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471A - 도관의 라이닝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도관의 라이닝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28471A KR20030028471A KR1020027015492A KR20027015492A KR20030028471A KR 20030028471 A KR20030028471 A KR 20030028471A KR 1020027015492 A KR1020027015492 A KR 1020027015492A KR 20027015492 A KR20027015492 A KR 20027015492A KR 20030028471 A KR20030028471 A KR 20030028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er
- conduit
- pipeline
- flexible
- attach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29C53/38—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 B29C53/385—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using several sheets to form the circumfere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82—Finishing the edges of holes or perforations in the lined product
- B29C63/0086—Finishing the edges of holes or perforations in the lined product and removing the portion of the lining covering the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0—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3—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by applying waterproof flexible sheets; Means for fixing the sheets to the tunnel or cavity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internal surfaces, e.g. of tubes
- B05D7/22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internal surfaces, e.g. of tubes of pipes
- B05D7/225—Coating inside the pi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과 같은 도관(15)의 내면(13)을 라이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관(15)의 내면(13) 또는 도관의 내면에 부착된 기재 상에 라이너(11)를 점진적으로 접착해 나가면서 이 라이너(11)를 점진적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라이너(11)는 경화되어 라이너(11)와 함께 견고한 구조물을 구성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도관(15)의 내면(13) 또는 도관의 내면에 부착된 기재 상에 접착된다. 장치(10)는 라이너(11)를 점진적으로 부착해 나가도록 도관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 본체(23)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23)는 접착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제를 도포한다.
Description
전 세계적으로, 다수의 파이프라인이 수년간 매설되어 있으며 이들이 낡게되는 경우 파이프라인의 효능을 유지하거나 누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수가 요구된다. 특히 하수관이나 급수관과 같은 파이프망을 포함하는 도시기본시설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파이프라인의 내벽에 라이너를 부착하거나 내벽에 코팅물질을 스프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이프라인의 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제안이 있었다.
기존의 파이프라인을 라이닝하기 위한 제안중의 하나가 미국특허 제4,687,677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에 기술된 제안은 라이닝될 파이프라인 내에 경화성 플라스틱물질을 포함하는 유연성의 호스형 라이너를 삽입하는 것이다. 유연성의 라이너는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파이프라인 내에 삽입되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가압밀착된다. 그리고 이 유연성 라이너는 경화성 플라스틱물질을 방열에너지에 노출시킴으로써 경화된다. 이와 유사한 제안으로서는 특허문헌 WO 92/16784(Lundmark)에 기술된 것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에서는 호스형 라이너가 이 라이너를 삽입하거나 라이너의 외측으로 파이프라인을 삽입하여 파이프라인 내에 삽입된다.
경화성 플라스틱물질을 포함하고 방열에너지에 노출시켜 경화되는 라이너를 이용하는 이러한 제안의 결점은 라이너가 부착장소로부터 원격한 제조공장에서 완전한 제어상태하에 제조된 후 다시 부착장소로 운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파이프의 라이닝작업에 소요되는 코스트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관의 내부를 라이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과 가스 파이프, 하수 및 배수 파이프라인과 같이 유체가 흐르는 도관의 내부를 라이닝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낡은 파이프라인을 보수하기 위하여 기존의 파이프라인 또는 기타 도관을 라이닝하거나 유체의 유동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파이프라인 또는 도관의 경계면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존의 파이프라인 또는 도관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이들을 라이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새로운 파이프라인 또는 도관의 사용수명을 더욱 연장하기 위하여 이들 새로운 파이프라인 또는 도관을 라이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라이너를 부착하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개략 설명도.
도 2는 내부에 라이너가 부착된 파이프라인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라이너의 위치를 설명하는 파이프라인 측벽의 부분단면도.
도 4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착헤드를 보인 개략 설명도.
도 5는 라이너를 구성하기 위하여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부착헤드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부착헤드의 부분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보인 부착헤드의 측면도.
도 8은 부착헤드측으로 연장되는 공급줄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지구조물을 보인 개략도.
도 9는 도 8에서 보인 캐리지구조물의 정면도.
도 10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부착헤드의 측면도.
도 11은 일부 내부구조를 보인 도 10의 부착헤드의 설명도.
도 12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부착헤드를 보인 설명도.
도 13은 내부에 부착되는 라이너가 내부의 크기에 적응토록 하는 겹단이 형성된 것을 보인 파이프라인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보인 구성의 부분단면도.
도 15는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라이너를 부착하는 것으로 특히 파이프라인에 라이너를 공급하는 방법을 보인 제4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설명도.
도 16은 도 15의 실시형태에서 압력챔버와 함께 사용되는 유체씨일기구를 보인 설명도.
도 17은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라이너를 부착하는 제5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설명도.
도 18-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라이닝되는 파이프라인에 분기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과정의 여러 단계를 보인 설명도.
도 22는 라이너를 구성하기 위하여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제6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부착헤드의 부분단면도.
도 23은 제7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부착헤드의 정면도.
도 24는 도 23의 부착헤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5는 제7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안내링구조물의 사시도.
도 26은 안내링구조물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7은 안내링구조물의 정면도.
도 28은 안내링구조물의 측면도.
도 29는 안내링구조물의 기하학적 특징을 보인 설명도.
도 30은 조립된 라이너를 구성토록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의 인접한 변부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연결수단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31은 또 다른 연결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32는 도 31에서 보인 연결수단의 상세도.
도 33은 파이프를 구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와 같은 적당한 물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간에 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첩되는 두 라이너를 보인 설명도.
도 34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파이프라이닝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착헤드의 설명도.
도 35는 도 34에서 보인 장치의 상세도.
도 36은 파이프라인에 부착되는 한 형태의 파이프라이닝 시스템을 보인 파이프라인의 단면도.
도 37은 파이프라인에 부착되는 다른 형태의 파이프라이닝 시스템을 보인 파이프라인의 단면도.
도 38은 파이프라인에 부착되는 또 다른 형태의 파이프라이닝 시스템을 보인 파이프라인의 단면도.
도 39는 파이프라인 내에 또 다른 파이프라이닝 시스템을 부착하기 위하여 내부에 배치된 파이프라이닝 장치를 보인 파이프라인의 단면도.
도 40은 파이프라인의 내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보인 설명도.
도 41은 도 40과 유사하나 파이프라인은 도시하지 않은 설명도.
도 42는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위치하는 두 층으로 된 라이너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43은 파이프라인 내에서 팽창된 상태에 있는 라이너를 보인 설명도.
도 44는 부착과정 중에 라이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진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5는 이 실시형태의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내링구조물의 정면도.
도 46은 안내링구조물과 함께 작동하는 고정구조물의 정면도.
도 47은 도 46과 유사하나 고정구조물이 확장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 정면도.
도 48은 안내링구조물과 고정구조물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인 측면도.
도 49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부착헤드에서 안내링구조물과 이에 상응하는 고정구조물을 보인 측면도.
도 50은 안내링구조물과 고정구조물 사이의 협동하는 작용을 보인 도 49의단면도.
본 발명은 도관의 내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유연성의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 및 도관의 내면 또는 도관의 내면에 부착된 기재 상에 라이너를 접착시켜 점진적으로 라이너를 부착해 나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관의 내면을 라이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라이너는 도관의 내면 또는 이에 접착제로 접착된 기재 상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라이너는 도관의 내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경화되어 라이너와 함께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재를 이용하여 도관의 내면에 부착된 기재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라이너와 기재는 함께 견고한 구조물을 구성하는 복합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기재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폼의 형태인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기계적인 발포수단을 이용하여 수지를 발포시키거나 또는 폼 내에 발포제를 함유시켜 수지를 발포시킬 수 있다.
라이너는 유리섬유직조물과 같은 구조적인 섬유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직물은 라이닝된 도관의 경계벽으로서 평활한 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평활코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라이너는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층은 라이너의 부착 전에 서로 접착되거나 이들이 라이너부착 과정의 일부단계에서 접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라이너는 라이너를 구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 종방향 변부를 갖는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로부터 도관 내에서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법은 도관 내에 상기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를 공급하는 단계 및 라이너를 구성하도록 상기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라이너는 유연성 튜브구조물의 형태로 도관 내에 공급될 수 있다. 라이너가 다수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 층은 서로 겹치게 배치되어 튜브구조물을 구성토록 할 수 있다.
라이너가 접착제 접착방식으로 부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은 도관의 내면 또는 그 내면에 부착된 기재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접착제의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이너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라이너가 도관의 내면 또는 그 내면에 부착된 기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라이너를 가압하기 위하여 유연성 라이너가 부착되는 도관의 영역에 팽창유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팽창유체는 공기이나, 이는 액체와 기체 또는 액체와 기체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적당한 유체의 형태일 수 있다.
기재는 라이너가 부착되기 전에 도관의 내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와 같은 라이닝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라이너의 부착전 도관의 내면에 기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는 이 라이너가 부착되는 면의 크기 보다 가장자리만큼 큰 크기를 갖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라이너가 부착될 면에 넉넉히 결합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라이너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겹단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라이너는 종방향 변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로부터 조립되는 경우, 이러한 구조는 Neil Deryck Bray Graham의 명의로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PCT/AU95/00667 및 본원 출원인의 국제특허출원PCT/AU01/00386에 기술된 내용과 유사하다. 종방향 변부는 서로 겹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관의 내면에 경질의 라이닝을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은 유리섬유직조물과 같은 구조적인 섬유직물을 포함하는 유연성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 유연성 라이너에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도관의 내면 또는 도관 내면에 부착된 기재에 점진적으로 유연성 라이너를 부착해 나가는 단계를 포함하며, 섬유직물과 수지가 수지의 경화시 경질의 라이너를 형성하는 복합물을 제공한다.
