에서 완전하게 제거되어 도 6A 및 6B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합성 구조물을 산출할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터프트 또는 결합된 파일 형성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 구조물은 레질리언트 중합성 접착제 물질(160)의 하나 이상의 층에의해 보강 물질(158)의 하부 시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중합성 접착제 물질(160)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조성물일 수 있다. 고온 용융 물질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유용한 고온 용융물의 보기로서 비투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물질을 들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효과적인 바람직한 고온 용융 물질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물질이다. 유용한 열경화성 접착제는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보강 물질에 접하고 있는 두 층 내에 사용되는 고온 용융 접착제의 총 질량은 카페트의 야드 제곱당 약 20 내지 약 10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패브릭의 야드 제곱당 약 35 내지 약 90온스로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강 물질(158)은 카페트 구조물이 사용 중에 압축력을 받거나 사용 및/또는 처리 중에 온도변화가 있을 때 카페트 구조물에 대한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켜 다양한 층들이 불균형하게 치수 변화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보강 물질은 2oz/yd2구조물과 같이 부직 구조물에 포획된 다수의 섬유유리(유리) 섬유를 혼입하는 시이트, 매트 또는 티슈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크릴 결합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결합제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모든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하중 내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믿어지는데, 이것이 어떤 경우에서는 잇점일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유리 스크림 물질 및 직조 또는 부직 물질(예,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을 포함한다.
도 2, 3A, 3B 및 2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합체성 접착제(160)는 바람직하게는 보강 물질(158)의 한 면에 커버링 관계로 배치된다. 이러한 내장 관계는 임의의 다수의 수동 또는 자동 기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를 들어, 이용될 수 있는 이러한 한 기법은 재결합 쿠셔닝 또는 포움 층(178)과 제 1 카페트 패브릭(112) 사이에 삽입시키기 전에 보강 물질(158)의 한 면에 접착제(160)를 직접 도포하는 것이다. 몰론 이러한 도포는,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를 들어 분무 피복법, 딥 피복법, 롤 피복법 또는 수동 도포법을 비롯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나, 이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실제 도포 메커니즘에도 불구하고, 접착제(160)는 보강 물질(158)의 각 면으로부터 커버링 관계로 연장될 것임을 고려한다. 이와 관련해서,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밑면 및 쿠션 포움 또는 재결합 포움(178)의 정상면 사이의 결합 가교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보강 물질(158)를 제 위치에 고착시키는 이중 기능을 수행할 것임을 고려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간단한 처리 배열에 따라, 예를 들어 백킹층(170)(도 3A 및 3B) 또는 다성분 백킹 복합물(도 10A 내지 10C)를 갖거나 갖지 않는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 또는 압축 입자 포움(178)의 예비성형 층은 예를 들어 제 1 피복 스테이션(192)에서 고온 용융 중합체성 접착제(160)의 하부 피복으로 밑면 상에서 피복된 유리 패브릭의 부직 시트인 보강 물질(158)와의 연결을 위해 이동 경로에 따라 제 1 접합 캘린더(191)로 전달된다. 고온 용융 중합체성 접착제(160)의 추가의 상층 피복은 이후에 제 2 피복 스테이션(193)에서 보강물질(158)의 상부면에 전체에 도포된다. 부직 보강 물질의 높은 표면적 및 상대적인 다공성 특성으로 인해, 중합체성 접착제(160)는 보강 물질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면서 동시에 이들 사이에 안정한 기계적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예비성형된 파일 형성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은 이후에 제 2 접합 캘린더(194)에서 피복된 보강 물질(158)에 오버레이 관계로 적용되어, 중합체성 접착제(160)는 쿠션 포움 또는 재결합 포움(178) 및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밑면 사이로 연장되는 결합을 달성하게 된다. 생성된 구조는 198에서 가열되거나 경화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는 도 3A, 3B 또는 3C(또는 도 6A 내지 9B, 도 11A 내지 12C, 14A, 14B 또는 3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다른 피복 스테이션 및 접합 캘린더를 부가함으로써, 백킹 물질 또는 복합물을 포움(178)의 저부에 부착시키는데 또다른 접착층(1071, 1371, 고온 용융 타이-코트)을 사용할 수 있다(도 10A 내지 10C, 13A 내지 13C, 23, 41, 42 또는 43).
미국 특허 제 5,312,888 호, 제 5,817,703 호, 제 5,880,165 호 및 제 6,136,870 호(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재결합 포움 또는 재결합 폴리우레탄 포움은 이소시아네이트계 중합체성 포움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이스를 서로 결합시키는 작용을 하는 결합제와 포움 피이스를 혼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히 폴리우레탄 포움을 재활용하기 위해 오랫동안 재결합 기법을 사용해 왔다. 일반적으로, 큰 칩 크기, 저밀도, 불균일한 밀도, 다소 약한 재결합된 폴리우레탄 포움 제품이 광폭융단 카페트 밑깔개 또는 패드로서, 및 특정 좌석 및 쿠션 용도에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재결합 포움을위한 선행 용도 뿐만 아니라 불균일하고 약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 포움이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 용도에서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은 놀라운 것이 아니다.
중합체 포움, 특히 가요성 중합체 포움은 시트, 패드, 블록 또는 유용한 형태를 갖는 물건으로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포움은 자동차 좌석, 침구 등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형태로 성형되거나 기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요성 포움은 카페트 및 가구 제조, 뿐만 아니라 장난감 등의 제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포움 시트, 패드, 블록 또는 정형 중합체 포움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폐기물 포움이 생성될 수 있다. 폐기물 포움은 가공 과정으로부터 발생되고, 크러스트가 정형 포움 대상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출발대 스톡(또는 로프)으로부터 제거되는 포움의 면적/부피를 나타낸다. 또한, 폐기물 포움은 종종 몇몇 가공 공정에서 생성되는 크러스트, 트리밍, 스크레이프, 비규격 제품일 수도 있다.
공급원이 무엇이든지, 폐기물 포움은 대체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폐기물 포움은 폐기되어야 하고 고체여서는 안되는 물질일 수 있다. 몇몇 지역에서는 매립지 공간이 부족해지고 폐기물 포움의 처리 비용이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가요성 포움의 생산으로부터 수득되는 폐기물 포움 제품, 구체적으로는 폐기물, 트림 및 스크랩을 재활용 또는 재사용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가요성 폴리우레탄 포움 스크랩을 자르고 잘게 썬 후 이소시아네이트 기능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 및 촉매로 이루어진 결합제로 피복시킨다. 피복되고 잘린 포움은 압축된 후 스팀 처리되고 결합제를 경화시켜 재결합 포움 시트 또는 다른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가요성 폴리우레탄 포움 폐기물을 재활용하거나 사용하는 또다른 공정에서는 가요성 포움 폐기물을 극저온으로 분쇄하고 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제형으로 다시 블렌딩한다. 분쇄된 가요성 포움은 폴리우레탄 포움 제형의 폴리올 성분내에서 약 20%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움 또는 이의 쿠션층에 약 10 내지 100% 이상의 재활용된 포움 또는 쿠션 함량(특히 산업후 재생되는 포움 또는 쿠션 함량)을 갖는 쿠션 카페트 복합물 또는 카페트 타일을 제조하기 위해 약 10 내지 100% 이상의 재활용된 포움, 칩, 대편, 피이스, 그라운드, 입자 등 및 결합제, 접착제 또는 예비중합체(및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한 약 10 내지 90% 이상의 재활용된 포움 또는 배결합 포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 내지 30과 관련해서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따르면, 1개 이상의 저장 호퍼(상이한 밀도, 색, 유형의 포움 칩을 각각의 호퍼에서 저장할 수 있음)로 공급되는 포움 칩, 크럼브,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포움 스크랩 또는 폐기물 등의 포움 물질을 포움 슈레더에서 슈레딩 또는 분쇄하는 과정에 의해 형성된 작은 칩 크기의 비교적 고밀도의 재결합 포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움 칩을 호퍼로부터 상이한 색, 밀도, 유형의 칩을 1종 이상의 결합제, 접착제, 예비중합체 및/또는 첨가제와 블렌딩하여 혼합시키는 블렌드 탱크로 공급하여, 1개 이상의 반응기 또는 탱크로부터 블렌딩되고 혼합된 칩 및 결합제 슬러리(예를 들어 약 85% 칩, 15% 결합제)를 형성시킨다. 상기 슬러리는 거대압축 실린더 또는 용기로 공급되어압축되고(예를 들어 2:1 내지 4:1), 열 및 증기로 처리되어 압축 상태(압축된 입자 포움)로 재결합 포움을 세팅 또는 경화시킨다. 냉각 후, 재결합 포움 로그 또는 블록을 실린더로부터 제거하고, 재결합 포움 시트 또는 패드를 로그 또는 롤의 외부로부터 밴드 나이프 또는 다른 블레이드를 갖는 박리 또는 슬라이싱 장치 또는 절단, 슬리팅 또는 필링을 위한 장치에 탑재시킨다.
도 31 및 32와 관련해서, 재결합 포움 시트는 적어도 카페트 또는 타일 물질에 적층되거나 부착된 포움 또는 쿠션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정상 및/또는 저부 표면에 또는 카페트 복합물 또는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에 적층된 1종 이상의 물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한 면에 스크림 등의 백킹, 제직물 또는 부직물을 갖는 재결합 포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 1 내지 25 lb/ft3,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22 lb/ft3,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 lb/ft3,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lb/ft3의 밀도; 약 2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2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7㎜의 두께; 약 2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10㎜의 둥근 또는 정사각형 구멍 메쉬의 재결합 칩 크기(비압축된 칩 크기); 및 적어도 한 면에 백킹 물질 또는 백킹 복합물을 갖는 재결합 포움 또는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염(196) 등의 가열 요소(195)를사용하여 복합물(159)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가열하고 3가지 예비성형된 물질(112, 159, 178)을 함께 압축시킴으로써, 한면 또는 양면에 예비-도포된 고온 용융 피복을 포함하는 예비성형된 보강 물질 복합물(158)을 예비성형된 재결합 포움 층(178) 및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에 적층시킬 수 있음을 고려한다. 바람직하다면, 예를 들어 도 3A 내지 3C, 6A 내지 14B 및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열을 197에서 생성된 구조물 또는 복합물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보강 물질(158)의 비교적 다공성인 특성으로 인해 고온 용융 접착제(160)를 상기 물질을 통해 가압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따라서, 도 2의 제 1 피복 스테이션(192)을 바람직하다면 강제 분무기, 롤 등으로 대체하여 적층 전에 보강 물질(158)의 양면을 가로질러 고온 용융 접착제(160)를 침착시킬 수 있음을 고려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 구조물은 도 2 및 4와 관련해서 상기 설명하고 기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조립 또는 적층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이를 형성하기 위해 동일 반응계 또는 인-라인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일정한 정도의 능률을 실현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도 5, 17A 및 17B와 관련해서 인라인 공정의 한 예에 따르면 예비피복 하부층이 있거나 없는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은 축압기(15)를 통해 다수의 롤에 의해 강화 결합 장치(155)로 전달된다.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이 강화 결합 장치(155)로 전달됨과 동시에 보강 물질(158) 시트는 또한 강화 결합 장치(155)로 전달된다. 보강 물질(158)는 바람직하게는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결합제, 아크릴계 결합제 등을 함유한 2.0 oz/yd2섬유유리 등의 섬유유리 부직 물질이지만, 또다른 물질로는 단지 예로서 직조 유리, 직조 폴리에스테르, 부직 유리 및 부직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강화 결합 장치(155)에서 고온 용융 중합체성 접착제 등의 접착제(160)는 바람직하게는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필름 피복기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보강 물질(158)의 적어도 정상에 도포된다. 이후에 피복된 보강 물질(158) 및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을 바람직하게는 롤(163, 165) 등의 연결 부재 사이에서 접합 관계로 통과시켜 피복된 보강 물질(158)를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밑면에 결합시킨다. 즉 보강 물질(158)은 파일 형성사가 발사되지 않는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한 면에 결합되게 된다. 보강 물질(158)과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밑면의 결합은 안정화된 예비 복합물(166)을 생성하고 접착제(160)의 또다른 피복은 피복 스테이션(179)에서 안정화된 예비 복합물(166)의 밑면에 도포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접착제 내에서 보강 물질(158)를 둘러싸고 이후에 예비성형된 재결합 포움 층(178)의 정상 또는 하기 기술되는 포움 층(178)의 노출된 정상 위에 직접 접착제, 고온 용융물 또는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 층(180)으로 적층되는 안정화된 중간 복합물(167)를 형성한다.
