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8600A -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600A
KR20030028600A KR1020010058299A KR20010058299A KR20030028600A KR 20030028600 A KR20030028600 A KR 20030028600A KR 1020010058299 A KR1020010058299 A KR 1020010058299A KR 20010058299 A KR20010058299 A KR 20010058299A KR 20030028600 A KR20030028600 A KR 20030028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foot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덕
Original Assignee
이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덕 filed Critical 이영덕
Priority to KR102001005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600A/ko
Publication of KR2003002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초산, 에탄올, 생쑥즙 및 백반을 배합시켜 제조한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터운 피부 각질 제거 효과와 부차적으로 악취 제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ASHING}
본 발명은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족부에 생기는 두터운 각질을 용이하게 벗겨내고 갈라지거나 터지는 피부를 청결하게 개선하는 미용 효과 뿐 아니라 악취 제거 효과가 있는, 빙초산, 소주, 생쑥즙 및 백반 등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 뒷꿈치의 각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칼로 각질 부위를 벗겨내거나 표면이 거친 돌로 해당 부위를 문질러 각질층을 얇게 하는 방법 등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근본적으로 각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며, 일시적인 방편에 불과하다. 또한 최근 등장하는 발 전용 스크럽 화장품 등은 그 효과 면에서 미미한 면이 없지 않다. 또한 무엇보다도 각질화된 무좀이나 건선 등을 치료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계통의 호르몬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및 항균제 등이 함유된 피부 질환제는 그 오용 및 남용 등으로 인하여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빙초산 및 에탄올을 생쑥즙 및 백반 등과 특정한 양으로 배합하면 이들이 상승작용을 일으킨다는 놀라운 사실의 발견에 기초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연구에 착안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 특히 족부의 두터운 각질을 제거하고 나아가 건선, 무좀 등 여타 피부 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질이 곤란한 족부의 효율적인 미용 관리에 유용한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질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정상 피부 부위를 손상시키지 않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목적은 악취 제거 효과가 있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빙초산(99%) 8 내지 18 중량%, 에탄올 (25%) 80 내지 89 중량%, 생쑥즙 1.3 내지 2 중량% 및 백반 분말 0.7 내지 1 중량%를 총 100 중량%가 되는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조성 성분에 있어서, 빙초산은 두터운 피부 각질을 파괴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빙초산으로는 식품 규격의 빙초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99%의 빙초산이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 중 빙초산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8 내지 18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로 배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조성물 중 빙초산의 함량이 18 중량%를 초과하면 스킨 번(skin burn) 현상 등 강한 자극 증상이 일어나 화상의 위험이 있으며, 8 중량% 미만으로 배합하는 경우에는 각질 제거 효과가 다소 미흡하여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본 조성물의 또 다른 주요 조성 성분은 에탄올로서, 이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살균 소독 작용을 한다. 본 조성물 중 에탄올은 25%의 에탄올을 80 내지 89 중량%,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89 중량%의 함량으로 배합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본원 발명에서는 25% 에탄올로서 소주를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의 살균 기능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완벽하게 정립된 바는 없지만 삼투능이 큰 알코올 분자가 세균 표면의 막을 뚫고 내부에 들어가서 세균 표면의 단백질을 응고시켜 세균을 사멸시키는 이론이 유력하다.
또한 본 조성물 중에는 생쑥즙이 1.3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피부에 대한 쑥의 효과로는 피부에 탄력을 주고 윤기를 흐르게 하는 등의 미용 효과 및 완화 효과가 있다. 특히 농촌생활연구소의 식품성분표에 따르면 쑥의 생잎은 100g에 단백질 4.4g, 섬유질 3.2g, 회분 1.9g, 칼슘 103mg, 인 69mg외에도 비타민 B1 0.10mg, 비타민 B2 0.22mg, 비타민 A 844R.E., 철분 6.2mg 외에도 각종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백반 분말을 본 조성물 중에 0.7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백반 분말은 칼륨 알루미늄 백반(KAl(SO4)2 12H2O)을 200℃에서 소성시킨 것으로, 수렴제로 널리 약용에 사용되고 있다. 수렴 효과가 있는 백반 분말은 피부나 점막의 국소에 작용하여 단백질을 응고시켜 염증을 제거하고 피막을 만들어 피부 등을 보호한다. 또한 세균 감염 방지의 효과가 있으며, 땀성분으로 물렁해진 각질층이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이소발레릭산 (isovaleric acid)에 기인하는 발냄새 등의 악취 제거에도 효과가 있다.
