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45547A - 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 - Google Patents

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547A
KR20030045547A KR1020010076301A KR20010076301A KR20030045547A KR 20030045547 A KR20030045547 A KR 20030045547A KR 1020010076301 A KR1020010076301 A KR 1020010076301A KR 20010076301 A KR20010076301 A KR 20010076301A KR 20030045547 A KR20030045547 A KR 20030045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e
bit line
vdd
discharge
nmosf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47790B1 (en
Inventor
김용태
김성일
김춘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7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790B1/en
Publication of KR2003004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790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73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75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97Power suppl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이하, "NDRO-FRAM"라 함)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 및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게이트에 연결된 쓰기 비트 선에 인가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 nMOSFET를 구비함으로써 메모리의 쓰기 오류를 제거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읽기/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 및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and a prevention method of a non-destructive readout non-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NDRO-FRAM"). Read /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and prevention method of a non-destructive read 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that includes a discharge nMOSFET for discharging a voltage applied to a write bit line connected to a gate of a read 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to eliminate a write error of the memory It is about.

본 발명인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는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 상이한 전압들을 출력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전압에 따라 쓰기 비트 선의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nMOSFET으로 구성된다The write signal error protection circuit of the non-destructive rea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for receiving an address signal and outputting different voltages; A discharge nMOSFET which discharges the charge of the write bit line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Description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 및 방지 방법{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

본 발명은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이하, "NDRO-FRAM"라 함)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 및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게이트에 연결된 쓰기 비트 선에 인가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 nMOSFET를 구비함으로써 메모리의 쓰기 오류를 제거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 및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and a prevention method of a non-destructive readout non-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NDRO-FRAM"). A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and a prevention method of a non-destructive rea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having a discharge nMOSFET for discharging a voltage applied to a write bit line connected to a gate of a rea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to eliminate a write error of the memory will be.

도 1은 1 트랜지스터형의 NDRO-FRAM 셀의 기호를 도시한 것이다. 하기의 표1은 상기 NDRO-FRAM 셀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다.Fig. 1 shows symbols of NDRO-FRAM cells of one transistor type. Table 1 below shows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NDRO-FRAM cell.

게이트(WBL)Gate (WBL) 드레인(RWL)Drain (RWL) 소스(RBL)Source (RBL) 벌크(WWL)Bulk (WWL) 읽기read 플루오팅Fluoring VddVdd GNDGND 플루오팅Fluoring 쓰기('1'/'0')Write ('1' / '0') +Vdd/-Vdd+ Vdd / -Vdd 플루오팅Fluoring 플루오팅Fluoring GNDGND 대기 상태Standby 플루오팅Fluoring 플루오팅Fluoring 플루오팅Fluoring 플루오팅Fluoring

상기 게이트는 쓰기 비트선(Write Bit Line: WBL)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은 읽기 워드선(Read Word Line:RWL)에 연결되고, 상기 소스는 읽기 비트선(Read Bit Line: RBL)에 연결되고, 상기 벌크는 쓰기 워드선(Write Word Line: WWL)에 연결된다. 대기 상태는 모든 단자가 플루오팅(floating)이고, 쓰기 신호에 있어서는 선택된 셀의 비트선은 +Vdd또는 -Vdd이고, 벌크는 접지(Ground: GND)이다. 비선택된 셀의 벌크는 플루오팅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The gate is connected to a write bit line (WBL), the drain is connected to a read word line (RWL), the source is connected to a read bit line (RBL), and The bulk is connected to a write word line (WWL). In the standby state, all terminals are floating, in the write signal, the bit line of the selected cell is + Vdd or -Vdd, and the bulk is ground (GND). The bulk of the unselected cells remains fluorinated.

도 2a는 1 트랜지스터형의 NDRO-FRAM 구동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읽기/쓰기 워드선을 제어하는 워드선 제어 회로(20)와, 쓰기 비트선을 제어하는 비트선 제어 회로(21) 및, 상기 각 셀들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22)를 구비한다. 상기 워드선 제어 회로(20)와, 비트선 제어회로(21)는 외부로부터의 열/행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쓰기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특정 위치의 셀에 데이터(0 또는 1)의 쓰기를 수행하고, 상기 감지 회로(22)를 통하여 특정 위치의 셀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 동작을 수행한다.Fig. 2A shows a circuit diagram of a single transistor type NDRO-FRAM drive device, which includes a word line control circuit 20 for controlling read / write word lines, a bit line control circuit 21 for controlling write bit lines, and And a sensing circuit 22 for sensing a signal of each of the cells. The word line control circuit 20 and the bit line control circuit 21 receive column / row address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 data (0 or 1) to a cell at a specific position through a predetermined write driver (not shown). ), And the read operation of the data written on the cell at the specific posi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nsing circuit 22.

