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31202A -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202A
KR20030031202A KR1020010062879A KR20010062879A KR20030031202A KR 20030031202 A KR20030031202 A KR 20030031202A KR 1020010062879 A KR1020010062879 A KR 1020010062879A KR 20010062879 A KR20010062879 A KR 20010062879A KR 20030031202 A KR20030031202 A KR 20030031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enu
input device
compu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6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1202A/ko
Priority to US10/268,671 priority patent/US20030074091A1/en
Priority to DE10247554A priority patent/DE10247554B4/de
Priority to CNB021443971A priority patent/CN1213361C/zh
Priority to JP2002300585A priority patent/JP2003208302A/ja
Publication of KR2003003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2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컴퓨터에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기기에 구현된 계층구조를 기술하는 메뉴기술자료를 토대로 상기 기기에 구현된 메뉴에 대응되는 PC U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PC 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이 발생되면, 상기 PC UI 조작들에 따른 오퍼레이션 정보들을 기술하는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오퍼레이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를 상기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를 수신한 기기가 그 오퍼레이션 정보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USER INTERFACE METHOD THROUGH COMPUTER}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 특히 컴퓨터에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용 기기나 사무용 기기 등은 시리얼 통신이나 무선 통신 등을 통하여 컴퓨터나 주변기기들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곤 한다. 이러한 기술은 컴퓨터를 통한 프로그램 업데이트, 특정 서비스 제공시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이를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제공되곤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로그램은 해당 기기에 구현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이하게 구성되었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기기의 조작방법을 습득한 상태에서 또다시 새로운 조작방법을 습득해야만 했다.
이와같이 컴퓨터를 통한 조작방법을 다시 습득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야기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컴퓨터를 통해 기기를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을 꺼리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가 구비하고 있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컴퓨터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좀 더 편리하고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상세도.
도 3은 기기가 구비하는 계층구조를 가지는 메뉴적 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기기가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메뉴 아이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오퍼레이션 아이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입력장치 커맨드 아이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가상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가상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가상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흐름도.
도 13 및 도 14는 PC UI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PC UI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PC UI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흐름도.
도 17 및 도 18은 콘트롤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0은 도 19의 UI 처리부의 처리흐름도.
도 22는 도 19의 해석 처리부의 처리 흐름도.