피부 세정에 대한 본 조성물의 약리학적 내지 생화학적 매카니즘은 빙초산의 각질 파괴 작용과 에탄올의 살균 소독 작용 및 백반의 피막 생성의 상승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생쑥즙의 완화 효과가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을 상기 비율로 조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족부를 담그게 되면 피부를 적당히 자극하는 동시에 각종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켜 무좀이나 습진, 각질 등 각종 피부 장애를 예방할 수 있고 그 작용이 지속적이고 부작용이 없으므로 특히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무좀의 원인이 되는 곰팡이를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액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의 사용 방법은, 환부 특히 족부를 담글 수 있는 정도의 바닥 면적을 가진 용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당량 주입한 후, 2시간 정도 족부를 담그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 매주 1회 또는 격주 1회 정도로 2 내지 3회 실행한다.
특히 주목할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족부를 담그더라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고자 하는 두터운 각질이 형성된 부위만이 본 조성물의 영향으로 표피가 벗겨지는 등의 증상이 선택적으로 나타나는 것이지, 우려하는 바와 달리 각질이 형성되지 않은 정상 피부 부위에는 본 조성물의 영향이 없다는 점이다.
또한 본 조성물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비닐 소재를 주원료로 하여 버선 모양으로 고안한 용구를 본 조성물의 실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구를 사용하면 조성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용구를 착용한 채 활동이 가능하므로, 가만히 족부를 담그고 있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이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실시예로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25% 소주 0.15L, 99% 빙초산 1.3L, 생쑥즙 22.5mL및 백반 분말 15g을 용기에 넣고 손으로 흔들어서 혼합시켜 피부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남성 환자(49세)는 발무좀으로 30년 이상 고생하여 왔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피부 세정용 조성물이 담긴 용기에 족부를 담그고 2시간 가량 유지하였다. 24시간 내에 표피가 상당 부분 벗겨졌으며 특히 평소 국부적 자극 증상이 심하던 부분의 표피가 6일동안 매일 1회씩 벗겨졌다. 최초 시행일로부터 2주째 되는 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실시하였는 바 최초 시행일로부터 4주 정도가 지나자 각질의 두께가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심하던 국부적 자극 증상이 중단되었음은 물론, 각질 부위가 제거되었으며, 가려움증이 현재까지 재발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남성 환자(61세)는 발가락 무좀으로 10년 이상 고생하여 왔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피부 세정용 조성물이 담긴 용기에 복숭아뼈 이하의 족부를 담그고 약 2시간 가량 유지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가려운 증상이 심하던 발가락과 발가락 사이의 가려움증이 없어졌고 그 후 표피의 껍질을 매일 1회씩 5일간 벗겨냈다. 1회 실시일로부터 10일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실시하였는 바, 1회 실시 때에 비해 표피가 덜 벗겨졌으며 국부적 자극 증상도 사라졌다.
실시예 4
남성 환자(24세)는 3년 전부터 무좀으로 고생하여 왔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피부 세정용 조성물이 담긴 용기에 족부를 복숭아뼈 이하까지 담그고 약 3시간 가량 지속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국부적 자극 증상이 감소되었으며 족부의 증상이 심하던 부위의 표피가 5일 동안 매일 1회씩 반복하여 벗겨졌다. 그 후 재실시를 하지 않았으나 현재까지 가려움증 등이 재발되지 않고 있다.