강화 결합 장치(155)는 필름 피복기를 도입하면서 설명하였고, 피복 스테이션(179)은 수직 도포 롤을 도입하면서 설명하였지만, 분무 피복기, 블레이드 피복기, 딥 피복기 등의 수많은 선택적 수단을 또한 이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를 들어, 접착제(160)를 도포하기 위한 몇몇 선택적 수단은 마셀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6,665 호에 개시되어 있다.
가능성 있는 바람직한 실시에 따라, 예비 복합물(166)를 형성하면서 예비성형된 재결합 포움 층, 복합물 또는 시트(178)를 바람직하게 중합체 배출 장치(176) 및 닥터 블레이드(177)를 포함하는 중합체 도포 장치(175)에 통과시킨다. 포움 층(178)을 하기 상세히 개시되는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 등의 접착제 또는 중합체(180)로 피복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예비성형된 포움 층(178)은 백킹 물질(170), 예를 들어 직조 또는 부직인, 약 10% 내지 100%의 폴리에스테르/90% 내지 0%의 폴리프로필렌, 바람직하게는 약 50%의 폴리에스테르/50%의 폴리프로필렌 부직 섬유성 물질 또는 펠트(조지아주 린골드 소재의 신세틱 인더스트리즈(Synthetic Industries)로부터 입수가능하고 착색제 또는 아크릴계 결합제 등의 결합제를 함유할 수도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한 백킹 물질을 나타내지만, 임의의 다수의 선택적 조성물 또는 복합물도 축소 및 설비에 관한 필요조건에 의해 규정되면 이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 2 백킹 물질은 부직 폴리에스테르, 부직 폴리에스테르와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 또는 직조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를 들어, 매우 작은 수축만 허용되거나 수축이 전혀 허용되지 않는 경우, 백킹 물질은 100% 이하의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또한, 부직 백킹 물질이 바람직하지만, 아크릴계, 나일론, 섬유유리 등의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이외의 물질을 혼합할 수 있으므로 제직 또는 부직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음을 고려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에서, 중합체 도포 장치(175)는 중합체 층의 높이를 목적하는 수준으로 조절한 후 쿠션 또는 포움 층(178)(도 5, 5A, 17A, 17B)의 상부에 중합체(180)를 침착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에서, 도포된 중합체는 이른바 MDI(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MDI 유도체의 연성 단편 예비중합체를 기재로 한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이다.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은 또한 바람직하게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도입시켜 예비성형된 포움 층(178)의 표면에 거쳐 전개되는 폴리우레탄 층 또는 "퍼들(puddle)" 180의 포말력 및 안정성을 둘다 개선시킨다.
예비성형된 포움 층(178)의 포움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25 lb/ft3,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20 lb/ft3의 범위이고, 약 0.04 내지 약 0.5 인치, 바람직하게는 약 0.04 내지 약 0.12 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한 가능성 있는 바람직한 배열에 따르면, 포움 밀도는 약 16 lb/ft3이하이고, 약 0.06 인치의 두께를 갖지만, 이러한 수준은 목적하는 제품 특성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
층(180) 및 예비성형된 포움 또는 재결합 쿠션(178)의 물질 형성은 폭넓은 선택 범위에서 실시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를 들어, 층(180) 및/또는 포움 쿠션 물질(178)에 관한 4개 이상의 옵션 또는 예는 순수한 폴리우레탄 및/또는 재활용된 폴리우레탄 칩, 대편, 그래뉼 등을 사용하여 시판되는 포움 제품을 수득하는데 실용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1. 순수 및/또는 재결합 폴리우레탄으로서 표준 충전된 폴리우레탄 시스템을 사용함. 한 폴리우레탄 포움은 110부의 충전제를 함유하고, 약 15 lb/ft3의 밀도로 도포된다. 두께가 0.04 내지 0.12 범위이고, 밀도 및 상기 충전제 양을 사용하여 중합체 중량만을 결정할 수 있다면, 중합체의 중량 범위는 4.32 내지 12.96 oz/yd2일 것이다.
2. 순수 및/또는 재결합 폴리우레탄에 있어서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번째 옵션은 충전제 양을 190부로 증가시키고, 밀도를 13 lb/ft3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동일한 두께 제한에서 중합체 중량은 2.72 내지 8.24 oz/yd2가 될 것이다.
3. 순수 및/또는 재결합 폴리우레탄에 있어서 세 번째 옵션은 비충전된 폴리우레탄(프라임 우레탄)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밀도는 프라임에서는 가능하지 않지만 벽 구조 및 충전제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 때문에 이들은 실행된다. 프라임이 상기 제한 두께에서 6 lb/ft3로 도포된 것을 고려하면 중합체 중량은 2.88 내지 8.64 oz/yd2일 것이다.
4. 순수 및/또는 재결합 폴리우레탄에 있어서 네 번째 옵션이 또한 가능하다. 텍스타일 러버(Textile Rubber)는 단지 15부의 충전제 물질을 갖고 6 내지 9 lb/ft3밀도에서 적용되는, 칸가하이드(KANGAHIDE)란 상표명하에 시판되는 폴리우레탄 시스템이고, 기술된 두께 제한에서 중합체를 다시 계산하면 4.3 내지 13.02oz/yd2일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수행해야 하지만, 수계 포움 시스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 또는 압축 입자 포움(압축성 입자, 칩, 크럼브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포움(개방 셀, 폐쇄 셀) 또는 물질, 예를 들어 SBR 포움, PVC 포움, 폴리에틸렌 포움, 코르크, 고무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부터 제조된 기타 압축성 입자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재결합 포움(178)에서 중합체(180) 및 버진 및/또는 재결합 폴리우레탄 칩으로서 사용하기에 잠재적으로 바람직한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은 젠킨즈(Jenkine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04,693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의 교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구체적으로, 재결합 포움에서 버진 및/또는 재결합 폴리우레탄으로서 사용되고/되거나 포움 층(178)의 표면을 가로질러 도포되는 바람직한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은 하기 성분을 포함한다:
A. 약 1000 내지 약 5000의 평균 당량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물질 1종 이상;
B. 효과량의 발포제; 및
C. 약 90 내지 약 130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를 제공하는 양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여기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30중량% 이상은 화학양론적 과잉의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그의 유도체와 약 500 내지 약 5000의 당량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유기 중합체의 반응 생성물인 연질 세그먼트 예비중합체이고, 상기 예비중합체는 약 10 내지 약 30중량%의 NCO 함량을 갖는다).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은 또한 프로카이(Proka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22,941 호(이의 교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일반적으로 개시된 바와 같은 유기실리콘(Organo-silicone) 중합체 형태의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포말성 및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선형 실록산-폴리옥시알킬렌(AB) 블록 공중합체이고, 특히 폴리알킬렌옥사이드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이다. 특히 유용한 하나의 이러한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오시 스페셜티스, 인코포레이티드(OSI Specialties, Inc., 사업장 주소는 조지아주 30092 노르크로스, 슈트 311, 코너스 파크웨이 6525인 것으로 여겨짐)로부터 L-5614라는 상표명으로 구입가능하다.
포움 층(178)의 표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의 층을 불안정화시킴이 없이 경화가 일어나서 예비 복합물(166)가 미경화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 퍼들(180)에 적층될 때까지 발포 반응 혼합물의 기포를 안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성분(A) 100중량부당 약 0.01 내지 약 2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A) 100중량부당 약 0.35 내지 약 1.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분(A) 100중량부당 약 0.4 내지 0.75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형성 중합체(180)를 포움 층(178)을 가로질러 배치한 후, 침적된 중합체의 층 또는 "퍼들"은 중합체 적용 단위(175)에 위치한 닥터 블레이드에 의해 소정 높이로 닥터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한 기계적 닥터 블레이드가 바람직하지만, 에어 나이프, 분무 피복, 롤러 피복 등과 같은 다른 동등한 수단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나이프는 예를 들어 틸러트슨(Tillot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12,831 호(참고로 인용됨)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중간 복합물(167)(이는 바람직하게는 피복된 보강 물질(158)과 결합됨)는 중간 복합물(167) 또는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180)을 상당히 가열시킬 필요 없이 적당한 수준으로 닥터링된 직후에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180)에 직접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복합물(167), 및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180)이 적용된 포움 층(178)은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의 적용 및 닥터링 직후에 실온에서 정합 롤(181)로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결합 포움(178)을 사용하면 비용이 감소되고 높은 재순환 포움 함량을 갖는 복합물이 생성된다. 바람직한 방법에서는, 적층 및 경화 동안의 조작 제어를 개선하기 위해 중간 복합물(167)의 적어도 한쪽 면을 약간 예열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예열은 목적하는 제품의 형성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시된 인-라인 또는 동일반응계 카페트 구조물의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접착제 물질(160)이 쿠셔닝 포움(178) 층에 인접하여 적층되고 그로부터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하측까지 멀리 연장되며, 보강 물질 층은 쿠셔닝 포움과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의 중간 위치에서 접착제 물질(160)내에 밀접한 관계로 내장된다. 따라서, 접착제 물질(160)의 적어도 일부는 보강 층(158)의 양측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일단 중간 복합물(167)가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180)에 적층되었으면, 생성된 최종 복합물(168)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전도, 방사 또는 대류 가열기에 의해 가열 단위(182)에서 가열되거나 경화될 수 있다. 접촉 전도 가열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은 약 2 내지 약 8분 동안 약 250 내지 약 32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열경화 조작 후, 형성된 최종의 쿠션 카페트 복합물(168)를 약 400℉에서 플레이트 가열기 또는 롤 가열기와 같은 무방향 열원(185) 위로 통과시켜 임의의 돌출 섬유를 백킹 물질(170)상에 융합시킴으로써 평활한 표면으로 만들 수 있다. 그 후, 형성된 카페트 복합물(110A, 110B, 110C)(도 3A 내지 3C 참조)는 냉각, 롤링, 절단, 슬라이싱 등이 실시될 것이다. 카페트 타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임의의 원하지 않는 커핑(cupping) 또는 컬을 피하기 위해 상기 카페트 복합물을 (롤링하기 보다는) 거의 즉시 카페트 타일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페트 타일을 복합물(168)로부터 절단한 후, 카페트 타일을 날염하거나 염색하고, 세척하고, 고착시키고, 건조시키고, 냉각하고, 적재하고, 포장하여 보관하고/하거나 소비자에게 수송한다.
많은 대체 실시를 본 발명에 포함시켜, 보강 층(158)이 접착제 물질(160)내에 봉입되어 있는 마무리가공된 구조물을 얻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페트(112)은 예를 들어 비열고정된 사를 제 1 백킹을 통해 터프트한 후, 세척하고, 스티밍하고, 건조시키고, 그 위에 모놀리스식 또는 배향 독립적 디자인, 색상 또는 패턴을 분사 또는 젯 염색하여, 예를 들어 루프 파일(120) 및 제 1 백킹(122)의 12피트 폭 제 1 카페트 전구체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이다. 비열고정된 사를 사용하고 상기 사를 다소 긴 루프 길이로 독창적으로 터프트함으로써, 세척, 스티밍, 건조 및 염색 단계에 의해 사를 수축시켜 보다 작고 단단한 루프를 형성하고 보다 치밀한 표면을 제 1 카페트 전구체에 제공한다. 다음에, 상기 제 1 카페트 전구체를 절반으로 스플리팅하고 롤링하여 스플릿 제 1 카페트 전구체(113)의 개별적인 6피트 폭 롤(115) 2개를 형성한다(도 5A).
다음에, 상기 스플릿 제 1 카페트 전구체(113)의 롤(115) 1개를 도 5A의 장치에 공급되는 초기 카페트으로서 사용한다. 라텍스 예비-코트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 피복(124)를 제 1 카페트 전구체(113)의 배면에 가하여, 축압기(150)의 하류 및 보강재 결합 단위(155)의 상류에서 도 5A의 장치의 상부를 주행시켜 제 1 카페트 패브릭(112)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라텍스 예비-코트(119)의 박층을 피복 롤러(117)를 사용하여 제 1 카페트 전구체(113)의 배면에 적용한다. 상기 공정의 나머지는 상기에서 도 5에 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진행된다.