수지접착제는 유연성 라이너 또는 라이너가 접착될 면 또는 라이너와 상기 면 모두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관의 내면 또는 이에 부착된 기재 상에 유연성 라이너를 부착하기 위하여 도관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 본체를 포함하고 이 본체가 도관을 따라서 이동할 때 도관의 내면 또는 이에 배치된 기재 상에 라이너를 점진적으로 부착해 나가는 수단을 갖는 도관내면의 라이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체는 내부라이너부분과 이 내부라이너부분에 대하여 전도된 외부라이너부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라이너가 전도될 수 있는 안내구조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구조물의 안내면은 주름과 같은 불균일한 부분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라이너부분을 용이하게 확장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내면은 적어도 하나가 아치형인 제1경계선과 제2경계선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 두 경계선이 길이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길이의 두 경계선은 경계선 중의 하나가 파형(波形)을 갖도록 하고 안내면이 두 경계선 사이에서 다른 파형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얻을 수 있으며, 두 파형의 형태를 위상을 달리하여 안내면 상에서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의 운동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 파형형상의 골부분이 다른 파형형상의 마루부분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안내면은 일측 경계선을 한정하는 외부주연과 타측 경계선을 한정하는 내부주연을 갖는 안내링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내부주연은 파형형상의 경계선이다. 아울러, 다른 파형형상은 링의 일측 축방향 단부에 제공된다.
본체는 도관의 내면 또는 이 내면에 부착된 기재 상에 라이너를 접착제로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공급수단을 갖는 것이 좋다.
유연성 라이너가 종방향 변부가 서로 결합되는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로부터 조립될 때, 본체는 이러한 조립을 위한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조립되어 라이너를 구성하는 유연성 물질의 여러 긴 부재가 웅형(雄形)의 요소인 제1연결요소와 자형(雌形)의 요소인 제2연결요소로 구성되는 연결수단을 갖는 인접한 종방향 변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지퍼의 결합방식으로 유연성 물질의 각 긴 부재의 웅형 연결요소가 유연성 물질의 인접한 긴 부재의 자형 연결요소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의 종방향 변부는 점진적으로 상대측으로 향하여 이동되면서 결국은 맞물리어 결합된다. 적당한 연결수단으로서는 상기 언급된 특허출원의 문헌에 기술된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의 인접한 종방향 변부를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라이너가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로부터 조립되는 경우, 이러한 긴 부재는 이러한 물질이 전형적으로 롤의 형태로 저장된 공급스테이션으로부터 공급로를 따라서 본체에 점진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는 본체가 도관을 따라서 이동될 때 저장롤로부터 점진적으로 풀려 나갈 수 있다.
라이너가 튜브구조물을 포함할 경우, 튜브구조물은 전형적으로 롤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스테이션으로부터 공급로를 따라서 접혀진 상태로 본체에 점진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튜브구조물은 본체가 도관을 따라서 이동할 때 저장롤로부터 점진적으로 풀려 나간다.
본체에는 도관이 내면 또는 이에 부착된 기재 상에 부착되는 동안 라이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라이너를 강하게 밀어붙이는 압력면으로 구성된다. 압력면은 유연성 벽으로 구성되며 그 내면에는 유연성 벽을 라이너에 접촉토록 가압하기 위한 유체압력이 가하여진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도 9의 도면에서, 이는 파이프라인(15)의 내면에 라이너(11)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10)를 보이고 있다. 라이너(11)는 방수벽을 형성하여 부식과 마모를 방지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라이너(11)는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에 부착된 시멘트의 중간라이닝(19)의 형태인 기재(17)에 부착된다. 이 기재(17)는 내면이 심하게 낡아서 라이너(11)의 부착 전에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파이프라인의 내면(13)에 부착된다.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15)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제1접근구(21)와 제2접근구(22)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두 접근구는 파이프라인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고, 이들 두 접근구(21)(22) 사이인 파이프라인(15)의 구간(15a)이 라이닝된다.
장치(10)는 롤러(28) 상에 착설되고 부착헤드(25)를 포함하는 본체(23)를 포함한다. 이 본체(23)는 라이너(11)를 점진적으로 부착해 나가기 위하여 파이프라인 (15)의 구간(15a)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본체(23)는 이 본체(23)로부터 제2접근구(22)에 인접한 파이프라인의 외부에 배치된 스테이션(26)에 연장된 두개의 라인(24)을 통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견인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라이너(11)는 다수의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로 구성되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가다란 부재가 사용되었다. 유연성 물질은 일측면이 라이닝물질로 코팅된 유리섬유직물과 같은 직물이며 이 직물의 라이닝물질은 라이너가 부착될 때 파이프라인의 내면측으로 향한다. 라이닝물질은 파이프라인(15) 내에 라이너(11)가 배치되는 요구에 따라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경우, 라이닝물질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라이닝물질은 폴리에스터(Mylar), 나일론 우레탄고무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라이너(11)는 4개의 긴 부재(27)로부터 조립되며, 이들 부재의 종방향 변부가 연결수단(29)에 의하여 서로 겹치어 결합됨으로써 라이너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각 연결수단(29)은 웅형 연결구 형태의 제1연결요소와 자형 연결구 형태의 제2연결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각 긴 부재(27)의 웅형 연결요소가 지퍼결합방식으로 인접한 긴 부재의 자형 연결요소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웅형 및 자형 연결요소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긴 부재(27)는 도 2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어 라이너(11)를 구성할 수 있다.
연결수단(29)은 여러 긴 부재(27) 사이에 연속적이고 기밀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는 제1접근구(31)에 인접하여 파이프라인(15)의 외부에 배치된 스테이션(35)에서 롤의 형태로 롤(33)에 저장된다. 각 긴 부재(27)의 일측 단부(27a)는 라이닝작업이 시작되는 위치, 이 경우에 있어서 제1접근구 (21)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에 밀폐방식으로 부착된다. 단부(27a)가 파이프라인에 접착된 위치로부터 본체(23)가 파이프라인(15)을 따라서 전진할 때, 여러 긴 부재(27)가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조립되어 라이너 (11)를 구성하게 된다. 여러 긴 부재(27)는 상기 언급된 특허출원의 명세서(이 문헌에서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는 조립되어 덮개를 구성한다)에 기술된 구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긴 부재(27)는 롤(33)로부터 제1접근구(31)를 통하여 그리고 라이닝된 파이프라인의 구간(15a)의 부분을 따라서 본체(23)에 연장된다. 본체(23)는 긴 부재(27)가 지날 수 있는 안내롤러(44)로 구성되는 안내구조물(41)을 갖는다. 본체(23)에서, 라이너(11)는 안내구조물(41)을 돌아서 지나가게 됨으로써 내부라이너부분(43)과 외부라이너부분(45)을 이루게 된다. 외부라이너부분(45)은 내부라이너부분(43)에 대하여 전도되어 있는 상태이며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을 향하여 외측으로 이동한다. 안내구조물(41)에 접촉하기 전에, 긴 부재(27)는 서로 맞물리어 라이너(11)를 구성한다. 긴 부재(27)의 각 웅형 연결요소와 자형 연결요소는 슬라이더(47)에 의하여 서로 맞물리게 안내된다. 다른 안내롤러와 같은 안내수단(도시하지 않았음)이 슬라이더(47)측으로 웅형 연결요소와 자형 연결요소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긴 부재(27)의 웅형 및 자형 연결요소는 예를 들어 국제특허출원 PCT/AU01/00386에 기술된 바와 같은 연결구조립체와 같은 다른 적당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부착헤드(25)는 기재(17)를 형성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 (15)의 내면(13)에 콘크리트 층을 도포하기 위한 제1도포수단(51)을 갖는다.
또한 부착헤드(25)는 라이너(11)를 접착시킬 수 있도록 기재(17)의 내면에 수지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제2도포수단(52)을 갖는다.
부착헤드(25)는 선도확장부재(53), 중간확장부재(55)와, 후미확장부재(57)를 포함한다.
선도 및 중간확장부재(53)(55)는 외부환상박막(61)과 내부환상박막(63)으로 구성되는 선도기낭구조물(59)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들 두 박막(61)(63)은 상대측에 대하여 주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어 이들 사이에 환상챔버(65)를 형성한다. 교차결합 케이블(69)(도 4에서 보임)이 기낭구조물(59)에 결합되어 부착헤드 (25)가 그 구조상의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파이프라인의 만곡부나 모서리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후미기낭구조물(70)이 중간확장부재(55)와 후미확장부재(57)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후미기낭구조물(70)은 중간에 환상챔버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둔 외부환상부재(71)와 내부환상부재(도시하지 않았음)로 구성된다. 고차결합 케이블(77)이 링형태인 중간확장부재(55)와 후미확장부재(57)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제1도포수단(51)은 선도확장부재(53), 중간확장부재(55) 그리고 이들 사이에 연장된 선도기낭구조물(59)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도포수단(52)은 중간확장부재(55), 후미확장부재(57) 그리고 이들 사이에 연장된 선도기낭구조물(70)로 구성된다.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선도확장부재(53)는 선도 와이퍼 씨일(81)을 재가하고, 중간확장부재(55)는 중간 와이퍼 씨일(83)을 재가하며, 후미확장부재(57)는 후미 와이퍼 씨일(85)을 재가한다.
선도 및 중간 와이퍼 씨일(81)(83) 사이에서 선도기낭구조물(59)의 둘레에는 고정챔버(91)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미고정챔버(93)가 중간 및 후미 와이퍼 씨일(83)(85) 사이에서 후미기낭구조물(7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선도고정챔버(91)는 본체(23)가 파이프라인을 따라서 전진할 때 기재(17)를 구성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에 시멘트의 중간라이닝(19)을 도포하기 위하여 공급된 시멘트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선도 와이퍼 씨일(81)은 유연성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본체(23)가 파이프라인(15)을 따라서 이동할 때 이 파이프라인의 내면(13)을 깨끗이 닦고 나갈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에서, 선도 와이퍼 씨일(81)은 설명을 위하여 파이프라인의 내면(13)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이 씨일이 내면(13)에 접촉한다.