도 2b는 1 트랜지스터형의 NDRO-FRAM 셀 어레이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회로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설명하고자 한다. 일단 상기 셀(2,2)에 데이터 '0'이 기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셀(3,2)에 데이터 '1'을 기록한다. 상기 데이터 '1'이 쓰여진 다음에 상기 WBL2는 양의 값인 하이(high) 전압(+Vdd)으로 충전된 채 플루오팅 상태로 된다. 상기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기 이전에 셀(2,3)에 쓰기 동작이 진행되면, 셀(2,2)의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1'을 쓸때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WBL2가 하이가 되고 벌크는 접지가 되므로, 셀(2,2)에 이전에 쓰여진 데이터 '0'을 '1'로 변경시키게 된다.FIG. 2B illustrates a circuit diagram of a single transistor type NDRO-FRAM cell array, and describes an error occurring in the circuit diagram. Assume that data '0' is written in the cells 2 and 2 once. In this state, data '1' is recorded in the cells 3 and 2. After the data '1' is written, the WBL2 is in a fluorinated state charged with a positive high voltage (+ Vdd). If the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cells 2 and 3 before the charged voltage is discharged, the voltage applied to the terminals of the cells 2 and 2 is in the same state as when the '1' is written. That is, since the WBL2 becomes high and the bulk becomes ground, the data '0' previously written in the cells 2 and 2 is changed to '1'.

이와 같이, 종래의 셀 어레이의 회로는 일단 비트라인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수단 및 방법을 구비하지 못함으로써, 다른 셀의 데이터 값을 변경시키는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As such, circuits of conventional cell arrays do not have means and methods for discharging the voltage once charged to the bit lines, resulting in errors that alter the data values of other cell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1 트랜지스터형의 강유전체 메모리 셀 어레이에 쓰기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 메모리의 구동과는 다르게, 플루오팅 상태에서 신호가 인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쓰기 동작 이전의 쓰기 동작에 의해 충전된 비트선에 의한 쓰기 오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동일한 쓰기 비트선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에 서로 다른 데이터값(0 또는 1)을 각각 쓰는 경우에, 특정의 메모리 셀의 데이터 값이, 이와 다른 데이터값을 쓰는 다른 메모리 셀의 데이터값의 쓰기 동작에 의해 변경되는 점을 방지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unlike the driving of a general memory in performing a write operation on a single transistor type ferroelectric memory cell array, a signal must be applied in the fluorine state, and thus the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and a method for effectively eliminating a write error caused by a bit line charged by a write operation before an operation. In particular, when different data values (0 or 1) are respectively written to memory cells connected to the same write bit line, the data operation of a specific memory cell writes the data value of another memory cell which writes different data valu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change by

도 1은 1 트랜지스터형의 NDRO-FRAM 셀의 기호.1 is a symbol of an NDRO-FRAM cell of one transistor type.

도 2a는 1 트랜지스터형의 NDRO-FRAM 셀 구동장치의 회로도.Fig. 2A is a circuit diagram of a single transistor type NDRO-FRAM cell driver.

도 2b는 1 트랜지스터형의 NDRO-FRAM 셀 어레이의 회로도.Fig. 2B is a circuit diagram of an NDRO-FRAM cell array of one transistor typ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DRO-FRAM 셀 어레이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of an NDRO-FRAM cell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3에서의 스위치의 일부분인 펄스 생성 회로의 일실시예의 회도로.4A is a circuit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pulse generation circuit that is part of the switch in FIG.