또다른 가능한 실시에 따라,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셔닝 포움 또는 재결합 포움(178)은 예비성형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5A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중간 복합물(167)과 결합시키기 위해 정합 롤(181)로 전달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예비성형된 쿠셔닝 포움(178)은 그의 하측을 가로질러 배치된 목적하는 백킹 물질(170) 또는 다성분 백킹 복합물(도 10A 내지 10C 및 도 13A 내지 13C)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비성형된 포움 층(178)의 상면을, 예를 들어 가열기(195) 및 화염(196)에 의해 가열하여 상면을 가열하거나 용융시켜 포움 층(178)에 대한 복합물(167)의 부착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5B의 롤 도포기(179)는 제거될 수도 있고, 가열기(195) 및 불꼿(196)을 사용하여 발포 층(178)을 복합물(166)의 보강 물질(158)에 접착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도 5 및 5A의 중합체 적용 단위(175) 또는 롤 도포기(179)는 제거될 수도 있고, 복합물(166 또는 167)은 접착제(160) 또는 중합체(180)에 의해 발포 층(178)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물질(158) 또는 복합물(159) 및 이와 관련된 피복 결합 단위는 추가의 보강 층 또는 물질이 필요하거나 요구되지 않는 경우 또는 보강 물질이 이미 카페트 및/또는 포움 또는 쿠션에 또는 그의 일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 4, 5, 5A 및/또는 5B의 공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도 15A, 15B, 16A, 19A, 19B, 20, 21, 22, 24, 25 및 36).
본 발명의 장치는 제 1 백킹내의 사를 터프트하고, 터프트 사를 염색하고, 제 1 백킹의 배면을 라텍스 예비-코트하고, 섬유유리 보강 물질을 고온 용융 피복하고, 쿠션 또는 포움을 펠트 제 2 백킹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으면서 성형하고, 제 1 카페트, 보강용 섬유유리, 및 포움 또는 쿠셔닝 층을 적층하고, 적층물을 가열하거나 경화시키고, 생성된 카페트 복합물을 카페트 타일, 러너, 영역 깔개 등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타일을 염색하거나 날염하고, 생성된 제품을 포장하는 조립 공정 전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을 그의 각각의 단계들로 나누어서 연속 방식보다는 배치 방식으로 수행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 1 카페트는 하나의 조작으로 성형되어 롤에 감기거나 빈(bin)으로 절첩될 수 있다. 쿠션, 백킹 또는 포움 층은 별개의 조작으로 성형되어 롤에 감기거나 빈으로 절첩될 수 있다. 상기 예비성형된 제 1 카페트 및 쿠션 백킹은 접착제, 고온 용융물, 보강 층을 포함한 고온 용융물 등을 사용하여 정합 단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온 용융물 및 보강 물질 복합물은 예비성형되어 롤에 감기거나 빈으로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예비 복합물(166), 중간 복합물(167) 또는 최종 복합물(168)(도 5, 5A, 5B)는 예비성형되어 롤에 감기거나 빈으로 절첩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는 포움 백킹 또는 쿠션 카페팅 또는 카페트 타일에 대한 상당수의 대체 실시양태 및 형태가 존재한다. 도 6A 및 6B(여기서, 전술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는 600 단위내의 상응하는 참조번호에 의해 표시됨)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프트 루프 파일 및 터프트 절단 파일 구조물(610A 및 610B)은 제 1 백킹(622)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전술한 부직 유리 또는 스크림 물질과 같은 보강 물질(658)의 시이트와 접촉하여 연장되는 고온 용융 접착제(660)의 제 1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고온 용융 접착제(660)의 제 1 층은 터프트(620, 621)을 제 1 백킹(622)에 대해 적소에 고착시키는 기능을 함으로써, 별도의 라텍스 또는 고온 용융 예비-코트를 사용할 필요가없게 한다. 고온 용융 접착제(660)의 제 2 층은 보강 물질(658)로부터 포움 쿠션 또는 재결합 물질(678)과 접촉 관계로 멀리 연장되어, 제 1 카페트(612)과 포움 쿠션 또는 재결합 물질(678) 사이에 결합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보강 물질(658)의 상면과 제 1 백킹(622)의 하측 사이에 단일 접착제 층이 연장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로서, 상기 구조물은 도 2, 4, 5 또는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현되거나, 도 5A에서 라텍스 예비-코트(119)을 제거하되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조작을 달리 수행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7A, 7B 및 7C(여기서,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700 단위내의 상응하는 참조번호로 표시됨)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프트 루프 파일 구조물(710A), 터프트 절단 파일 구조물(710B) 및 결합된 절단 파일 구조물(710C)은 보강 물질(758) 층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탄성 접착제(760)의 제 1 층(이는 보강 물질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탄성 접착제(760')의 제 2 층과는 상이한 특성의 것일 수도 있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모든 다른 면에서는 구성이 실질적으로 도 3A, 3B 및 3C 또는 도 6A 및 6B에 관해 예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고, 조립은 도 2, 4 및 5A 내지 5C에 관해 예시되고 전술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수행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로서, 보강 물질(758)이 2개의 상이한 접착제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보강 물질(758)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접착제(760)는 예를 들어 고온 용융물일 수 있는 반면, 보강 물질(758)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접착제(760')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일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도 7A 및 7B의 접착제(760)는동일 접착제의 다층일 수도 있다.
도 8A 및 8B(여기서,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800 단위내의 상응하는 참조번호로 표시됨)에는 본 발명의 추가의 가능한 실시양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터프트 루프 파일 구조물(810A) 및 터프트 절단 파일 구조물(810B)은 보강 물질(858)의 상부쪽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라텍스 접착제(824)의 제 1 층과 보강 물질(858)의 하부쪽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라텍스 접착제(824)의 제 2 층 사이에 배치된 보강 물질(858)의 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라텍스는 실질적으로 쿠션 또는 포움(878)의 상부 표면과 제 1 백킹(822) 사이에서 연장되고, 보강 물질(858)의 층은 이러한 라텍스내에 중간 위치에서 배치된다. 상기 라텍스는 바람직하게는 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라텍스이다. 물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 아크릴 수지와 같은 기타 접착제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고온 용융물 또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유사한 구조물도 유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프트 제 1 카페트의 제 1 백킹의 내면에 안정화 요소를 혼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조에 추가의 안정성이 부여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혼입하는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도 9A 및 9B에 예시하며, 이때 전술한 바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900번대 내에서 상응하는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여기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프트 루프 파일 구조물(910A) 및 터프트 절단 파일 구조물(910B)은, 부직포 또는 스크림 제 1 백킹 안정화층(923)을 그 안에 혼입하는 제 1 백킹(922)을 통해 터프트 파일 형성 사(920, 921)를 포함한다. 제 1 백킹 안정화층(923)은재봉(needling) 또는 캘린더 가공으로 제 1 백킹(922)에 인접시킬 수 있다. 또한, 부직 구조물 내에 열 활성화 접착성 섬유를 혼입함으로써 구조물 사이에 점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백킹 안정화층을 혼입하는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보강된 제 1 백킹(922, 923)에 제공되는 안정성으로 인하여, 필요하다면 예비-코트(924) 및/또는 보강 물질(958)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C에 몇가지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양태(1010A, 1010B, 1010C)가 예시되며, 이때 전술한 바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1000번대 내에서 상응하는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양태는 백킹 물질(1070)이 포움 쿠션 또는 재결합 포움(1078)에 직접 접촉 관계가 아니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A 내지 3C에 관하여 예시하고 설명한 것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반면, 백킹이 접착제에 의해 포움에 결합되거나 적층되거나, 또는 다성분 복합물 백킹이 포움 쿠션(1078)의 밑면을 가로질러 도포된다. 예시된 비교적 간단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복합물 백킹(1070, 1071)은 포움 쿠션(1078)의 밑면과 전술한 바와 같은 제직 또는 부직 구조의 백킹 물질(1070) 사이에 결합 관계로 연장되는 고온 용융물 또는 기타 레질리언트 접착제(1071)의 비교적 얇은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온 용융물 또는 기타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40oz/yd2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oz/yd2이하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성분 복합물은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바에 따라 다양한 배열로 박리성 층, 추가의 접착제층 및/또는 안정화층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의 층을 포함할수 있으며, 이들은 예일 뿐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성분 복합물 백킹을 도 3A 내지 3C에서 예시하고 설명한 구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카페트 구조에 관하여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복합물 백킹은, 예컨대 전술한 도 6A 및 6B, 도 7A 내지 7C, 도 8A 및 8B 또는 도 9A 및 9B의 구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다른 구조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한 벌의 구조를 도 11A 내지 11C에 예시하며, 이때 전술한 바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1100번대 내에서 상응하는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실시양태(1110A, 1110B, 1110C)는, 포움 쿠션 또는 재결합 포움(1178)에 여하한 보조 백킹이 실질적으로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A 내지 3C에 예시하고 설명한 것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 백킹의 부재를 도 3A 내지 3C에 예시하고 설명한 카페트 구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는, 예컨대 전술한 도 6A 및 6B, 도 7A 내지 7C, 도 8A 및 8B, 도 9A 및 9B, 또는 도 10A 내지 10C의 구조를 포함하는 다른 다수의 구조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A 내지 12C에 몇가지 또 다른 실시양태가 예시되며, 이때 전술한 바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1200번대 내에서 상응하는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양태(1210A, 1210B, 1210C)는, 백킹 물질(1270)이 밑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점착성 박리가능한 접착제(1287) 및 접근층(access layer)(1289)의 얇은 층을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A 내지 3C와 관련하여 예시하고 설명한 것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종이, 또는 기타 적합한 필름 또는 물질의 얇은 접근층(1289)은 설치자가 설치중 박리성 접착제를 노출시키도록 박리성 접착제 밑에 벗겨낼 수 있게 배치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박리성 또는 박리-점착성 접착제는 장력에 대해서는 비교적 약한 결합력을 제공하지만, 응력에 대해서는 더 강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카페트 타일 같은 카페트 요소가 아래 표면으로부터 떼어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미끄럼 운동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저항성을 갖는다. 이러한 박리성 접착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20oz/yd2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oz/yd2이하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박리가능한 접착제 백킹을 도 3A 내지 3C에 예시하고 설명한 카페트 구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구조와 관련하여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접착제 백킹은, 예컨대 전술한 도 6A 및 6B, 도 7A 내지 7C, 도 8A 및 8B, 및 도 9A 및 9B의 구조, 및 도 11A 내지 11C의 노출된 포움 밑면을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다른 다수의 구조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A 내지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1300번대 내에서 상응하는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카페트 구조(1310A), (1310B), (1310C)가 박리가능한 접착제 백킹(1387)을 포함하고, 접근층(1389)이 도 10A 내지 10C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다성분 복합물 백킹(1370, 1371)의 하부 표면 요소로서 도입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터프트 카페트 제품(1400)의 또 다른 예가 도 14A에 예시되고, 결합 카페트제품(1410)의 또 다른 예가 도 14B에 예시된다.
도 14A의 터프트 카페트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412)이 접착제층(1416)에 내장되고, 여기에 유리 스크림의 층(1418)이 내장된다. 마찬가지로, 재결합 포움 베이스 복합물(1419)이 접착제층(1416)에 접착된다. 도 14A에 예시된 터프트 카페트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412)은 통상의 터프트 가공에 의해 제 1 백킹(1422)을 통해 터프트되고 라텍스의 예비-코트 백킹층(1424) 또는 기타 고온 용융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루프 파일 층(1420)을 포함한다. 터프트 카페트 제품(1400)의 재결합 포움 베이스 복합물(1419)은 예시된 바의 우레탄 재결합 포움 층(1428)에 성형된, 결합 또는 적층된 백킹층(1426)을 포함한다.
도 14B의 결합 카페트 제품(1410)은 접착성 라미네이트 층(1416)에 의해 접착 결합된 재결합 포움 베이스 복합물(1419)의 동일한 유형을 이용한다. 그러나, 제 1 결합 카페트 패브릭(1412)은, 유리 스크림 보강층(1438)을 갖는 PVC, 라텍스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1436)에 이식된 절단 파일 사(1434)를 갖는 점에서 터프트 제품의 구조물과는 약간 다른 구성 요소를 갖는다.