도 23은 기기에 구비되는 기술자료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기에 구현된 계층구조를 기술하는 메뉴기술자료를 토대로 상기 기기에 구현된 메뉴에 대응되는 PC U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PC 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이 발생되면, 상기 PC UI 조작들에 따른 오퍼레이션 정보들을 기술하는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오퍼레이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를 상기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를 수신한 기기가 그 오퍼레이션 정보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칭함)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기는 계층구조를 가지는 메뉴를 구비한다. 이러한 계층구조의 메뉴를 구비한 기기의 UI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페어런트(parent) 메뉴가 하나 이상의 차일드(child) 메뉴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비디오(video) 메뉴는 콘트라스트(contrast),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컬러(color), 틴트(tint), 리셋(reset)으로 구성되는 차일드 메뉴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position) 메뉴는 수평이동(flip horizontal), 수직이동(flip vertical), 키스톤(keystone), 줌(zoom)으로 구성되는 차일드 메뉴를 구비하고, 상기 특수(special) 메뉴는 언어(language), 사이즈 변경(resize), 블랭크 이미지(blank image), 램프 타임(lamp time)으로 구성되는 차일드 메뉴를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audio) 메뉴는 고음(treble), 저음(bass), 밸런스(balance)로 구성되는 차일드 메뉴를 구비한다. 이러한 계층구조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이 도 5이다.
상기한 계층구조를 가지는 기기의 UI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키패드(control keypad)(K) 및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R)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키입력부(K)와 리모트 콘트롤러(R)는 실제제품의 외관과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K) 및 리모트 콘트롤러(R)의 파워버튼은 전원 온/오프 버튼을 의미하고, 메뉴는 메뉴 발생을 위한 버튼이며, 엔터는 항목의 선택이나 수행을 위한 확인버튼을 의미하는 등 그 기능을 기기에 따라 적절하게 정의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계층구조를 가지는 메뉴(이하 PC UI라 칭함)를 컴퓨터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PC UI를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제 기기에 구비된 UI와 동일한 이미지의 그래픽(이하 가상입력장치라 칭함)을 컴퓨터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가상입력장치를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I 방법은 적응형 PC UI 제어부에의해 제공된다.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응형 PC UI 구성(Adaptive PC UI Configuration)부(A)와 UI 구조 기술(UI Structure Description)자료(B), 기기 인터페이스 통신 프로토콜(HW Interface Communication Protocol)(C), 기기 오퍼레이션 수행 및 결과 피드백(Real HW Operation and Result Feedback)(D)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응형 PC UI 구성부(A)는 UI 구조 기술자료(B)를 참조하여 PC UI 또는 가상입력장치를 컴퓨터(PC)를 통해 사용자(U)에게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U)는 상기 PC UI 또는 가상입력장치를 통해 기기(HW)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나 오퍼레이션 수행 요구를 하며, 그 명령이나 요구는 기기 인터페이스 통신 프로토콜(C)을 통해 기기(HW)에 제공한다. 상기 기기(HW)는 제공된 명령이나 요구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한다. 이와같이 피드백된 결과는 컴퓨터(PC)로 제공되어, 사용자(U)가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적응형 PC UI 구성부(A)는 UI 구조 기술자료(B)가 구비하는 메뉴 구조 기술(menu structure description)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PC UI를 생성하고, 그 PC UI를 컴퓨터(PC)의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적응형 PC UI 구성부(A)는 UI 구조 기술자료(B)가 구비하는 입력장치 명령코드 기술(input device command description)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가상입력장치를 생성하고, 그 가상입력장치를 컴퓨터(PC)의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컴퓨터(PC)의 화면에 표시된 PC UI 또는 가상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어느 한 오퍼레이션을 선택하거나 수행을 명령하는 경우에,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오퍼레이션 기술자료(B`)로부터 해당 오퍼레이션의 형태, 이름, 매개변수값의 범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오퍼레이션이 선택되었을 때에 해당 오퍼레이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거나, 해당 오퍼레이션 수행이 명령되었을 때에 해당 오퍼레이션의 수행번호나 매개변수값 등에 대한 정보를 기기(HW)에 전달한다.
먼저 기기(HW)에 구현되어 있는 UI와 컴퓨터(PC)에서 구현할 메뉴의 구조적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계층 구조를 도식화하여 기술할 수 있는 메뉴 구조 기술자료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뉴 구조 기술자료의 구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템 명칭(item name), 메뉴 계층 레벨(menu hierarchy level), 해당 레벨에서의 아이템 순서(item order in this level), 페어런트 메뉴(parent menu), 차일드 메뉴 아이템 수(number of child menu items), 해당 메뉴에 링크된 오퍼레이션(operation linked to this menu)으로 구성된 메뉴 아이템(menu item)들로 구성된다.
