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097A -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재 - Google Patents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24097A KR20030024097A KR1020010057079A KR20010057079A KR20030024097A KR 20030024097 A KR20030024097 A KR 20030024097A KR 1020010057079 A KR1020010057079 A KR 1020010057079A KR 20010057079 A KR20010057079 A KR 20010057079A KR 20030024097 A KR20030024097 A KR 200300240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on
- filling
- foundation
- block
- construction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1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claims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50 UV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31 expec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oxy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성형된 조립식 맨홀 및 핸드홀 등과 같은 각종 기초대의 시공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된 기초대에 우수한 지수성을 확보시켜 주기 위한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대를 구성하는 상, 하부 블록의 접합부에 충진부를 형성하는 단계, 기초대가 설치될 지면에 하부 블록을 안치한 다음 하부 블록상에 상부 블록을 적층시키는 단계, 적층된 상, 하부 블록의 접합부에 시공재를 충진하는 단계, 경화단계 등에 의해 기초대의 시공이 완료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대의 시공작업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시공된 기초대에 대한 우수한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콘크리트로 성형된 조립식 맨홀 및 핸드홀 등과 같은 각종 기초대의 시공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된 기초대에 대해서는 우수한 지수성을 확보시켜 주기 위한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재에 관한 것이다.
지중 선로공사 등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및 핸드홀 등과 같은 각종 기초대는 콘크리트를 그 주재로 하여 상, 하부 블록으로 구분생산되는데, 조립식 맨홀 및 핸드홀 등과 같은 기초대를 구성하는 상, 하부 블록은 현장에서 접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수팽창고무(벤토나이트)나 이액형 접합제(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하여 기초대를 접합하여 왔다.
상기한 접합재 중에 있어서 수팽창고무의 경우 기초대의 상, 하부 블록에 개재시켜 사으 하부 블록의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데, 기왕에 사용되고 있는 수팽창고무는 연성이 심하기 때문에 기초대의 상, 하부 블록 간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부 블록의 자중에 의해 두께가 줄어들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완료된 수팽창고무는 물과의 반응에 의해 팽창하여 지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수팽창고무의 팽창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상, 하부 블록의 접합부를 통해 기초대내로 다량의 물이 유입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접합작업과정에서 상, 하부 블록 간에 개재된 수팽창고무가 어느 일측에 부착되어 원래의 위치를 이탈하게 되는 등의 다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그리고, 이액형 접합제의 경우 공사현장에서 주재료와 경화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주걱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반죽상태의 접합제를 하부 블록 상부면에 찍듯이 도포한 다음 상부 블록을 안치하도록 한 것인데, 이는 시공이 번거롭고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용후 남게 되는 접합제가 폐기되어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사용후 남은 접합제가 무단히 방기되어 환경을 오염시켜 왔고, 주재료와 경화제의 혼합시에 비율이 틀려질 경우 시공되는 기초대에 대해 소망하는 지수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는 등의 다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초대 접합작업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혼합공정이 없이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게끔 제조된 시공재를 적층된 상, 하부 블록 간의 접합부위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식 맨홀 및 핸드홀 등과 같은 기초대의 시공작업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된 기초대에 대해서는 우수한 지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초대를 구성하는 상, 하부 블록의 접합부에 충진부를 형성하는 단계, 조립식 맨홀 기초대가 설치될 지면에 하부 블록을 안치한 다음 하부 블록상에 상부 블록을 위치시키는 단계, 적층된 상, 하부 블록의 접합부에 시공재를 충진하는 단계, 경화단계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각 단계의 상세한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제1 단계 - 본 단계는 조립식 맨홀 기초대를 구성하는 상, 하부 블록의 접합부에 충진부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부 블록의 하면과 하부 블록의 상면에 시공재를 충진시켜 주기 위한 충진홈을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 하부 블록에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 블록의 하면에 상방으로 오목한 반원형의 충진홈을 형성하고 하부 블록의 상면에 하방으로 오목한 반원형의 충진홈을 형성하여 상, 하부 블록의 조합시에 형성되는 충진부가 원형으로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부 블록의 하면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고 하부 블록의 상면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충진홈을 형성하여 상, 하부블록의 조합시에 돌기가 충진홈으로 결합되어 돌기의 저면과 충진홈의 상면간에 충진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인 바, 여한 형태로든 시공재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충진부)의 확보가 가능한 구성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제2 단계 - 본 단계는 하부 블록상에 상부 블록을 적층하기 위한 단계로서, 조립식 맨홀 기초대가 설치될 지면상에 하부 블록을 수평지게 안치한 다음 하부 블록 상에 상부 블록을 위치시키어 상, 하부 블록에 형성된 각각의 충진홈 또는 돌기가 상호 일치되도록 하여 상, 하부 블록을 적층한다.