백킹층 또는 백킹 물질(1426)이 화염 적층법(도 31 참조)으로 포움(1428)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르게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도 10A 내지 10C 참조)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터프트 카페트 제품(1500)의 또 다른 예가 도 15A에 예시되고, 결합 카페트 제품(1510)의 또 다른 예가 도 15B에 예시된다.
도 15A의 터프트 카페트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512)이 접착제층(1560)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재결합 포움 베이스 복합물은 접착제층(1560)에 접착된다. 도 15A에 예시된 터프트 카페트에서, 제 1 카페트 패브릭(1512)은 통상의 터프트 가공에 의해 제 1 백킹(1522)를 통해 터프트되고 라텍스의 예비-코트 백킹층(1524) 또는 기타 고온 용융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 제자리에 억제되는 루프 파일 층(1520)을 포함한다. 터프트 카페트 제품(1500)의 재결합 포움 기재 복합물은 우레탄 재결합 포움의 층(1578)의 각각의 면에 성형된, 접착된 또는 적층된(도 31 및 도 32 참조) 보강층(1558) 및 백킹층(15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 카페트 구조(도 15B 참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카페트 패브릭(1512)은 유리 스크림 보강층 또는 기재층(1538)에 적층된 라텍스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1536)에 이식된 다수의 절단 파일 사(1534)를 포함한다. 이 기재층(1538)은 열의 적용시 절단 파일 사(1534)와 용융접착되는 라텍스 또는 기타 열가소성 중합체로 예비-코트되어, 라텍스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1536)에 대한 요구를 잠재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온 용융 접착제 같은 접착제(1560)(도 15A 및 15B 참조)는 널리 공지된 필름 피복기 또는 기타 장치로 카페트(1512) 또는 보강 물질(1558)에 적용된다.
도 15A 및 15B에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보강 물질의 층(1558)은 재결합 폴리우레탄의 층(1578)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된다. 즉, 보강 물질(1558)은 폴리우레탄(1578)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중합체 물질이 보강 물질을 제자리에 유지시킨다(도 31 참조).
다수의 선택적인 실시를 본 발명에 도입하여 약간 다른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음이 인정된다. 단지 예로서, 보강 물질을 공정에서 제외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도포 장치 또는 접착제층을 완전히 불필요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카페트 패브릭은 재결합 쿠션 또는 쿠션 복합물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어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1678) 또는 상층(섬유 유리)이 제 1 카페트 패브릭(1612)에 바로 인접하는, 도 16A, 16B, 26 및 27에 예시된 바의 복합물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재결합 포움이 화염 적층법(도 31 참조)에 의해 카페트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서, 고온 용융 또는 접착제층을 사용하여 제 1 카페트를 보강 물질과 함께, 또는 보강 물질이 없이 쿠션층에 접합시킬 수 있다(도 19A, 19B, 22, 23, 24, 25, 42, 43, 44 및 45 참조).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쿠션 백킹은 폴리우레탄-형성 조성물이 적용되지 않은 면에 부착되는 접착성 신속 박리 백킹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에는 본원에 참조로서 도입된 미국 특허 제 4,286,003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백킹이 완전히 제거되어 폴리우레탄 재결합 쿠션이 직접 바닥에 접하도록 고안할 수 있다(도 25, 26 및 27 참조).
또한, 예컨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2000년 2월 25일자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카페트 타일 및 카페트 타일 설비"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9/513,020 호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카페트 및 방법이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의 터프트 모듈 카페트 또는 모듈 카페트 타일이 적어도 사, 제 1 백킹, 라텍스 예비-코트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섬유 유리, 재결합 포움 및 펠트(도 14A 참조)의 층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층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거나 대체하여 여전히 목적하는 성질 또는 특성을 갖도록 고안할 수 있다. 예컨대, 라텍스 예비-코트 접착제층을 비투멘 고온 용융층(도 20 참조)으로 대체하고, 자유 레이(lay)(바닥 접착제 없음) 설치 제품상에서 펠트층을 제거할 수 있고(도 25, 26 및 27 참조), 유리층을 제거할 수 있다(도 21 및 26 참조).
도 22를 참조하면, 카페트 구조는 재결합 포움의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2의 포움 백킹은 두 재결합 포움 층 사이에 끼워진 섬유 유리층, 및 저부의 펠트 백킹을 포함한다. 이러한 포움 복합물은 층을 하나씩 화염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도 31 및 38 참조).
도 36을 참조하면, 직조 카페트 구조물 또는 제품(3610)은 접착제 또는 예비-코트(3624)에 의해 재결합 포움 층(3678)에 부착된 직조 물질(3620)을 포함한다. 또한, 백킹 물질(3670)이, 예컨대 화염 적층법에 의해 포움 층(3678)에 부착된다.
도 37을 참조하면, 부직포 카페트 구조 또는 제품(3710)은 부직 물질(3734), 2개의 접착제층(3760), 스크림 물질(3738), 보강 물질(3758), 재결합 포움 층(3778) 및 백킹 물질(3758)을 포함한다. 접착제층(3760)은 부직포(3734)를 백킹 복합물(3758, 3778, 3770)에 부착시킨다(도 31 및 32 참조).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킹 물질(또는 복합물)(170)은 재결합 포움 층(178)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고, 카페트(112)는 열 또는 화염(화염 적층법)에 의해 재결합 포움 층(178)의 정상에 부착되어, 예컨대 도 16A, 16B, 20, 21 및 36에 나타낸 바의 카페트 구조 또는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카페트(112)은 예비-코트 층(124)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터프트되거나, 결합되거나, 제직, 부직 등일 수 있다.
도 33 및 34를 참조하면, 통상의 충전된 폴리우레판 포움 카페트 타일 쿠션은 기계적 발포 및 열 경화에 의해 형성된 개방 셀 또는 실질적으로 개방 셀 폴리우레판 포움을 포함한다(도 33 참조).
본 발명의 작은 칩 크기, 고밀도 폴리우레판 재결합 포움 같은 바람직한 재결합 포움 물질은 실질적으로 모든 셀 벽이 파열된 그물 모양의 또는 골격형(skeletal) 구조를 갖는다(도 34 참조). 도 33 및 34는 약 30배 배율로 찍은 단면의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작은 칩 크기, 고밀도 재결합 포움 층 또는 시이트는 통상의 충전된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탁월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 구조를 제공함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재결합 포움 층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은 탁월한 편안감, 내마모성, 내구성, 흡음성, 쿠션, 탄성, 외관, 감촉, 봉제성(seamability) 등을 나타냄을 예기치 못하게 발견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재결합 포움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은 충전된 폴리우레탄 포움 또는 기타 통상의 포움 또는 쿠션을 포함하는 통상의 카페트 타일에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졌다.
도 35를 참조하면,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터프트 카페트 타일은 통상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터프트 카페트 타일에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졌다(같은 면). 또한, 이 두 쿠션 타일은 경질 백(hardback) 타일보다 더 우수한 품질을 가졌다. 쿠션 백킹은 타일의 표면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발바닥의 편안감, 흡음성 및 항-피로 특성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한다.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4100번대 내에서 상응하는 참조부호로 나타내며, 카페트 구조(4110)는 접착제층(4187), 및 다성분 또는 복합물 백킹의 하부 표면으로서 혼입된 마그네틱 시이트 또는 층(4190)을 포함하도록 고안된다.
마그네틱 시이트(4190)는, 예컨대 금속 양각된 인접 바닥 또는 바닥재 패널에 대한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4110)의 박리가능한 부착성을 제공한다. 마그네틱 시이트는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자기-점착성(self-stick) 마그네틱 시이트 재료상의 접착제 같은 하나 이상의 접착제층(4187)에 의해 백킹 물질(제 2 백킹)(4170)에 부착될 수 있다. 마그네틱 시이트 또는 층(4190)이, 마그네틱 물질로 만든, 또는 이를 강한 자석에 통과시켜 자화시킨, 스트론튬 페라이트(약 80 내지 97%) 및 결합제(약 20 내지 3%) 같은 가요성 마그네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은 미국 오하이오주 매리어타 소재의 플렉스마그 인더스트리즈(Flexmag Industries)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 실시양태에서 마그네틱 시이트 또는 층(4190)이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마그네틱 물질이 스트립, 피이스 또는 테이프일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 4,397,900 호에는 PVC 층에 매장된 마그네틱 물질의 스트립을 갖는 마그네틱 카페트 타일(및 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 특허는 본원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이 특허에서, 마그네틱 물질의 스트립을 컨베이어에 놓고 PVC 층을 그 위에 성형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마그네틱 시이트 또는 층(4190)은 복합물 백킹(백킹 물질(4170), 고온 용융물(4187) 및 마그네틱 시이트(4190))의 일부이고 고온 용융 또는 접착제층(4171)에 의해 포움 또는 쿠션층(4178)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서, 마그네틱 시이트 또는 층(4190)은 한 면에 이미 접착제(4187)를 가지며 접착면이 위로 향하게 놓이며 압력 및/또는 열에 의해 백킹 물질(4170)에 접착된다.
또한, 도 41 내지 43의 다성분 백킹을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와 관련하여 나타냈지만, 이러한 복합물 백킹이 임의의 터프트 또는 결합 카페트 구조, 또는 제직, 편직 또는 부직과 같은 다른 표면 텍스타일 또는 물질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2 내지 45에 나타낸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서, 고온 용융 또는 접착제층을 사용하여 제 1 카페트를 보강 물질과 함께 또는 보강 물질이 없이 쿠션층에 접합시킬 수 있다. 도 42 및 43의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4200)은 내장된 하나 이상의 마그네틱 물질 스트립을 갖는 하부의 고온 용융 또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며, 이 하나 이상의 마그네틱 물질 스트립은 카페트 복합물(4110)의 마그네틱 시이트와같이 카페트를 금속 바닥, 금속 양각된 인접 바닥, 또는 양각된 바닥 패널에 박리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2 및 43의 마그네틱 스트립은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가요성을 제공하는 가요성 마그네틱 스트립이다.
굴곡성 마그네틱 스트립은 결합재중의 스트론튬 페라이트, 내장된 자성 입자를 갖는 스티렌 부틸디엔계 열가소성 물질, 또는 타일이 놓인 금속성 표면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유사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그네틱 스트립은 롤로 제공되며 포움층(재결합 포움)에 부착된 고온 용융 접착제층에 내장되어 하부 표면에 마그네틱 스트립을 갖는 쿠션 백킹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을 형성한다.
도 44 및 45는, 각각 하부 표면으로서 고온 용융 또는 접착제층 같은 하부 피복 또는 필름 층을 갖는 또 다른 구조(4300, 4400)에 관한 것이다. 이 하부 피복 또는 필름 층은 바닥에 대한 추가의 접착성을 제공하고 포움층(재결합 포움)의 하부 표면을 보호한다. 이 하부 피복 또는 필름 층은 분무 피복기, 나이프 피복기 또는 3롤 피복기 같은 롤 피복기로 도포되거나, 또는 달리 포움층에 적층될 수 있다. 이 저면 피복 또는 필름은 비교적 얇고 가요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피복 또는 필름 층은 양각되거나 직조되어 양각된 인접 패널 또는 콘크리트 표면 같은 바닥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타일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설치를 더 용이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마찰 피복재는 아크릴, 우레탄, "연질(soft hand)"로 건조되어 마찰 피복을 형성하는 임의의 접착제, 임의의 박리성 접착제, 임의의 점착성 또는 고착성 접착제, 수지 또는 중합체 등이다.
또한, 도 44 및 45의 피복된 또는 적층된 백킹을 루프 파일 터프트 카페트 구조와 관련하여 나타냈지만, 이러한 백킹은 임의의 터프트 또는 결합 카페트 구조, 또는 직조, 편직 또는 부직 같은 임의의 표면 물질 또는 텍스타일과 관련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특징은 재결합 또는 재생 제품을 혼입하여 일반 시장에 그대로 판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28 내지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결합은 제조업자가 폐기물 폴리우레탄(전형적으로 가구 충전재, 원료의 제조시 발생된 폐기물 등)을 입수하고, 이 폐기물 우레탄을 특정 크기의 칩으로 마쇄 또는 절단한 후 압축 기법을 통해 순수한 우레탄으로 사출하고 이 칩을 다시 접착시켜 압축된 큰 우레탄의 덩어리를 만드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보통 우레탄 칩은, 예컨대 1 내지 3파운드/입방 피트의 낮은 밀도의 변질체(variety)이며 소량의 고밀도 포움 경질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 및 접착을 시행한 후, 밀도는 15파운드/입방 피트 이상으로 높아진다. 이어서, 이 덩어리를 임의의 두께의 롤 길이로 절단하거나, 분할하거나, 박리한다. 이어서, 포움의 길이를 화염 적층기 및 제 2 부직포에 맞추고 유리를 재결합 쿠션의 각 면에 접착시키고 다시 롤로 만든다. 이 시점에서 요구되는 단계는 단지 이 복합물의 예비-코트된 터프트 카페트에의 적층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를 사용이며, 결과물로서 폐기물 또는 재생 발포재를 이용한 쿠션 타일이 수득된다.
