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293A -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45293A KR20030045293A KR1020010075727A KR20010075727A KR20030045293A KR 20030045293 A KR20030045293 A KR 20030045293A KR 1020010075727 A KR1020010075727 A KR 1020010075727A KR 20010075727 A KR20010075727 A KR 20010075727A KR 20030045293 A KR20030045293 A KR 200300452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ixed fluid
- air
- saving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into the liqui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과 공기의 혼합유체를 생성하고, 그 혼합유체를 펌프로 가압 토출함으로써 절수상태로 각종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상단에는 물투입 파이프를 매개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탱크와; 상기 물저장탱크로부터 연통 결합된 배출파이프를 매개로 투입된 물과, 외부로부터 투입된 공기를 기설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혼합 유체를 생성시키는 혼합유체 생성부재와; 그 혼합유체 생성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식기세척을 목적으로 케이스의 외부로 혼합유체를 펌핑함으로써 식기 세척위치로 혼합 유체를 가압 토출시키기 위한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공기와 물을 혼합한 혼합유체를 이용하여 각종 식기를 세척함에 따라 식기 세척에 필요한 물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과 더불어, 고른 혼합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효과적인 펌핑과, 외부 분사가 가능하다. 또한, 물과 공기의 혼합비율을 키조작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되게 함으로써 그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물과 공기의 혼합유체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식기를 세척함에 있어서 식기를 일정한 형태를 배열한 다음, 물과 세제를 자동으로 혼합하고 그 식기 상부로부터 분사시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가 등장하였다.
그러한 식기 세척기는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식기를 세척하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이 너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식기 세척기는 물과 세제를 일정 압력으로 분사시켜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므로,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싱크대 등의 수도꼭지에 결합시켜서 식기를 용이하게 세척하면서, 물의 양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동일한 식기 세척 효과를 갖는 절수기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절수기는 물의 공급이 전혀없거나, 일정량 이하가 될 경우 그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싱크대의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압력으로 식기를 세척해야 하므로 그 수도꼭지 전단에 절수기를 장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수압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물과 공기의 혼합유체를 생성하고, 그 혼합유체를 펌프로 가압 토출함으로써 절수상태로 각종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 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내의 필터링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혼합유체 생성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상세한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물저장탱크, 14:제1솔레노이드밸브,
18:수위감지센서, 20:필터링부재,
24;제2솔레노이드밸브, 26:혼합유체 형성부재,
28:펌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내부상단에는 물투입 파이프를 매개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탱크와; 상기 물저장탱크로부터 연통 결합된 배출파이프를 매개로 투입된 물과, 외부로부터 투입된 공기를 기설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혼합 유체를 생성시키는 혼합유체 생성부재와; 그 혼합유체 생성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식기세척을 목적으로 케이스의 외부로 혼합유체를 펌핑함으로써 식기 세척위치로 혼합 유체를 가압 토출시키기 위한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저장탱크에는 저장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투입 및 차단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물투입 파이프의 중간에 장착되는 제 1 솔레노이브밸브와, 상기 물저장탱크의 저장수 상면에 부위되는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물 저장탱크의 측면에 장착된 수위감지센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저장 탱크의 바닥면에는 저장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저장수를 분리하기 위해, 그 최상단에 내외부로 미세공이 형성된 반구형의 1차 걸름망이 구비되고, 그 하단에는 원통형상의 디스크가 장착되며, 그 디스크의 상면은 미세공이 형성되어 상기 1차 걸름망을 통과한 이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2차 걸름망이 형성되고, 그 2차 걸름망의 직하부에는 여과지로 구성되어 2차 걸름망을 통과한 유체를 3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여과필터가 그 하단의 걸림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그 디스크의 내주연에는 나사가 각설되어, 상기 배출파이프의 외주연에 각설된 나사와 체결되는 필터링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저장탱크와 혼합유체 생성부재의 사이에는 투입되는 일정량의 공기에 대해 물의 투입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유체 생성부재는 그 외부가 원통형상의 수전금구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며, 그 케이싱의 상단 외주연에는 내부로 관통되어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관통구가 적어도 하나이상 천공되고, 상기 케이싱 내주연에는 관통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케이싱의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그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이 그케이싱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역류방지판의 하부에는 다수의 미세공이 천공된 제 1 파쇄판이 구성되며, 그 제 1 파쇄판의 하부에는 혼합유체를 분무상태로 형성시키기 위해 내부에 오리피스가 형성된 분무부재가 구성되고, 그 분무부재의 