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8525A - 광마우스 기능이 장착된 카메라폰 - Google Patents

광마우스 기능이 장착된 카메라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525A
KR20030028525A KR1020030015562A KR20030015562A KR20030028525A KR 20030028525 A KR20030028525 A KR 20030028525A KR 1020030015562 A KR1020030015562 A KR 1020030015562A KR 20030015562 A KR20030015562 A KR 20030015562A KR 20030028525 A KR20030028525 A KR 2003002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optical mouse
lens
camera phone
mous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아
Original Assignee
김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아 filed Critical 김정아
Priority to KR102003001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525A/ko
Publication of KR2003002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5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메라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식 소형 접사렌즈(25)와, LED 조명(17,19,21)과, 카메라 렌즈(15) 및 이미지 센서 모듈로 구성되어, 디지털 영상의 기록이 가능한 휴대폰인 카메라폰에 부가적으로 광마우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메라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마우스 기능이 장착된 카메라폰{Cellular phone with digital camera and optical mouse function}
본 발명은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메라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식 소형 접사렌즈(25)와, LED조명(17,19,21)과, 카메라 렌즈(15) 및 이미지 센서 모듈로 구성되어, 디지털 영상의 기록이 가능한 휴대폰인 카매라폰에 부가적으로 광마우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매라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PCA, GPS 등의 소형 모바일 전자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단순한 무선통화 기능뿐 아니라 각종 생활편의 서비스가 상용화 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효용이 날로 증가하며, 그 기능 또한 날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CMOS 이미지 센서와 같은 값싸고 소형의 이미지 저장 센서의 개발로,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포함된 소위 카메라폰이 등장하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음성통신 이외의 부가적인 정보통신 기능의 발전과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 각종 정보 서비스의 발전은 휴대용 정보 기기에서도 일반 컴퓨터와 같이,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며, 넓은 화면과 커서(8)의 편리한 제어 등이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소형 정보 기기에서 특히, 휴대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커서 제어 등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그러한 사용자 인터폐이스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정보 기기에서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카메라폰에 슬라이드식 접사렌즈(25)와, 조명장치(17,19,21)와 비젼 이미지 신호 처리기를 이용하여 광마우스 기능을 첨가하여, 기존에 화살표 버튼으로 조작하던 커서(8)를 일반 컴퓨터의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아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메라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메라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슬라이드 접사 렌즈를 열었을때의 렌즈 모듈 부위의 확대도
도 4는 슬라이드 접사 렌즈를 닫았을때의 렌즈 모듈 부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마이크 3. 키패드
5. 본체부 7. 힌지부
8. 커서 9. 화면부
11. 폴더부 13. 스피커
15. 카메라 렌즈 17,19,21. Chip LED
23. 슬라이드 손잡이 25. 접사렌즈
27. 슬라이드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메라폰의 전면 및 후면의 사시도이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상세 예시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들 상세 예시에만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메라폰의 기본적인 구성은 키패드(3)와 마이크(1)가 장착된 본체부(5)와, 영상 및 문자정보를 표시해주는 화면부(9)가 장착된 폴더부(11)와, 촛점거리를 짧게 해주는 접사렌즈(25)와, 이 접사렌즈(25)를 슬라이드식으로 장착시켜주는 슬라이드부(27)와, 칩LED(17,19,21) 혹은 소형의 발광장치로 이루어진 조명부와, 카메라 렌즈(15) 및 영상 이미지 센서 모듈로 구성된다.
본체부(5)는 다수의 키가 배치된 키패드(3)가 장착되고, 키패드(3) 하측으로 마이크(1)가 장착된다. 화면부(9)는 영상 및 문자정보를 표기해 줄 수 있는 LCD 혹은 유기 EL 등으로 구성되며, 힌지부(7)는 본체부(5)와 폴더부(11)를 회전식으로연결시켜주도록 구성된다. 본체부(5)의 뒷면에는 디지털 영상의 저장이 가능한 이미지 센서 모듈과 카메라 렌즈(15)가 부착되어 있어서, 카메라폰의 일반적인 기능인 디지털 영상의 저장이 가능하다.
2003년 현재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사용되고 있는 광마우스는 안에 저가의 이미지 센서와 조명장치가 있어서 바닥의 영상 무늬를 초당 수십 ~ 수백번 스캔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우스를 움직이면 이때 이미지 센서에 포착되는 바닥면의 무늬가 움직이므로 이것으로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면의 커서(8)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을 카메라폰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미지 센서의 촛점 거리를 줄여주어야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폰은 보통 따로 촛점을 맞출 필요가 없는 촛점 심도가 매우 깊은 렌즈를 사용하지만, 광마우스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는 렌즈가 완전히 바닥면에 밀착되므로 매우 짧은 촛점 거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23)가 부착된 슬라이드부(27)에 접사 렌즈(25)를 부착하여, 휴대폰을 디지털 카메라로 사용할 때는 도3과 같이 접사렌즈(25)를 제거하고 사용하며, 광 마우스기능을 사용할 때는 도4와 같이 슬라이드부(27)를 밀어서 접사렌즈(25)를 이미지 센서의 광축의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사용되는 광마우스의 이미지 센서는 저가의 CMOS 이미지 센서가 많이 사용되는데, 보통 18 * 18 의 해상도와 64 Level의 Gray scale 이미지 센서가 주종을 이루지만, 일반 카메라폰의 CCD는 이보다 훨씬 해상도와 Level이 높으므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광마우스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광마우스 기능을 이용하면 휴대폰 화면부(9)의 커서(8)등을 상당히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 화면부(9)의 사용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다.
광마우스기능을 사용할 때는 카메라 렌즈(15)와 책상등의 바닥면이 밀착되므로 따로 조명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광마우스 기능의 사용시에는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인식하거나 슬라이드부(27)의 위치를 인식하여 카메라 렌즈(15) 옆에 부착된 Chip LED(17,19,21) 조명을 켜준다.
이미지의 변화를 통한 바닥면 움직임의 감지는 Posterize등과 같은 비젼신호처리와 특징점 추출등의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수행되는데, 이러한 기능은 이미 장착되어 상용화된 칩 또한 시중에서 구할수 있고,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손쉽게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접사 렌즈(25)와 조명부(17,19,21)의 구성을 통하여 기존의 카메라폰에 광마우스의 기능을 첨가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메뉴의 커서(8)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카메라폰은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며 주로 옷이나 핸드백속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많으므로, 카메라 렌즈(15) 모듈에 먼지가 묻는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식으로 된 접사렌즈(25)가 카메라 렌즈(15) 마개역할도 해주므로, 카메라로 사용시에도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카메라 렌즈(15)와 영상 정보 획득을 위한 이미지 센서를 내장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무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폰에 있어서,
    슬라이드 식으로 구성되어 착탈이 용이한 접사 렌즈(25)와, 이미지 센서 및 카메라 렌즈(15)와, 카메라 렌즈(15) 옆에 부착된 Chip LED(17,19,21)와, 비젼 신호처리부로 구성되어, 놓여진 바닥면의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화면부(9)의 커서(8)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기능이 첨가된 카메라폰.
KR1020030015562A 2003-03-12 2003-03-12 광마우스 기능이 장착된 카메라폰 KR20030028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562A KR20030028525A (ko) 2003-03-12 2003-03-12 광마우스 기능이 장착된 카메라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562A KR20030028525A (ko) 2003-03-12 2003-03-12 광마우스 기능이 장착된 카메라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525A true KR20030028525A (ko) 2003-04-08

