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2838A -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838A
KR20030022838A KR1020030011467A KR20030011467A KR20030022838A KR 20030022838 A KR20030022838 A KR 20030022838A KR 1020030011467 A KR1020030011467 A KR 1020030011467A KR 20030011467 A KR20030011467 A KR 20030011467A KR 20030022838 A KR20030022838 A KR 2003002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user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철
김경수
김종남
김희정
하명환
정병희
이범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to KR102003001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2838A/ko
Publication of KR2003002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화된 컨텐츠 규격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에 단순 전송하여 실행 및 랜더링 서비스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 특성, 사용자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요청 받은 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시키고, 또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어떠한 형태로 처리되어 소비될 것인가에 대한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하며, 이 변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함으로써,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및 소비 환경하에서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 및 사용자 단말의 특성 그리고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하여 컨텐츠 제공자의 의도된 형태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의미적인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MULTIMEDIA CONTENT ADAPTATION/PROCESSING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universal multimedia access) 환경에서 사용자의 특성, 사용자 단말 특성, 사용자 환경 및 네크워크 자원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컨텐츠를 가공 및 제어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환경은 사용자 특성, 사용자 환경, 단말 특성 및 네트워크 자원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오디오(음성 및 음향)/비주얼/텍스트 컨텐츠 변환을 수행하여 단순히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변환 컨텐츠를 랜더링(재생)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때, 컨텐츠 제공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환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어떠한 형태로 랜더링(재생)될 것인가 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또한, 일 예로서 데이터 방송 등에서와 같이, 고정된 규격에 맞추어진 컨텐츠와 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표준 규격의 컨텐츠를 랜더링하여 소비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방식은 변환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 한 후, 컨텐츠 제공자 또는 컨텐츠 사용자의 의도대로 변환(적응) 컨텐츠를 랜더링하기 위한제어 방법이 고려되지 않고 단순히 변형(적응)된 컨텐츠를 단순 재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자 및 사용자 의도를 구체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데이터 방송 컨텐츠와 같은 대화형 컨텐츠는 정형화된 컨텐츠 규격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만을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셋톱박스 등)에 전송하여 실행 및 랜더링하기 때문에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환경하에서 다양한 사용자 특성과 단말 특성 그리고 네트워크 자원 등을 고려한 단말에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및 소비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특성,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저작자의 의도를 반영한 컨텐츠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및 소비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특성,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저작자의 의도를 반영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를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를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소비를 모니터링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산출하는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단말
111 : 사용자 입력 블록
112 :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
113 : 사용자 메타 데이터 전송 블록
114 :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수신 블록
115 :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
116 :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
117 :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
118 :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
120 : 네트워크
130 : 컨텐츠 서버
131 : 사용자 메타데이터 수신 블록
132 : 사용자 메타데이터 해석 블록
133 : 컨텐츠 적응 블록
134 :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
135 :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
136 :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
202 : 컨텐츠 소비 모니터링 블록
204 :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 저장 블록
206 : 사용자 특성 정보 계산 블록
1171 : 복호 적응 컨텐츠 입력/적응 블록
1173 : 복호 적응 컨텐츠 프로그램 입력/적응 및 실행 블록
1341 :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 블록
1343 : 해석 사용자 메타 데이터 입력 블록
1345 :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입력 블록
1347 :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정형화된 컨텐츠 규격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셋톱박스 등)에 단순 전송하여 실행 및 랜더링 서비스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 특성, 사용자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요청 받은 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적응)시키고, 또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어떠한 형태로 처리되어 소비될 것인가에 대한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하며, 이 변형(적응)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것은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
즉,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 변형하는(적응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는 수신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신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랜더링 하면 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변형하는(적응시키는) 경우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는 변형(적응)되지 않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측에서 사용자 정보(사용자 특성 정보 및 단말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킨 후 실행 및 랜더링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특성은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의미하고, 사용자 단말 특성은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배터리 수명, 복/부호기, 프로그램 실행 환경, 단말 운영체제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거나 혹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크게 구분해 볼 때, 사용자 단말(110), 네트워크(120) 및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입력 블록(111),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 사용자 메타 데이터 전송 블록(113),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수신 블록(114),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을 포함하며,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은 사용자 메타 데이터 수신 블록(131),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 컨텐츠 적응 블록(133),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 및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유선 단말(예를 들면,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갖는 컴퓨터 등) 또는 무선 