상기 메뉴 계층 레벨은 전체 메뉴의 계층구조내에서 해당 메뉴의 항목이 위치해 있는 수준을 나타내며, 해당 레벨에서의 아이템 순서는 해당 레벨내에서의 해당 메뉴 항목의 순서를 나타낸다. 그리고 페어런트 메뉴는 현재 메뉴 항목이 종속되어 있는 상위 메뉴를 나타내며, 차일드 메뉴 아이템의 수는 현재 메뉴 항목이 가지는 종속된 하위 메뉴의 개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해당 메뉴에 링크된 오퍼페이션은 현재 메뉴 항목이 기기(HW)에서 실제로 동작하는 오퍼레이션이 어떤 것인지를나타낸다.
상기 도 5의 계층 구조를 가지는 메뉴를 상기 메뉴 아이템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Item : Menu Base
Hierarchy : 0(Base Level)
Parent Item : None
Order : 1
Child Item : 4
Operation : None(Base Level Parent)
Item : Video Main Menu
Hierarchy : 1(Top Level)
Parent Item : Menu Base
Order : 1
Child Item : 5
Operation : None(Top Level Parent)
Item : Audio Base
Hierarchy : 1(Top Level)
Parent Item : Menu Base
Order : 4
Child Item : 3
Operation : None(Top Level Parent)
Item : Video Contrast Base
Hierarchy : 2(1st Children)
Parent Item : Video Main Menu
Order : 1
Child Item : 0
Operation : Video Contrast
Item : Video Brightness Menu
Hierarchy : 2(1st Children)
Parent Item : Video Main Menu
Order : 2
Child Item : 0
Operation : Video Brightness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가 기기(HW)상에 구현된 오퍼레이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PC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PC UI의 각 오퍼레이션 아이템과 실제 기기(HW)의 오퍼레이션을 통일성있게 연관시키는 오퍼레이션 기술(Operation Description)자료를 구비한다.
상기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는 오퍼레이션 번호(Operation Number), 오퍼레이션 타입(Operation Type), 파라메터(Parameters), 조작범위(Manipulation Range)로 구성된 오퍼레이션 아이템(Operation Item)들로 구성된다.
상기 오퍼레이션 아이템은 기기(HW)에 구현된 오퍼레이션의 항목이름이고, 오퍼레이션 번호는 기기(HW)의 마이컴 프로그램에 구현된 해당 기능의 수행 번호이다. 오퍼레이션 타입은 해당 오퍼레이션이 증감(gage) 형태인지, 선택시 바로 수행되는 수행(execution) 형태인지, 몇가지 값중에서 어느 한 값을 선택하는 선택(selecton) 형태인지 등의 오퍼레이션의 수행 형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파라메터는 해당 오퍼레이션이 마이컴에 구현된 함수에서 파라메터를 필요할 경우에 파라메터를 나타낸다. 그리고 조작범위는 증감 형태나 선택형태의 오퍼레이션일 경우에 해당 기능의 파라메터가 자길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오퍼레이션 아이템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Operation Item : Video Contrast
Operation Type : Gage
Parameters : Video Contrast Number
Manipulation Range : [0,100]
Operation Item : Video Brightness
Operation Type : Gage
Parameters : Video Brightness Number
Manipulation Range : [0,100]
Operation Item : Language Selection
Operation Type : Selection
Parameters : Language Index Number
Manipulation Range : [0,7]
Operation Item : Av Video Reset
Operation Type : Execution
Parameters : None
Manipulation Range : None
그리고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입력장치 명령 코드 기술자료를 통해 가상입력장치를 생성하는데, 상기 입력장치 명령 코드 기술자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 타입(Input Device Type), 커맨드 명칭(Command Name), 커맨드 순서(Command Order), 실제 커맨드 번호(Real Command Number)로 구성된 입력장치 커맨드 아이템(Input Device Command Item)들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장치 커맨드 아이템은 입력장치(input device)의 명칭, 입력장치 타입은 입력장치의 형태, 커맨드 명칭은 가상입력장치에 표시할 해당 버튼의 이름, 커맨드 순서는 가상입력장치에서 해당 버튼이 위치하게 될 배열순서, 실제 커맨드 번호는 가상입력장치에서 해당 버튼이 선택될 경우 실제로 기기(HW)로 전송되어 해당 기능 버튼의 명령코드를 나타낸다.
이러한 입력장치 커맨드 아이템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Right
Command Order : 6
Command Number :10(Right)
Input Device : Keypad
Command Name : Right
Command Order : 6
Command Number :10(Right)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상기한 입력장치 명령 코드 기술자료에 따라 2개의 버튼들이 나란히 배열된 가상입력장치를 생성하며, 각 버튼들은 입력장치 커맨드 아이템들에 각각 대응된다. 상기 도 9에 도시한 가상입력장치의 각 버튼들에 대응되는 입력장치 커맨드 아이템들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MEMU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MENU