재결합 카페트 타일의 경우, 본 발명자들은 될 수 있는 대로 다른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만큼 좁은 범위의 밀도 및 두께를 이용하고 칩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발견하였다. 칩 크기가 감소되면 포움 백킹이 더욱더 미려하고 강하고 더욱 균일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미리 형성된 재결합 포움 또는 충전재를 사용하여 시판 등급의 쿠션 카페트 타일을 제조한다. 약 13lb/ft3밀도의 재결합 충전재를 개질시켜 이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의 각각에 결합된 부직 물질을 갖게 한다. 이 복합물 재결합 충전재는 약 0.25"의 두께를 가지며, 반으로 분할하여 2개의 포움 백킹을 생성하며, 이때 각각은 대략 0.125"의 두께를 가지며, 한쪽 표면에 부직 물질이 부착된다. 이어서, 각각의 백킹을 고온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여 예비-코트된 터프트 카페트 및 라텍스계 결합 카페트중 어느 하나에 직접 결합시킨 후, 절단하여 타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복합물에서 재결합 재료에 구조물을 적층하는 몇몇 추가의 대안적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부직포 및/또는 유리를 먼저 재결합 포움(우레탄)에 화염 적층법으로 접착시킨 후, 복합물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카페트에 적층할 수 있다. 이 접착제는 많은 성질이 고온 용융성이거나, 또는 반응성 또는 수계(water-based) 우레탄일 수 있다.
2. 또한, 접착성 필름을 사용하여 복합물을 적층할 수 있다.
3. 우레탄, 수계 접착제 또는 고온 용융물을 사용하여 복합물을 재결합 포움에 적층할 수 있다. 이 적층은 오프-라인으로 수행되어 복합물을 형성하거나, 카페트가 복합물에 적층되면서 인-라인 작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조물을 우레탄 포움에, 예컨대 광반응성 물질을 사용하여 적층하는 기타의 방법도 있다.
재결합 포움은 몇몇 방법으로, 예컨대 압축된 원통형 로그를 형성하고 이를 분할하거나 절단하여 시이트를 제조하거나, 직사각형의 블록 또는 덩어리를 형성하고 이를 길게 자르거나 절단하여 시이트를 제조하거나, 또는 기타 배치 방법 또는 연속식 방법으로, 예컨대 칩 및 결합제를 압출하고, 압출물을 압축하고 압축된 압출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연속식 제조 방법에 따라서, 칩 및 결합제를 합께 혼합하고 백킹 물질과 보강 물질의 사이에 놓은 후, 압축하고 세팅하거나 경화시킨다.
하기 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 또는 포움층 사양의 예를 나타낸다:
A. 상업용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포움 중량 14.5 oz/yd2
포움 밀도 8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4mm
미압축된 칩 크기 7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5 중량%
82 내지 85 중량%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압축 비율 3:1
착색제(첨가 가능) 약 3%의 밀리켄 리액틴트(Miliken Reactint) 폴리우레탄 착색제
B. 상업용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포움 중량 14.5 oz/yd2
포움 밀도 8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2mm
미압축된 칩 크기 7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5 중량%
82 내지 85 중량%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압축 비율 3:1
착색제(첨가 가능) 약 3%의 밀리켄 리액틴트폴리우레탄 착색제
C. 주거/병원용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포움 중량 14.5 oz/yd2
포움 밀도 8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7mm
미압축된 칩 크기 7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5%
82 내지 85%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압축 비율 3:1
착색제(첨가 가능) 약 3%의 밀리켄 리액틴트폴리우레탄 착색제
D. 상업용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범위
포움 중량 7 내지 50 oz/yd2
포움 밀도 4 내지 16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2 내지 7mm
미압축된 칩 크기 2 내지 14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5 내지 20%
60 내지 95%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압축 비율 2:1 내지 5:1
착색제, 섬유, 충전제 등과 같은 첨가제 0 내지 20%
E. 바람직한 상업용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범위
포움 중량 10 내지 18 oz/yd2
포움 밀도 7 내지 12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3 내지 5mm
미압축된 칩 크기 5 내지 8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2 내지 17%
78 내지 88%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압축 비율 3:1
착색제, 충전제, 섬유 등과 같은 첨가제 0 내지 5%
F. 주거/병원용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범위
포움 중량 7 내지 84 oz/yd2
포움 밀도 4 내지 16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2 내지 10mm
미압축된 칩 크기 2 내지 14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5 내지 20%
60 내지 95%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압축 비율 2:1 내지 5:1
착색제, 충전제, 섬유 등과 같은 첨가제 0 내지 20%
G. 바람직한 주거/병원용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범위
포움 중량 10 내지 28 oz/yd2
포움 밀도 6 내지 10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5 내지 8mm
미압축된 칩 크기 5 내지 8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2 내지 17%
83 내지 88%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압축 비율 3:1
착색제, 충전제, 섬유 등과 같은 첨가제 0 내지 5%
H.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포움 중량 14.5 oz/yd2
포움 밀도 8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4mm
미압축된 칩 크기 7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5%
80 내지 85%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압축 비율 3:1
충전제, 착색제, 섬유 등과 같은 첨가제 0 내지 5%
I. 화염 적층된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포움 밀도 9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4 내지 4.5mm
미압축된 칩 크기 7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최소 25%의 폴리에스테르)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0 내지 15%
85 내지 90%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압축 비율 3:1
J. 고온 용융 적층된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포움 밀도 9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4mm
미압축된 칩 크기 7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100%의 폴리에스테르 가능)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0 내지 15%
85 내지 90%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압축 비율 3:1
K. 카페트 타일 재결합 포움 사양
포움 중량 14.5 oz/yd2
포움 밀도 8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4mm
미압축된 칩 크기 7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0 내지 20%
80 내지 90%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압축 비율 3:1
첨가제(착색제, 충전제, 항균제, 방염제, 항진균제, 고체 입자 등) 0 내지 10%
L. 광폭 카페트 재결합 포움 사양
포움 중량 14.5 oz/yd2
포움 밀도 8 lbs./ft3
포움 두께(예비적층) 7mm
미압축된 칩 크기 7mm
칩 물질 폴리우레탄 포움
결합제 또는 예비중합체 15%
82 내지 85%
결합제 물질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압축 비율 3:1
착색제 밀리켄 리액틴트 폴리우레탄 착색제(약 3%)
미국 특허 제 5,929,145호는 비투멘 백킹 카페트 타일 및 카페트 타일 백킹층에 적합한 비투멘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으며,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포움 백킹 또는 쿠션 백킹 카페트 복합물, 카페트 제품 또는 카페트 타일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증가된 접근 바닥에 대한 흡음성, 감소된 드럼 헤드 소음, 편안함, 내구성, 항-피로감, 쿠션, 우수한 디자인 또는 패턴 인쇄 정합, 숨겨진 접합 부위, 재생물 함량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생성 공정에 따라, 라텍스 예비-코트는 도 6A, 6B, 7A, 7B 및 3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온 용융 예비-코트로 대체되고, 또한 도 10A, 10B, 39 및 4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포움에 부착된 백킹층으로 대체된다.
하나의 실시양태로, 첫 번째 고온 용융 피복물 또는 예비-코트는 냉각시키기 전에 고온 용융물을 사 번들(bundle)로 압축하는 일부 유형의 물리적 작동을 갖는 카페트에 관한 것이다. 고온 용융물은 냉각되었을 때 점도가 매우 급속히 올라간다. 이 피복기는 롤이 사의 이면을 직접 회전시키고 피복물을 사로 밀어내는 롤 피복기, 또는 롤에 정적인 막대를 갖거나 피복물을 사로 밀어내는 커튼 피복기이다. 고온 용융 배합물 점도는 가능한 낮으며, 약 200 내지 5000 cps의 범위이다. 이렇게 낮은 점도는 고온 용융 배합물로부터 충전제를 배제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충전제가 여전히 고온 용융물로 존재하고 점도가 낮을 때, "충전제 배제"는 문제가 된다. 이어서, 고온 용융물은 충전제가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몇몇 방법으로 끊임없이 순환된다.
피복물을 사로 밀어낸 후 즉시, 냉각 롤이 사를 편평하게 압축함과 동시에 고온 용융물을 냉각시켜 거대한 사를 편평하게 유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비-코트의 양과 필요한 후속 피복물의 양이 최소화된다. 동일한 닙(nip) 점에서, 또는 냉각 드럼을 사용하여, 부직 유리 보강물의 층은 예비-코트된 카페트로 적층된다. 고온 용융 예비-코트에 대한 도포 속도는 약 10 내지 50 oz/yd2,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 oz/yd2이다.
이어서, 이렇게 피복/적층된 카페트 복합물은 매우 경량이고 높은 점도의 고온 용융 접착층을 적용하기 위해 고온 용융 피복기로 진행된다. 배합물은 다시 고온 용융물이 재결합 포움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도가 높아야 하는 개질된 고온 용융 접착제일 수 있다. 이러한 개질은 충전제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분쇄된 카페트 폐기물을 추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점도는 충전제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거나 섬유를 화합물에 도입함으로써 상승한다. 이상적인 점도는 약 50,000 내지 200,000 cps이다. 접착층 고온 용융물 도포 속도는 약 3 내지 8 oz/yd2, 바람직하게는 약 5 oz/yd2이다. 이는 카페트 적층체의 유리면에 적용되는 경량의 피복물이어야 한다. 이는 커튼 피복기, 인그레이빙(engraved) 롤 또는 닥터 블레이트 롤로 이루어진다. 피복기는 점도를 높게 함과 동시에 재생 카페트 폐기물을 첨가하기 위해 소형 압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량의 피복물을 높은 점도로 적용한 후 재결합 포움을 냉각 드럼 주위에서 카페트/유리 복합물에 다시 적층시킬 수 있다.
세 번째 및 마지막 고온 용융 피복기는 재결합 포움을 직접 피복한 후 부직포를 적용하거나 부직 백킹층을 피복하고 복합물을 피복물로 압축하는 인그레이빙 롤이다. 이러한 고온 용융 접착제 적용을 위한 배합물은 포움로의 최소한의 침투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유리와 재결합 포움 사이의 접착제와 동일하다. 부직포 면에 대한 커튼 피복기가 또한 고려된다. 카페트 폐기물이 다시 도입된다. 도포 속도 및 점도는 다른 고온 용융 접착제 층(도 39 및 40)과 동일하다.
복합물을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 접착된 쿠션 광폭 카페트 생성물에 있어서 피복보다는 화염 적층이 바람직하다.
고온 용융 예비-코트 공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제 1 백킹 또는 가열 안정화된 제 1 백킹이 고온 용융 예비-코트로부터의 열을 견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관점에서 정의되고 해석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터프트 카페트는 도 2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카페트는 도 3A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배열을 갖는다. 생산 변수는 하기와 같다:
사: 15 oz/yd2, 나일론 6,6 루프 파일 연속 필라멘트;
제 1 백킹: 4 oz/yd2, 부직 폴리에스테르;
예비-코트: 16 oz/yd2, 100부의 CaCO2로 충전된 SBR 라텍스;
고온 용융 접착제: 42 oz/yd2,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라미네이트;
보강물: 2 oz/yd2, 아크릴계 결합제를 포함하는 부직 유리;
우레탄 재결합 포움 적용 범위: 20 oz/yd2;
우레탄 재결합 포움 밀도: 16 lbs./ft3;
백킹 물질: 4 oz/yd2, 부직포(50%의 폴리프로필렌 및 50%의 폴리에스테르).