중간 와이퍼 씨일(83)의 외측연장범위는 중간에 갭(9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의 내면(13)으로부터 간격을 두도록 선도 와이퍼 씨일(81)의 외측연장범위 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선도고정챔버(9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젖은 콘크리트가 파이프라인의 내면(13)에 층(96)으로서 도포되고 이러한 시멘트층(96)의 내면은 중간 와이퍼 씨일(83)에 의하여 형성된다. 층(96)은 갭(95)에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고 중간라이닝(19)을 형성한다.
후미 와이퍼 씨일(85)의 외측연장범위는 중간 와이퍼 씨일(83)의 외측연장범위 보다 작아 파이프라인의 내면(13)에 부착된 콘크리트 층(96)의 내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층(19)의 내면과 조합하여 후미 와이퍼 씨일(85)은 간극(97)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후미고정챔버(9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접착제의 층(100)이 콘크리트 층(96)의 내면에 도포된다.
시멘트는 시멘트공급라인(101)을 통하여 선도고정챔버(91)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수지 접착제는 접착제공급라인(103)을 통하여 후미고정챔버(93)에 공급된다.
배기시스템(도시하지 않았음)이 고정챔버(91)(93)로부터 공기의 배출을 위하여 이들 챔버에 형성되어 있다.
콘크리트공급라인(101)과 접착제공급라인(103)은 제2접근구(22)로부터 본체 (23)측으로 연장된 공급줄(105)을 통하여 안내된다. 또한 견인줄(24)이 전원라인 및 급기라인과 같은 달리 필요한 서비스라인과 함께 공급줄(105)에 결합되어 있다. 이들 라인은 본체(23)가 파이프라인을 따라서 이동할 때 저장롤(109)로부터 풀리어나간다.
선도기낭구조물(59)에는 파이프라인의 내면(13)에 콘크리트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선도고정챔버(31)측으로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진동시키기 위하여 외부환상박막(61)을 진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외부환상박막(61)은 선도기낭구조물(59) 내에 구비된 진동기구 등과 같은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진동될 수 있다. 또한, 교차결합 케이블(69)에 이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영향(자기장 또는 전기장과 같은 영향)이 가하여지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미기낭구조물(70)에는 콘크리트 층(96)의 내면에 접착제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환상박막(71)에 진동을 유도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선도기낭구조물(59)에 관련하여 사용된 것과 유사한 진동기구를 이용하여 외부환상박막(71)에 진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
후미확장부재(57)는 부착헤드(25)의 후미부분(111)에 결합된다. 또한 이 후미부분(111)은 조립된 라이너(11)가 콘크리트 층(96)에 도포된 접착제 층(100)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맨드렐(113)을 포함한다. 조립된 라이너(11)는 후미부분 (111)에 형성된 공급슬로트(115)를 통하여 맨드렐(113)에 공급된다. 공급슬로트 (115)는 후미부분(111)을 전면부(117)와 후면부(119)로 분리하며, 이들 전후면부분은 공급슬로트(115)를 통한 조립된 라이너(118)의 공급에 간섭을 주지 않는보강판(120)을 포함하는 구조물(118)에 의하여 함께 결합되어 있다.
맨드렐(113)은 유연성 라이너(11)를 접착제로 콘크리트 층(96)에 밀착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급슬로트(115)의 바로 뒤에 배치된다. 맨드렐(113)은 공급슬로트(115)를 통하여 공급되는 조림된 라이너(11)에 대하여 접촉면(119)을 제공하며, 이 접촉면(119)은 라이너를 접착제 층(99)에 가압밀착되게 접착토록 진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면부(117)에는 후미 와이퍼 씨일(85)의 후측에 배치된 팽창형 관상구조물(123)에 의하여 한정되는 진동다이아프램(12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진동다이아프램(121)은 콘크리트 층(19)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데 도움을 준다. 후미 와이퍼 씨일(85)과 공급슬로트(115)를 통하여 공급되는 라이너(11) 사이에서 다이아프램(121)의 둘레에 영역(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영역(12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접착제가 시멘트 층(96)의 외면에 접촉하고 있는 라이너(11)의 면에 도포된다. 씨일기구(127)가 공급슬로트(115)와 협동하여 영역(12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접착제가 공급헤드의 후미부분(111)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립된 라이너(11)는 그 면적의 크기가 콘크리트 층(96)의 내면의 면적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립된 라이너가 콘크리트 층에 대하여 적절한 크기로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부분이 처리될 수 있도록 나머지부분이 겹치어 돌출될 수 있게 조립된 라이너에 겹단(131)을 형성하는 핀치 롤러(도시하지 않았음)가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에 콘크리트 층(96)의 내면에 라이너(11)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진하는 본체(23)의 후측에서 파이프라인(15)의 라이닝된 부분에 팽창유체가 공급된다. 팽창유체는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적당한 형태의 유체일 수 있다. 팽창유체를 수용하기 위하여서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15)에 분리가능한 마개(133)를 제공함으로써 파이프라인(15)을 폐쇄하는 것이 필요하다. 팽창유체가 공기와 같은 기체인 경우, 파이프라인의 내부를 가압환경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1접근구에 씨일(도시하지 않았음)이 요구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팽창압력은 2.5~5 kPa이다.
공급줄(105)을 지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공급줄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캐리지(135)가 제공된다. 각 캐리지(135)는 공급줄(105)이 삽입지지되는 칼라(137)와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접하는 롤러(139)를 포함한다.
캐리지(135)는 제2접근구(22)를 통하여 옮겨질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 장치(10)는 콘크리트 층(96)과 라이너(11)를 부착한다. 그러나, 파이프라인이 콘크리트 층의 부착이 요구될 정도로 낡지 않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라이너(11)가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내면(13)에 직접 라이너(11)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140)가 도 10과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은 제2실시형태에 따라서 설명된다. 이 장치(140)는 콘크리트를 도포하기 위한 제1도포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제3실시형태에 따른 장치(150)가 도 12에서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를 수용하는 고정챔버(93)는 조립된 라이너(11)가 통과하는 공급슬로트(115)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공간이 협소한 소경의 파이프라인에 적합하다.
도 13과 도 14는 겹단(131) 내에 도관(132)이 삽입되어 있는 조립된 라이너 (11)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관(132)이 라이너(11) 내의 주요 유로로부터 분리되어 파이프라인(15)을 따라서 연장되는 별도의 통로를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도관(132) 내의 통로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거나 통신케이블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라인을 수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이프라인의 라이닝된 부분에 팽창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형의 마개(133)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파이프라인(15)을 폐색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도 14와 도 15는 이러한 마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 15와 도 16은 장치(10)가 선행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나 파이프라인(15)으로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를 공급하는 방식이 상이한 실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는 입구단(161)에서 파이프라인(15)의 라이닝될 구간(15a)으로 진입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입구단 (161)은 파이프라인(15)의 일부를 절취하여 제거함으로써 입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파이프라인(15)의 절취를 위하여 접근하는 것은 지중에 접근피트 (162)를 굴삭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맨홀이나 기타 다른 진입장소를 통하여 라이닝될 구간(15a)에 접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는 압력챔버(163)를 통하여 파이프라인 구간(15a)으로 공급된다. 압력챔버(163)는 입구단(166)과 출구단(167)을 갖는 하우징(165)으로 구성된다. 압력챔버(163)에는 라이너를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 조립된 라이너(11)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압력하에 수용되는 공기와 같은 팽창유체가 수용된다.
압력챔버(163)의 입구단(166)은 챔버 내의 팽창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폐쇄되며, 이를 위하여 입구단에서 각 긴 부재(27)의 진입만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씨일기구(171)가 제공된다. 각 유체씨일기구(171)는 도 1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밀폐결합상태에서 중간에 각 긴 부재(27)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밀폐롤러(173)로 구성된다. 각 밀폐롤러(173)는 긴 부재(287)의 형상에 적응하고 특히 긴 부재에 달려있는 연결수단(29)의 웅형 및 자형 연결요소와 같은 불균일 요소와 긴 부재를 구성하는 섬유직물에 나타날 수 있는 주름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의 유연성 밀폐면(175)을 제공한다. 각 밀폐롤러(173)는 이에 밀폐접촉되게 배치된 롤링 씨일(177)을 가지며, 롤링 씨일(177)은 강철과 같은 경질의 물질로 구성되는 밀폐면(179)을 갖는다. 각 롤링 씨일(177)은 압력챔버의 입구단(166)에서 벽(183)에 부착된 립 씨일(181)과 밀폐접촉한다. 필요한 경우 하나 이상의 밀폐롤러(173)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밀폐롤러(173), 롤링 씨일(177) 및 립 씨일(181)은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가 입력챔버(163)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압력챔버의 입구단(166)에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협동한다. 각 롤링 씨일(177)의 경고한 특성을 갖는 밀폐면(179)은 밀폐롤러(173)의 탄성을 갖는 유연성 밀폐면(175)과 접촉하여 효과적인 씨일을 구성토록 하며 또한 립 씨일(181)과 접촉하여 효과적인 씨일을 구성토록 한다.