Command Order : 1
Command Number : 15
ENTER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ENTER
Command Order : 2
Command Number : 44
UP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UP
Command Order : 3
Command Number : 1
DOWN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DOWN
Command Order : 4
Command Number : 2
LEFT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LEFT
Command Order : 5
Command Number : 3
RIGHT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RIGHT
Command Order : 6
Command Number : 4
SOURCE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SOURCE
Command Order : 7
Command Number : 10
STILL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STILL
Command Order : 8
Command Number : 14
RESIZE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RESIZE
Command Order : 9
Command Number : 20
MUTE 버튼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MUTE
Command Order : 10
Command Number : 5
POWER
Input Device : Remote Controller
Command Name : POWER
Command Order : 11
Command Number : 12
이와같이 본 발명은 실제 기기(HW)에 구현되어 사용되는 입력장치의 명령코드들에 관한 기술자료를 이용하여, 기기(HW)의 입력장치와 동일한 형태의 가상입력장치를 컴퓨터(PC)에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와같이 컴퓨터(PC)가 기기(HW)의 입력장치와 동일한 형태의 가상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새로이 조작방법을 습득하지 않아도 기기(HW)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PC UI 제어부의 처리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뉴 구조 기술자료 및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PC UI를 생성하여 운용하거나, 입력장치 명령코드 기술자료를 기반으로 가상입력장치를 구성하여 운용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가 PC UI를 조작하여 어느 한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메뉴 구조 기술자료와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를 참조하여 해당 메뉴 항목에 연결된 오퍼레이션의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오퍼레이션 정보를 시리얼 통신을 통한 기기(HW)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기(HW)에 전송한다. 이때 기기(HW)는 오퍼레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내장된 오퍼레이션 리스트를 참조하여 해당되는 오퍼레이션을 검출하여 이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한다.
이와달리 상기 사용자가 가상입력장치를 조작하여 어느 한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입력장치 커맨드 코드 기술자료를 참조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되는 커맨드 번호를 추출한다.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가 상기 추출한 커맨드 번호를 시리얼 통신을 통해 기기(HW)에 전송하면, 기기(HW)는 내장된 입력장치 커맨드 기술자료를 토대로 제공받은 커맨드 번호에 대응하는 오퍼레이션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기(HW)는 상기 오퍼레이션의 수행후 그 결과를 컴퓨터(PC)로 피드백한다.
이제 상기한 적응형 PC UI 제어부의 동작중 가상입력장치를 통한 인터페이스 과정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가상입력장치(200)의 어느 한 버튼을 입력하면(300단계),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입력장치 커맨드 코드 기술자료(202)를 참조하여 실제기기(HW)에서 사용자는 커맨드 번호를 추출한다(302단계).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추출된 커맨드 번호를 시리얼 통신을 통한 기기(HW)와의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기기(HW)로 전송한다(304단계). 상기 커맨드 번호를 수신한 기기(HW)는 내장된 입력장치 커맨드 기술자료를 토대로 커맨드 번호에 해당되는 오퍼레이션을 검출한다(306단계). 상기 오퍼레이션이 검출된 상기 기기(HW)는 해당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컴퓨터(PC)로 피드백한다(308단계).
상기 PC UI의 예를 도시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PC UI는 도 3에 도시한 계층 구조의 메뉴와 동일한 메뉴구성을 가진다. 상기 PC UI의 구조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최상위 메뉴중 하나인 비디오 메뉴는 콘트라스트(contrast),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컬러(color), 틴트(tint), 리셋(reset)의 차일드 메뉴를 가진다. 상기 콘트라스트 메뉴의 오퍼레이션 타입은 증감형태이므로 증감가능한 조작 바(BAR)가 표시되며, 상기 조작 바를 통해 사용자는 콘트라스트를 조절을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콘트라스트 조절범위는 0-100으로 정할 수 있다.