실시예 2
구조: 터프트 직물 루프 파일;
표면 섬유: 100%의 밀리켄 서티파이드 웨어 온(Milliken Certified WearOn; 등록 상표) 나일론;
고체 예방 보호제: 밀리가드(MilliGuard; 등록 상표);
항균제: 바이오케어(BioCare; 등록 상표);
염색 방법: 밀리트론(Millitron; 등록 상표) 염색 주입 날염;
게이지: 1/10 인치(39.4/10cm);
줄: 14.4/인치(56.7/10cm);
터프트: 143.9/인치2(2230.3/100cm2);
표준 백킹: PVC가 없는 언더스코어(UNDERSCORE; 상표) 쿠션;
공칭 총 두께: 0.34 인치(8.6mm);
총 중량: 99.9 oz/yd2(3,387.4g/m2);
타일 크기: 36 ×36 인치(914.4 ×914.4mm);
가연성(라디언트 패널(Radiant Panel) ASTM-E-648): 0.45 이상(종류 I);
연기 밀도(NFPA-258-T 또는 ASTM-E-662): 450 이하;
메텐아민 필(pill) 시험(CPSCFF-1-170 또는 ASTM D 2859): 자기 소화;
광 견뢰도(AATCC 16E): 80시간에서 4.0 이상;
마찰 견뢰도(AATCC 165): 습윤 또는 건조 4.0 이상;
정전기(AATCC-134) 20% 상대 습도, 70℉: 3.5 KV 이하;
치수 안정성-아케너(Aachener) 시험(DIN 표준 54318): 0.2% 이하;
추천된 교역: 매우 상업적;
추천된 관리: 밀리케어(등록 상표);
CRI 실내 공기 품질: 제품 유형: 12200793;
포움: 재결합 포움.
실시예 3
구조: 터프트 직물 루프 파일;
표면 섬유: 100%의 밀리켄 서티파이드 웨어 온(등록 상표);
나일론;
고체 예방 보호제: 밀리가드(등록 상표);
항균제: 바이오케어(등록 상표);
염색 방법: 밀리트론(등록 상표) 염색 주입 날염;
게이지: 1/10 인치(39.4/10cm);
줄: 14.4/인치(56.7/10cm);
터프트: 143.9/인치2(2230.3/100cm2);
표준 백킹: PVC가 없는 언더스코어(상표) 쿠션;
공칭 총 두께: 0.34 인치(8.6mm);
총 중량: 99.9 oz/yd2(3,387.4g/m2);
타일 크기: 36 ×36 인치(914.4 ×914.4mm);
가연성(라디언트 패널 ASTM-E-648): 0.45 이상(유형 I);
연기 밀도(NFPA-258-T 또는 ASTM-E-662): 450 이하;
메텐아민 필 시험(CPSCFF-1-170 또는 ASTM D 2859): 자기 소화;
광 견뢰도(AATCC 16E): 80시간에서 4.0 이상;
마찰 견뢰도(AATCC 165): 습윤 또는 건조 4.0 이상;
정전기(AATCC-134) 20% 상대 습도, 70℉: 3.5 KV 이하;
치수 안정성-아케너 시험(DIN 표준 54318): 0.2% 이하;
추천된 교역: 매우 상업적;
추천된 관리: 밀리케어(등록 상표);
CRI 실내 공기 품질: 제품 유형: 12200793;
포움: 재결합 포움.
실시예 4
터프트 카페트는 도 2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카페트는 도 3A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배열을 갖는다. 생산 변수는 하기와 같다:
사: 29 oz/yd2, 나일론 6,6 루프 파일 연속 필라멘트, 백색, 1350 데니어, 합연되지 않음, 트위스트되지 않음, 열처리하지 않음;
제 1 백킹: 4 oz/yd2, 부직 폴리에스테르;
예비-코트: 16 oz/yd2, 100부의 CaCO2로 충전된 SBR 라텍스;
고온 용융 접착제: 36 oz/yd2,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라미네이트;
보강물: 2 oz/yd2, 아크릴계 결합제를 포함하는 부직 유리;
우레탄 재결합 포움 적용 범위: 15 oz/yd2;
우레탄 재결합 포움 밀도: 16 lbs./ft3;
백킹 물질: 4 oz/yd2, 부직포(50%의 폴리프로필렌 및 50%의 폴리에스테르).
실시예 5
터프트 카페트는 도 2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카페트는 도 3A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배열을 갖는다. 생산 변수는 하기와 같다:
사: 24 oz/yd2, 나일론 6,6 루프 파일 연속 필라멘트;
제 1 백킹: 2 oz/yd2, 부직 폴리에스테르;
예비-코트: 14 oz/yd2, 100부의 CaCO2로 충전된 SBR 라텍스;
고온 용융 접착제: 38 oz/yd2,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라미네이트;
보강물: 3 oz/yd2, 아크릴계 결합제를 포함하는 부직 유리;
우레탄 재결합 포움 적용 범위: 22 oz/yd2;
우레탄 재결합 포움 밀도: 9 lbs./ft3;
백킹 물질: 2 oz/yd2, 부직포(50%의 폴리프로필렌 및 50%의 폴리에스테르).
실시예 6
터프트 카페트는 도 5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카페트는 도 6A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배열을 갖는다. 생산 변수는 하기와 같다:
사: 40 oz/yd2, 나일론 6,6 루프 파일;
제 1 백킹: 4 oz/yd2, 부직 폴리에스테르;
라미네이트;
보강물: 2 oz/yd2, 아크릴계 결합제를 포함하는 부직 유리;
우레탄 재결합 포움 적용 범위: 36 oz/yd2;
우레탄 재결합 포움 밀도: 16 lbs./ft3;
백킹 물질: 4 oz/yd2, 부직포(50%의 폴리프로필렌 및 50%의 폴리에스테르).
실시예 7
터프트 카페트는 도 19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카페트는 도 18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기술된 배열을 갖는다. 생산 변수는 하기와 같다:
사: 15 oz/yd2, 나일론 6,6 루프 파일 연속 필라멘트, 백색, 1350 데니어, 합연되지 않음, 트위스트되지 않음, 열처리하지 않음;
제 1 백킹: 4 oz/yd2, 부직 폴리에스테르;
예비-코트: 16 oz/yd2, 100부의 CaCO2로 충전된 SBR 라텍스;
보강 물질: 2 oz/yd2, 아크릴계 결합제를 포함하는 부직 유리;
우레탄 재결합 포움 적용 범위: 20 oz/yd2;
우레탄 재결합 포움 밀도: 16 lbs./ft3.
보행 및 기립 편안감에 대해 카페트 타일을 평가하기 위한 64명의 하나의 조사에서, 본 발명의 결합 카페트 타일을 포함하는 재결합 포움은 결합 카페트 타일 또는 통상적인 결합된 경질 백킹 카페트 타일(동일 표면)을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충전된 폴리우레탄보다 더욱 편안함을 나타냈다(편안함에 대한 최고의 선택으로서 재결합 타일을 평가한 참가자의 75% 초과).
75명 이상의 참가자의 다른 조사에 있어서, 편안함에 대한 최고의 선택은 카페트 타일을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충전된 폴리우레탄과 비교시 카페트 타일을 포함하는 재결합 포움(두께 7mm, 밀도 9 lb., 칩 크기 7mm,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 포움이 없는 카페트 타일을 포함하는 재결합 포움(두께 4mm, 밀도 9 lb., 칩 크기 7mm, 폴리우레탄), 포움이 없는 타일을 포함하는 재결합 포움(두께 2mm, 밀도 9lb, 칩 크기 7mm, 폴리우레탄), 및 마지막으로 통상적인 비닐 경질 카페트 타일(동일 표면)이었다. 이러한 조사에서, 약 89%는 두꺼운 재결합 포움 타일이 가장 편안하다고 선택하고 약 11%는 중간 재결합 포움 타일이 가장 편안하다고 선택하였다.
수행된 시험 방법
ASTM D-5252 헥사포드 드럼(Hexapod Drum) 시험기
ISO/TR 10361 헥사포드 텀블러(Tumbler)
CRI TM-101 사진 측정을 기준으로 한 등급
장치: 위라 인스트루멘테이션(WIRA INSTRUMENTATION) 헥사포드 텀블러 카페트 시험기 절차
시험 시료(본 발명의 재결합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 표준 밀리켄 컴포트 플러스(Milliken Comfort Plus; 등록 상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로서의 동일 표면 및 쿠션 두께)를 "헥사포드" 텀블링의 보고된 사이클로 도입하고 진공함으로써 복구를 위해 매 2,000 사이클마다 시료를 제거한다.
일렉트롤럭스(Electrolux) 직립형 진공 청소기(발견 II)를 사용하여 시료의 길이를 따라 앞뒤로 4회 수행하였다.
시료는 일광에 상응하는 수직 조명(1500 lux)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시료는 1½m의 거리에서 45℃로 관찰되고 모든 방향에서 심사되었다.
헥사포드의 사이클 수 4000 12000 등급에 대한 설명
색 변화 4 내지 4.5 3 내지 3.5 5: 무시 또는 변화 없음
4: 약간 변화
전체적인 외관 4 3 3: 보통 변화
2. 상당한 변화
1: 심각한 변화
편안감 등급
1. Gmax-Max는 표면 위에서 발소리를 흉내낸다. 측정은 "g"(중력)의 배수 또는 Gmax로서 기술된다. 값이 작을수록 충격력이 작아지고 제품이 발 밑에서 더욱 편안하게 느껴진다. 값이 높을수록 충격력이 커지고 카페트가 덜 편안하게 느껴진다.
Gmax 시험 결과
표준 밀리켄 컴포트 플러스(등록 상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116;
본 발명의 재결합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표준 밀리켄 컴포트 플러스(등록 상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로서 동일 표면 및 쿠션 두께)-121;
밑 깔개가 없는 표준 상업용 광폭 카페트-185;
에버웨어(Everwher) PVC 표지와 같은 표준 경질 카페트 타일-227.
레질리언스 평가/볼 튀김
쿠션 레질리언스-쿠션 레질리언스는 기준 높이에서 떨어뜨릴 때 금속 공의 되튀김%를 측정한다. 이는 카페트 면의 육안 마모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쿠션의 충격 흡수 특성을 나타낸다. 값이 더욱 높을수록 되튀김%가 높아지고 쿠션이 더욱 레질리언트하다.
레질리언스 결과
표준 밀리켄 컴포트 플러스(등록 상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30;
본 발명의 재결합 폴리우레탄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표준 밀리켄 컴포트 플러스(등록 상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로서 동일 표면 및 쿠션 두께)-29;
밑 깔개가 없는 표준 상업용 광폭 카페트-17;
표준 경질 카페트 타일-13.
외관 유지
외관 유지 평가(ARR)- ARR 값은 전술된 단기간 및 장기간 시험에 대한 사이클 수를 사용하여 ASTM D-5252(헥사포드) 또는 ASTM D-5417(베터만(Vettermann)) 시험 방법에 따라 조건에 노출시킨 카페트의 외관 변화에 대하여 등급을 매김으로써 측정된다.
ARR- 약함(단기간>/= 3.0, 장기간>/= 2.5);
ARR- 중간(단기간>/= 3.5, 장기간>/= 3.0);
ARR- 강함(단기간>/= 4.0, 장기간>/= 3.5).
본 발명의 재결합 포움 모듈 카페트 타일(표준 밀리켄 컴포트 플러스(등록 상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로서 동일 표면 및 쿠션 두께)은 약 4.5의 단기간 및 3.5의 장기간의 APR을 나타냈다.
내구성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재결합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표준 밀리켄 컴포트 플러스(등록 상표)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로서 동일 표면 및 쿠션 두께)은 매우 오래 견딜 수 있고, 25,000 사이클 이상의 캐스터 체어(caster chair) 시험을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다.
EN 1307: 파일 카페트의 분류
이 기준은 다양한 마모의 정도를 견디어 내는 능력에 따라 카페트를 4개의 범주로 분류한다.
범주는 다음과 같다:
종류 1: 약한 사용 강도(가정용으로만);
종류 2: 일반적(가정용 또는 매우 가벼운 수축);
종류 3: 강함, 예를 들어 일반적인 수축 범위에서 사용;
종류 4: 매우 강함, 예를 들어 극도의 수축 범위에서 사용.
다음의 3가지 시험 방법은 분류하는데 포함된다:
1. 공정 중에서 질량의 퍼징(Fuzzing) 또는 손실- 스카프(scuff) 시험 EN 1963.
2. EN 1963에 따른 I(tr). 카페트는 백킹층 아래로 절단되고 표면 파일 중량, 높이 및 밀도와 같은 매개변수를 측정하였다.
I(tr)는 상기 시험 측정을 포함하는 수학식에 따라 측정된 수치이다.