압력챔버(163)의 출구단(167)은 각 긴 부재(27)의 단부(27a)가 밀폐되는 칼라(191)를 갖는다. 라이너(11)의 외부라이너부분(45)은 파이프라인 구간(15a)에서 압력챔버(163)의 출구단(167)으로부터 장치(10)의 본체(23)까지에서 조립되어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에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 또는 이에 부착된 다른 콘크리트 층의 내면에 라이너(11)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진하는 본체(23)의 후측에서 파이프라인(15)의 라이닝된 구간으로 팽창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의 특별한 이점은 선행 실시형태에서 요구되었던 것과 같이 팽창유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파이프라인(15a)에 마개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압력챔버(163)의 하우징(165)은 입구단(166)으로부터 출구단(167)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입구단(166)으로부터 출구단(167)으로 이동할 때, 긴 부재(27)[내부라이너부분(43)을 구성하는]는 안내롤러(193)에 의하여 파이프라인 구간(15a)의 입구단(161)으로 진입될 수 있는 크기로 좁아진다. 또한 안내롤러(195)가 파이프라인 구간(15a)의 입구단(161)에 제공되어 긴 부재(27)가 파이프라인 구간(15a)의 입구단(161)으로 접근하여 진입할 때 이들을 안내한다.
비록 라이너(11)의 외부라이너부분(45)이 압력챔버(163)의 출구단(167)으로부터 조립된다 하여도 본체(23)는 파이프라인 구간(15a)의 입구단(161)으로부터만 작동한다. 이러한 작동은 조립된 라이너(11)의 외부라이너부분(45)이 접착되는 지점이다.
도 17은 파이프라인 구간(15a)에 대한 접근이 접근피트(182)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선행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외부라이너부분(45)은 팽창압력 때문에 부분(186)에서 약간 불룩해져 있다.
이상의 여러 실시형태는 파이프라인 구간으로부터 연장된 분기라인이 없는 파이프라인 구간에 라이너를 부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라인에 분기라인이 있는 경우, 분기라인이 라이닝공정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으로부터 영구적으로 밀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한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공정에 대하여서는 도 18-도 21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8-도 21은 파이프라인(15)으로부터 연장된 분기라인(201)을 보이고 있다. 분기라인이 있다는 표식을 포함하는 분기라인의 존재 때문에 필요한 다음의 공정은 파이프라인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된 원격조작운반체("파이프 랫"과 같은 운반체)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작업자의 원격제어하에 여러 작업이 수행된다.
분기라인(201)의 존재 및 위치가 확인되었을 때, 마개(203)가 도 18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측으로 개방된 위치에 인접하여 분기라인 내에 삽입된다. 마개(203)의 삽입은 원격제어운반체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마개(203)는 도 19에서 보인 바와 같이 라이닝작업 중에 장치(10)에 의하여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에 도포되는 콘크리트나 접착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기라인(201)을 밀폐한다.
마개(203)에는 라이닝작업후 마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리링 형태의 라디오 안테나와 같은 장치가 구비된다. 분기라인(201)이 파이프라인(15)에 다시 연결되는 단계에서, 파이프라인(15)에 대한 분기라인(201)의 위치는 마개(203)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작동형 운반체에 의하여 운반되는 컷팅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라인(15)의 내부로부터 파이프라인(15)의 라이닝된 벽에 통공(205)이 천공된다. 그리고 도 20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마개(203)가 제거되고 분기라인(201)이 노출된다. 그리고 통공(205)의 주위영역이 깨끗이 청소된다.
이후에 도 2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결부재(207)가 분기라인(201)과 파이프라인(15) 사이에 부착된다. 연결부재(207)의 부착은 원격작동형 운반체에 의하여 수행된다. 연결부재(207)는 중절모의 형태로서 라이닝된 내면(211)에 접착될 수 있게 된 테두리부분(209)이고, 통공(205)을 통하여 분기라인(20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테두리부분(209)으로부터 돌출된 환상부(213)로 구성된다. 환상부(213)는 분기라인(201)의 내면(215)에 배치되어 접착된다. 연결부재(207)의 부착시에 테두리부분(209)은 라이닝된 파이프라인(15)의 내면(211)의 윤곽을 따라서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원격작동형 운반체에 의하여 통공(205)측으로 가압되는 연결부재(207)의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테두리부분(209)의 변형은 환상부(213)가 방사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하여 이 환상부가 분기라인의 내면(215)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결부재(207)는 파이프라인(15)과 분기라인(210) 사이에 유체의 누출이 없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10)의 부착헤드(25)의 부분을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부착헤드(25)는 조립된 라이너(11)가 맨드렐(113)측으로 공급되는 공급슬로트(115)를 갖는 밀폐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은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공급슬로트(115)는 경질의 씨일(221)과 유연성 씨일(22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경질의 씨일(221)은 조립된 라이너(11)가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광택밀폐면을 제공한다. 유연성 씨일은 챔버(227)의 유연성 벽(225)에 의하여 구성된다. 챔버(227)는 유연성 벽(225)을 가압하여 공급슬로트(115)를 통과하는 조립된 라이너(11)에 강제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팽창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급슬로트(115)를 통과하는 조립된 라이너(11)가 경질의 씨일(221)과 유연성 씨일(223) 사이에서 밀폐결합된다.
유연성 씨일(223)은 챔버(227) 내에 수용된 팽창유체가 유연성 씨일(225)을 통하여 방출됨으로써 밀폐면을 윤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천공구조로 구성될 수있다. 이는 유연성 씨일(223) 상에서 조립된 라이너(11)의 운동에 대한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씨일(221)(223)의 밀폐작용은 또한 공급슬로트(115)를 통한 조립된 라이너(11)의 운동에 의하여 보조되며, 운동의 방향은 공급슬로트(115)로부터 멀어지는 영역(125)으로 접착제가 옮기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유연성 물질의 여러 긴 부재(27)는 내부라이너부분(43)과 외부라이너부분(45)을 제공하도록 본체에 착설된 안내롤러(44)의 형태인 안내구조물을 넘어가면서 전도된다. 도 23-도 29에서 보인 실시형태는 롤러형태인 안내구조물을 이용하지 않는 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23-도 29에서, 안내구조물(41)은 내부라이너부분(43)과 외부라이너부분 (45)을 제공토록 긴 부재(27)가 통과할 수 있는 안내면(255)을 제공한다.
안내구조물(41)에 의하여 제공되는 안내면(255)은 외부라이너부분(45)에 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유연성 부재를 용이하게 확장시켜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안내구조물(41)은 도 25-도 28에서 보인 바와 같은 안내링 (256)으로 구성된다.
안내링(256)은 중앙공(258)을 갖는 링동체(257)로 구성된다. 링동체(257)는 긴 부재(27)가 돌아서 지날 수 있는 안내면(255)을 제공하며, 내부라이너부분 (43)이 중앙공(258)을 통하여 링동체(257)로 진입하고 안내면(255)을 돌아 전도됨으로써 외부라이너부분(45)이 링동체(257)의 외주면으로부터 벗어난다.
링동체(257)는 외주면(259)과 내주면(261)을 갖는다. 외주면(259)은 원형이다. 내주면(261)은 도 2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파형부(262)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동체(257)는 제1축단부(263)와 제2축단부(264)를 갖는다. 제1축단부(263)는 링동체(257)의 외주면(259)에 형성되어 있어 원형을 이룬다. 제2축단부(264)는 도 2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2파형부(265)를 이룬다.
제1파형부(262)와 제2파형부(265)는 위상이 달라 링동체(257)의 방사상 방향에서 제1파형부(262)의 각 골부분(267)이 제2파형부(265)의 각 마루부분(268)에 일치하며, 링동체(257)의 방사상 방향에서 제1파형부(262)의 각 마루부분(269)이 제2파형부(265)의 각 골부분(272)에 일치한다. 이는 도 25, 도 26 및 도 27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내주면(261)의 길이는 와주면(259)의 길이와 같아진다.
안내면(255)의 구성의 다른 특징이 도 29에서 설명될 것이다. 안내면(255)의 구성은 내주면(261)의 점(276)으로부터 외주면(259)의 방사상으로 정렬된 점(278)까지 안내면(255)을 가로질러 연장된 원호(274)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다. 환언컨대, 도 29에서 보인 원호(274a, 274b, 274c, 274d, 274e, 274f, 274g)는 각각 길이가 동일하다.
이러한 안내면(255)의 구성으로 긴 부재(27)가 내부라이너부분(43)과 외부라이너부분(45)을 제공하도록 전도될 때 각 긴 부재(27)가 안내면(255)에 접촉하는 측방향 범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측방향 접촉범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외부라이너부분(45), 즉 조립된 라이너(11)에 주름이 잡히거나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는 등 불균일한 부분이 발생되지 않는다.
링(256)은 방사상 고정암(233) 상에 지지되고 그 내측단부가 지지링(234)에 취부된다. 지지링(234)은 고정볼트(235)에 의하여 본체(23)에 고정된다. 고정암 (233)은 안내면(236)에 대향된 면, 즉 도 2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내부라이너부분 (43)이 링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하는 링의 측면에서 링(231)에 연결된다. 링(231)과 방사상 고정암(233)은 탄소섬유가 함유된 합성물질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4개의 고정암(233)이 주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링(231) 내의 중앙공(232)이 4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라이너(11)가 4개의 긴 부재(27)로 조립될 때, 각 4개의 긴 부재는 이들 4개 부분의 각 부분을 통하여 통과한다. 고정암(233)은 연결수단(29)의 크기와 같은 폭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공급슬로트(115)는 지지링(234)에 재가된 경질의 씨일(221)과 링(231)의 안내면(236)에 형성되어 있는 유연성 씨일(223) 사이에 형성된다. 경질의 씨일(221)은 조립된 라이너(11)가 미끄럼운동할 수 있는 광택밀폐면을 제공한다. 유연성 씨일(223)은 링(231)에 결합되어 있는 환상챔버(227)의 유연성 벽(225)에 의하여 한정된다. 챔버(227)는 유연성 벽(225)을 가압하는 팽창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팽창유체는 유연성 벽(225)을 공급슬로트(115)를 통과하는 조립된 라이너(11)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급슬로트(115)를 통과하는 조립된 라이너(11)는 경질의 씨일(221)과 유연성 씨일(223) 사이에서 밀폐결합된다. 챔버(227)에 팽창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238)은 고정암(233)에 결합된다.
