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797A -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30797A KR20030030797A KR1020010063529A KR20010063529A KR20030030797A KR 20030030797 A KR20030030797 A KR 20030030797A KR 1020010063529 A KR1020010063529 A KR 1020010063529A KR 20010063529 A KR20010063529 A KR 20010063529A KR 20030030797 A KR20030030797 A KR 200300307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exercise
- information
- television
- input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대응하여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것이다.
본 텔레비젼 제어장치는 운동기구에 부착된 센서, 사용자 몸에 부착된 맥박센서,휴대용 맥박기에 의해 사용자의 운동정보가 제어부에 입력되며, 입력부를 통하여 운동목표(텔레비젼 시청조건)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운동정보과 상기 운동목표를 비교, 분석하여 운동량이 부족시에는 사용자가 텔레비젼 시청을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텔레비젼을 매일 시청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운동목표대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대응하여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운동 부족, 영양 과다 등에 의한 비만이 많이 늘어 나고 있다. 이런 비만이 각종 성인병의 근본 원인으로 대두되면서 체중 관리 를 위해 각종 운동을 하고 있으나, 비만한 사람들이 자기 의지만으로 장기간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또한 텔레비젼이 현대인을 운동 부족으로 만드는 주범중에 하나라는 연구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활동하는 시간이 적어지고 텔레비젼 시청시 간식을 먹음으로써 비만이 더 심해지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텔레비젼 시청시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은 개발되었으나, 이런 발명들은 단순히 텔레비젼 시청을 못하게 하지 운동을 하게는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규칙적으로 운동을 장기간 할 수 있기 위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 시청 가능/ 불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텔레비젼을 시청 가능/불가능하게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데에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감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의 사용자 개인정보 설정 중 비밀번호 설정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의 사용자 개인정보 설정 중 개인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 제어하는 장치의 사용자 개인정보 설정 중 운동목표를 입력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운동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텔레비젼이 꺼지는 수순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입력부
3 : 운동감지부 4 :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
5 : 영상/음성 처리부 6 : 스피커부
7 : OSD부 8 : 디스플레이부
301, 309 : A/D변화부 303, 311 : 증폭부
305, 313 : 필터부 307 : 운동 감지 센서
315 : 맥박 센서 317 : 인터페이스
319 :. 휴대용 맥박기 321, 323 : 전달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따른 운동정보를 입력하는 운동감지부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제어부에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영상/음성신호를 차단하는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 제어부에서 사용자에게 알려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기 위한 OSD부; 상기 운동감지부로 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운동정보와 상기 개인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운동정보가 상기 개인정보에 적합/부적합한 운동정보이면 텔레비젼 시청을 가능/불가능하게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을 제어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감지부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운동기구에 부착된 센서; 상기센서로 부터 감지된 운동정보를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전달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감지부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맥박)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 신체에 부착된 맥박(심장 박동수)센서; 상기 센서로 부터 감지된 운동정보(맥박)를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전달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감지부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휴대용 맥박기(심장 박동수 측정기); 상기 운동정보를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정보는 비밀번호 설정, 개인 신상정보, 사용자의 운동목표가 포함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제어장치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운동 여부에 관계 없이 텔레비젼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운동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개인 정보와 상기 운동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가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운동 정보가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적합/부적합할 시 텔레비젼을 시청 가능/불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비밀번호설정, 개인 신상정보, 사용자의 운동목표를 입력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운동기구에 부착된 센서로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입력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 맥박(심장 박동수) 센서로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입력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휴대용 맥박기(심장 박동수 측정기)로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입력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운동여부에 관계 없이 텔레비젼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단계가 부가된다.
(작용)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비젼 제어장치는 감지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에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운동정보에 대응하여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를 제어하여 텔레비젼 시청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를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따른 운동정보를 입력하는 운동감지부(3)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2)와; 제어부(1)에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영상/음성신호를 차단하는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4); 제어부(1)에서 사용자에게 알려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8)에 나타내기 위한 OSD부(7); 외부에서 들어온 영상/음성 신호를 스피커부(6)와 디스플레이부(8)에서 사용하기 적절하게 증폭,변환해주는 영성/음성 처리부(5);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화면을 내보내는 디스플레이부(8);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스피커부(6); 상기 운동감지부(3)로 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운동정보와 상기 개인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운동정보가 상기 개인정보에 적합/부적합한 운동정보이면 텔레비젼 시청을 가능/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4)를 제어하는 제어부(1)로 연결된다.