단말(예를 들면, 셀룰러 폰, PCS, PDA, IMT-2000, PDA 폰, 스마트 폰 등)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블록(111)은, 예를 들면 다수의 숫자키, 기능키 등을 갖는 단말의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음성 인식기 등인 것으로, 특정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의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혹은 컨텐츠에대한 선호도(예를 들면, 선호 장르, 선호 배우, 선호 프로그램 컨텐츠 등) 및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예를 들면, 원본,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등)를 선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에,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은 사용자 입력 블록(111)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선택 선호도) 표현은 사용자가 선호 장르, 선호 배우, 선호 프로그램 컨텐츠 등의 사용자 특성 정보(선택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사용자 특성 메타 데이터로서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혹은 컨텐츠 소비가 발생할 때마다 그 소비에 대한 히스토리 모니터링을 통해 자동으로 산출되는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사용자 특성 메타데이터로서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나 혹은 미리 저장된 정보인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배터리 수명, 복/부호기, 프로그램 실행 환경, 단말 운영체제 등에 대한 단말 특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메타데이터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에서는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소비를 모니터링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산출하는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로서, 컨텐츠 소비 모니터링 블록(202),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 저장 블록(204) 및 사용자 특성 정보 계산 블록(206)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소비 모니터링 블록(202)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변형(적응) 컨텐츠 소비 형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며, 이와 같이 추출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는 이전의 컨텐츠 히스토리와 함께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 저장 블록(204)에 누적 저장된다.
다음에, 사용자 특성 정보 계산 블록(206)에서는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에 대한 누적 통계치에 기반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 예를 들면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등과 같은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며, 이와 같이 계산된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메타 데이터로서 도시 생략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산출되는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변형(적응)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혹은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변형(적응)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으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저장된 대응 메타 데이터를 인출하여 사용자 특성(또는 사용자 선택 선호도) 및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 후 사용자 메타 데이터 송신 블록(113)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 메타 데이터 송신 블록(113)에서는 이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환(변조)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내 사용자 메타 데이터 수신 블록(131)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120)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이거나 혹은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다른 한편,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은 사용자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원 컨텐츠와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환(적응(adaptation))시켜 변환(적응) 컨텐츠 및 변환(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변환(적응) 컨텐츠 및 변환(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 메타 데이터 수신 블록(131)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역변환(복조)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으로 전달한다.
다음에,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은 전송된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컨텐츠 적응 블록(133)과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으로 각각 전달한다.
이에 응답하여, 컨텐츠 적응 블록(133)에서는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으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인출하고,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에 맞게 컨텐츠를 변형(적응), 즉 해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과 적응 컨텐츠 및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변형 처리한 후 다음 단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하고, 또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에서는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또는 컨텐츠 소비 방식 선호도에 기반한)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하고, 사용자 단말 특성 및 사용자 정보에 맞게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 즉 해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과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변형(적응) 처리한 후 다음 단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저장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판독, 저장 및 갱신 등을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컨텐츠 적응 블록(133)에서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자원, 사용자 특성(선호 장르, 선호 배우, 선호 프로그램 컨텐츠 등의 사용자 컨텐츠 선호도와 원본,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등의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 및 사용자 단말 특성(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배터리 수명, 복/부호기, 프로그램 실행 환경, 단말 운영체제 등)을 고려하여 원 컨텐츠에 대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한 컨텐츠 소비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컨텐츠를 변형시킨다. 여기에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적응 컨텐츠를 랜더링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의도된 형태로 프리젠테이션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시놉시스와 함께 몇 장의 이미지로 축약된 요약본 방식으로 소비하고자 할 때 컨텐츠 적응 블록(133)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해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말 내장 부/복호기 등을 고려하여 한 화면에 랜더링될 수 있는 이미지 사이즈와 개수 그리고 텍스트의 양을 변형하고,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은 이렇게 변형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서 슬라이드 쇼 나 트리뷰 형태로 요약본이 랜더링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의 변형을 수행한다. 이렇게 변형된 적응 컨텐츠와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이 함께 단말에 전송되어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의도된 방식(슬라이드 쇼 또는 트리뷰 형식의 요약본 프리젠테이션)의 컨텐츠 소비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로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 블록(1341), 해석 사용자 메타 데이터 입력 블록(1343),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입력 블록(1345),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 블록(1341)은 도 1의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으로부터 해당 컨텐츠 랜더링을 위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입력받아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에 전달하고, 해석 사용자 메타 데이터 입력 블록(1343)은 도 1의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으로부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입력 블록(1345)으로 전달한다.