하단에는 그 분무부재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혼합유체를 다시 미세공을 통과시켜 혼합유체의 단위체적을 감소시키고, 혼합유체의 혼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파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물과 공기의 혼합으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에 있어서, 절수형 식기세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투입하는 과정과;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유체를 형성하는 과정과; 형성된 혼합유체를 펌핑하는 과정과; 펌핑된 혼합유체를 노즐을 매개로 외부로 가압 토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장치의 절수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물과 공기를 혼합비율 조절 키신호가 인가되는 과정과; 일정량의 공기에 대해 혼합되는 물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장치의 절수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2)는 그 외관이 사각의 케이스(4)로 이루어지며, 그 케이스(4)의 전면 소정부에는 각종 키조작을 행하는 키조작부(6, 10)이 구비되는 바, 그 키조작부(6, 10)는 전원 투입을 조작하는 전원투입버튼(6)과, 일정량의 공기에 혼합되는 물의 혼합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키(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4)에는 일정량의 공기에 혼합되는 물의 량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8)가 형성되고, 그 하단 소정부에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2)의 내에서 혼합된 물과 공기의 혼합유체를 외부로 토출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12)이 케이스(4)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2)는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스(4)의 내부로 물을 투입하기 위해 케이스(4)의 외부 상단으로부터 내부로 물투입 파이프(12)가 구성된다. 또한, 물의 투입 및 차단을 통제하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4)가 상기 물투입 파이프(14)의 중간에 매개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4)의 내부 상부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탱크(16)가 구성되는 바, 그 물저장탱크(16)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물투입 파이프(14)가 결합되고, 측면 소정부에는 물저장탱크(16) 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18)가 장착되고, 그 수위감지센서(18)에 그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저장탱크(16)의 내부에 구비된 플로트(18a)에 그 일단이 장착된 유동봉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저장탱크(16)의 바닥면 소정부에는 물이 하단으로 유출됨에 있어서, 물에 혼합된 이물질에 의해 유출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필터링부재(20)가 장착되고, 그 필터링부재(20)의 하단에는 배출파이프(22)가 그 물저장탱크(16)와 연통 결합된다.
이때, 상기 물저장탱크(16)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물을 물저장탱크(16)에 저장하지 않고, 물투입 파이프(12)를 배출파이프(22)와 직접 연결시켜 물을 투입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그 배출파이프(22)는 공기와 혼합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 2솔레노이드 밸브(24)를 매개로 그 하단에 형성된 혼합유체 생성부재(26)와 결합되고, 그 혼합유체 생성부(26)는 하단에 구비된 펌프(28)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그 펌프(28)는 상기 혼합유체 생성부(26)로부터 투입된 물과 공기의 혼합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노즐(12)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내의 필터링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물저장탱크(16)의 저면에 장착된 상기 필터링부재(20)는 그 최상단에 내외부로 미세공(204)이 형성된 반구형의 1차 걸름망(202)이 구비되고, 그 하단에는 원통형상의 디스크(206)가 장착되는 바, 그 디스크(206)의 상면은 미세공(206a)이 형성되어 상기 1차 걸름망(202)을 통과한 이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걸름망의 미세공(204)보다 2차 걸름망의 미세공(206a)의 직경이 더 작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2차 걸름망(206a)의 직하부에는 유리섬유 등의 여과지로 구성되어 2차 걸름망(206a)을 통과한 유체를 3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여과필터(210)가 그 하단의 걸림턱(212)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 디스크(206)의 내주연에는 나사(214)가 각설되어, 상기 배출파이프(22)의 외주연에 각설된 나사와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혼합유체 생성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혼합유체 생성부재(26)는 물저장탱크(16)로부터 투입된 물과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유체를 생성함과 동시에, 그 혼합유체를 분무상태로 단위체적을 미세화시켜 그 혼합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혼합유체 생성부재(26)는 그 외부가 원통형상의 수전금구 케이싱(262)으로 이루어지며, 그 케이싱(262)의 상단 외주연에는 내부로 관통되어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관통구(264)가 적어도 하나이상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62)의 내주연에는 관통구(264)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케이싱(262)의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그 관통구(264)를 통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268)이 그 케이싱(262)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케이싱(262)의 내주연 소정부에는 유동방지턱(266)이 내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되며, 그 유동방지턱(266)의 하부에는 다수의 미세공(270a)이 천공된 제 1 파쇄판(270)의 가장자리가 요입되고, 그 제 1 파쇄판(270)의 하부에는 혼합유체를 분무상태로 형성시키기 위해 내부에 오리피스(282)가 형성된 분무부재(28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파쇄판(270)은 상단으로부터 투입된 물과 공기를 그 미세공(270a)을 통해 통과시킴에 따라 그 혼합도를 향상시키고, 혼합유체의 단위체적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분무부재(280)의 오리피스(282)는 그 중앙부위로 갈수록 상광하협 형태로 직경이 형성되고, 중앙부위의 하단에는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그 오리피스(282)를 통과하는 혼합유체는 속도는 증가되고 양은 감소된다.