도 4b는 도 3에서의 스위치의 일부분인 레벨 쉬프터의 일실시예의 회로도.4B is a circuit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level shifter that is part of the switch in FIG.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오류 방지 회로의 동작 결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5A is a graph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오류 방지 회로의 동작 결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5B is a graph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인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는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게이트에 연결된 쓰기 비트선에 인가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것으로서,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 상이한 전압들을 출력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전압에 따라 쓰기 비트 선의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nMOSFET으로 구성된다The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of the non-destructive rea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a voltage applied to a write bit line connected to a gate of the non-destructive rea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ccording to a change of an address signal, and receives an address signal. A switch for outputting different voltages; A discharge nMOSFET which discharges the charge of the write bit line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본 발명인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방법은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게이트에 연결된 쓰기 비트선에 인가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법으로서,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전압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에 따라 쓰기 비트 선의 전하를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method of the non-destructive read 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ischarging a voltage applied to a write bit line connected to a gate of the non-destructive read 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ccording to an address signal. Outputting different voltages; Discharging the charge of the write bit line according to the voltag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DRO-FRAM 셀 어레이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30)와, 상기 스위치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방전 nMOSFET(31)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3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방전 nMOSFET(31)에 소정의 전압들(+Vdd/-Vdd)를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30)는 상기 방전 nMOSFET(31)의 게이트에 -Vdd를 인가하여, 상기 방전 nMOSFET(31)을 오프시키므로, 상기 WBL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또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30)는 상기 방전 nMOSFET(31)의 게이트에 +Vdd를 인가하여 상기 nMOSFET(31)를 온시키므로, 상기 방전 nMOSFET(31)의 소스에 연결된 WBL의 전압을 접지(GND)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WBL의 인가된 전압을 방전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30)는 특히, 상기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가 있을 때, 즉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또는 하이 신호에서 로우 신호로 변화가 있는 경우에 소정의 스위치로 작동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of an NDRO-FRAM cell ar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witch 30 receives an address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and is turned on / off by the switch. Is composed of a discharge nMOSFET 31. The switch 30 receives the address signal and applies predetermined voltages (+ Vdd / −Vdd) to the discharge nMOSFET 31. That is,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 the switch 30 applies -Vdd to the gate of the discharge nMOSFET 31 to turn off the discharge nMOSFET 31, and thus has no effect on the WBL. Alternatively, the switch 30 applies + Vdd to the gate of the discharge nMOSFET 31 to turn on the nMOSFET 31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 thereby reducing the voltage of the WBL connected to the source of the discharge nMOSFET 31. It will be grounded. Therefore, the applied voltage of the WBL is discharged. The switch 30 may operate as a predetermined switch, particularly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address signal, that is, when there is a change from a low signal to a high signal or a high signal to a low signal.