실시예 5
남성 환자(45세)는 10년 전부터 족부 무좀으로 고생하여 왔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피부 세정용 조성물이 담긴 용기에 약 3시간 정도 발목 부위까지 담구었다. 시행 후 하루가 지나자 증상이 심한 부위를 중심으로 각질이 부풀어 올라 벗겨지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2 내지 3회 정도 물을 사용하여 벗겨내고 나자 가려움증이 없어지고 피부도 이전보다 깨끗해졌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2 내지 3회의 사용으로 각질화된 건선이나 무좀 등을 포함하여 피부, 특히 족부의 두터운 각질이 주의할만한 부작용 없이 제거되는 놀라운 효과를 발휘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세정용 조성물은 적은 횟수의 시행만으로도 두터운 각질 제거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손질하기 곤란한 족부의 관리에 도움이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상 피부 부위의 손상 없이, 각질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Claims (2)

  1.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빙초산(99%) 8 내지 18 중량%, 에탄올(25%) 80 내지 89 중량%, 생쑥즙 1.3 내지 2 중량% 및 백반 분말 0.7 내지 1 중량%를 총 100 중량%가 되는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에탄올(25%)이 소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KR1020010058299A 2001-09-20 2001-09-20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KR20030028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299A KR20030028600A (ko) 2001-09-20 2001-09-20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299A KR20030028600A (ko) 2001-09-20 2001-09-20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600A true KR20030028600A (ko) 2003-04-10

Family

ID=2956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299A KR20030028600A (ko) 2001-09-20 2001-09-20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6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347B1 (ko) * 2020-06-15 2021-10-08 이석배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7025A (ja) * 1983-02-25 1984-09-06 Mamoru Oda 白癬菌及び其の同族菌による皮膚病の殺菌治療剤
JPS6383026A (ja) * 1986-09-25 1988-04-13 Kazumi Shimura 皮膚病治療薬
JPH06329547A (ja) * 1993-05-20 1994-11-29 Tsutomu Yae 外用剤
KR950005317A (ko) * 1993-08-03 1995-03-20 오달환 식물성 생약제재를 주원료로 한 무좀치료제의 제조방법
KR970020094A (ko) * 1995-10-17 1997-05-28 임대인 위생용 쑥가루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JPH1135474A (ja) * 1997-07-22 1999-02-09 Kikue Hashimoto 薬草ローショ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7025A (ja) * 1983-02-25 1984-09-06 Mamoru Oda 白癬菌及び其の同族菌による皮膚病の殺菌治療剤
JPS6383026A (ja) * 1986-09-25 1988-04-13 Kazumi Shimura 皮膚病治療薬
JPH06329547A (ja) * 1993-05-20 1994-11-29 Tsutomu Yae 外用剤
KR950005317A (ko) * 1993-08-03 1995-03-20 오달환 식물성 생약제재를 주원료로 한 무좀치료제의 제조방법
KR970020094A (ko) * 1995-10-17 1997-05-28 임대인 위생용 쑥가루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JPH1135474A (ja) * 1997-07-22 1999-02-09 Kikue Hashimoto 薬草ローショ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347B1 (ko) * 2020-06-15 2021-10-08 이석배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746B1 (ko) 아미노산 및 히알루론산 나트륨에 기반한 크림 제형의상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A018425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дезинфицирующий или консервирующий экстракт пажитника сенного (trigonella foenum-graecum),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а
US20100284951A1 (en) Nove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wounds and skin care
US8426384B2 (en) Wound-heal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the form of a sterile powder based on amino acids and sodium hyaluronate
JP3995720B2 (ja) 化粧用ボディーケア調製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76876A1 (en) Topical therapeutic skin care system
KR20030028600A (ko)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KR100977063B1 (ko) 생약성분이 가미된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2000212090A (ja) 皮膚改質剤
US20130034618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the integument
US20030228382A1 (en) Foot Fixer Kit
US20230233448A1 (en) Top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scars and methods for their use
RU2326651C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для ухода ног
US20010005721A1 (en) Heel crack healing composition and method therefor
RU2189245C1 (ru) Очищающий косметический гель
MXPA03002092A (es) Solucion topica terapeutica para la piel y metodo asociado de uso.
JP2004307372A (ja) ニキビ用外用剤およびウメ抽出物の使用方法ならびに殺菌・抗菌剤
JPS58192812A (ja) 化粧用エラスチンおよびその組成物
AU2023203452B1 (en) Topical formulations
CN115737488A (zh) 一种祛油收敛毛孔祛螨虫缓解痤疮消炎抑菌皂液及其制备方法
KR20010078904A (ko) 미용효과가 우수한 피부세정제
CN112168721A (zh) 一种含丁香和益智挥发油的中草药牙膏及其制备方法
KR20040070931A (ko) 발 건강을 위한 발팩
JPH11279068A (ja) 痔疾塗布剤
JP2000212053A (ja) 皮膚保護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