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583A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36583A KR20030036583A KR1020030025817A KR20030025817A KR20030036583A KR 20030036583 A KR20030036583 A KR 20030036583A KR 1020030025817 A KR1020030025817 A KR 1020030025817A KR 20030025817 A KR20030025817 A KR 20030025817A KR 20030036583 A KR20030036583 A KR 200300365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door unit
- air
- discharge
- suction
- cooling f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77 unit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2—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inlet and outlet arranged on the same side, e.g. for mounting in a wall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parallel rods or lamellae directing the outflow, e.g. the rods or lamellae being individually adjust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향하는 1 면은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며, 그 내부가 흡입부 및 토출부로 구획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실외기 케이싱과,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실내기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공냉식 응축기와,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공냉식 응축기로 공급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토출 방향은 최인접 실외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러한 실외기를 이용한 실외기 설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실외기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방기 혹은 난방기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냉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경우,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시키는 실내기와, 실내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대기와 접하는 실외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냉각매체로 응축기에서 냉매가스와 응축 열교환 후 응축된 냉매를 실내기의 증발기로 냉매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실내기는 냉매를 증발시켜 실내 공기로부터 증발열을 흡수하는 냉각 열교환을 행하는 증발기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통풍팬을 포함하며, 실외기는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공냉식 응축기와, 공냉식 응축기에 외부공기를 강제통풍시켜 냉매가스를 냉각 응축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 공냉식 응축기 및 냉각팬은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다. 종래의 육면체 형상의 실외기 케이싱은, 세측면에 공냉식 응축기로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부와, 그 상부면에 공냉식 응축기에서 열교환을 통해 냉매 가스로부터 응축열을 흡수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토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는, 도시의 고밀도화와 환경관리의 강화로 인해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고 있고, 소음 및 열기 방출로 인해 주변의 민원 제기 대상으로 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 공동주거시설에서는 미관과 소음문제로 실외기를 실내의 베란다 내부에 설치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101873호는 공기조절장치의 실내 유닛이 공기 조절하고자 하는 실내 혹은 실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공기조절장치의 실외 유닛이 공기 조절하고자 하는 실외에 설치된 공기조절장치 장착건물에 있어서, 외벽 혹은 지붕에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에는 루버가 설치되고, 루버의 안쪽에 공기조절장치의 실외 유닛이 설치되고, 실외 유닛의 흡기 혹은 배기는 루버의 날개판 간극을 통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는 공기조절장치 장착건물을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3-213928호는 벽에 매설되는 상기 벽과 대략 동일 치수의 두께의 외곽을 갖는 공기조화기용의 실외기 본체와, 상기 실외기 본체의 동일면측에 배설한 열 교환용 공기의 흡입구 및 열교환 후의 공기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벽 매립형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실외기 자체를 건물 외벽에 형성된 공간내에 삽입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고, 상술한 벽 매립형 혹은 전면 흡토출형의 실외기가 많은 수로 사용될 수 있는 공동 주택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는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많은 숫자의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가 설치될 수 있는 공동 주택에서 이웃 실외기에 의한 당해 실외기의 열교환 효율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당해 실외기에 의한 이웃 실외기의 열교환 효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외기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대규모 공동 주택에 개별 세대들에 설치되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실외기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외기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단 사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보인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보인 실외기가 인접하게 설치된 예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공동 주택에서 실외기로부터 폐공기의 바람직한 토출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주요 도면번호의 설명 *