I(tr)의 요구 값이 높을수록, 종류 번호가 높아진다.
3. 표면 외관의 변화에 대한 헥사포드 또는 베터만 드럼 시험, ISO/TR 10361.
역시, 종류 번호가 높을수록, 요구조건이 높아진다.
또한, 최소 표면 파일 중량, 또는 수축-등급 카페트에 대한 표면 파일 밀도에 대한 요구조건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낮은 밀도의 파일을 갖는 카페트에 사용된다. 높은 파일을 갖는 카페트에 대한 다른 시스템이 있다.
2.3 초과의 캐스터 체어 등급을 갖는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시험 및 평가 방법 EN 54324). 2.4 이상은 수축 등급이다.
2 초과의 EN 1307 등급을 갖는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0.7 초과의 수축 사용(DIN 54327)에 대한 허족(Herzog) 보행 편안감 등급을 갖는 카페트 복합물 또는 타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VC 재결합 포움 충전된 폴리우레탄
0.71 0.80 가정용 보행 편안감 0.77
0.96 1.04 청부용 보행 편안감 0.97
높은 값의 모든 터프트 루프 구조가 가장 편안하다.
헥사포드 시험(ISO 10361 방법 B) 결과는 4,000 회전 등급 4.5(터프트에 대해), 12,000 회전 등급 4.0(터프트에 대해), 3.5(결합 전체), 클래스 4이다.
캐스터 체어 시험(EN 985) 결과는 5,000 회전 등급 3.0(터프트), 2.0(결합), 25,000 회전 등급 2.5(터프트), 2.0(결합), 전체값, 2.9(터프트), 2.4(결합)이다
재결합 포움을 갖는 카페트 타일
헥사포드 재결합 포움(2mm) 재결합 포움(4mm) 재결합 포움(7mm)
2000 사이클 5.0 4.5 5.0
4000 사이클 4.5 4.5 4.5
8000 사이클 4.0 4.0 3.5
12000 사이클 3.0 3.5 3.5
24000 사이클 2.5 3.0 3.0
48,000 사이클 2.5 2.5 3.0
캐스터 체어 3.5 3.0 4.5
Gmax 140 104 79.6
볼 튀김 29.1 29.5 29.2
발포 시험 9 lb.sm. 칩 재결합 포움 충전된 폴리우레탄 8 lb.lg. 칩 재결합 포움
압축 처리 7.0% 5.1% 11.8%
압축 저항 2.8 psi 6.5 psi 14.4 psi
각각의 카페트 타일 표면은 20 oz., 루프 파일, 1/8 게이지 터프트, 나일론 6,6 및 구조는 도 15A 또는 19A의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카페트 구조는 특별히 예시되고 기재된 것 이외에 많은 다른 구조를 모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실시예에 의해서만, 본 발명의 카페트 구조가 2000년 2월 25일자로 출원된 "접착제-없는 카페트 타일 및 카페트 타일 설치(Adhesive-Free Carpet Tiles and Carpet Tile Installations)(본원에 참조로 인용됨)"란 명칭의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원 일련 번호 제 09/513,02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배열을 모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페트 타일은 모든 타일의 모서리가 3/16" 초과의 컵(cup) 모양을 갖지 않고 모서리가 1/16" 초과의 컬(curl) 모양을 갖지 않도록 엄격한 제조 요구조건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 모든 타일의 모서리가 2/16" 초과의 컵 모양 또는 1/32" 초과의 컬 모양을 갖지 않는다. 이들 사양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은 적당히 타일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된 복수의 카페트 타일을 갖는 바닥 피복재 설치물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은 바람직하게는 바닥 표면과 같은 표면을 가로질러 불연속 모듈 단위로서 배치하는데 적합한 치수 안정성 쿠션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수축, 커핑(cupping), 컬링(curling) 등이 없이 주입 염색 날염 공정의 엄격함을 견디어 내기에 충분히 안정하다. 본 발명의 안정화된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은 하나 이상의 안정화 층, 예를 들어 섬유 유리 매트(mat)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카페트 또는 카페트 타일을 가로질러 하중을 전개하는 경향이 있는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 층을 포함하며, 약간의 가요성을 상기 타일에 부여한다.
물론, 몇 가지 잠재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양태, 방법 및 실시가 제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개질이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다른 양태가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 일어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정을 인용할 수 있는 임의의 개질 및 다른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Claims (150)

  1. 제 1 카페트, 및 상기 제 1 카페트 아래에 고정된 재결합 포움 쿠션을 포함하는, 벽 피복재, 바닥 피복재, 카페팅(carpeting), 또는 카페트 타일과 같은 표면 피복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접착제 물질의 하나 이상의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 내에 배치된 보강 물질의 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 물질의 층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된 표면 피복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물질이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접착제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카페트가 약 12 내지 60oz/yd2의 표면 중량을 갖는 표면 피복재.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이 약 3/16" 이하의 컵(cup) 및 약 1/16" 이하의 컬(curl)을 갖는 다수의 모서리를 갖는 표면 피복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층이 약 100oz/yd2이하 수준으로 존재하는 표면 피복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층이 약 36 내지 90oz/yd2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표면 피복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약 25lb/ft3이하의 밀도를 갖는 표면 피복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약 9lb/ft3이하의 밀도를 갖는 표면 피복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약 25mm 이하의 미압축 칩 크기를 갖는 표면 피복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압축 칩 크기가 약 12mm 이하인 표면 피복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압축 칩 크기가 약 7mm 이하인 표면 피복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이 약 25% 이하의 결합제 양을 갖는 표면 피복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 함량이 약 15% 이하인 표면 피복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 함량이 약 10% 이하인 표면 피복재.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물질이 고온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1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카페트가 약 55oz/yd2이하의 표면 중량을 갖는 표면 피복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용융 접착제가 약 36 내지 50oz/yd2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표면 피복재.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물질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고온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가 터프트(tufted) 카페트, 결합 카페트, 플록(flocked) 카페트, 니들 천공 카페트, 직조 카페트중 하나 이상인 표면 피복재.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약 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표면 피복재.
  23. 제 22 항에 있어서,
    포움 두께가 약 12mm 이하인 표면 피복재.
  24. 제 22 항에 있어서,
    포움 두께가 약 4mm 이하인 표면 피복재.
  2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물질이 폴리우레탄 열경화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그의 한 표면에 결합된 백킹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가 파일 사, 제 1 백킹 및 예비-코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터프트 카페트인 표면 피복재.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가 파일 사 및 제 1 백킹을 포함하는 터프트 카페트인 표면 피복재.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가 파일 사 및 백킹 물질을 포함하는 결합 카페트인 표면 피복재.
  3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물질의 층이 다공성 스크림 물질, 제직물, 및 부직물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3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물질이 섬유유리로 형성된 표면 피복재.
  3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물질이 다공성 텍스타일 구조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3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물질이 폴리에스테르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표면 피복재.
  3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물질의 층이 다수의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3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물질의 층이 다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3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가 보강 물질의 층을 실질적으로 침투하여 덮고 상기 제 1 카페트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사이에 결합 관계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카페트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상기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에 의해 서로 접착 결합되는 표면 피복재.
  3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가 터프트 카페트이고 상기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과 상기 제 1 카페트의 밑면 사이에 연장되는 표면 피복재.
  3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가 결합 카페트이고 상기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과 상기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밑면 사이에 연장되는 표면 피복재.
  3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가 보강 물질의 층을 실질적으로 침투하여 덮고, 상기 제 1 카페트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사이에 결합 관계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카페트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상기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에 의해 서로 접착 결합되고, 텍스타일 백킹 물질의 층이 상기 접착제 물질 반대쪽의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표면을 가로질러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에 결합하는 표면 피복재.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약 6 내지 12lb/ft3의 밀도를 갖는 표면 피복재.
  41. 제 1 카페트, 상기 제 1 카페트 아래에 배치된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 쿠션, 상기 제 1 카페트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사이에 결합 관계로 배치된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 및 상기 제 1 카페트와 재결합 포움 쿠션 사이에 배치된 보강 물질의 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 물질의 덩어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 물질의 층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상기 보강 물질의 층이 배치된, 벽 피복재, 바닥 피복재, 카페팅, 또는 카페트 타일과 같은 표면 피복재.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이 약 25lb/ft3이하의 밀도를 갖는 표면 피복재.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가 약 45oz/yd2이하의 표면 중량을 갖는 표면 피복재.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물질이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접착제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 피복재.
  45. 제 41 항에 있어서,
    카페트 타일, 부착된 쿠션 광폭 카페트, 및 롤 제품중 하나 이상인 표면 피복재.
  4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 쿠션이 폴리우레탄 결합체 25% 이하 및 폴리우레탄 포움 칩 50% 이상을 포함하는 표면 피복재.
  4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 쿠션이 약 6 내지 12lb/ft3의 밀도를 갖는 표면 피복재.
  48. 제 41 항에 있어서,
    제 1 카페트가 파일 사 및 제 1 백킹을 포함하는 터프트 카페트인 표면 피복재.
  49. 제 41 항에 있어서,
    텍스타일 백킹 물질이 상기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 쿠션의 밑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표면 피복재.
  50. 재결합 포움의 하나 이상의 층을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밑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또는 카페트 복합물과 같은 표면 피복재의 형성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와 재결합 포움 층 사이에 보강 물질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이 하나 이상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카페트에 결합되는 방법.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이 적층에 의해 상기 카페트에 결합되는 방법.
  54. 제 50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면 피복재.
  55. 재결합 포움의 층을 제 1 카페트 패브릭의 기부에 이들 사이의 보강 물질의 층과 함께 결합시키는 방법.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이 하나 이상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 1 카페트에 결합되는 방법.
  57. 제 55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페트 복합물.
  58. 파일 면 및 제 1 베이스를 갖고 다수의 파일 형성 사가 상기 파일 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제 1 카페트 패브릭;
    상기 제 1 카페트 패브릭 아래에 배치된 재결합 포움 쿠션 층; 및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층의 상부 면 사이에 결합 관계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안정화 물질의 층, 상기 안정화 물질의 제 1 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상기 제 1 베이스와 접촉하게 된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1 층, 및 상기 안정화 물질의 층의 제 2 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층의 상부 면과 접촉하게 된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2 층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정화 물질 층이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층 사이의 위치에서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1 층 및 제 2 층 사이에 결합된 가교 복합물을 포함하는,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불연속 모듈 단위로서 배치하는데 적합한 치수 안정성 쿠션 카페트 타일.
  59. 제 58 항에 있어서,
    제 1 카페트 패브릭이 터프트 카페트이고 상기 제 1 베이스가 제 1 백킹 및 상기 제 1 백킹의 밑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착제 예비-코트의 층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예비-코트가 라텍스 및 고온 용융 접착제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61. 제 60 항에 있어서,
    고온 용융 접착제가 비투멘계 고온 용융 접착제인 카페트 타일.
  62. 제 60 항에 있어서,
    고온 용융 접착제가 폴리올레핀계 고온 용융 접착제인 카페트 타일.
  63.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질리언트 접착제가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중 하나 이상인 카페트 타일.
  64.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페트 패브릭이 결합 카페트인 카페트 타일.
  65.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층이 약 5 내지 25lb/ft3의 밀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66.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 포움 쿠션 층이 약 5 내지 12b/ft3의 밀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재결합 포움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67.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1 층이 열경화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비투멘계 고온 용융 접착제인 카페트 타일.
  69.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폴리올레핀계 고온 용융 접착제인 카페트 타일.
  70. 제 67 항에 있어서,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1 층이 열경화성 접착제인 카페트 타일.
  71. 제 58 항에 있어서,
    제 1 베이스가 제 1 백킹 및 상기 제 1 백킹의 밑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라텍스 접착제 예비-코트의 층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72. 제 58 항에 있어서,
    제 1 베이스가 제 1 백킹 및 상기 제 1 백킹의 밑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고온 용융 접착제 예비-코트의 층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73. 제 5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2 층이 고온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용융 접착제가 비투멘계 고온 용융 접착제인 카페트 타일.
  75.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용융 접착제가 폴리올레핀계 고온 용융 접착제인 카페트 타일.
  76. 제 73 항에 있어서,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2 층이 열경화성 접착제인 카페트 타일.