도 4a는 도 3에서의 신호 오류 방지 회로의 펄스 생성 회로의 일실시예의 회도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반전기들(410) 내지 (413) 및 (415)과, NAND 게이트(4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펄스 생성 회로(41)는 쓰기가 선택된 어드레스에 쓰기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NAND 게이트(414)에 지연된 어드레스 신호와 지연되지 않은 신호를 인가하여 그 지연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만큼의 짧은 펄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어드레스 신호는 반전기(410)에 인가되어, 반전된 어드레스 신호는 지연없이 NAND 게이트(414)의 일 단자에 입력되고, 또한 반전된 어드레스 신호는 반전기(411) 내지 (413)에 인가되어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되어 상기 NAND 게이트(414)의 타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어드레스 신호가 동일한 신호인 때(하이또는 로우), 상기 NAND 게이트(414)에는 동일한 신호(하이 또는 로우)가 입력되어 그 출력은 일정한 신호(하이 또는 로우)가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어드레스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변화되는 때, 즉 쓰기 동작이 종료되는 순간에는 상기 NAND 게이트(414)의 일단자에 바로 하이가 입력되고, 타단자에는 하이가 입력되다가 소정의 시간이 지연된 후에 로우가 입력된다. 그래서, 상기 NAND 게이트(414)의 출력은 상기 소정의 시간만큼만이 로우인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반전기(415)에 의해 상기 소정의 시간만큼만이 하이인 신호, 즉 펄스가 생성된다. 또한, 양단의 신호가 모두 하이일 동안, 상기 NAND 게이트(414)의 출력은 로우가 되었다가, 상기 반전기(415)를 거쳐 하이가 된다. 상기 반전기(411) 내지 (413)의 전체 개수가 홀수이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만족한다. 또는, 상기 펄스 생성 회로(41)는 하이 신호에서 로우 신호로 변화하는 어드레스 신호뿐만 아니라, 적절한 변형에 의하여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화하는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서도 소정의 펄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극히 용이하다.FIG. 4A shows a circuit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pulse generation circuit of th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in FIG. 3, which includes inverters 410 to 413 and 415, and a NAND gate 414. When the write operation is completed at the address where the write is selected, the pulse generation circuit 41 applies a delayed address signal and a non-delayed signal to the NAND gate 414 to generate a short pulse corresponding to the delayed time. It is. In detail, the address signal is applied to the inverter 410 so that the inverted address signal is input to one terminal of the NAND gate 414 without delay, and the inverted address signal is the inverters 411 to 413. Is appli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NAND gate 414 after being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ddress signal is the same signal (high or low), the same signal (high or low) is input to the NAND gate 414 so that a constant signal (high or low) is output. However, when the address signal is changed from high to low, that is, at the end of the write operation, high is directly input to one end of the NAND gate 414 and high is input to the other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time is delayed. The row is entered later. Thus, a signal in which the output of the NAND gate 414 is low only for the predetermined time is output, and a signal, ie, a pulse, is generated by the inverter 415 only high for the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while the signals at both ends are high, the output of the NAND gate 414 goes low and then goes high through the inverter 415. If the total number of the inverters 411 to 413 is an odd number,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atisfied. Alternatively, the pulse generating circuit 41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pulse not only by an address signal that changes from a high signal to a low signal but also by an address signal that changes from a low signal to a high signal by appropriate modification. It is extremely easy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도 4b는 도 3에서의 신호 오류 방지 회로의 레벨 쉬프터의 일실시예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펄스를 입력받고, 드레인은 +Vdd에 연결되는 제 1 pMOS(421A)와; 상기 펄스를 반전시키는 제 3 반전기(420)와; 게이트가 상기 제 3 반전기(420)의 출력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Vdd에 연결된 제 2 pMOS(421B)와; 소스는 상기 제 1 pMOS(421A)의 소스에 연결되고, 게이트는 상기 제 2 pMOS(421B)에 연결되고, 벌크와 드레인은 -Vdd에 연결된 제 1 nMOSFET(422A) 및; 소스는 상기 제 2pMOS(421B)에 연결되고, 게이트는 상기 제 1pMOS(421A)의 소스에 연결되고, 벌크와 드레인은 -Vdd에 연결된 제 2 nMOSFET(422B)으로 구성된다.FIG. 4B shows a circuit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level shifter of th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in FIG. 3, comprising: a first pMOS 421A receiving a pulse and having a drain connected to + Vdd; A third inverter (420) for inverting the pulse; A second pMOS 421B having a gat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third inverter 420 and having a drain connected to + Vdd; A first nMOSFET 422A connected to a source of the first pMOS 421A, a gate connected to the second pMOS 421B, and a bulk and a drain connected to -Vdd; A sour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MOS 421B, a gate is connected to the source of the first pMOS 421A, and the bulk and drain are composed of a second nMOSFET 422B connected to -Vdd.

또한, 방전 nMOSFET(43)의 게이트는 상기 제 2 pMOS(421B)의 소스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접지되고, 벌크는 -Vdd에 연결되고, 소스는 특정 쓰기 비트선(WBL)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WBL은 상기 메모리 셀의 동작 조건에 의해 +Vdd와 -Vdd가 모두 인가되어야 하며, 이경우 방전을 위해 벌크가 접지(GND)로 소스와 함께연결된 일반적인 nMOSFET를 사용하면 -Vdd가 인가되었을 경우 WBL이 -Vdd가 되지 못하고 GND로 떨어지는 현상이 생겨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방전 nMOSFET(43)의 벌크를 소스와 분리시켜 -Vdd로 연결하여 준다.In addition, the gate of the discharge nMOSFET 43 is connected to the source of the second pMOS 421B, the drain is grounded, the bulk is connected to -Vdd, and the source is connected to a specific write bit line WBL. In general, WBL should be applied with both + Vdd and -Vdd due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memory cell.In this case, if -Vdd is applied with a general nMOSFET whose bulk is connected with the source to ground (GND) for discharge, This does not become -Vdd and falls to GND. To prevent this, the bulk of the discharge nMOSFET 43 is separated from the source and connected to -Vdd.

