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34729A - 습포제 - Google Patents

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729A
KR20030034729A KR1020010066438A KR20010066438A KR20030034729A KR 20030034729 A KR20030034729 A KR 20030034729A KR 1020010066438 A KR1020010066438 A KR 1020010066438A KR 20010066438 A KR20010066438 A KR 20010066438A KR 20030034729 A KR20030034729 A KR 20030034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ttached
affected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실
Original Assignee
김성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실 filed Critical 김성실
Priority to KR102001006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4729A/ko
Publication of KR2003003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72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관절부위에 부착하기 적합한 습포제에 대해 개시한다. 이 습포제(50)는 일면에 신체의 환부에 부착되며 약재 및 점착성물질이 도포된 점착층(55)과, 이 점착층(55)의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점착층 보호재(56)로 이루어진다.
점착층(55)은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부(51)로 형성되고, 각 구획부(51) 상호간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주름띠(52)(53)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습포제는 신체의 운동에 따른 환부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주름띠 (52)(53)의 형성으로 각 구획부가 환부의 신축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습포제의 부착상태가 양호해지고 부착감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습포제{Poultice}
본 발명은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관절부위에 부착하여 사용시 관절운동 전후로도 그 부착상태가 변함이 없도록 한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박상이나 근육통 및 관절통이나 신경통 부위에는 물파스를 바르거나 치료약이 함유된 습포제(소위 '파스'라함)를 신체에 부착하여 치료토록 한다.
이러한 습포제는 그 처치 용이성 등의 이유로 이용이 확산되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습포제가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포제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신축성을 가지는 부직포로 구성된 기초재(10)와, 이 기초재(10) 표면상에 약제와 점착성 물질이 도포된 점착층(20)과, 이 점착층(20)을 보호하며 박리가능하게 부착된 점착재 보호층(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습포제(40)는 점착재 보호층(30)을 일부 박리시키면서 부착시키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노출된 점착층(20)이 부착되도록 압박시키고 점착재 보호층(30)을 서서히 박리시키면서 전체 점착재 보호층(20)이 환부에 밀착되도록 압박시킨다.
특히, 신체의 관절부분에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분을 접은 상태에서 즉, 환부와 습포제(40)와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관절부분의 환부가 펴진 상태에서 습포제(40)를 부착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졌던 관절을 펴게 되면 환부에 주름이 생기면서 함께 습포제(40)도 주름따라 신축된다. 이 경우 환부의각 주름마다 신축성있는 기초재(10)가 수축되면서 압박하게 되므로 부착감이 낮아지게 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신체의 관절부분에 부착시키더라도 관절운동에 따른 환부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환부의 부착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습포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습포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습포제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습포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습포제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4 습포제의 관절부위 부착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습포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습포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의 습포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습포제51...구획부
52,53...주름띠55...점착층
56...점착층 보호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습포제는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부로 형성되고, 각 구획부 상호간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가지며, 일면에 신체의 환부에 부착되는 약재 및 점착성물질이 도포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점착층 보호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각 구획부를 신축가능한 주름띠로 연결하여서, 환부의 신축에 따라 각 구획부 사이 간격이 신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습포제는 신축성을 가지는 기초재;와
상기 기초재 표면에 부착되며 칼선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부로 형성되고, 신체의 환부에 부착되는 약재 및 점착성물질이 도포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점착층 보호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구획부에는 약제가 수용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어서, 특정의 환부에 부착 치료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습포제는 신체의 운동에 따른 환부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주름띠 또는 칼집의 형성으로 각 구획부가 환부의 신축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습포제의 부착상태가 양호해지고 부착감을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습포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습포제(50)는 일면에 신체의 환부에 부착되며 약재 및 점착성물질이 도포된 점착층(55)과, 이 점착층(55)의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점착층 보호재(56)로 이루어진다.
점착층(55)은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부(51)로 형성되고, 각 구획부(51) 상호간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가진다.
상기 연결수단은 각 구획부(51)를 신축가능한 주름띠(52)(53)로 연결하여서, 환부의 신축에 따라 각 구획부(51) 사이 간격이 신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습포제(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관절부분을 펼친 상태에서 무릎관절 환부에 부착시킨다. 이때 각 구획부(51) 사이 간격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되어 있게 된다. 이와같이 관절을 펼친상태에서 습포제(50)를 부착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을 접게 되면 환부가 팽창하게 된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는 환부를 따라 부착된 각 구획부(51) 사이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주름띠(52)도 신장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부(51)에는 내부에 약제(51b)가 수용된 돌출부(5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환부의 특정부위 만을 부착게 함으로써 약제를 절약할 수 있고, 지압효과도 가진다.
본 발명 습포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는 신축성을 가지는 기초재(70)와, 이 기초재(70)의 표면에 부착되며 신체의 환부에 부착되는 약재 및 점착성물질이 도포된 점착층과, 이 점착층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점착층 보호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점착층은 칼선(71a)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부(71)로 형성된다.
상기 각 구획부(71)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71c)가 수용되는 돌출부(71b)가 더 형성되어서, 특정의 환부에 부착 치료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습포제는 신체의 운동에 따른 환부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선(71a)의 형성으로 각 구획부(71)가 환부의 신축에 따라 기초재(70)의 신축과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습포제의 부착상태가 양호해지고 부착감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본 발명 습포제는 신체의 운동에 따른 환부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주름띠 또는 칼집의 형성으로 각 구획부가 환부의 신축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습포제의 부착상태가 양호해지고 부착감을 향상시킨다.