상기 입력부(2)는 사용자의 개인신상, 비밀번호설정, 사용자의 운동목표를 제어부(1)에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텔레비젼에 설치된 버튼이나 리모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운동감지부(300)은 운동기구(321)에 운동감지센서(307)를 부착하여 운동정보를 감지하든가, 사용자 신체(323)에 맥박센서(315)를 부착하여 운동정보를 감지하든가, 사용자 신체(323)에 부착된 휴대용 맥박기(319)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1)로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운동감지센서(307), 맥박센서(315), 휴대용 맥박기(31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1)는 상기 운동감지부(3)로 부터 입력된 운동정보와 상기 입력부(2)로 부터 입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운동 정보가 상기 개인정보에 적합/부적합한 운동정보이면 텔레비젼 시청을 가능/불가능하게 하기 위해영상/음성 신호 차단부(4)를 제어하고 텔레비젼 전반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1)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어 있지만, 상기 운동정보와 개인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CPU, 개인정보 저장하는 RAM(예컨대, 플레시메모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시간 계측을 위한 크리스탈 발진회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4)는 텔레비젼 시청을 불가능 하게 할 필요가 있을 시 제어부(1)의 신호를 받아 외부에서 들어온 신호를 차단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도 1에서는 영상/음성 처리부(5) 전에 설치되어 영상/음성 신호를 차단하지만 영상/음성 처리부(5) 후에 설치되거나, 영상/음성 처리부(5) 내에 설치되어도 같은 효과가 있다는 것은 이 분야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OSD부(7)는 입력부(2)를 이용해 사용자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과 제어부(1)의 제어 과정 중 제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8)에 그 내용이 나타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젼 제어장치는 감지 장치가 텔레비젼에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운동정보에 대응하여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4)를 제어하여 텔레비젼 시청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감지부(3)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운동감지부(3)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1)로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운동감지센서(307), 맥박센서(315), 휴대용 맥박기(31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운동기구(321)는 런닝머신, 실내 자전거타기, 스텝퍼, 에어로빅 발판 같은 것으로 런닝머신, 스텝퍼 같은 운동기구의 회전 부위나 왕복동 운동 부위에 자석스위치, 광센서등과 같은 운동감지센서(307)를 부착한고. 에어로빅 발판 같은 운동기구에는 압력스위치를 부착하여 왕복동수, 회전수, 스텝수 등을 검출하여 운동감지신호로 이용한다. 상기 운동감지신호는 전달부(321)인 필터부(307), 증폭부(303), A/D 변환부(301)를 거쳐 제어부가 이용하기 적절한 형태와 크기로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제어부에 입력된다. 운동에 센서를 부착하여 운동 정보를 얻는 상기 운동감지부(3)는 제어부(1)와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무선으로 연결 할 수 있다, 무선으로 연결 되는 것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생략한다.
운동기구로 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의 신체로 부터 운동정보를 감지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맥박(심장박동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기 좋은 수단이다. 현재 운동중 맥박을 측정하는 센서는 혈액의 흐름을 측정하는 광센서와 심전도(ECG)를 측정하는 전극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맥박센서(315)를 팔목, 가슴, 귀와 같은 사용자 신체(323)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맥박(심장 박동수)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맥박감지신호는 전달부(323)인 필터부(313), 증폭부(311), A/D 변환부(309)를 거쳐 제어부(1)가 이용하기 적절한 형태와 크기로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제어부에 입력된다. 사용자 신체에 맥박센서를 부착하여 운동정보를 얻는 상기 운동감지부(3)는 제어부(1)와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 되었지만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무선으로 연결 할 수 있다, 무선으로연결되는 것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생략한다.