상기 레벨 쉬프터(42)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펄스 생성 회로(41)로부터의 출력이 하이(+Vdd)인 경우, 상기 제 1 pMOS(421A)의 게이트에 +Vdd가 입력되어오프가 되고, 상기 제 2 pMOS(421B)의 게이트에는 상기 반전기(420)에 의해 신호가 반전됨으로써, 로우(-Vdd) 신호가 입력되어 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nMOSFET(422A)의 게이트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온되고, 상기 제 1 nMOSFET(422A)의 드레인이 -Vdd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nMOSFET(422B)의 게이트에 -Vdd가 인가되어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 nMOSFET(43)의 게이트에 +Vdd가 인가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l shifter 42, first, when the output from the pulse generation circuit 41 is high (+ Vdd), + Vdd is input to the gate of the first pMOS 421A to be turned off. The signal is inverted by the inverter 420 to the gate of the second pMOS 421B, whereby a low (-Vdd) signal is input. Therefore, since a high signal is input to the gate of the first nMOSFET 422A and the drain of the first nMOSFET 422A is connected to -Vdd, -Vdd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second nMOSFET 422B. Is turned off. Thus, + Vdd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discharge nMOSFET 43.

이와 같이,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에 '0' 또는 '1'의 쓰기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어드레스 신호가 로우로 떨어지는 순간에 상기 방전 nMOSFET(43)의 게이트의 입력이 -Vdd에서 +Vdd로 변화됨으로써, 상기 방전nMOSFET(43)는 상기 펄스의 소정의 시간만큼 온되어 WBL의 전하를 방전시킨다.As described above, after performing a write operation of '0' or '1' to the memory cell selected by the address signal, the input of the gate of the discharge nMOSFET 43 is set at -Vdd at the instant the address signal falls low. By changing to + Vdd, the discharge nMOSFET 43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of the pulse to discharge the charge of WBL.

상기 펄스 생성기(41)로부터의 출력이 로우(-Vdd)인 경우, 상기 제 1 pMOS(421A)의 게이트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온되고, 상기 제 2 pMOS(422B)의 게이트에는 상기 반전기(420)에 의해 신호가 반전됨으로써,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오프된다. 상기 제 1 pMOS(421A)의 드레인이 +Vdd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nMOSFET(422B)의 드레인에 +Vdd가 입력되어 온되며, 상기 제 2 nMOSFET(422B)의 게이트에 -Vdd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nMOSFET(422A)의 게이트에 -Vdd가 인가되어 상기 제 1 nMOSFET(422A)는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 nMOSFET(43)의 게이트에 -Vdd가 인가된다.When the output from the pulse generator 41 is low (-Vdd), a low signal is input to the gate of the first pMOS 421A, and the inverter (g)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second pMOS 422B. As the signal is inverted by 420, the high signal is input and turned off. The drain of the first pMOS 421A is connected to + Vdd so that + Vdd is input to the drain of the second nMOSFET 422B, and is connected to -Vdd of the gate of the second nMOSFET 422B. -Vdd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first nMOSFET 422A so that the first nMOSFET 422A is turned off. Therefore, -Vdd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discharge nMOSFET 43.