Claims (4)

  1.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부로 형성되고, 각 구획부 상호간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가지며, 일면에 신체의 환부에 부착되는 약재 및 점착성물질이 도포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점착층 보호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각 구획부를 신축가능한 주름띠로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재.
  3. 신축성을 가지는 기초재;와
    상기 기초재 표면에 부착되며 칼선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구획부로 형성되고, 신체의 환부에 부착되는 약재 및 점착성물질이 도포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점착층 보호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획부에 약제가 수용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KR1020010066438A 2001-10-26 2001-10-26 습포제 Ceased KR20030034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438A KR20030034729A (ko) 2001-10-26 2001-10-26 습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438A KR20030034729A (ko) 2001-10-26 2001-10-26 습포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832U Division KR200264333Y1 (ko) 2001-10-26 2001-10-26 습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729A true KR20030034729A (ko) 2003-05-09

Family

ID=2956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438A Ceased KR20030034729A (ko) 2001-10-26 2001-10-26 습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472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020U (ko) * 1984-10-30 1986-05-28
US4666441A (en) * 1985-12-17 1987-05-19 Ciba-Geigy Corporation Multicompartmentalized transdermal patches
KR200208616Y1 (ko) * 2000-06-17 2001-01-15 장익춘 무릎보호대
KR20010087096A (ko) * 2000-03-02 2001-09-15 장익춘 주름진 압박 밴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020U (ko) * 1984-10-30 1986-05-28
US4666441A (en) * 1985-12-17 1987-05-19 Ciba-Geigy Corporation Multicompartmentalized transdermal patches
KR20010087096A (ko) * 2000-03-02 2001-09-15 장익춘 주름진 압박 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8616Y1 (ko) * 2000-06-17 2001-01-15 장익춘 무릎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0845A (en) Skin protective device
DK0505804T3 (da) Fixerplaster
FI952721A7 (fi) Aine maksa-sappi-sairauksien hoitamiseksi
DE69634519D1 (de) Katheter zur ablation von atrio-ventikulären gewebe
DE69527091D1 (de) Interne ausdehnbare manschette zum chirurgischen gebrauch zur dehnung physiologischer gefässe
DE69729203D1 (de) Flexible und expandierbare, interne, vaskuläre prothese für chirurgische anwendung
DE10084458T1 (de) Absorptionsfähige Gewebe zur Verbesserung der Hautschutzschicht
NO991459D0 (no) Anvendelse av 1-hydroksy-2-pyridoner til behandling av hudinfeksjoner
BR9504156A (pt) Formulaçao de espuma de poliuretano flexivel bem como espuma obtida da mesma
NO995231D0 (no) Terapeutisk behandling av hudlidelser
NO992679D0 (no) Absorberende gjenstander som har mansjetter med hudpleiepreparat anbragt derpÕ
KR200264333Y1 (ko) 습포제
DE69627572D1 (de) Fingertyp-Blutdruckmesser mit flexibler faltbarer Fingermanschette
KR20030034729A (ko) 습포제
KR20050113208A (ko) 갈비뼈 골절의 무통 고정용 장치
HUP0000785A3 (en) Ointment for the treatment of burns and other skin diseases
JPH0380858A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8927A (ja) 固定具付き貼付剤
DE69840432D1 (de) Arzneimittel zur behandlung der augen
KR20150143282A (ko) 애완견의 다리 골절 치료용 피복
KR200327431Y1 (ko) 관절용 파스
KR200363505Y1 (ko) 치료 테이프
CN220530331U (zh) 一种能够保护治疗师手部关节的防护机构
KR20190117241A (ko) 신체접착용 테이프
KR200401774Y1 (ko) 상처보호 주름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3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