2: 건물 외벽4: 외부 프레임
6: 내부 프레임7a: 흡입 영역
7b: 토출 영역8: 루버 블레이드
10: 실외기12a, 12b, 12c: 측면 커버
14: 저면 커버16: 상면 커버
20: 압축기30: 응축기
40: 냉각팬42: 팬 프레임
44: 팬 브라켓트46: 팬 프론트
본 발명은, 외부로 향하는 1 면은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며, 그 내부가 흡입부 및 토출부로 구획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실외기 케이싱과,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실내기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공냉식 응축기와,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상기 공냉식 응축기로 공급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토출 방향은 최인접 실외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냉각팬은, 흡입용 오리피스 중 하나는 상기 나머지 면들 중에서 상기 루버 프레임의 토출 영역에 면하는 개방된 1면에 접하면서 상기 흡입부로부터 가장 먼 면을 향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흡입부를 향하는 시로코 냉각팬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가 루버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루버 프레임은, 건물 외벽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 내벽에 상기 실외기 케이싱의 흡입부 및 토출부에 면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 케이싱의 흡입부 및 토출부에 대응하는 흡입 영역과 토출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영역 내에 복수개의 루버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들 루버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것이 더욱 좋다. 더불어, 상기 토출부의 루버 블레이드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토출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시로코 냉각팬 모터의 회전 방향이 최인접 실외기의 시로코 냉각팬 모터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인 것이 더욱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로 향하는 1 면은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며, 그 내부가 흡입부 및 토출부로 구획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실외기 케이싱과,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실내기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공냉식 응축기와,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공냉식 응축기로 공급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를 매층당 복수개씩 복수층에 걸쳐 설치하되, 각 실외기의 냉각팬으로부터 공기의 토출방향을 최인접 실외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는 실외기 설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냉방용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 흡토출형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주거용 및/또는 상업용 건물의 외벽(2)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 내벽에 외부 프레임(4)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4) 안쪽에 내부 프레임(6)이, 상기 외부 프레임(4)에 고정 설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내외부 프레임(4, 6)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6)의 안쪽 영역은 흡입 영역(7a)과 토출 영역(7b)으로 구획 분리되며, 각 영역내에는 복수개의 루버 블레이드(8)가 설치되어 이들 루버 블레이드(8) 사이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거나 토출된다. 루버 블레이드(8)의 방향을 조작하여 공기가 흡입 및/또는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부 프레임(4) 및/또는 내부 프레임(6)에 접하도록 상기 건물외벽(2) 안쪽으로 고정 설치되는 실외기(10)는 실외기 케이싱을 갖는데, 이 실외기 케이싱은 도 2에 보인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이 실외기 케이싱 내부에 역시 도 2에 보인 실외기 구성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실외기 케이싱은 내부 프레임(6)의 흡입 영역(7a) 및 토출 영역(7b)과 면하는 1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개방된 측면부는 흡입부(11a) 및 토출부(11b)로 구획 분리되어 내부 프레임의 흡입 영역(7a) 및 토출 영역(7b)에 대응한다. 그리고, 다른 세 측면 커버(12a, 12b, 12c)와, 저면 커버(14) 및 상면 커버(16)는 폐쇄되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아울러, 상기 실외기 케이싱은 흡입부(11a)에 대응하는 흡입 케이싱과, 토출부(11b)에 대응하는 토출 케이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저면 커버(16)에는 복수개의 다리 부재(18a, 18b, 18c, 18d)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다리 부재(18a, 18b, 18c, 18d)들이 건물의 바닥, 예를 들면 아파트 베란다의 바닥에 지지되어 실외기(10)의 무거운 하중을 지지한다. 다리 부재(18a, 18b, 18c, 18d)의 숫자는 저면 커버(14)의 형상을 고려하는 경우 4개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이들 다리 부재(18a, 18b, 18c, 18d)들을 서로 연결 보강하는 다리 보강재(19)가 저면 커버(14) 아래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다리 부재(18a, 18b, 18c, 18d)들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하여, 건물의 바닥, 예를 들면 아파트 베란다의 바닥의 편평도가 바르지 않을 경우 실외기(10)의 수평도를 맞추는데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리 부재(18a, 18b, 18c, 18d)들 중 예를 들면 전방쪽(건물 외벽쪽) 두 개의 다리 부재(18a, 18b)가 이동용 바퀴(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포함하는 경우, 무거운 하중의 실외기(10)를 운반하는데 상당히 편리해진다.