맥박센서는 운동 정보를 얻는 좋은 수단이나 텔레비젼에서 근거리에서 운동하는 것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원거리(예를 들면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는 것을 감지 못한다. 이런 문제점을 위해 휴대용 맥박기(심장 박동수 측정기)(319)를 이용할 수 있다. 휴대용 맥박기(319)에 저장된 운동정보는 인터페이스(317)를 통해 제어부(1)에 입력된다. 또한 텔레비젼에 운동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유선, 무선 모두 가능하다. 참고로 설명하면 현재 POLAR 사(WWW.POLAR.FI),CARDIOSPORT 사(WWW.CARDIOSPORT.COM), CI-CLOSPORT 사의 생산하는 휴대용 맥박기(심장 박동수)는 맥박수와 맥박에 의해 계산된 칼로리를 저장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로 운동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상기 운동감지부(3)는 상술한 3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운동정보를 제어부(1)에 입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의 사용자 개인정보 설정 중 비밀번호 설정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아닌 관리자(예를 들면 부모)가 사용자 모르게 입력하는 것으로 개인 신상정보, 운동목표 등을 입력할 때 사용되고, 사용자가 아닌 사람이 텔레비젼를 시청할 때 제약 없이 사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므로 비밀번호를 모르는 사용자는 운동목표를 변경하여 텔레비젼을 시청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그 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설정한 날짜와 시간을 메모리부에 기록해 놓아 중간에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리셋을 해서 다시 설정을 하면 관리자가알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의 사용자 개인정보 설정 중 개인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초기 화면에서 개인 신상 정보 입력을 선택하고(S610), 비밀번호를 입력, 확인하고(S612, S614), 체중, 신장, 휴식시 맥박수, 성별를 차례로 입력한다(S616-S622)
이 또한 관리자가 입력하며, 체중과 휴식시 맥박수는 운동 중 소모한 칼로리를 계산하는데에 사용되고, 신장, 체중, 성별은 비만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의 사용자 개인정보 설정 중 운동목표를 입력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초기 화면에서 운동목표 설정 모드를 선택하고(S624), 비밀번호 입력, 확인한다.(S626, S628) 비밀번호가 정확하면 칼로리, 운동량1, 운동시간, 맥박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이중 하나를 선택하면(S630) 선택된 모드로 이동된다. 일일 운동시간 설정 모드(S632)는 하루 동안 운동기구를 이용해서 운동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하고, 일일 운동량1 설정모드(S634)는 하루 동안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해야 할 운동량을 의미한다. (운동량1:통상적인 운동량과 구분하기 위해 운동량 1이라고 명칭함. 이하 동일) 운동량1은 운동기구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회전수, 왕복동수, 스텝수를 의미한다. 일일 소모 칼로리 설정 모드(S636)는 사용자 체중과 사용자가 운동 중 감지된 맥박수로 계산된 하루동안 운동중 소모해야 하는 칼로리를 의미한다. 맥박수 모드(S638, S642)는 설정된 맥박수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하루 동안 운동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운동기구로 운동시 최소 운동강도(S640)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이용할 시 운동으로 인식하는 분당 최소 회전수, 왕복동수, 스텝수를 의미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운동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텔레비젼이 꺼지는 수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텔레비젼 전원 스위치를 ON하면(S644), 관리자 사용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나타난다(S646). 관리자 사용모드를 선택되면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단계(S648-S654)가 작동된다. 이 때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텔레비젼을 정상적으로 시청 할 수 있다(S656). 그리고, 비밀번호가 틀리면 텔레비젼이 꺼진다.(S668)
단계 S646에서 관리자 사용 모드를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사용자 운동 목표를 달성했는지 판단하는 단계(S658)로 간다. 사용자가 과거 24시간 이전에 운동 목표를 달성했는지 판단하는데, 특정시간(예를 들면 자정)을 기준으로 하지 않는 이유는 특정시간으로 하면 아침에 일어나 텔레비젼을 시청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운동 목표를 달성하면 텔레비젼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S656).
단계 S658에서 운동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1분에 텔레비젼이 꺼진다는 경고가 디스플레이 되면서 지금 운동 정보를 입력할 것인지 물어본다(S660, S662). 운동정보 입력 버튼을 클릭하지 않으면 1분 후에 텔레비젼이 꺼진다(S668).
단계 S662에서 운동입력 버튼을 클릭한 하면 사용자는 운동정보를 입력하기시작한다.(S664) 운동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운동정보 입력 완료버튼를 누른다(S666), 그러면, 단계 S658로 가서 운동목표 달성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운동 감지센서(307), 맥박 센서(315), 휴대용 맥박기(319)를 모두 사용하는 실시례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운동 감지센서(307), 맥박센서(315), 휴대용 맥박기(319)중 어느 하나 이상만 사용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운동목표 종류로 운동시간, 운동량1, 칼로리, 맥박수로 4가지를 모두 사용하였으나, 본발명은 상기 4종류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면 되고, 상기 4종류의 운동목표 이외에 변형된 다른 모드도 가능하다.