이때, 위치의 고정을 위한 별반의 수단은 필요치 않으며 상, 하부 블록의 자중에 의해 하부 블록은 지면상에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 블록은 하부 블록상에 위치가 고정된다.
제3 단계 - 본 단계는 적층된 상, 하부 블록의 접합부에 시공재를 충진하기 위한 단계로서, 시공재를 압출해줄 수 있는 충진수단을 이용하여 상, 하부 블록간에 형성된 충진부내로 시공재를 충진시키게 되는데, 상기 시공재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실리카(silica; SiO2), 탄산칼슘(CaCO3), 고형 에폭시(epoxy)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서 검정빛의 점액상태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다.
상기 시공재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실리카, 탄산칼슘, 고형 에폭시를 혼합함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70%로 하였을 때 실리카를 20%, 탄산칼슘을 5%, 고형 에폭시 5%를 중량대비로 혼합하였을 시에 시공재의 경화후 나타나는 인장강도, 수분흡수율, 수분투과율, 접착강도 등과 같은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상기한 각각의 단계를 거쳐 상, 하부 블록 간에 충진된 시공재가 경화되면 조립식 맨홀 기초대의 시공이 완료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시공재의 경화는 상온(24℃)하 2시간 내외의 시간에서 이루어졌으며, 경화를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립식 맨홀 및 핸드홀 등과 같은 기초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공정에 대해 설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지하 매설물의 내, 외부 방수(지수)나 일반 건축물의 방수작업 또는 수평으로 매설되는 배수용 콘크리트관의 접합부 연결 및 지수 등과 같은 작업에도 적용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공재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를 70%로 하였을 때 실리카(silica; SiO2)를 20%, 탄산칼슘(CaCO3)을 5%, 고형 에폭시(epoxy)를 5%의 중량대비로 혼합한 것으로서, 용해 상태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에 실리카와 탄산칼슘과 고형 에폭시를 소정 비율로 투입한 다음 고르게 교반하여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시공재는 용해상태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용액에 고형 에폭시를 투입하는 과정으로 구현되는데, 용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에 투입된 고형 에폭시는 3차원상의 고밀도 결합이 가교화된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시공재는 검정빛 점액상의 성상을 갖는 것으로 그 비중은 1.1이었고 납과 크롬이 잔재하지 않았으며, 초기경화는 24℃의 온도하에서 2시간 이내에 이루어졌고, 밀봉상태에서의 저장기간은 1년을 유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시공재를 콘크리트 제품 사이에 충진시켜 경화시킨 후 나타나는 인장강도, 수분흡수율, 수분투과율, 접착강도 등과 같은 물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시험한 결과 분야별 상세한 물성은 하기의 도표와 같이 나타났다.
구 분 | 물 성 | 비 고 |
점 도 | 140,000CPS | 25℃의 온도하에서 이루어졌음. |
인장강도 | 250kg/cm2 | |
수분투과율 | 0% | |
연신율 | ±20% | |
경 도 | 70Barcol | |
접착강도 | 166 kg/cm2 | |
자외선 저항성 | 40년 | |
내부식성 및 내약품성 | 양호 | |
내수 접착강도 | 105 250kg/cm2 | |
수분흡수율 | 0.02% |
본 발명은 소망하는 위치에 안치된 하부 블록상에 상부 블록을 안치시킨 다음 그 접합부에 시공재를 충진하는 과정에 의해 조립식 맨홀 및 핸드홀 등과 같은 각종 기초대의 시공이 완료되도록 한 것으로서, 시공작업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기초대의 시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기초대는 상, 하부 블록 간에 시공재의 충전이 완벽히 이루어져 완벽한 방수 시트(sheet)를 형성하였으며, 경화된 시공재는 상, 하부 블록 간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재의 역활도 수행하여 외부의 균열 및 진동에 대해서도 기초대의 보존이 장구히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시공재는 충진수단에 의한 충진이 가능한 점액형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밀봉된 상태에서는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그 밀봉유지가 용이하기 때문에 시공후 남은 시공재를 전량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도 및 인장강도, 수분 투과율, 접착강도, 자외선 저항성, 내부식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시공된 조립식 맨홀 기초대에 대해 우수한 지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다대한 매우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 기초대를 구성하는 상부 블록의 하면과 하부 블록의 상면에 시공재를 충진시켜 주기 위한 충진홈을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단계와;기초대가 설치될 지면상에 하부 블록을 수평지게 안치한 다음 하부 블록 상에 상부 블록을 적층시키어 상, 하부 블록에 형성된 각각의 충진홈 또는 돌기가 상호 일치되도록 하는 단계와;상, 하부 블록간에 형성된 충진부내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70%, 실리카(silica; SiO2) 20%, 탄산칼슘(CaCO3) 5%, 고형 에폭시(epoxy) 5%를 중량대비로 혼합한 시공재를 충진하는 단계와;상기 충진된 시공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기초대의 시공방법.