아울러, 실외기 흡입부(11a)에는 압축기(20)가 압축기 체결부(22) 위에 설치되고, "U"자 형상의 공냉식 응축기(30)가 응축기 커버(32a, 32b, 32c) 및 응축기 브라켓트(34a, 34b)를 이용하여 측면 커버(12a, 12b) 및 저면 커버(14)에 고정 지지된다. 공냉식 응축기(30)는 수많은 응축기 핀들 사이로 복수열의 응축기 배관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공냉식 응축기의 구조 및 형상은 이미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압축기(20)로부터 압축된 압축 냉매 가스는 상기 응축기(30)의 배관을 통해 흐르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응축열을 빼앗기고 응축된다. 이 경우, 상기 응축기 커버(32a, 32b, 32c) 및 응축기 브라켓트(34a, 34b)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응축기(30)를 거치지 않고 토출부(11b)로 공급되지 않도록 풍로를 형성한다. 결국, 흡입 영역(7a)의 루버 블레이드(8)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응축기 커버(32a, 32b, 32c) 및 응축기 브라켓트(34a, 34b)가 형성하는 풍로로 따라 "U"자형 응축기(30)를 통과하면서 응축기 배관을 흐르는 냉매 가스와 열교환 한다.
특히, 종래 세측면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상면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형식의 실외기와는 달리, 전면 흡토출 방식을 채용하는 본 발명에서는 흡입면이 제한되므로 시스템내에서 흡입 저항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시로코 팬을 사용한다. 즉, 실외기 토출부(11b)에, 외부 공기를 상기 흡입 영역(7a)을 통해 상기 공냉식 응축기(30)로 공급시키고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 영역(7b)을 통해 배출시키는 시로코 팬(4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로코 팬은 흡입용 오리피스(36)가 상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흡입용 오리피스(36)가 측면 커버(12a, 12b)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팬의 동작에 따른 진동이 시스템에 영향 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로코 팬(40)을 실외기 케이싱에 고정하기 위한 팬 지지부재가 필요한데, 이 지지부재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부의 모서리들을 보강 지지하는 팬 프레임(42)과, 상기 팬 프레임(42)에 시로코 팬(40)의 측면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팬 브라켓트(44)로 이루어진다. 시로코 팬의 설치방향에 따라 팬 브라켓트(44)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실외기 케이싱이 흡입부(11a)에 대응하는 흡입 케이싱과, 토출부(11b)에 대응하는 토출 케이싱으로 구분되는 경우에는, 상기 팬 프레임(42)은 상기 토출 케이싱을 보강 지지한다. 도면번호 46은 시로코 팬(40) 앞에 설치되는 팬 프론트(fan front)를 나타내고, 도면번호 50은 실외기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박스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실외기를, 건물 외벽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 내벽에 고정 설치한 루버 프레임에 설치하면,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전면 흡토출 방식의 실외기 구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도시 개발과 함께 주류 주거 생활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는 공동 주택의 경우, 인접하는 주택의 구조가 서로 대칭형이어서, 한 집에서 실외기가 베란다의 한쪽에 위치하게 된다면, 그 바로 옆집에서도 실외기가 베란다에 한 쪽에 놓이되 이웃집의 실외기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이러한 예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데, 만약 도 4에 보인 바와 같은 고층의 공동 주택이라면 서로 마주 보는 주택은 서로 대칭으로 지어지므로 실외기가놓여지는 위치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될 수밖에 없다.