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의 동작중 PC UI를 통한 인터페이스 과정을 도 15및 도 1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PC UI(400)의 어느 한 메뉴를 조작하면(500단계), 예를 들어 비디오 콘트라스트 아이템을 선택하여 해당 아이템의 값을 변화시키면, 적응형 PV UI 제어부는 UI 기술자료 및 오퍼레이션 기술자료(402)를 참조하여 오퍼레이션 정보를 추출한다. 즉 해당 오퍼FP이션에 대한 실제 기기(HW)에 구현된 오퍼레이션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조정값을 매개변수 값으로 하여 오퍼레이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는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를 시리얼 통신을 통한 기기(HW)와의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기기(HW)로 전송한다.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를 제공받은 기기(HW)는 내장하는 오퍼레이션 리스트를 참조하여 해당되는 오퍼레이션을 검출하고(506단계), 그 검출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수행결과를 컴퓨터(PC)로 피드백한다(508단계).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계층구조를 가지는 PC UI나, 버튼구조를 가지는 가상입력장치를 통해 컴퓨터(PC)를 통한 인터페이스 방법을 개시하였으나,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콘트롤 패널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시스템을 도 19의 블록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은 크게 컴퓨터(PC)와 기기(HW)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PC)는 컴퓨터(PC)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PC 프로그램 제어부(600)와, 상기 PC 프로그램 제어부(600)의 실행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 UI 구조 기술자료와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를 저장하는 PC 메모리(602)와, 사용자와 PC 프로그램 제어부(600)간을 인터페이스하는 입력장치(604)와, 상기 PC 프로그램 제어부(600) 또는 적응형 PC UI 제어부(608)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606)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PC UI 제어부(608)로 구성된다.
상기 적응형 PC UI 제어부(608)의 UI 화면구성부(608)는 상기 PC 메모리(602)에 저장된 UI 구조 기술자료와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를 참조하여 PC UI 또는 가상입력장치를 구성하여 출력부(606)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UI 화면구성부(608)는 기기(HW)가 피드백한 오퍼레이션 수행결과나, UI 처리부(610)의 처리결과를 출력부(606)의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UI 처리부(6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PC UI 또는 가상입력장치의 운용환경에서, 상기 입력장치(604)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해석하고 처리한다. 또한 상기 UI 처리부(610)는 처리된 정보, 즉 오퍼레이션 정보 또는 커맨드 번호 등을 제어 송신부(614)와 인터페이스부(616)를 통해 기기(HW)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 송신부(614)는 UI 처리부(610)의 요청에 따라 각종 정보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기기(HW)로 전송하거나, 기기(HW)로부터 피드백된 오퍼레이션 수행결과를 UI 처리부(610)를 통해 UI 화면구성부(612)로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616)는 시리얼 통신이나 무선통신, 적외선 통신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기(HW)는 기기(HW)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제어부(700)의 처리 프로그램 및 각종정보, 오퍼레이션 기술자료, 입력장치 명령코드 기술자료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702)와, 사용자와 제어부(700)간을 인터페이스하는 UI 입력장치(704)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부(706)와, 해당 기기(HW)의 고유 기능을 위한 기능부들(714 내지 718)로 구성된다. 상기 기기(HW)가 디스플레이 기기라면, 상기 기능부들(714 내지 718)은 영상입력부(714), 영상처리부(716), 영상출력부(17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706)는 컴퓨터(PC)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708)와, 상기 인터페이스부(708)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재해석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여 해석/처리부(712)에 제공하거나, 해석/처리부(712)가 제공하는 오퍼레이션 수행결과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708)를 통해 컴퓨터(PC)로 전송하는 제어 수신부(710)와, 상기 복원된 데이터가 제공되면 오퍼레이션 기술자료, 입력장치 명령코드 기술자료 등을 통해 기기(HW)내의 처리 명령으로 변환하고, 그 처리 명령을 제어부(7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오퍼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오퍼레이션 수행결과를 제어부(7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어 송수신부(710)를 통해 컴퓨터(PC)로 제공하는 해석/처리부(712)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의 UI 처리부(610)의 처리 과정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컴퓨터(PC)의 UI 처리부(610)는 UI 화면구성부(612)가 PC UI를 출력부(606)에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PC UI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른 오퍼레이션 정보를 추출하고, 그 오퍼레이션 정보를 제어송수신부(614), 인터페이스부(616)를 통해 기기(HW)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UI 처리부(310)는 UI 화면구성부(612)가 가상입력장치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상입력장치의 버튼을 입력하면, 그 입력에 따른 실제 커맨드 번호를 추출하고, 그 커맨드 번호를 제어송수신부(614), 인터페이스(616)를 통해 기기(HW)로 전송한다.