Family

ID=2957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562A KR20030028525A (ko) 2003-03-12 2003-03-12 광마우스 기능이 장착된 카메라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5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3682A1 (en) * 2005-06-30 2007-01-11 Nokia Corporation Camera control means to allow operating of a destine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surface of a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ystem
KR20100060315A (ko) * 2008-11-27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광학계
CN110286780A (zh) * 2019-06-26 2019-09-27 西南民族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机电混合式无人值守计算机操作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3682A1 (en) * 2005-06-30 2007-01-11 Nokia Corporation Camera control means to allow operating of a destine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surface of a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8164640B2 (en) 2005-06-30 2012-04-24 Nokia Corporation Camera control means to allow operating of a destine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surface of a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8970715B2 (en) 2005-06-30 2015-03-03 Nokia Corporation Camera control means to allow operating of a destine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surface of a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9641750B2 (en) 2005-06-30 2017-05-02 Iii Holdings 3, Llc Camera control means to allow operating of a destine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surface of a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ystem
KR20100060315A (ko) * 2008-11-27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광학계
CN110286780A (zh) * 2019-06-26 2019-09-27 西南民族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机电混合式无人值守计算机操作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6335B2 (ja) 表示制御方法および関連機器
US8111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ouch screen functionality
US8046033B2 (en) Mobile terminal
CN100349103C (zh) 具有屏幕上光导航的移动设备
US20140140587A1 (en) "home" button with integrated user biometric sensing and verif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
US20080122945A1 (en) Shutter ke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sensor
CN1358047A (zh) 指点装置和使用其的便携式信息终端
KR20090038300A (ko)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10533331A (ja) 近赤外線タッチ入力画面を有する携帯通信装置
WO2016112727A1 (zh) 触摸屏和指纹识别实现装置及终端设备
US20060132431A1 (en) Multi-function digital device as a human-input-device for a computer
CN1327669A (zh) 便携型信息通信终端装置
US8816980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40040974A (ko) 이동 단말기
KR20030028525A (ko) 광마우스 기능이 장착된 카메라폰
US20140050346A1 (en) Electronic device
JP2003069868A (ja) カメラ機能を有する携帯型情報端末機器
KR102584682B1 (ko)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480453B1 (ko) 휴대 단말기
JP2003188953A (ja) 携帯電話装置
KR20050036129A (ko) 촬영모드 자동 전환용 카메라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34246B1 (ko) 반사거울을 이용한 광학식 포인팅 장치
JP2003110895A (ja) カメラ機能を有する携帯型情報端末機器
US20100178954A1 (en) Cellular telephone with a magnification device device and an illumination
KR102029240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5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