도 4에서는 제 n층의 A호의 오른쪽에 실외기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만약 A호의 왼쪽에 실외기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B호에서는 오른쪽에 실외기가 설치될 것이고, 다시 C호에서는 왼쪽에 실외기가 설치될 것이므로, 결국 B호 및 C호의 실외기는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만약 시로코 냉각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토출 방향이 최인접 실외기 쪽이라면 열교환 후 토출된 공기가 최인접 실외기의 흡입부로 흡입되거나 아니면 위층(즉, 제 n+1층 이나 제 n+2층)의 실외기의 흡입부로 흡입되어 이웃 실외기의 열교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즉, 밖의 신선한 공기(fresh air)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지 않고, 아래층의 실외기에서 배출된 높은 온도의 폐공기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각팬으로부터 열교환된 공기를 최인접 실외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이러한 토출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도 3에 보인 일부 절단 사시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호의 시로코 팬의 토출 방향이 B호의 시로코 팬의 토출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이다. 도 3에 보인 예에서 A호에서 시로코 팬 모터의 회전 방향과 B호 시로코 팬 모터의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오리피스가 상하부를 향하는 시로코 팬을 냉각팬으로 사용한 경우를 상정한 것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만약 다른 형태의 팬과 에어가이드가 사용된다면, 에어 가이드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최인접 실외기간의 토출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폐공기의 토출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토출부의 루버를 세로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이웃 실외기에서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경우,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기(예를 들면, B호의 실외기)에서 토출된 폐공기가 이웃 실외기(예를 들면, A호 혹은 C호의 실외기)나 그 위층 이웃 실외기(예를 들면, D호, E호 혹은 F호의 실외기)의 흡입부로 흡입될 가능성이 줄어들어서 전체 공동 주택에 설치된 실외기의 열교환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오리피스가 상하방으로 형성된 시로코팬을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른 종류의 팬이나 가이드관(예를 들면, 축류팬 및 에어가이드의 사용) 등이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숫자의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가 설치될 수 있는 공동 주택에서 이웃 실외기에 의한 당해 실외기의 열교환 효율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당해 실외기에 의한 이웃 실외기의 열교환 효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외기를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대규모 공동 주택에 개별 세대들에 설치되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실외기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 외부로 향하는 1 면은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며, 그 내부가 흡입부 및 토출부로 구획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실외기 케이싱과,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실내기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공냉식 응축기와,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공냉식 응축기로 공급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고,상기 냉각팬으로부터의 공기의 토출 방향은 최인접 실외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흡입용 오리피스 중 하나는 상기 나머지 면들 중에서 상기 루버 프레임의 토출 영역에 면하는 개방된 1면에 접하면서 상기 흡입부로부터 가장 먼 면을 향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흡입부를 향하는 시로코 냉각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루버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루버 프레임은, 건물 외벽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 내벽에 상기 실외기 케이싱의 흡입부 및 토출부에 면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 케이싱의 흡입부 및 토출부에 대응하는 흡입 영역과 토출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영역 내에 복수개의 루버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들 루버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루버 블레이드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로코 냉각팬 모터의 회전 방향이 최인접 실외기의 시로코 냉각팬 모터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외부로 향하는 1 면은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며, 그 내부가 흡입부 및 토출부로 구획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실외기 케이싱과,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설치되며, 실내기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공냉식 응축기와, 상기 실외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공냉식 응축기로 공급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는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를 매층당 복수개씩 복수층에 걸쳐 설치하되, 각 실외기의 냉각팬으로부터 공기의 토출방향을 최인접 실외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외기 설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5817A KR20030036583A (ko) | 2003-04-23 | 2003-04-23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
CN201010002195.5A CN101881485B (zh) | 2003-04-23 | 2003-06-09 | 前面吸/排气式空调器室外机 |
US10/473,071 US7191616B2 (en) | 2003-04-23 | 2003-06-09 |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nd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using it |
PCT/KR2003/001122 WO2004094917A1 (en) | 2003-04-23 | 2003-06-09 |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using it |