이와 같이, 펄스가 로우인 상태에서는 상기 방전 nMOSFET(43)가 오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쓰기를 위해 입력 신호(+Vdd 또는 -Vdd)가 상기 WBL에 인가되어도, 상기 입력 신호를 그대로 소정의 선택된 메모리 셀로 인가하도록 한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도 상기 방전 nMOSFET(43)는 항상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WBL이 플루오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manner, the discharge nMOSFET 43 is kept in the off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pulse is low, so that the input signal remains as selected even if the input signal (+ Vdd or -Vdd) is applied to the WBL for writing. To the cell. In addition, even in a standby state, the discharge nMOSFET 43 always maintains an off state to enable the WBL to maintain a fluorating state.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오류 방지 회로의 동작 결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의 상단 그래프는 종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동작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5a의 하단 그래프는 셀(2,2)에 '0'을 쓰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오류 방지 회로의 동작 결과를 나타낸다. 상단 그래프에 대해서 설명하면, 구간(A)는 셀(2,2)에 '0'을 쓰는 동작으로서, RWL2는 플루오팅, WWL2는 접지, WBL2는 -Vdd가 인가된다. 구간(B)는 셀(3,2)에 '1'을 쓰는 동작으로, WBL2에+Vdd가 인가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셀(3,2)를 쓴 뒤에 WBL2가 하이의 상태로 플루오팅되는 것을 나타낸다. 구간(C)은 셀(2,3)에 '1'을 쓰는 동작으로, RWL2가 플루오팅이고, WWL2가 접지되고, WBL2가 하이로 충전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때 셀(2,2)에 '1'을 쓰는 조건이 성립되어 이전에 쓰여진 '0'의 정보를 '1'로 변경시키는 오류가 발생함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하단 그래프에 대해서 설명하면, 구간(A)는 상기 상단 그래프와 동일하고, 구간(B)에서, 셀(3,2)에 '1' 쓰기 동작을 수행한 후 (230ns 부근), 상기 스위치(30)을 통하여 펄스가 생성되고, 이때, 상기 방전 nMOSFET(31)을 온시켜서 상기 WBL2에 존재하는 전하들을 모두 방전시키게 되며, 이후의 남은 구간(B)와 구간(C)에서 상기 WBL2는 계속적으로 0볼트로 플루오팅되어 있게 된다. 즉, 구간(C)에서 셀(2,2)은 RWL2가 플루오팅, WWL2가 접지되고, 또한 WBL2가 방전된 상태에서 플루오팅되어 이전에 쓰여진 '0'의 정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Figure 5a shows a graph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signal error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raph of FIG. 5A shows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memory cell array, and the lower graph of FIG. 5A shows the operation result of th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writing '0' to the cells 2 and 2. . Referring to the upper graph, the section A is an operation of writing '0' to the cells 2 and 2, where RWL2 is fluorinated, WWL2 is grounded, and WBL2 is -Vdd. The interval B is an operation of writing '1' to the cells 3 and 2, and indicates that + Vdd is applied to WBL2. It also shows that WBL2 is fluorinated in a high state after writing the cells 3,2. Interval C is an operation of writing '1' to cells 2 and 3, where RWL2 is fluorinated, WWL2 is grounded, and WBL2 is charged high, and at this time, cells 2 and 2 The condition of writing '1' is established, indicating that an error occurs that changes the previously written information of '0' to '1'. Next, the lower graph will be described. The section A is the same as the upper graph, and in the section B, after performing a '1' write operation to the cells 3 and 2 (around 230 ns), the switch A pulse is generated through 30, and at this time, the discharge nMOSFET 31 is turned on to discharge all of the electric charges present in the WBL2, and the WBL2 continues continuously in the remaining sections B and C. Fluorides to zero volts. That is, in the period C, the cells 2 and 2 are fluorinated in the state in which RWL2 is fluorinated and WWL2 is grounded, and also in the state in which WWL2 is discharged, thereby not affecting the previously written information of '0'.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오류 방지 회로의 동작 결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의 상단 그래프는 종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5b의 하단 그래프는 셀(2,2)에 '1'을 쓰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오류 방지 회로의 동작 결과를 나타낸다. 먼저 상단 그래프에 대해서 설명하면, 구간(A)는 셀(2,2)에 '1'을 쓰는 동작으로서, RWL2는 플루오팅, WWL2는 접지, WBL2는 +Vdd가 인가된다. 구간(B)는 셀(3,2)에 '0'을 쓰는 동작으로, WBL2에 +Vdd가 인가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셀(3,2)를 쓴 뒤에 WBL2가 로우 상태로 플루오팅되는 것을 나타낸다. 구간(C)은 셀(2,3)에 '0'을 쓰는 동작으로,RWL2가 플루오팅이고, WWL2가 접지되고, WBL2가 로우로 충전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때 셀(2,2)에 '0'을 쓰는 조건이 성립되어 이전에 쓰여진 '1'의 정보를 '0'로 변경시키는 오류가 발생함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하단 그래프에 대해서 설명하면, 구간(A)는 상기 상단 그래프와 동일하고, 구간(B)에서, 셀(3,2)에 '0' 쓰기 동작을 수행한 후 (230ns 부근), 상기 스위치(30)을 통하여 펄스가 생성되고, 이때, 상기 방전 nMOSFET(31)을 온시켜서 상기 WBL2에 존재하는 전하들을 모두 방전시키게 되며, 이후의 남은 구간(B)와 구간(C)에서 상기 WBL2는 계속적으로 0볼트로 플루오팅되어 있게 된다. 즉, 구간(C)에서 셀(2,2)은 RWL2가 플루오팅, WWL2가 접지되고, 또한 WBL2가 방전된 상태에서 플루오팅되어 이전에 쓰여진 '1'의 정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Figure 5b shows a graph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result of the signal error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raph of FIG. 5B shows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memory cell array, and the lower graph of FIG. 5B shows the operation result of th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writing '1' to the cells 2 and 2. . First, the upper graph will be described. An interval A is an operation of writing '1' to cells 2 and 2, where RWL2 is fluorinated, WWL2 is grounded, and WBL2 is + Vdd. The interval B is an operation of writing '0' to the cells 3 and 2, indicating that + Vdd is applied to the WBL2. It also shows that WBL2 is fluorinated in a low state after writing the cells 3,2. Interval C is an operation of writing '0' to cells 2 and 3, where RWL2 is fluorinated, WWL2 is grounded, and WBL2 is charged low. A condition that writes '0' is established, indicating that an error occurs that changes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written '1' to '0'. Next, the lower graph will be described. The section A is the same as the upper graph, and after the '0' writing operation to the cells 3 and 2 in the section B (around 230 ns), the switch A pulse is generated through 30, and at this time, the discharge nMOSFET 31 is turned on to discharge all of the electric charges present in the WBL2, and the WBL2 continues continuously in the remaining sections B and C. Fluorides to zero volts. That is, in the section C, the cells 2 and 2 are fluorinated in the state in which RWL2 is fluorinated and WWL2 is grounded, and in the state in which WWL2 is discharged, so that the cells 2 and 2 do not affect the previously written information of '1'.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하여, 1 트랜지스터형의 강유전체 메모리 셀 어레이에 쓰기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 메모리의 구동과는 다르게, 플루오팅 상태에서 신호가 인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쓰기 동작 이전의 쓰기 동작에 의해 충전된 비트선에 의한 쓰기 오류를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동일한 쓰기 비트선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에 서로 다른 데이터값(0 또는 1)을 각각 쓰는 경우에, 특정의 메모리 셀의 데이터 값이, 이와 다른 데이터값을 쓰는 다른 메모리 셀의 데이터값의 쓰기 동작에 의해 변경되는 점, 즉 메모리 셀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ignal must be applied in the fluorine state, unlike the driving of a general memory in performing a write operation on a single transistor type ferroelectric memory cell array, the write operation before the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of effectively eliminating the write error caused by the bit line charged by using the change of the address signa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riting different data values (0 or 1) to memory cells connected to the same write bit line, respectively, the data value of a specific memory cell is the data value of another memory cell which writes different data value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memory cells, which is changed by the write operation.