또한, 상기 분무부재(280)의 하단에는 그 분무부재(28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혼합유체를 다시 미세공(284a)을 통과시켜 혼합유체의 단위체적을 감소시키고, 혼합유체의 혼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파쇄판(284)가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먼저, 도 2에서 기설명된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함을 미리 밝히면서,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34는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4)를 구동시키는 제 1 밸브 구동부를 나타내며, 36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 1 밸브 구동부(34)에 AC 전원을 투입하기 위해 스위칭을 행하는 스위칭부를 나타낸다.
또한, 38은 상기 제 2 솔레노이브 밸브(24)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밸브 구동부를 나타내며, 40은 상기 제 2 밸브 구동부(38)에 투입되는 AC 전류량을 조절함에 따라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4)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를 나타낸다.
42는 펌프를 구동하는 펌프구동부이며, 43은 표시부를 구동하는 표시 구동부이고, 44는 상기 수위감지부(18) 및 키조작부(4, 6)로부터 수위 감지신호 및 키조작신호를 인가받아 물저장탱크(16)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더불어, 물과 공기의 혼합비를 설정하는 키신호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절수형 식기세척장치(2) 케이스(4)의 전면에 형성된 전원투입버튼(6)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펌프(28) 및 회로기판(32)에 전원을 투입한다(제 1 단계: ST-1).
그리고, 상시 상기 물저장탱크(16)에 형성된 수위감지센서(18)는 저장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바, 예컨대 저장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4)는 스위칭부(36)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4)를 개방되도록 하여 물이 물저장탱크(16)의 내부로 투입되게 한다(제 2 단계: ST-2).
전원키의 투입으로 상기 제 2 솔레노이브 밸브(24)는 기설정된 설정치만큼의 전원을 투입받아 개방된다. 그로인해, 상기 물저장탱크(16)에 저장된 물은 제 2 솔레노이브 밸브(24)의 개방정도만큼 상기 혼합유체 형성부재(26)로 투입된다(제 3 단계: ST-3).
이때, 상기 혼합유체 형성부재(26)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일정 직경의 관통공(264)이 천공된 바, 그 관통공(264)의 직경이 일정하므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유체 형성부재(26)내에서 물과 공기의 혼합으로 생성된 혼합유체는 하단의 펌프(28)로 유입되어 펌핑된다(제 4 단계: ST-4).
그리고, 펌핑된 혼합유체는 노즐(12)을 매개로 외부로 가압 토출되어 식기를 세척하는 매개체로 작용토록 한다(제 5 단계: ST-5).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의 상세한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절수형 식기세척장치(2) 케이스(4)의 전면에 형성된 전원투입버튼(6)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펌프(28) 및 회로기판(32)에 전원을 투입한다(제 10 단계: ST-10).
그와 동시에, 일정 공기량에 대해 혼합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키신호가 인가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11 단계: ST-11).
만약, 조절키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설정 혼합비로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유체를 형성한다(제 12 단계: ST-12).
소정의 조절키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제 13 단계: ST-13), 상기 제어부(44)는 인가된 조절치에 따라 제 2 솔레노이브 밸브(24)로 투입된 전류치를 조절하여 그 개페도를 조절토록 한다(제 14 단계: ST-14).
따라서, 상기 혼합유체 생성부재(28)에 투입된 물과 공기의 혼합비가 소망한 대로 조절되어 혼합유체가 생성되고(제 15 단계: ST-15), 그 혼합유체생성부재(28)의 내부에서 분자가 미세화되어 분무상태로 변화되면서 혼합도가 향상된다(제 16 단계: ST-16).