CN03800573A CN100593675C (zh) | 2003-04-23 | 2003-06-09 | 前面吸/排气式空调器室外机及其安装系统 |
CNU2003201315580U CN2669055Y (zh) | 2003-04-23 | 2003-12-30 | 前面吸/排气式空调器室外机及其安装系统 |
EP04728978A EP1627188B1 (en) | 2003-04-23 | 2004-04-22 |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DE602004021923T DE602004021923D1 (de) | 2003-04-23 | 2004-04-22 | Eingebaute ausseneinheit für klimaanlage |
PCT/KR2004/000931 WO2004094919A1 (en) | 2003-04-23 | 2004-04-22 |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KR1020047010297A KR100605206B1 (ko) | 2003-04-23 | 2004-04-22 |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설치 시스템 |
KR1020047010296A KR100605205B1 (ko) | 2003-04-23 | 2004-04-22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PCT/KR2004/000932 WO2004094915A2 (en) | 2003-04-23 | 2004-04-22 |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for air conditioner |
AT04728978T ATE435998T1 (de) | 2003-04-23 | 2004-04-22 | Eingebaute ausseneinheit für klimaanlage |
ES04728978T ES2327738T3 (es) | 2003-04-23 | 2004-04-22 | Unidad exterior de tipo empotrado para un acondicionador de aire. |
KR1020040027860A KR101156295B1 (ko) | 2003-04-23 | 2004-04-22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
EP09007470A EP2090840A1 (en) | 2003-04-23 | 2004-04-22 |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CNB2004800098517A CN1320319C (zh) | 2003-04-23 | 2004-04-22 | 嵌入式空调器室外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5817A KR20030036583A (ko) | 2003-04-23 | 2003-04-23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6583A true KR20030036583A (ko) | 2003-05-09 |
Family
ID=3676093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5817A Pending KR20030036583A (ko) | 2003-04-23 | 2003-04-23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
KR10200470102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206B1 (ko) | 2003-04-23 | 2004-04-22 |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설치 시스템 |
KR10200400278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6295B1 (ko) | 2003-04-23 | 2004-04-22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
KR10200470102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205B1 (ko) | 2003-04-23 | 2004-04-22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02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206B1 (ko) | 2003-04-23 | 2004-04-22 |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설치 시스템 |
KR10200400278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6295B1 (ko) | 2003-04-23 | 2004-04-22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
KR10200470102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205B1 (ko) | 2003-04-23 | 2004-04-22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2) | EP1627188B1 (ko) |
KR (4) | KR20030036583A (ko) |
CN (2) | CN2669055Y (ko) |
AT (1) | ATE435998T1 (ko) |
DE (1) | DE602004021923D1 (ko) |
ES (1) | ES2327738T3 (ko) |
WO (2) | WO20040949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232325B1 (es) * | 2005-02-08 | 2006-03-01 |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 Aparato de aire acondicionado. |
KR100991287B1 (ko) * | 2005-05-31 | 2010-11-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KR100842221B1 (ko) * | 2006-12-29 | 2008-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EP2096365B1 (en) * | 2008-02-29 | 2017-10-11 | Johnson Controls-Hitachi Air Conditioning Technology (Hong Kong) Limited | Heat source unit installed inside building |
JP5097576B2 (ja) * | 2008-02-29 | 2012-12-12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屋内埋込型熱源機及び空気調和機 |
BRMU8802484Y1 (pt) * | 2008-11-03 | 2016-05-03 | Heatcraft Do Brasil Ltda |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unidade condensadora com fluxo bidirecional |
US9677555B2 (en) | 2011-12-21 | 2017-06-13 |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
FR2959002B1 (fr) * | 2010-04-15 | 2014-07-25 | Thierry Schuffenecker | Dispositif thermodynamique pour chauffer et/ou climatiser un batiment |
US11295846B2 (en) | 2011-12-21 | 2022-04-05 |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
US9675756B2 (en) | 2011-12-21 | 2017-06-13 |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 Apparatus for infusing fluid |
CN106794302B (zh) | 2014-09-18 | 2020-03-20 | 德卡产品有限公司 | 通过将管适当加热来穿过管输注流体的装置和方法 |
JP6388734B2 (ja) * | 2015-12-18 | 2018-09-12 | 三菱電機株式会社 |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
CN106705405B (zh) * | 2016-12-20 | 2018-02-16 | 江门市宝士制冷电器有限公司 | 一种空调室外机安装装置 |
JP7047185B2 (ja) | 2018-08-16 | 2022-04-04 | デカ・プロダクツ・リミテッド・パートナーシップ | 医療用ポンプ |