Claims (12)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 상이한 전압들을 출력시키는 스위치 및;A switch configured to receive an address signal and output different voltages; 상기 전압에 따라 쓰기 비트 선의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nMOSFET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And a discharge nMOSFET which discharges the charge of the write bit line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The write signal error preventing circuit of the non-destructive read-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출력하는 펄스 생성 회로와; 상기 펄스의 값에 따라 상이한 전압들을 출력하는 레벨 쉬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pulse generation circuit for outputting a pulse in accordance with the address signal; And a level shifter for outputting different voltages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puls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전압들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3. The write signal error protection circuit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witch outputs the volta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ddress sig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nMOSFET의 게이트는 상기 레벨 쉬프터의 출력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접지되고, 벌크는 -Vdd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쓰기 비트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gate of the discharge nMOSFET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level shifter, the drain is grounded, the bulk is connected to -Vdd, and the source is connected to the write bit line. A write signal error protection circuit of a non-destructive rea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쓰기 비트선을 방전시키는 방전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A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circuit of a non-destructive read 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comprising: a discharge element for discharging a write bit line in response to a change in an address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는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드레인은 접지 되고, 벌크는 -Vdd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쓰기 비트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회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charge circuit is a switch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ddress signal, the gate is connected to the switch, the drain is grounded, the bulk is connected to -Vdd, the source is the write A write signal error protection circuit of a non-destructive read-type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which is connected to a bit line.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전압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Outputting different voltages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 상기 전압에 따라 쓰기 비트 선의 전하를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방법.And discharging a charge of a write bit line according to the voltag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어드레스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의 값에 따라 상이한 전압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aid outputting step comprises: generating a pulse in accordance with said address; And outputting different voltages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pulse.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상이한 전압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방법.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output voltage outputs different voltages according to a change of the address signal.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단계는 게이트는 상기 상이한 전압들을 입력받고, 드레인은 접지되고, 벌크는 -Vdd에 연결되고, 소스는 특정 쓰기 비트선에 연결된 방전 nMOSFET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상이한 전압이 +Vdd이면 상기 nMOSFET이 온되어 상기 쓰기 비트선의 전하를 방전시키고, 상기 상이한 전압이 -Vdd이면 상기 nMOSFET이 오프되어 방전 작용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방법.9. The discharging step of claim 7 or 8, wherein the discharging step is performed by a discharge nMOSFET whose gate is input with the different voltages, a drain is grounded, a bulk is connected to -Vdd, and a source is connected to a specific write bit line. And when the different voltage is + Vdd, the nMOSFET is turned on to discharge the charge of the write bit line, and when the different voltage is -Vdd, the nMOSFET is turned off to stop the discharge operation. To prevent write signal errors. 1개의 방전 소자를 메모리 어레이의 셀소자로 구성시키는 때,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쓰기 비트선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방법.And discharging the write bit lin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address signal when the one discharge element is constituted by the cell elements of the memory arr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단계는 어드레스 신호의 변화에 따라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전압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드레인은 접지 되고, 벌크는 -Vdd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쓰기 비트선에 연결된 방전 소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쓰기 신호 오류 방지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charging step comprises: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ddress signal, a gate is connected to the output voltage, a drain is grounded, a bulk is connected to -Vdd, and a source is And a discharge element connected to the write bit line, wherein the write signal error prevention method of the non-destructive read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is performed.
KR10-2001-0076301A 2001-12-04 2001-12-04 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04477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01A KR100447790B1 (en) 2001-12-04 2001-12-04 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01A KR100447790B1 (en) 2001-12-04 2001-12-04 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547A true KR20030045547A (en) 2003-06-11
KR100447790B1 KR100447790B1 (en) 2004-09-08