안내면(255)은 천공형 구조로서 챔버(227)에 수용되어 있는 윤활유체가 안내면을 통하여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이 안내면을 윤활시킨다. 이는 안내면(255)을통한 조립된 라이너(11)의 운동에 대한 마찰저항을 줄여준다. 윤활유체는 비누와 물의 혼합체와 같은 적당한 형태일 수 있다. 공급라인(237)은 안내면(255)에 윤활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고정암(233)에 결합된다.
도 24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확장기(239)가 핀치 롤러(48)측으로 접근시 연결수단(29)의 웅형 및 자형 연결요소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30은 조립된 라이너(11)를 구성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접속된 상태로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의 종방향 변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연결수단(29)을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 연결수단(29)은 웅형 연결구의 형태인 제1연결요소(241)와 자형 연결구의 형태인 제2연결요소(242)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구성은 웅형 및 자형 연결요소(241)(242)가 유연성 물질의 각 긴 부재(27)의 일측에 위치하며 그 위치가 라이닝된 도관의 내면을 제공하는 쪽에 위치하는 선행 실시형태의 구성과 약간 상이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웅형 및 자형 연결요소(241)(242)는 긴 부재(27)가 부착되어 접착제로 접착되는 도관의 면에 접촉하지 아니한다. 이는 긴 부재(27)와 이들이 부착되는 면 사이에 양호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 연결요소(241)(242)는 봉합부(247)에 의한 것과 같은 다른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유연성 물질의 각 긴 부재(27)에 고정된다.
도 31과 도 32는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의 종방향 변부를 중첩하여 연결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연결수단(29)을 보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 연결수단(29)은 웅형 연결구의 형태인 제1연결요소(243)와 자형 연결구의 형태인 제2연결요소(244)로 구성된다. 이 구성은 웅형 및 자형 연결요소(243)(244)가 유연성 물질의 각 긴 부재(27)의 일측에 위치하며 그 위치가 라이닝된 도관의 내면을 제공하는 쪽에 위치하는 도 25에서 보인 연결수단(29)에 유사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웅형 및 자형 연결요소(243)(244)는 긴 부재(27)가 부착되어 접착제로 접착되는 도관의 면에 접촉하지 아니한다. 이는 긴 부재(27)와 이들이 부착되는 면 사이에 양호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웅형 연결요소(243)는 각 긴 부재(27)의 종방향 변부 상에 결합되고 자형 연결요소(244)는 중첩부분을 형성토록 종방향 변부로부터 내측으로 간격을 둔 각 긴 부재(27) 상에 결합된다.
각 연결요소(243)(244)는 봉합부에 의한 것과 같은 다른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유연성 물질의 각 긴 부재(27)에 고정된다.
웅형 연결요소(243)는 웅형 연결요소를 따라서 연장된 삽입부(245)를 가지며 이에 각 긴 부재(27)의 종방향 변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봉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웅형 연결요소(243)와 유연성 물질의 각 긴 부재(27) 사이의 연결강도를 높여 준다.
중간에 시멘트나 콘크리트 또는 수지와 같은 경화성 물질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의 둘레에 타측이 배치되는 두개의 조립된 라이너(11)를 이용하여 파이프라인 또는 다른 도관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이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 도면에서는 외부의 조립된 라이너에 부호(11a)를 붙이고 내부의 조립된 라이너에 대하여서는 부호(11b)를 붙였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두 라이너(11a)(11b) 사이에 갭(251)이 형성되고 이에 경화성 물질이 주입된다. 내부라이너(11b)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영역(252)을 팽창시킴으로써 조립체에 형체가 부여되고 특히 파이프라인이 갭(251)에 의하여 형성된다.
두 라이너(11a)(11b)는 일측 라이너의 연결수단(29)이 외부라이너의 연결수단(29)에 대하여 오프셋트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34와 도 35에서, 이는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에 라이너(11)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는 이후 설명되는 북적인 특징을 제외하고는 도 1-도 9에서 보인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장치(10)에는 파이프라인(15) 내에서 중간확장부재(55)의 측방향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270)가 구비되어 있다. 환언컨대, 중간확장부재(55)는 파이프라인(15)의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오프셋트되게 배치될 수 있다. 중간확장부재(55)가 파이프라인 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을 때,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간라이닝은 주연의 두께가 동일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중간 라이너(19)가 주연방향에서 균일한 벽두께를 갖지 않고 장소에 따라서 두께가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할 때가 있을 수 있다. 특별한 예로서 파이프라인의 저면을 따라 벽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는 도 34와 도 35에서 보인 실시형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어기구(270)는 파이프라인(15)의 내면(13) 또는 이러한 내면에 부착된 중간라이닝에 접할 수 있도록 중간확장부재(55)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주연방향으로 간격을 둔 다수의 스키드부재(273)로 구성된다. 이 스키드부재(273)는 이들이 결합되는 면을 따라서 활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확장부재(55)에 대하여 각 스키드부재(273)의 방사상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조절기구(275)가 제공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조절기구(275)는 각 스키드부재(273)와 중간확장부재 (55) 사이에 연결되는 램(277)으로 구성된다.
본체(23)를 운반하는 롤러(28)가 파이프라인(15) 내의 큰 홈과 만날 수 있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홈이 매우 커서 롤러(28)가 이에 빠지고 본체(23)가 파이프라인(15) 내에서 끼여 견인줄(24)을 이용하여서도 견인할 수 없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롤러(28)의 전방에스키드(280)가 배치된다. 스키드(280)는 롤러(28)가 착설되는 구조물(283)에 그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키드(280)의 선단부는 유연성 케이블(287)에 의하여 견인줄(24)이 결합되어 있는 공급줄(105)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만약 롤러(28)가 파이프라인(15)에 생긴 홈에 빠지는 경우, 스키드(280)가 홈의 측벽을 타고 넘을 수 있으며 이로써 롤러(28)[이에 실린 본체(23)]가 견인줄(24)을 이용하여 홈 밖으로 끌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10)에는 본체의 선단부측에 흡인헤드(2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흡인헤드(290)는 파이프라이닝작업에 앞서 파이프라인 내의 쓰레기를 치울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라이닝작업 전에 파이프라인을 청소하게 됨으로 파이프라인 내에 쓰레기가 쌓일 수 있다. 청소작업은 소위 "피그(pig)"로 파이프라인을 닦아내거나 클리닝 헤드로 파이프라인의 내면을 블라스팅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실시형태가 파이프라인을 라이닝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만약 파이프라인이 밀봉작업을 다시 하거나 부식을 진정시키는 것과 같은 구조적인 보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 파이프라인은 동시에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또는 기타 다른 물질로 라이닝되어 보수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특별한 이점은 이러한 방법이 한 공정으로 파이프의 구간을 라이닝하고 보수하며 보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파이프라이닝방법은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다수의 기능을 갖는 다수의 층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구멍이 있는 균열된 파이프가 라이닝되는 경우, 제1층은 구멍을 메꾸어 주위를 안정화시키는 시멘트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라이닝된 파이프가 도 36에 도시되어 있다.
도 36은 안팎으로 연장된 균열부(303)와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형성된 여러 홈(305)을 갖는 파이프라인(301)을 보이고 있다. 시멘트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물질의 층(307)이 균열부((303)와 홈(305)을 메꾸기 위하여 파이프라인(301)의 내면에 도포된다. 균열부(303)를 메꾸는 시멘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을 둘러싸고 있는 영역까지 진입할 것이다. 그리고 라이너(309)가 시멘트 층(307)의 내면에 도포된다. 이 작업은 도 1-도 9에서 보인 제1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며 상기 언급된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파이프라인 내에는 부가적인 층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도 37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변형가능한 고무변성의 저전단성 수지로 된 층(310)이 파이프라인(301)에 부착된 라이너(309)와 다른 라이너(311) 사이에 개재된다. 내부라이너(311)는 경질의 내부라이너구조(313)를 형성하는 다수의 층을 포함하는 복합구조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경질의 라이너구조는 유리섬유와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층(312)을 포함할 수 있다. 경질의 라이너구조(313)의 목적은 파이프의 본성이 파단이나 파열에 의한 것과 같은 심각한 상황에 놓이는 경우 본래대로 남아 있는 상태에서 파이프(301)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경질의 라이너구조(313)는 파이프(301)가 부서지는 경우에도 본래대로 유지되어 파이프라인 내에 유체를 그대로 수용하는 내부파이프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변형가능한 저전단성의 층(310)은 자기회복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적당한 팽창성의 미세발포수지 또는 석회와 시멘트의 몰타르혼합물 또는 산소에 노출되는 실리카 베이스물질의 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이프라인은 밀봉되어 지하수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8은 내부라이너구조(313)가 주연방향에서 다양한 벽두께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선행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라이닝되는 파이프라인 (301)을 보이고 있다.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라이너구조(313)는 내마모성이 통상의 경우보다 적게 요구되는 상부는 얇고 파이프라인이 이를 따라서 운반되는 유체의 공격효과에 노출되기 쉬운 저면부는 두껍게 되어 있다. 이러한 라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라이닝방법은 도 34와 도 35에 관련하여 설명된 형태의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9는 내부라이너(321)의 부착을 포함하는 파이프(301)를 라이닝하는 장치(10)를 보이고 있다. 이 장치(10)는 도 23과 도 24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구조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내부라이너(321)는 수지와 분쇄고무의 혼합체로 구성되는 경화성의 혼합물로 구성된 층(323)으로 구성된다. 층(323)은 선향의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지함침 유리섬유직물과 같은 유연성 물질로 된 라이너(325)에 의하여 그 경화 중에 위치가 고정된다.