이와같이 UI 처리부(610)는 PC UI 조작이 발생되면 오퍼레이션 정보를 추출하여 기기(HW)로 전송하고, 가상입력장치의 버튼이 입력되면 실제 커맨드 번호를 추출하여 기기(HW)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 또는 실제 커맨드 번호 추출과정은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컴퓨터(PC)가 제공하는 오퍼레이션 정보나 실제 커맨드 번호를 처리하는 해석/처리부(712)의 처리과정을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해석/처리부(712)는 컴퓨터(PC)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면, 그 정보가 오퍼레이션 정보인지, 커맨드 정보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정보가 오퍼레이션 정보이면 상기 해석/처리부(712)는 오퍼레이션 정보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추출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한다. 상기 해석/처리부(712)는 상기 오퍼레이션 추출시 도 22에 도시한 커맨드 기술자료 또는 어플리케이션 기술자료를 참조하여 실제 제어 명령 코드들을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기가 구비하고 있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컴퓨터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좀더 편리하고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기의 오퍼레이션 및 메뉴구조에 대한 기술양식을 통해 PC UI 또는 가상입력장치, 콘트롤 패널을 형성하여 운용함으로써, 기기의 오퍼레이션이나 버전이 변동하는 경우에 상기 기술자료의 수정만으로도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컴퓨터에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에 구현된 계층구조를 기술하는 메뉴기술자료를 토대로 상기 기기에 구현된 메뉴에 대응되는 PC U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PC 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이 발생되면, 상기 PC UI 조작들에 따른 오퍼레이션 정보들을 기술하는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오퍼레이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를 상기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상기 오퍼레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그 오퍼레이션 정보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오퍼레이션 수행결과를 상기 컴퓨터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오퍼레이션 정보들에 대응되는 실제 오퍼레이션을 기술한 오퍼레이션 기술자료를 토대로 실제 오퍼레이션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컴퓨터에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구비하는 입력장치의 커맨드를 기술하는 커맨드 기술자료를 토대로 상기 기기가 구비하는 입력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입력장치 또는 콘트롤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입력장치가 구비하는 버튼들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커맨드 기술자료를 토대로 상기 입력된 버튼에 해당되는 실제 커맨드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실제 커맨드 번호를 상기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기기가 상기 실제 커맨드 번호를 수신하여, 그 실제 커맨드 번호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10062879A 2001-10-12 2001-10-12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030031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79A KR20030031202A (ko) 2001-10-12 2001-10-12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10/268,671 US20030074091A1 (en) 2001-10-12 2002-10-11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connected with host system
DE10247554A DE10247554B4 (de) 2001-10-12 2002-10-11 System mit einem Computer und einer mit dem Computer verbundenen Vorrichtung
CNB021443971A CN1213361C (zh) 2001-10-12 2002-10-14 与主机系统相连的设备的用户接口方法和装置
JP2002300585A JP2003208302A (ja) 2001-10-12 2002-10-15 ホストシステムに接続された機器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79A KR20030031202A (ko) 2001-10-12 2001-10-12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202A true KR20030031202A (ko) 2003-04-21