Family

ID=2957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3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7790B1 (en) 2001-12-04 2001-12-04 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7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457B1 (en) * 2003-07-30 2005-08-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Cell array block of FeRAM and FeRAM using the same
CN117037871A (en) * 2023-10-09 2023-11-10 之江实验室 Reading circuit, reading method and memory for in-memory calculation resul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324B2 (en) * 1991-09-26 2001-04-25 ローム株式会社 Semiconductor storage element
JPH05129622A (en) * 1991-10-31 1993-05-25 Olympus Optical Co Ltd Ferroelectric memory device
JP3635716B2 (en) * 1994-06-16 2005-04-06 ローム株式会社 Non-volatile memory
KR100269207B1 (en) * 1998-03-09 2000-10-16 윤종용 A single transistor type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268947B1 (en) * 1998-04-03 2000-10-16 김영환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nd control circuot of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457B1 (en) * 2003-07-30 2005-08-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Cell array block of FeRAM and FeRAM using the same
CN117037871A (en) * 2023-10-09 2023-11-10 之江实验室 Reading circuit, reading method and memory for in-memory calculation result
CN117037871B (en) * 2023-10-09 2024-02-27 之江实验室 Reading circuit, reading method and memory for in-memory calculation resu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7790B1 (en)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937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ring reading and standby
JP4988588B2 (en) Word line driver circuit for static random access memory
US6052307A (en) Leakage tolerant sense amplifier
US20020031003A1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US7586804B2 (en) Memory core, memory device including a memory core, and method thereof testing a memory core
US20090185424A1 (en) Decoding control with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in page erase function
JP2002216488A (en) Semiconductor memory
KR102520496B1 (en) One-time programmable(otp) memory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otp memory device
US626291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
JPH10106272A (en) Semiconductor memory
US20080008019A1 (en) High Speed Read-Only Memory
US8400848B2 (en) Bit line negative potential circuit and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7301797B2 (en) Method of operat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SRAM block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SRAM block
KR930000963B1 (en) Nonvolatile Memory Circuitry
US498756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P0172112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307793B1 (en) Memory device, coupling noise eliminator, and coupling noise elimination method
US5265061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glitch for semiconductor non-volatile memory device
US6621734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information apparatus
US6094371A (en) Memory device with ferroelectric capacitor
KR100327781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257012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irreversible storage elements
JP2009087427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KR100447790B1 (en) Error protection circuit in write signal of non destructive readout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method
US5418748A (en) Bit line load circuit for semiconductor static 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