도 36-도 39에서 보인 파이프라인의 여러 층은 파이프라인을 위한 다층형의 방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이는 어느 한 층이 손상된다 하여도 파이프라인이 사용기간(적어도 사용수명 동안)동안 그대로 계속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라이너(11)는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27)로 조립되었다. 물론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라이너(11)는 유연성 튜브의 형태로 도관에 공급될 수 있다. 유연성 튜브는 선행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안내구조물을 통하여 전도되어 내부라이너부분(43)과 외부라이너부분(45)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라이너부분이 점진적으로 부착되어 나가면서 도관을 위한 라이닝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0-도 48에서 보인 실시형태에 이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라이너(11)는 두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튜브(350)의 형태이며, 제1층(351)은 유리섬유직조물과 같은 구조적인 직물로 구성되고 제2층은 예를 들어 고무화 폴리에틸렌과 같이 공기가 투과하지 못하는 유연성의 물질로 구성된다. 이들 두 층이 도 42에 도시되어 있다. 제2층(352)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층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제1층에 대면하는 면에서 산화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층(351)(352)은 처음에는 접착되지 않고 제2층(352)이 제1층(351)에 단순히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고무화 폴리에틸렌의 제2층(352)은 유리섬유직물인 제1층(351)의 외측면에 놓인다. 튜브(350)는 제1층(351)을 제공토록 먼저 시이트로부터 유리섬유직물의 튜브를 제조하고 이어서 제2층(352)을 제공토록 유리섬유직물의 튜브 둘레에서 고무화 폴리에틸렌의 튜브를 제조하여 구성된다.
튜브(350)는 도 40과 도 4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라이닝될 도관을 따라 접힌 상태에서 본체(23)에 공급되며 여기에서 안내구조물(41)을 돌아 전도되어 내부라이너부분(43)과 외부라이너부분(45)을 제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안내구조물(41)은 도 25-도 28에서 보이고 선행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안내링(256)의 형태이다. 안내구조물(41)을 통과할 때, 튜브(350)는 전도되어 유리섬유직조물의 제1층(351)이 외부라이너부분(45)에서 외측면이 되고 고무화 폴리에틸렌의 제2층(352)이 외부라이너부분(45)의 내측면이 된다. 유리섬유직조물의 제1층(351)은 수지로 짐적되어 도관의 내면 또는 도관 내면에 부착된 기재에 부착된다. 라이너(11)를 접착하는데 사용된 수지는 제1층 및 제2층(351)(352)을 접착시키는 효과도 갖는다.
튜브(350)는 길이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본체(25)에 공급되며, 튜브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종방향 절곡선을 중심으로 하여 자체가 접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튜브(350)는 롤의 형태로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다.
본체(23)는 공급되는 내부라이너부분(43)이 안내구조물(41)에 접촉하기 전에 용이하게 전개확장될 수 있도록 내부라이너부분에 대면하는 확장기(355)를 갖는다. 확장기(355)는 접혀 있는 튜브를 개방하는 외향연장면(357)을 갖는다. 확장기의 이 외향연장면(357)은 원추형 또는 돔형과 같은 적당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확장기(355)는 도 40과 도 41에서는 원추형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8에서는 돔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팽창챔버(361)는 내부라이너부분(43)과 외부라이너부분(45) 사이에서 전도된 튜브(350)에 형성된다. 팽창유체(공기와 같은 팽창유체)가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에 외부라이너부분(45)이 파이프라인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가압되게 팽창챔버(361)에 주입된다.
팽창유체는 파이프라인의 일측단부에 설치되고 도 40과 도 41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15)측으로 튜브(350)가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챔버(362)에 의하여 챔버(361)측으로 주입된다. 압력챔버(362)는 입구단(366)과 팽창챔버(361)에 연통하는 출구단(368)을 갖는 하우징(364)으로 구성된다. 압력챔버(362)의 입구단(366)은 챔버(361)(362) 내의 팽창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폐쇄되고, 접힌 튜브(350)가 진입할 수 있도록 입구단(366)에 유체씨일기구(369)가 제공된다.
유체씨일기구(369)는 중간에 접힌 튜브(3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밀폐롤러(371)로 구성된다. 각 밀폐롤러(371)는 접힌 튜브(350)에 접촉하는 탄성의 밀폐면(373)을 제공한다. 고무화 폴리에틸렌의 제2층(352)이 이 단계에서 최외측에 놓이고 접힌 튜브와 밀폐롤러(371) 사이에 고무대 고무의 효과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씨일의 효과가 향상된다.
도 43은 팽창챔버(361) 내에서의 팽창압력의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 본체(23)는 도 25-도 28에서 보이고 선행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언급된 바와 같은 안내링(256)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내링(256)이 방사상 고정암에 지지되지 않고 고정구조물(381)에 결합된다. 고정구조물(381)은 고정롤러(385)를 재가하는 크로스 암(384)을 갖는 프레임(383)으로 구성된다. 고정롤러(385)는 안내링(256)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롤러(387)와 결합된다. 이 롤러(387)는 라이너(11)가 통과하는 안내면(255)에 대하여 안내링(256)의 반대측에 놓인다. 롤러(387)는 각 롤러(387)가 교차하는 중간에 갭(390)을 갖는 롤러쌍(38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고정구조물(381)에 가하여지는 견인력이 결합된 롤러(385)(387)를 통하여 안내링(256)에 전달된다. 본체를 견인하는 견인줄은 본체에 견인력을 가하기 위하여 고정구조물(285)에 연결된다.
내부라이너부분(43)과 외부라이너부분(45) 사이의 라이너(11)가 지나는 진로는 도 40, 도 41 및 도 48에서 보인 바와 같이 결합된 롤러(385)(387) 사이를 통과한다. 환언컨대, 라이너(11)는 결합상태에 있는 롤러(385)(387) 사이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고정구조물(381)과 안내링(256) 사이의 연결이 라이너의 팽창에 간섭치 아니한다. 각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한 롤러(385)(387)의 회전은 라이너 (11)가 전도된 사이에서 도관으로 견인될 때 롤러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4는 부착공정에서 튜브(350)가 지나는 진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고정구조물(381)은 라이너(11)가 안내링(256)의 안내면(255)을 넘어 지나갈 때 라이너(11)에 대하여 작용하는 씨일(391)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실시형태의 본체(23)는 제1실시형태의 부착헤드 (25)의 구조를 갖는 부착헤드를 포함한다.
도 49와 도 50에서 보인 실시형태는 또한 선행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안내링(256)과 고정구조물(381)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내링 (256)과 고정구조물(381) 사이에 결합 또는 다른 기계적인 연결구조가 없다. 대신에, 안내링(256)과 고정구조물(381) 사이의 연결구조는 자기연결구조이다. 특히, 고정구조물(381)은 전자석(401)을 가지고 안내링(256)은 자기물질 부분(403)을 포함한다. 전자석(401)은 안내링(256)의 중앙공(258)에 삽입된다. 전자석(401)과 안내링(256) 사이의 자기작용은 고정구조물(381)에 가하여지는 견인력은 안내링 (256)과 본체(23)에 전달한다.
안내링(256)과 고정구조물(381) 사이의 갭(405)은 라이너(11)의 진로를 제공한다. 갭(405)은 안내링(256) 상에 재가된 암(409)에 착설된 롤러(407)에 의하여 유지된다. 롤러(407)는 고정구조물(381)에 재가된 확장기(411)의 면(410)에 접한다. 롤러(407)의 회전특성은 라이너(11)가 롤러(407)와 확장기(411)의 면(410) 사이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언급된 여러 실시형태의 범위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적당한 도관을 라이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파이프라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터널을 라이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단면이 원형이 아닌 도관을 라이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는 사각형이나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도관을 라이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문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포함한다", "포함하는" 또는 "포함한"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요소 또는 요소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요소나 그 요소의 그룹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3)
- 도관의 내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유연성의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 및 도관의 내면 또는 도관의 내면에 부착된 기재 상에 라이너를 접착시켜 점진적으로 라이너를 부착해 나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관의 내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도관의 내면 또는 이에 접착제로 접착된 기재 상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도관의 내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경화되어 라이너와 함께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재를 이용하여 도관의 내면에 부착된 기재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수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를 발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유리섬유직조물과 같은구조적인 섬유직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직물은 라이닝된 도관의 경계벽으로서 평활한 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평활코팅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다수의 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층이 라이너부착 과정의 일부단계에서 서로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라이너를 구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 종방향 변부를 갖는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로부터 도관 내에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도관 내에 상기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를 공급하는 단계 및 라이너를 구성하도록 상기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를 조립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유연성 튜브구조물의형태로 도관 내에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다수의 층을 포함하고 이들 층이 서로 겹치게 배치되어 튜브구조물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의 내면 또는 그 내면에 부착된 기재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접착제의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이너를 가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도관의 내면 또는 그 내면에 부착된 기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라이너를 가압하기 위하여 유연성 라이너가 부착되는 도관의 영역에 팽창유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라이너의 부착 전에 도관의 내면에 기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유리섬유직조물과 같은 구조적인 섬유직물을 포함하는 유연성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 유연성 라이너에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도관의 내면 또는 도관 내면에 부착된 기재에 점진적으로 유연성 라이너를 부착해 나가는 단계를 포함하며, 섬유직물과 수지가 수지의 경화시 경질의 라이너를 형성하는 복합물을 제공하는, 도관의 내면에 경질의 라이닝을 부착하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수지접착제가 유연성 라이너에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수지 접착제가 라이너가 접착될 면에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도관의 내면 또는 이에 부착된 기재 상에 유연성 라이너를 부착하기 위하여 도관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 본체를 포함하고, 이 본체가 도관을 따라서 이동할 때 도관의 내면 또는 이에 배치된 기재 상에 라이너를 점진적으로 부착해 나가는 수단을 갖는 도관의 내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본체가 내부라이너부분과 이 내부라이너부분에 대하여 전도된 외부라이너부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라이너가 전도될 수 있는 안내구조물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안내구조물의 안내면이 주름과 같은 불균일한 부분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라이너부분을 용이하게 확장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안내면이 적어도 하나가 아치형인 제1경계선과 제2경계선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 두 경계선이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동일한 길이의 두 경계선이 경계선 중의 하나가 파형의 형태를 갖고 안내면이 두 경계선 사이에서 다른 파형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얻을 수 있으며, 두 파형의 형태가 위상을 달리하여 안내면 상에서 유연성 물질의 긴 부재의 운동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 파형형상의 골부분이 다른 파형형상의 마루부분에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안내면이 일측 경계선을 한정하는 외부주연과 타측 경계선을 한정하는 내부주연을 갖는 안내링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가 도관의 내면 또는 이 내면에 부착된 기재 상에 라이너를 접착제로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공급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성 라이너가 종방향 변부가 서로 결합되는 유연성 물질의 적어도 두 개의 긴 부재로부터 조립되고, 본체가 이러한 조립을 위한 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긴 부재가 이러한 부재가 저장된 스테이션으로부터 공급로를 따라서 본체에 점진적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너가 튜브구조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튜브구조물이 저장되어 있는 스테이션으로부터 공급로를 따라서 접혀진 상태로 본체에 점진적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2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에 도관이 내면 또는 이에 부착된 기재 상에 부착되는 동안 라이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이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도관의 내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방법.