참고로 말하면, 휴대용 맥박기에 고유의 인식번호를 부여하고, 운동 정보를 제어부로 입력할 때 제어부에서 인식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이 추가되면 다른 사람의 휴대용 맥박기를 가지고 변칙적으로 운동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장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나 기술적인 사상을 한정하려는 것을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은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므로 텔레비젼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한번 설정한 운동목표대로 장기간 규칙적인 운동을 하게 된다. 특히 텔레비젼 시청시간이 긴 어린이, 중년 여성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고 국민 건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Claims (12)
-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따른 운동정보를 입력하는 운동감지부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제어부에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영상/음성신호를 차단하는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 제어부에서 사용자에게 알려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기 위한 OSD부; 상기 운동감지부로 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운동정보와 상기 개인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운동정보가 상기 개인정보에 적합/부적합한 운동정보이면 텔레비젼 시청을 가능/불가능하게 영상/음성 신호 차단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운동감지부는 운동기구에 센서를 부착하여 운동기구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운동감지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맥박(심장 박동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운동감지부는 휴대용 맥박기(심장 박동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설정, 개인 신상정보,사용자의 운동목표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 제 1-5항중 어느 한에 있어서,상기 텔레비젼 제어장치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운동 여부에 관계없이 텔레비젼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운동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운동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가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운동 정보가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적합/부적합할 시 텔레비젼을 시청 가능/불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설정, 사용자의 운동 목표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운동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운동기구에 부착된 센서로 부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운동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 맥박(심장 박동수) 센서로 부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운동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휴대용 맥박기(심장 박동수 측정기)로 부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따라텔레비젼을 제어하는 방법.
- 제 7-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방법에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운동 여부에 관계 없이 텔레비젼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단계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3529A KR20030030797A (ko) | 2001-10-11 | 2001-10-11 |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3529A KR20030030797A (ko) | 2001-10-11 | 2001-10-11 |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0797A true KR20030030797A (ko) | 2003-04-18 |
Family
ID=2956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3529A KR20030030797A (ko) | 2001-10-11 | 2001-10-11 |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30797A (ko) |
-
2001
- 2001-10-11 KR KR1020010063529A patent/KR200300307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53938B2 (ja) | 食事摂取の監視及び調節を行うための食器 | |
EP1124483B1 (en) | Measuring device | |
US5579777A (en) | Exercise level of difficulty data output apparatus | |
US6361502B1 (en) | Non-invasive measuring device with different operating modes | |
KR101604024B1 (ko) | 운동량 표시 장치 및 방법 | |
US20040171956A1 (en) | Heart rate monitor using color to convey information | |
US20070027399A1 (en) | System using a bluetooth headphone for heartbeat monitoring, electronic recording, and displaying data | |
JPH08317912A (ja) | 脈拍計 | |
KR200461560Y1 (ko) |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 |
GB2184361A (en) | Automatic treadmill | |
US6026335A (en) | Heart rate monitor with age-dependent target-zone feedback | |
JP2001299709A (ja) | 脈拍計およびこれを用いた脈拍計測システム | |
JP3905536B2 (ja) | 脈拍計の制御方法 | |
KR20000006830A (ko) | 건강 측정장치 및 그 방법 | |
JP2009082414A (ja) | 活動管理システム | |
US4444200A (en) | Heart pulse rate measuring system | |
KR20030030797A (ko) |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 |
JP2002165769A (ja) | 表示装置 | |
GB2448880A (en) | Exercise monitoring device | |
KR100552449B1 (ko) | 컴퓨터 연결형 디지털 체중계 | |
KR20020088033A (ko) |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전자 장치들로 공급되는 전원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JPH03195569A (ja) | 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 |
CN113596626A (zh) | 一种基于标识注册解析的智能足底压力检测系统 | |
KR100844405B1 (ko) |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집안 내 일상 생활에서의무구속적 행동량 측정장치 및 그에 따른 무구속적 행동량측정방법 | |
KR20030030796A (ko) |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전자 장치들로 공급되는 전원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