  77. 제 5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1 층 및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2 층의 조합된 덩어리가 약 100oz/yd2이하인 카페트 타일.
  78. 제 58 항에 있어서,
    안정화 물질이 부직 섬유 유리의 시이트를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79. 제 5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1 층이 고온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2 층이 고온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80. 제 79 항에 있어서,
    안정화 물질이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1 층을 하나 이상의 레질리언트 접착제의 제 2 층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하는 카페트 타일.
  81. 제 58 항에 있어서,
    재결합 포움 쿠션 층의 하부 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백킹 구조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82. 제 81 항에 있어서,
    백킹 구조가 다성분 복합물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복합물이 재결합 포움 쿠션 층의 하부 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접착제의 층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84. 제 83 항에 있어서,
    재결합 포움 쿠션 층의 하부 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접착제의 층이 약 40oz/yd2이하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카페트 타일.
  85.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구조가 신속 박리 백킹을 포함하는 다성분 복합물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86. 약 5 내지 25lb/ft3밀도의 재결합 포움 패드를, 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각각에 각각의 부직 물질이 결합되도록 하고 복합물 재결합 패드가 약 0.25인치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개질하는 단계, 복합물 재결합 패드를 반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각이 약 0.125인치 이하의 두께를 갖는 2개의 포움 백킹을 제조하고 하나의 표면에 부직 물질을 부착시키는 단계, 및 접착제를 사용하여 포움 백킹중 하나 이상을 터프트 카페트 및 결합 카페트중 하나 이상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페트 복합물 제조 방법.
  87. 제 86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카페트 복합물.
  88. 카페트 층 및 그에 부착된 백킹을 포함하고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카페트 타일.
  89.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3lb 이상의 내부 인열 강도를 갖는 카페트 타일.
  90.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의 층이 압축된 입자 포움이고 40psi에서 포움 두께의 100% 미만의 압축률을 갖는 카페트 타일.
  91. 제 88 항에 있어서,
    4,000사이클 후에 4.0 이상의 외관 유지 등급을 갖는 카페트 타일.
  92. 제 91 항에 있어서,
    12,000사이클 후에 3 이상의 외관 유지 등급을 갖는 카페트 타일.
  93.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절단, 분할(slit) 및 박리된 포움중 하나 이상인 카페트 타일.
  94.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층이 85% 이상의 재생물 함량을 갖는 카페트 타일.
  95.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서로 결합된 개방 셀 포움 입자로 이루어진 개방 셀 포움인 카페트 타일.
  96. 제 95 항에 있어서,
    개방 셀 포움이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카페트 타일.
  97.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상기 입자가 25mm 이하의 평균 미압축 칩 크기를 갖는 카페트 타일.
  98.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25lb/ft3이하의 밀도를 갖는 카페트 타일.
  99.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층이 50% 이상의 재생물 함량을 갖는 카페트 타일.
  100. 제 88 항에 있어서,
    12,000사이클에서 2.0보다 큰 헥사포드 등급을 갖는 카페트 타일.
  101.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고온 용융 적층된 카페트 백킹의 한 층인 카페트 타일.
  102.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화염 적층된 카페트 백킹의 한 층인 카페트 타일.
  103. 제 88 항에 있어서,
    125 미만의 초기 Gmax를 갖는 카페트 타일.
  104. 제 88 항에 있어서,
    32oz/yd2미만의 쿠션 중량 및 125 미만의 초기 Gmax를 갖는 카페트 타일.
  105.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의 층이 벌집형상, 그물모양, 및 골격형 개방 셀 구조중 하나 이상을 갖는 카페트 타일.
  106.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의 층이 압축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 랜덤 배치 입자의 구조를 갖는 카페트 타일.
  107.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의 층에 실질적으로 충전제가 없는 카페트 타일.
  108.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의 상기 층의 상기 압축성 입자가 실질적으로 재생물 함량 100%인 카페트 타일.
  109. 제 88 항에 있어서,
    압축성 입자가 접착제로 서로 결합되는 카페트 타일.
  110.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난연제, 항균제, 착색제, 항미생물제, 항균제, 전도제, 정전기방지제, 섬유, 충전제, 재생 물질,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 시약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카페트 타일.
  111. 제 88 항에 있어서,
    압축성 입자가 압축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카페트 타일.
  112.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의 다수의 층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113.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의 상기 층이 절단, 박리 또는 분할된 하나 이상의 측방향 표면을 갖는 카페트 타일.
  114. 제 88 항에 있어서,
    카페트 층이 직조 카페트, 터프트 카페트, 또는 결합 카페트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115. 제 88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압축성 입자의 상기 층이 통기성인 카페트 타일.
  116.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이 다층 백킹인 카페트 타일.
  117.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이 안정화 층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
  118.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움 층이 8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카페트 타일.
  119. 제 88 항에 있어서,
    10mm 미만의 전체 높이를 갖는 카페트 타일.
  120. 제 88 항에 있어서,
    2.3보다 큰 캐스터 체어(caste chair) 등급을 갖는 카페트 타일.
  121. 제 88 항에 있어서,
    2보다 큰 EN 1307 등급을 갖는 카페트 타일.
  122. 제 88 항에 있어서,
    수축 사용에 대한 허족(Herzog) 보행 편안감 등급(DIN 54327)이 0.70보다 큰 카페트 타일.
  123. 카페트 층 및 그에 부착된 쿠션 백을 포함하고, 서로 결합된 예비형성 발포 폴리우레탄 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쿠션 백 카페트 타일.
  124. 제 123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발포 폴리우레탄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3lb 이상의 내부 인열 강도를 갖는 쿠션 백 카페트 타일.
  125. 제 123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발포 폴리우레탄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약 2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쿠션 백 카페트 타일.
  126. 제 123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발포 폴리우레탄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층이 40psi에서 100% 미만의 압축률을 갖는 쿠션 백 카페트 타일.
  127. 제 123 항에 있어서,
    4,000사이클에서 4 이상의 외관 유지 등급을 갖는 쿠션 백 카페트 타일.
  128. 제 123 항에 있어서,
    12,000사이클에서 3 이상의 외관 유지 등급을 갖는 쿠션 백 카페트 타일.
  129. 분할 또는 박리된 포움을 갖는 포움 백킹 카페트 타일.
  130. 서로 결합된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개방 셀 포움을 갖는 포움 백킹 카페트 타일.
  131. 제 130 항에 있어서,
    15mm 이하의 평균 미압축 입자 크기를 갖는 포움 백킹 카페트 타일.
  132. 텍스타일 표면에 부착된 레질리언트 물질의 결합된 칩의 백킹을 갖고 백킹 밀도가 14 lb/ft3이하인 포움 백킹 카페트 타일.
  133. 화염 적층된 포움 백킹을 갖는 포움 백킹 카페트 타일.
  134. 텍스타일 표면에 부착된 레질리언트 물질의 결합된 칩의 백킹을 갖고 초기 Gmax가 125 미만인 포움 백킹 카페트 타일.
  135. 제 134 항에 있어서,
    25 lb/ft3미만의 쿠션 중량을 갖는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
  136. 카페트 층 및 골격형 구조의 포움 쿠션을 갖는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
  137. 카페트 층 및 백킹 층을 포함하고 전체 백킹 층 중량이 50oz/yd2미만인 쿠션 백킹 카페트 타일.
  138. 카페트 층 및 이에 부착된 백킹을 포함하고 서로 결합된 발포 개방 셀 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카페트 타일.
  139. 25oz/yd2미만의 쿠션 중량 및 125 미만의 초기 Gmax를 갖는 카페트 타일.
  140. 카페트 층, 안정화 층 및 백킹을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 층 및 백킹중 하나 이상이 서로 결합된 예비형성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카페트 타일.
  141. 카페트 층, 안정화 층, 및 서로 결합된 예비형성 압축성 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쿠션 백을 포함하는 쿠션 백 카페트 타일.
  142. 50% 이상의 재생 포움 함량을 갖는 카페트 타일.
  143. 85% 이상의 재생 포움 함량을 갖는 카페트 타일.
  144. 포움을 25mm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갖는 압축성 입자로 변형시키는 단계,
    상기 입자를 예비중합체와 혼합하여 입자를 예비중합체로 코팅하는 단계,
    코팅된 입자를 2:1 이상의 압축 비율로 압축시키는 단계,
    중합체를 경화시키고 입자를 압축된 상태로 고정하여 재결합 포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재결합 포움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카페트 타일의 백킹 또는 쿠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후 또는 소비후 폐기물 포움의 재생 방법.
  145. 카페트 층 및 재결합 포움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백킹 층을 갖는 카페트 타일의 제조 방법으로서,
    백킹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백킹 층을 카페트 층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46. 카페트 표면 물질,
    포움 층, 및
    자기 물질을 포함하는 백킹 층을 포함하는 쿠션 백 카페트 타일.
  147. 제 14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물질이 시이트 또는 스트립중 하나인 카페트 타일.
  148. 제 14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움 층이 재결합 포움인 카페트 타일.
  149. 보강 층과 백킹 층 사이에 매달린 재결합 포움 층을 포함하는, 카페트 타일과 같은 표면 피복재에 사용하기 위한 백킹 복합물.
  150. 제 14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층 및 상기 백킹 층이 각각 직조 또는 부직 텍스타일 물질인 백킹 복합물.
KR10-2003-7006995A 2000-11-24 2001-11-16 텍스타일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Ceased KR20030051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187100A 2000-11-24 2000-11-24
US09/721,871 2000-11-24
US09/910,085 2001-07-20
US09/910,085 US20020119281A1 (en) 2000-11-24 2001-07-20 Textile product and method
US09/960,114 US20020142126A1 (en) 2000-11-24 2001-09-21 Textile product and method
US09/960,114 2001-09-21
PCT/US2001/044347 WO2002042065A1 (en) 2000-11-24 2001-11-16 Textile product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874A true KR20030051874A (ko) 2003-06-25

Family

ID=4935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995A Ceased KR20030051874A (ko) 2000-11-24 2001-11-16 텍스타일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18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55B1 (ko) * 2005-02-02 2007-02-23 석 근 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카펫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5713B1 (ko) * 2004-11-01 2007-10-11 (주)에프씨아이 후로킹타일 제조방법
KR100778249B1 (ko) * 2006-08-24 2007-11-22 주식회사 효성 다공성 수지 패널 및 파일 직물 층을 가진 건축 내장재
KR101106730B1 (ko) * 2009-06-01 2012-01-18 노태관 냉난방겸용 배관용 패널 및 이를 적용한 배관 시스템
CN103496335A (zh) * 2013-10-12 2014-01-08 佛山时利和地毯有限公司 一种簇绒eva复合立体地毯的生产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713B1 (ko) * 2004-11-01 2007-10-11 (주)에프씨아이 후로킹타일 제조방법
KR100686555B1 (ko) * 2005-02-02 2007-02-23 석 근 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카펫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8249B1 (ko) * 2006-08-24 2007-11-22 주식회사 효성 다공성 수지 패널 및 파일 직물 층을 가진 건축 내장재
KR101106730B1 (ko) * 2009-06-01 2012-01-18 노태관 냉난방겸용 배관용 패널 및 이를 적용한 배관 시스템
CN103496335A (zh) * 2013-10-12 2014-01-08 佛山时利和地毯有限公司 一种簇绒eva复合立体地毯的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25759C1 (en) Textile product and method
AU2002225759A1 (en) Textile product and method
US20020119281A1 (en) Textile product and method
US20030072911A1 (en) Residential carpet product and method
US20070275207A1 (en) Carpet tile and related methods
US20070286982A1 (en)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US6866912B2 (en) Textile constructions with stabilized primary backings and related methods
WO2006127837A1 (en) Surface coverings and related methods
US20090081406A1 (en) Textile products and methods
US20040253410A1 (en) Surface covering
KR20030015267A (ko) 저중량 쿠션 카페트, 카페트 타일 및 그 제조방법
US20080261004A1 (en) Textile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TW590753B (en) Carpet tile constructions and methods
JP2004500930A (ja) 軽量のクッション性を有するカーペット、カーペットタイルおよび方法
WO2008041999A1 (en) Polyurethane backed products and methods
AU2001265249A1 (en) Low weight cushioned carpet, carpet tile and method
US20030161990A1 (en) Residential carpet product and method
US20030165657A1 (en) Abrasive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30051874A (ko) 텍스타일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AU2002322521A1 (en) Residential carpet product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6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