Family

ID=1971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879A KR20030031202A (ko) 2001-10-12 2001-10-12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74091A1 (ko)
JP (1) JP2003208302A (ko)
KR (1) KR20030031202A (ko)
CN (1) CN1213361C (ko)
DE (1) DE10247554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087B1 (ko) * 2007-02-16 2012-03-2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정보 단말,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0916A1 (en) * 2003-05-14 2004-11-18 Salvatori Phillip H. Method for menu navigation
BRPI0622274A2 (pt) * 2005-06-09 2011-08-09 Whirlpool Co aparelho configurado para executar um ciclo de operação para completar uma operação fìsica em um artigo e rede de aparelho
US8005780B2 (en) 2005-06-09 2011-08-23 Whirlpool Corporation Taxonomy engine and dataset for operating an appliance
US7715531B1 (en) * 2005-06-30 2010-05-11 Google Inc. Charting audible choices
JP4658128B2 (ja) * 2005-08-31 2011-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290125B2 (en) * 2008-09-02 2012-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ice response unit shortcutting
US8615396B2 (en) * 2008-09-02 2013-1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ice response unit mapping
US9106745B2 (en) * 2008-09-16 2015-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ice response unit harvesting
CN108694012B (zh) * 2011-11-28 2022-04-22 联想(北京)有限公司 在屏幕上显示对象的方法和系统
US9811320B2 (en) * 2012-05-17 2017-11-07 Sony Corporation Management of menu customization across multiple devices
CN103064592B (zh) * 2013-01-09 2016-01-06 由芳 一种可拓展的菜单显示方法
CN103150158B (zh) * 2013-01-15 2016-07-13 由芳 一种格状动态式多样性菜单的生成方法
JP6081409B2 (ja) * 2014-06-16 2017-0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ト注文受付機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290A (ja) * 1993-07-30 1995-02-14 Canon Inc システム制御方式及び装置
KR20010071963A (ko) * 1999-05-19 2001-07-3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 장치,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방법 및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 매체
KR100350141B1 (ko) * 1997-09-30 2003-01-06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매체관리자,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인터페이스와이를구현하는방법
KR20030026498A (ko) * 2001-09-26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385A (en) * 1989-01-31 1992-02-04 Custom Command Systems Expandable home automation system
DE69432199T2 (de) * 1993-05-24 2004-01-08 Sun Microsystems, Inc., Mountain View Graphische Benutzerschnittstelle mit Verfahren zur Schnittstellebildung mit fernsteuernden Einrichtungen
US5648813A (en) * 1993-10-20 1997-07-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raphical-interactive-screen display apparatus and peripheral units
US5598523A (en) * 1994-03-31 1997-01-28 Panasonic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ed menu activation using a matching distinctive arrangement of keypad actuators
DE19530955A1 (de) * 1995-08-23 1997-02-27 Miro Computer Prod Ag Bedienungsanordnung für eine Mehrzahl von Multimediageräten
DE19818763A1 (de) * 1998-04-27 1999-11-04 Tsp Ges Fuer Teleprocessing Sy Graphische Benutzeroberfläche zur multimedialen Datenkommunikation
ATE300834T1 (de) * 1998-05-07 2005-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universellen zugriffsbefehl und kontrollinformation in einem netzwerk
US6434447B1 (en) * 1998-10-02 2002-08-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property is mapped modally compatible GUI element
US7092794B1 (en) * 2000-10-05 2006-08-15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HVAC device
US7047092B2 (en) * 2003-04-08 2006-05-16 Coraccess Systems Home automation contextual user interface
US7136709B2 (en) * 2003-11-04 2006-11-14 Universal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290A (ja) * 1993-07-30 1995-02-14 Canon Inc システム制御方式及び装置
KR100350141B1 (ko) * 1997-09-30 2003-01-06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매체관리자,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인터페이스와이를구현하는방법
KR20010071963A (ko) * 1999-05-19 2001-07-3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 장치,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방법 및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 매체
KR20030026498A (ko) * 2001-09-26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087B1 (ko) * 2007-02-16 2012-03-2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정보 단말,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2648A (zh) 2003-04-23
US20030074091A1 (en) 2003-04-17
DE10247554B4 (de) 2008-02-28
CN1213361C (zh) 2005-08-03
DE10247554A1 (de) 2004-02-05
JP2003208302A (ja) 200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658B1 (ko)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제어 방법
WO2009157560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KR20030031202A (ko)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N104375666B (zh) 跨设备的输入方法、处理装置、输入设备及智能显示设备
US20020154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niversal remote control of computing devices
WO2000075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device control system
WO2017222939A1 (en) Application icon customization
CN111625169B (zh) 一种遥控器浏览网页的方法及显示设备
US118223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US20060184875A1 (en) Browser program and content display device
KR20040006855A (ko) 다기능 통합형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04552A1 (en) Autonomous and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and scheme
CN111405334B (zh) 显示终端设备的控制方法、显示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9271076B (zh) 屏幕显示菜单的控制方法及其系统
JP200530365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操作対象装置,リモコン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CN106603946B (zh) 电视机遥控方法、装置和系统
US6323886B1 (en) Image display device
CA3184971A1 (en) Remote control system
US20060279584A1 (en) AV network system and display device-side subsystem included in the same system
KR0141750B1 (ko) Gui osd 전용 모듈을 이용한 tv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06755B1 (ko)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0188792A (ja) キ―共有方法及び同一機能共有方法
US20070057918A1 (en) Mouse with extensible PS/2 mouse buttons
KR101172684B1 (ko)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531272B1 (ko) 영상기기의 리모콘을 이용한 컴퓨터 화면의 스크롤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427

Appeal identifier: 2004101003463

Request date: 20040805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9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4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4100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90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430

PJ0802 Dismissal of amendments

Patent event code: PJ08023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41005

Patent event code: PJ0802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903

Patent event code: PJ08021R01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05

Patent event code: PJ0802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430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805

Effective date: 200604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346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805

Effective date: 200604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604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40805

Decision date: 20060427

Appeal identifier: 2004101003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