그리고, 그 혼합유체를 상기 펌프(28)에 의해 펌핑한 다음(제 17 단계: ST-17), 외부에 돌출된 노즐(12)을 통해 토출 분사토록 한다(제 18 단계: ST-18).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은 공기와 물을 혼합한 혼합유체를 이용하여 각종 식기를 세척함에 따라 식기 세척에 필요한 물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과 더불어, 고른 혼합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효과적인 펌핑과, 외부 분사가 가능하다. 또한, 물과 공기의 혼합비율을 외부 키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게 함으로써 그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단수 시에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 케이스의 내부상단에는 물투입 파이프를 매개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탱크와;상기 물저장탱크로부터 연통 결합된 배출파이프를 매개로 투입된 물과, 외부로부터 투입된 공기를 기설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혼합 유체를 생성시키는 혼합유체 생성부재와;그 혼합유체 생성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식기세척을 목적으로 케이스의 외부로 혼합유체를 펌핑함으로써 식기 세척위치로 혼합 유체를 가압 토출시키기 위한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에는 저장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투입및 차단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물투입 파이프의 중간에 장착되는 제 1 솔레노이브밸브와, 상기 물저장탱크의 저장수 상면에 부위되는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물저장탱크의 측면에 장착된 수위감지센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 탱크의 바닥면에는 저장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저장수를 분리하기 위해, 그 최상단에 내외부로 미세공이 형성된 반구형의 1차 걸름망이 구비되고, 그 하단에는 원통형상의 디스크가 장착되며, 그 디스크의 상면은 미세공이 형성되어 상기 1차 걸름망을 통과한 이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2차 걸름망이 형성되고, 그 2차 걸름망의 직하부에는 여과지로 구성되어 2차 걸름망을 통과한 유체를 3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여과필터가 그 하단의 걸림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그 디스크의 내주연에는 나사가 각설되어, 상기 배출파이프의 외주연에 각설된 나사와 체결되는 필터링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와 혼합유체 생성부재의 사이에는 투입되는 일정량의 공기에 대해 물의 투입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체 생성부재는 그 외부가 원통형상의 수전금구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며, 그 케이싱의 상단 외주연에는 내부로 관통되어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관통구가 적어도 하나이상 천공되고, 상기 케이싱 내주연에는 관통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케이싱의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그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이 그 케이싱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역류방지판의 하부에는 다수의 미세공이 천공된 제 1 파쇄판이 구성되며, 그 제 1 파쇄판의 하부에는 혼합유체를 분무상태로 형성시키기 위해 내부에 오리피스가 형성된 분무부재가 구성되고, 그 분무부재의 하단에는 그 분무부재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혼합유체를 다시 미세공을 통과시켜 혼합유체의 단위체적을 감소시키고, 혼합유체의 혼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파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 물과 공기의 혼합으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절수형 식기세척장치에 있어서,절수형 식기세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투입하는 과정과;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유체를 형성하는 과정과;형성된 혼합유체를 펌핑하는 과정과;펌핑된 혼합유체를 노즐을 매개로 외부로 가압 토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장치의 절수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물과 공기를 혼합비율 조절 키신호가 인가되는 과정과;일정량의 공기에 대해 혼합되는 물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장치의 절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75727A KR20030045293A (ko) | 2001-12-01 | 2001-12-01 |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75727A KR20030045293A (ko) | 2001-12-01 | 2001-12-01 |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45293A true KR20030045293A (ko) | 2003-06-11 |
Family
ID=2957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5727A KR20030045293A (ko) | 2001-12-01 | 2001-12-01 |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4529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2746B1 (ko) * | 2003-09-24 | 2007-11-01 |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 통신 단말 및 기지국 선택 방법 |
KR102617077B1 (ko) * | 2023-06-20 | 2023-12-21 | 권현진 | 식기세척기 |
-
2001
- 2001-12-01 KR KR1020010075727A patent/KR2003004529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2746B1 (ko) * | 2003-09-24 | 2007-11-01 |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 통신 단말 및 기지국 선택 방법 |
KR102617077B1 (ko) * | 2023-06-20 | 2023-12-21 | 권현진 | 식기세척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055702A (ko) | 발포 세정액 분배 시스템 | |
CN108625103A (zh) | 洗衣机、微泡沫发生器和供给包含微泡沫的洗涤水的方法 | |
CN108625090A (zh) | 洗衣机及其控制方法 | |
JP2688183B2 (ja) | 洗剤溶解装置 | |
KR102578678B1 (ko) |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
KR20030045293A (ko) | 절수형 식기세척장치 및 그 방법 | |
CN111449600A (zh) | 一种防堵塞喷淋器和防堵塞清洗装置 | |
JP2800421B2 (ja) |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 |
JP3975991B2 (ja) | 排水管洗浄装置 | |
CN212698781U (zh) | 一种防堵塞喷淋器和防堵塞清洗装置 | |
KR200396007Y1 (ko) | 욕조용 기포발생장치 | |
CN217004878U (zh) | 一种微气泡水发生装置及其热水器 | |
JP5263704B2 (ja) | 水洗大便器 | |
KR20190097916A (ko) | 식기세척기 | |
JP2002088883A (ja) | サイホンジェット式水洗便器 | |
JP2017221869A (ja) | 気体溶解装置 | |
JP3416997B2 (ja) | 気泡発生装置 | |
JP3047600B2 (ja) | 濾過装置付き気泡浴槽装置の制御方法 | |
CN114622374B (zh) | 清洗装置控制方法及清洗装置 | |
KR102632696B1 (ko) | 나노버블장치 | |
KR102732689B1 (ko) | 식기세척기 | |
JPH046751Y2 (ko) | ||
JPH0824195A (ja) | 食器洗浄機 | |
JP2002059189A (ja) | 曝気方法及び装置 | |
KR0140666B1 (ko) | 세탁기의 세제회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