-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도관의 내면을 라이닝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UPQ7543 | 2000-05-16 | ||
AUPQ7543A AUPQ754300A0 (en) | 2000-05-16 | 2000-05-16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lining passageways |
AUPQ9124A AUPQ912400A0 (en) | 2000-08-01 | 2000-08-01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lining passageways |
AUPQ9124 | 2000-08-01 | ||
AUPR1624 | 2000-11-23 | ||
AUPR1624A AUPR162400A0 (en) | 2000-11-23 | 2000-11-23 | Guide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8471A true KR20030028471A (ko) | 2003-04-08 |
Family
ID=2715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5492A Withdrawn KR20030028471A (ko) | 2000-05-16 | 2001-05-16 | 도관의 라이닝 장치와 방법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2) | US20030159776A1 (ko) |
EP (1) | EP1287231A4 (ko) |
JP (1) | JP2003533385A (ko) |
KR (1) | KR20030028471A (ko) |
CN (1) | CN1437675A (ko) |
AU (4) | AU5803801A (ko) |
BR (1) | BR0110842A (ko) |
CA (1) | CA2446198A1 (ko) |
HU (1) | HUP0301843A3 (ko) |
NO (1) | NO20025437L (ko) |
NZ (1) | NZ522599A (ko) |
PL (1) | PL359360A1 (ko) |
WO (1) | WO200108833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0640B1 (ko) * | 2007-02-08 | 2007-06-20 | 프롬투정보통신(주) | 상수관 터널 갱생 자동화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Z538556A (en) * | 2002-09-02 | 2007-12-21 | Shieldliner Ltd | Method for high-frequency tuning an electrical devic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suitable therefor |
CN100595468C (zh) * | 2004-06-30 | 2010-03-24 | 管丽环境技术(上海)有限公司 | 管道局部修复用管内衬材料及其制造方法和应用 |
ES2237338B1 (es) * | 2004-12-21 | 2006-10-01 | Catalana D'innovacions Per La Construccio, S.L. |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impermeabilizacion y hormigonado de pozos circulares". |
CA2611046A1 (en) * | 2005-06-03 | 2006-12-07 | Shieldliner Limi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lining conduits |
CA2653461A1 (en) * | 2006-05-30 | 2007-12-06 | Vortex Pipes Ltd. | Sliding seal |
NZ575049A (en) * | 2006-08-14 | 2012-11-30 | Sord Resources Ltd | Underground mining apparatus |
GB2456699B (en) * | 2006-11-21 | 2011-07-20 | Shell Int Research | Method of radially expanding a tubular element |
AU2007323827B2 (en) | 2006-11-22 | 2011-03-24 |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 Method of imaging of seismic data involving a virtual source, methods of producing a hydrocarbon fluid,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
FR2918700B1 (fr) * | 2007-07-12 | 2009-10-16 | Saltel Ind Soc Par Actions Sim | Procede de chemisage d'un puits ou d'une canalisation au moyen d'une vessie gonflable. |
US20100078118A1 (en) * | 2008-09-19 | 2010-04-01 | Ehsani Mohammad R | Repair and strengthening of small diameter pipes with frp laminates |
GB2473594B (en) * | 2009-06-09 | 2013-09-18 | Balfour Beatty Plc | Live pipe lining pig with centre bore |
FI20096193A7 (fi) * | 2009-11-17 | 2011-05-18 | Consti Talotekniikka Oy | Menetelmä saneerattavan putkilinjan haarakohdan toteuttamiseksi |
IT1401904B1 (it) * | 2010-07-19 | 2013-08-28 | Elantas Camattini S P A | Indurenti latenti per il metodo di riparazione in situ (relining) di tubazioni e manufatti utilizzabili in tale metodo |
IT1401582B1 (it) * | 2010-08-24 | 2013-07-26 | Guazzi S N C Dei Flii Roberto Giuliano E Stefano Guazzi | Metodo e dispositivo per infilare condotte in micro tunnel sotterranei |
CN103538255A (zh) * | 2012-10-23 | 2014-01-29 | 洛阳超拓实业有限公司 | 一种新型的管道衬胶方法 |
DE102013021889A1 (de) * | 2013-12-23 | 2015-06-25 | Herrenknecht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legen grabenlosen Verlegen von Rohrleitungen |
US10001238B2 (en) * | 2014-06-16 | 2018-06-19 | Fyfe Co. Llc | Repair of pipes |
US10578240B2 (en) | 2016-02-01 | 2020-03-03 | Recyca-Pipe Of America L.L.C. | Expandable pipe including a liner for restoring a conduit |
CN105645037B (zh) * | 2016-04-08 | 2019-02-01 | 上海交通大学 | 一种机械式提矿装置 |
WO2018160974A1 (en) | 2017-03-03 | 2018-09-07 | Insituform Technologies Llc | Curing device for curing a pipe liner |
DE112018005362A5 (de) * | 2017-09-22 | 2020-06-18 | Dirk Müller | Endstopfen für linersysteme |
US11446710B2 (en) * | 2018-12-14 | 2022-09-20 | The Boeing Company | Wash and dry tool for enclosed channels and method for use |
US11668143B2 (en) | 2019-12-10 | 2023-06-06 | Saudi Arabian Oil Company | Deploying wellbore patch for mitigating lost circulation |
US11125046B2 (en) | 2019-12-10 | 2021-09-21 | Saudi Arabian Oil Company | Deploying wellbore patch for mitigating lost circulation |
US11261678B2 (en) | 2019-12-10 | 2022-03-01 | Saudi Arabian Oil Company | Deploying wellbore patch for mitigating lost circulation |
US11454071B2 (en) | 2020-03-26 | 2022-09-27 | Saudi Arabian Oil Company | Deploying material to limit losses of drilling fluid in a wellbore |
US11286733B2 (en) | 2020-03-26 | 2022-03-29 | Saudi Arabian Oil Company | Deploying material to limit losses of drilling fluid in a wellbore |
US11643878B2 (en) | 2020-03-26 | 2023-05-09 | Saudi Arabian Oil Company | Deploying material to limit losses of drilling fluid in a wellbore |
CN111576378B (zh) * | 2020-04-30 | 2021-08-24 | 中铁隧道局集团有限公司 | 一种测斜管修复装置 |
US11414984B2 (en) | 2020-05-28 | 2022-08-16 | Saudi Arabian Oil Company | Measuring wellbore cross-sections using downhole caliper tools |
US11414985B2 (en) | 2020-05-28 | 2022-08-16 | Saudi Arabian Oil Company | Measuring wellbore cross-sections using downhole caliper tools |
US11631884B2 (en) | 2020-06-02 | 2023-04-18 | Saudi Arabian Oil Company | Electrolyte structure for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lithium battery |
US11149510B1 (en) | 2020-06-03 | 2021-10-19 | Saudi Arabian Oil Company | Freeing a stuck pipe from a wellbore |
US11391104B2 (en) | 2020-06-03 | 2022-07-19 | Saudi Arabian Oil Company | Freeing a stuck pipe from a wellbore |
US11459838B2 (en) | 2020-06-10 | 2022-10-04 | Saudi Arabian Oil Company | Lost circulation fabric, method, and deployment systems |
US11434708B2 (en) | 2020-06-10 | 2022-09-06 | Saudi Arabian Oil Company | Lost circulation fabric, method, and deployment systems |
US11434707B2 (en) | 2020-06-10 | 2022-09-06 | Saudi Arabian Oil Company | Lost circulation fabric, method, and deployment systems |
US11719089B2 (en) | 2020-07-15 | 2023-08-08 | Saudi Arabian Oil Company | Analysis of drilling slurry solids by image processing |
US11255130B2 (en) | 2020-07-22 | 2022-02-22 | Saudi Arabian Oil Company | Sensing drill bit wear under downhole conditions |
US11506044B2 (en) | 2020-07-23 | 2022-11-22 | Saudi Arabian Oil Company | Automatic analysis of drill string dynamics |
US11867008B2 (en) | 2020-11-05 | 2024-01-09 | Saudi Arabian Oil Company | System and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drilling mud flow in real-time |
US11434714B2 (en) | 2021-01-04 | 2022-09-06 | Saudi Arabian Oil Company | Adjustable seal for sealing a fluid flow at a wellhead |
US11697991B2 (en) | 2021-01-13 | 2023-07-11 | Saudi Arabian Oil Company | Rig sensor testing and calibration |
JP7586389B2 (ja) * | 2021-01-27 | 2024-11-19 |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 内面材嵌着装置及び内面材の嵌着方法 |
US11572752B2 (en) | 2021-02-24 | 2023-02-07 | Saudi Arabian Oil Company | Downhole cable deployment |
US11727555B2 (en) | 2021-02-25 | 2023-08-15 | Saudi Arabian Oil Company | Rig power system efficiency optimization through image processing |
US11846151B2 (en) | 2021-03-09 | 2023-12-19 | Saudi Arabian Oil Company | Repairing a cased wellbore |
US20230023662A1 (en) * | 2021-07-26 | 2023-01-26 | Motivo Group, Inc. | Chemical Sewer Pipe Liner System and Method |