CN116839128A (zh) * | 2023-08-09 | 2023-10-03 | 广州万二二麦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风机后置单风道双制冷系统融合主机及设备平台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03255A (en) | 1977-02-18 | 1978-09-08 | Sanyo Electric Co Ltd | Manufacturing process of heat insulating wall body |
US4738116A (en) * | 1985-07-08 | 1988-04-1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Apparatus for deflect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in an air conditioner |
JPS62223541A (ja) | 1986-03-20 | 1987-10-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冷式空気調和機 |
JPH03213928A (ja) | 1990-01-19 | 1991-09-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壁埋込形の空気調和用室外機 |
JPH06101873A (ja) | 1992-09-17 | 1994-04-12 | Sekisui Chem Co Ltd | 空気調節装置装着建物 |
JPH0886467A (ja) * | 1994-09-20 | 1996-04-02 | Ohbayashi Corp | ビル用空調機の壁面組み込み式屋外機 |
JP3314854B2 (ja) * | 1995-12-20 | 2002-08-19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GB2322440A (en) | 1997-02-21 | 1998-08-26 | Arctic Circle Limited | Apparatus for refrigeration and/or air conditioning |
CN1201884A (zh) * | 1998-06-02 | 1998-12-16 | 江苏宝利置业公司 | 墙内全隐藏式冷暖分体空调室外机 |
JP2000054530A (ja) | 1998-08-11 | 2000-02-22 | Misawa Homes Co Ltd | 室外機を備えた建物 |
KR100540272B1 (ko) | 2000-11-21 | 2006-01-10 | 서종대 |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JP2003097828A (ja) * | 2001-09-21 | 2003-04-03 | Toshiba Kyaria Kk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2003
- 2003-04-23 KR KR1020030025817A patent/KR20030036583A/ko active Pending
- 2003-12-30 CN CNU2003201315580U patent/CN2669055Y/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4-22 CN CNB2004800098517A patent/CN132031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2 DE DE602004021923T patent/DE602004021923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2 WO PCT/KR2004/000931 patent/WO20040949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4-22 EP EP04728978A patent/EP162718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4-22 EP EP09007470A patent/EP209084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4-22 AT AT04728978T patent/ATE435998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4-22 WO PCT/KR2004/000932 patent/WO2004094915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4-22 KR KR1020047010297A patent/KR10060520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2 KR KR1020040027860A patent/KR10115629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2 KR KR1020047010296A patent/KR10060520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2 ES ES04728978T patent/ES2327738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27188A1 (en) | 2006-02-22 |
KR100605206B1 (ko) | 2006-07-31 |
KR20050000367A (ko) | 2005-01-03 |
WO2004094915A3 (en) | 2005-01-06 |
KR20040092471A (ko) | 2004-11-03 |
DE602004021923D1 (de) | 2009-08-20 |
EP1627188B1 (en) | 2009-07-08 |
WO2004094919A1 (en) | 2004-11-04 |
ATE435998T1 (de) | 2009-07-15 |
CN1774601A (zh) | 2006-05-17 |
KR101156295B1 (ko) | 2012-06-13 |
CN2669055Y (zh) | 2005-01-05 |
ES2327738T3 (es) | 2009-11-03 |
EP2090840A1 (en) | 2009-08-19 |
CN1320319C (zh) | 2007-06-06 |
WO2004094915A2 (en) | 2004-11-04 |
KR100605205B1 (ko) | 2006-07-31 |
KR20050000366A (ko) | 2005-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42073Y1 (ko)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
KR20030036583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 |
KR20030036302A (ko)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
KR100827875B1 (ko) | 실외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 |
US7191616B2 (en) |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nd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using it | |
KR20030036366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36369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100982857B1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36581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36367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45746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에 사용될수 있는 시로코팬 | |
KR20030045747A (ko)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
KR20100091136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36585A (ko)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
KR20030036301A (ko) | 전면 흡토출형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40338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36370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36368A (ko) |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36300A (ko) | 전면 흡토출형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20030036584A (ko)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