- 용해상태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용액 70%에 실리카(silica; SiO2)를 20%, 탄산칼슘(CaCO3)을 5%, 고형 에폭시(epoxy)를 5%의 중량대비로 투입한 다음 고르게 교반하여 구현한 것으로서, 검정빛 점액상의 성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대의 시공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7079A KR20030024097A (ko) | 2001-09-17 | 2001-09-17 |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7079A KR20030024097A (ko) | 2001-09-17 | 2001-09-17 |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4097A true KR20030024097A (ko) | 2003-03-26 |
Family
ID=2772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7079A KR20030024097A (ko) | 2001-09-17 | 2001-09-17 |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24097A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40004937A (ko) * | 1982-06-11 | 1984-10-31 | 원본미기재 | 지반 및 건축재료에 대한 밀폐 및 또는 압밀제 |
US4867601A (en) * | 1987-07-23 | 1989-09-19 | Bowman Harold M | Sturdy adjustable manhole cover support |
JPH06128978A (ja) * | 1992-10-14 | 1994-05-10 | Toyo Denka Kogyo Kk | マンホール蓋設置の施工方法 |
JPH11303086A (ja) * | 1998-04-22 | 1999-11-02 |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 ブロックマット |
KR20000070336A (ko) * | 1997-12-09 | 2000-11-25 | 다께다 가즈히꼬 | 침투성 방수제, 방수재,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누수 방지 방법 |
-
2001
- 2001-09-17 KR KR1020010057079A patent/KR20030024097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40004937A (ko) * | 1982-06-11 | 1984-10-31 | 원본미기재 | 지반 및 건축재료에 대한 밀폐 및 또는 압밀제 |
US4867601A (en) * | 1987-07-23 | 1989-09-19 | Bowman Harold M | Sturdy adjustable manhole cover support |
JPH06128978A (ja) * | 1992-10-14 | 1994-05-10 | Toyo Denka Kogyo Kk | マンホール蓋設置の施工方法 |
KR20000070336A (ko) * | 1997-12-09 | 2000-11-25 | 다께다 가즈히꼬 | 침투성 방수제, 방수재,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누수 방지 방법 |
JPH11303086A (ja) * | 1998-04-22 | 1999-11-02 |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 ブロックマッ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84844A1 (en) | Mortarless hollow core block wall construction system | |
CN207092153U (zh) | 一种底板变形缝渗漏水修复结构 | |
KR101742919B1 (ko) |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 |
KR20030024097A (ko) | 기초대의 시공방법 및 시공재 | |
KR101259097B1 (ko) | 이어치기 공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 | |
RU2009148602A (ru) | Во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х полимерами ускорителей схватыва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 |
KR102353629B1 (ko) | 건축물 누수방지를 위한 코트 방수제 및 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또는 방수 보수시공시스템 | |
JPH0475966B2 (ko) | ||
KR200351244Y1 (ko) | 케미칼 앙카 | |
JP4076270B2 (ja) | 防食ライニング、防食ライニングセグメント、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
CN105464226B (zh) | 一体化构件式伸缩止水带及其在建筑变形缝防水中的应用 | |
CN106939664A (zh) | 一种卫生间预留洞胶片模版复用定位施工方法 | |
US2227228A (en) | Method of building walls and floors | |
JPS6363828A (ja) | コンクリ−ト構造体の防水接合方法 | |
CN217000867U (zh) | 一种便于拆卸安装的混凝土柱用模板 | |
JPS61196071A (ja) | コンクリ−ト構造物の躯体の補修工法 | |
CN108018752B (zh) | 一种软土路基的加固施工工艺 | |
RU2230864C2 (ru) |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подзем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 |
KR19980028085A (ko) | 콘크리트 방수공법 | |
SU1122769A1 (ru) | Деформационный стык /его варианты/ | |
CA1292366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proofing concrete | |
CN116988612A (zh) | 一种装配式建筑防水密封装置 | |
JPH0892987A (ja) | 地下外壁の防水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20210110324A (ko) | 건물 기초 시스템 | |
CN111161625A (zh) | 装配式再生秸秆混凝土框架结构教学模型及安装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0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