US11624265B1 (en) | 2021-11-12 | 2023-04-11 | Saudi Arabian Oil Company | Cutting pipes in wellbores using downhole autonomous jet cutting tools |
US11867012B2 (en) | 2021-12-06 | 2024-01-09 | Saudi Arabian Oil Company | Gauge cutter and sampler apparatus |
US12203366B2 (en) | 2023-05-02 | 2025-01-21 | Saudi Arabian Oil Company | Collecting samples from wellbores |
Family Cites Families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34465A (en) * | 1968-02-09 | 1970-10-20 | Dow Chemical Co | Method for lining vessels |
CH553597A (de) * | 1972-05-24 | 1974-09-13 | Arx Paul Von | Verfahren zum anbringen einer beschichtung auf der innenwand eines rohres. |
US3959424A (en) * | 1973-12-07 | 1976-05-25 | The Dow Chemical Company |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lastic lined pipe |
JPS5381582A (en) * | 1976-12-09 | 1978-07-19 | Mantec Ind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inings on pipe |
GB2006381B (en) * | 1977-08-18 | 1982-05-06 | Osaka Gas Co Ltd | Method of internally lining an installed pipe |
JPS54129066A (en) * | 1978-03-30 | 1979-10-06 | Sekisui Chem Co Ltd | Production of metal pipe lined with synthetic resin |
US4401696A (en) * | 1981-09-30 | 1983-08-30 | Insituform International, Inc. | Lining of pipelines and passageways |
US4456401A (en) * | 1981-11-09 | 1984-06-26 | Finic, B.V.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ning underground passageway |
DE3173936D1 (en) * | 1981-12-21 | 1986-04-03 | Insituform Int Inc | Method for sealing pipes |
US4602974A (en) * | 1981-12-31 | 1986-07-29 | Eric Wood | Method of sealing pipe |
AU1666783A (en) * | 1982-08-02 | 1984-02-09 | Dow Chemical Company, The | Flanged plastic lined pipe |
JPS5942071A (ja) * | 1982-08-31 | 1984-03-08 | Hakko Co Ltd | 管内補修工法 |
SE435866B (sv) * | 1983-04-06 | 1984-10-22 | Vj System Ab |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infodring av rorledningar, med en flexibel, herdbar plast innehallande slang |
JPH0677966B2 (ja) * | 1987-08-26 | 1994-10-05 | 東京瓦斯株式会社 | 管路の内張り方法 |
JPH01123725A (ja) * | 1987-11-09 | 1989-05-16 | Toubu Kuriinaa Service:Kk | 管路補修工法 |
JPH0788915B2 (ja) * | 1988-08-17 | 1995-09-27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管内ライニング後の枝管開口部の穿孔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止水栓 |
US4887848A (en) * | 1988-10-31 | 1989-12-19 | Dynasauer Corporation | Replaceable pipe liner assembly |
US4976290A (en) * | 1989-06-12 | 1990-12-11 | Ozite Corporation | Tubular member having a liner |
US5019417A (en) * | 1989-08-15 | 1991-05-28 | Northcutt Gerald G | Pipe lining system |
GB9001137D0 (en) * | 1990-01-18 | 1990-03-21 | Insituform Group Ltd |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lining of pipelines or passageways |
JPH04163025A (ja) * | 1990-10-24 | 1992-06-08 | Osaka Gas Co Ltd | 管の反転ライニング方法 |
JPH04161325A (ja) * | 1990-10-25 | 1992-06-04 | Osaka Gas Co Ltd | 管の反転ライニング方法 |
GB9024274D0 (en) * | 1990-11-08 | 1990-12-19 | Insituform Group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lining of passageways |
GB9127140D0 (en) * | 1991-12-20 | 1992-02-19 | Insituform Group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lining of passageways |
AU694172B2 (en) * | 1994-04-11 | 1998-07-16 | Cant, Richard Samuel | Lining material |
US5501248A (en) * | 1994-06-23 | 1996-03-26 | Lmk Enterprises, Inc. | Expandable pipe lin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JP3049635B2 (ja) * | 1995-02-23 | 2000-06-05 | 株式会社クボタ | ライニング管の製造方法 |
GB2302153B (en) * | 1995-06-12 | 1999-10-20 | Wrc Plc | Pipeline renovation |
JP2667796B2 (ja) * | 1995-07-07 | 1997-10-27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管ライニング工法 |
US6446670B1 (en) * | 1998-03-18 | 2002-09-10 | Thames Water Utilities Limited | Liner and method for lining a pipeline |
GB2336475B (en) * | 1998-04-18 | 2002-05-08 | T & N Technology Ltd | Flexible protective sleeve |
EP0952306A1 (en) * | 1998-04-23 | 1999-10-27 |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 Foldable tube |
-
2001
- 2001-05-16 AU AU5803801A patent/AU5803801A/xx active Pending
- 2001-05-16 EP EP01931203A patent/EP128723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1-05-16 PL PL01359360A patent/PL359360A1/xx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5-16 CA CA002446198A patent/CA24461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1-05-16 AU AU2001258038A patent/AU2001258038B2/en not_active Ceased
- 2001-05-16 US US10/276,485 patent/US2003015977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1-05-16 WO PCT/AU2001/000563 patent/WO2001088338A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1-05-16 KR KR1020027015492A patent/KR20030028471A/ko not_active Withdrawn
- 2001-05-16 BR BR0110842-5A patent/BR0110842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5-16 CN CN01811634A patent/CN1437675A/zh active Pending
- 2001-05-16 HU HU0301843A patent/HUP0301843A3/hu unknown
- 2001-05-16 NZ NZ522599A patent/NZ522599A/en unknown
- 2001-05-16 JP JP2001584709A patent/JP2003533385A/ja active Pending
-
2002
- 2002-11-13 NO NO20025437A patent/NO20025437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
- 2006-10-20 US US11/584,428 patent/US2007008455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
- 2007-03-23 AU AU2007201283A patent/AU200720128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
- 2009-07-30 AU AU2009203090A patent/AU2009203090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0640B1 (ko) * | 2007-02-08 | 2007-06-20 | 프롬투정보통신(주) | 상수관 터널 갱생 자동화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NO20025437L (no) | 2003-01-13 |
US20070084555A1 (en) | 2007-04-19 |
NZ522599A (en) | 2004-09-24 |
EP1287231A4 (en) | 2006-06-14 |
PL359360A1 (en) | 2004-08-23 |
AU5803801A (en) | 2001-11-26 |
US20030159776A1 (en) | 2003-08-28 |
HUP0301843A3 (en) | 2006-03-28 |
AU2007201283A1 (en) | 2007-04-19 |
AU2001258038B2 (en) | 2007-04-05 |
HUP0301843A2 (hu) | 2003-08-28 |
WO2001088338A1 (en) | 2001-11-22 |
CA2446198A1 (en) | 2001-11-22 |
EP1287231A1 (en) | 2003-03-05 |
JP2003533385A (ja) | 2003-11-11 |
CN1437675A (zh) | 2003-08-20 |
AU2009203090A1 (en) | 2009-08-20 |
NO20025437D0 (no) | 2002-11-13 |
BR0110842A (pt) | 2003-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28471A (ko) | 도관의 라이닝 장치와 방법 | |
AU2001258038A1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lining passageways | |
US10683960B2 (en) | Apparatus and method to repair the junction of a sewer main line and lateral pipe | |
US789603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lining pipe | |
EP3106731B1 (en) |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 | |
US7311121B2 (en) | Lateral pipe lining material and lateral pipe lining method | |
US6001212A (en) | Method for lining of lateral pipelines with flow-through apparatus | |
US5736166A (en) | Flow-through apparatus for lining of pipelines | |
US855012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a pipe | |
PL64136Y1 (pl) | Urządzenie do instalacji wyłożenia utwardzonego na miejscu mającego wewnętrzną nieprzepuszczalną warstwę | |
ZA200209522B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lining passageways. | |
US20040020544A1 (en) | Pressure bag and method of lining branch pipe | |
TW571043B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lining passageways | |
JPH04355116A (ja) | 枝管ライニング工法 | |
JPS60228130A (ja) | 管の内面のライニング方法 | |
JPH0834061A (ja) | 分岐管路の内張り方法 | |
GB2429505A (en) | A method of lining a conduit and apparatus for lining a conduit | |
JPH068324A (ja) | 管路補修作業用補修材の押圧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211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