다음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입력 블록(1345)은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정보로부터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환(적응)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추출하여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으로 전달하며,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7)은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도 1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할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변환(적응)을 수행하며, 이와 같이 변환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은 도 1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된다.
한편,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은,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수집 및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적응 블록(133)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으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마다 수집된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컨텐츠 적응 블록(133)과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으로 전달하고, 컨텐츠 적응 블록(133)과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된(변형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 가능한 신호 데이터로 변환(변조)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내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수신 블록(114)으로 전송한다.
다른 한편, 사용자 단말(110) 내의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수신 블록(114)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전송 받은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변형된(적응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환(변조) 전의 원 컨텐츠로 역변환(복조)하며, 이와 같이 역변환된 적응 컨텐츠(또는 변형 컨텐츠)는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으로 전달되고, 역변환된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또는 변형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은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으로 전달된다.
다음에,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은 역변환된 적응 컨텐츠를 복호하여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으로 전달하고,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은 역변환된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복호하여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으로 전달한다.
이에 응답하여,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에서는 사용자 특성 및 단말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된 변형 컨텐츠에 대해 변형된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랜더링을 수행하며, 이러한 랜더링 수행 결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으로 전달되어 재생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방식 선호도 또는 요청에 맞게 전달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실행 결과로 원 컨텐츠의 요약본을 시놉시스와 함께 몇 장의 이지미로 하여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시킨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로서,복호 적응 컨텐츠 입력/처리 블록(1171)과 복호 적응 컨텐츠 프로그램 입력/적응 및 실행 블록(1173)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호 적응 컨텐츠 입력/처리 블록(1171)은 도 1의 적응 컨텐츠 복호 블록(115)으로부터 제공되는 복호된 적응 컨텐츠(또는 복호된 변형 컨텐츠)를 입력받아 복호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적응 및 실행 블록(1173)으로 전달하고, 복호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입력/적응 및 실행 블록(1173)은 다시 도 1의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복호 블록(116)으로부터 제공되는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또는 변형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과 도 1의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입력 랜더링을 수행하며, 그 랜더링 결과를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프리젠테이션 블록(118)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택 지정한 선택 선호도(사용자 특성 정보)나 혹은 서비스 이용한 컨텐츠의 누적 통계(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추출된 임의 선호도에 의거하여 원하는 변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이미지/오디오/비디오/텍스트 컨텐츠 등), 즉 자신의 관심도를 반영하여 변형한 컨텐츠를 재생 서비스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의미적인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증진은 물론 및 다양한 사용자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 소비 방식에기반하여 원 컨텐츠와 이를 특정 소비 방식에 맞게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며, 이 변형된 컨텐츠와 맞게 변형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하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특정 기기에 장착 또는 탑재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등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판독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임의의 단말 사용자가 사용자 특성 정보와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요청할 때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 메타 데이터에 의거하여 원 컨텐츠 및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고, 이와 같이 변형된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서비스를 요청할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서버 시스템이 아닌 사용자 단말 측에서 메타 데이터에 의거하여 원 컨텐츠 및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컨텐츠 서비스를 요청할 때 사용자 단말(110) 측에서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 측으로 사용자 특성 정보와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내의 컨텐츠 적응 블록(133)과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적응 블록(134)에서는 원 컨텐츠 및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지 않고 그대로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한다. 즉, 컨텐츠 서버 시스템(130)에서는 변형되지 않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110)내의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에서는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랜더링하기 전에 사용자 메타 데이터 생성 및 관리 블록(112)으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 즉 컨텐츠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정보와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며, 이와 같은 변형 후에 변형(적응)된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형(적응)된 적응 컨텐츠를 랜더링하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는 메타 데이터에 따라 변형된 컨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적응 컨텐츠 랜더링 블록(117)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구성을 구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컨텐츠의 서비스를 요청할 때 자신의 단말이 아닌 제3의 단말(임의의 단말)을 지정하고, 이 단말 지정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삽입하여 컨텐츠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컨텐츠 서버 시스템이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단말로 변형 컨텐츠와 변형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또는 변형되지 않은 원 컨텐츠 및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의 하나로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분석(해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서비스를 요청받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킨 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형태로 미리 변형(적응)시켜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메타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서비스 요청받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저장된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바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변형 실시 예)으로 서비스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변형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켜 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에 준비(저장)해 두고, 사용자 메타 데이터 해석 블록(132)으로부터 점선 라인 L11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의 분석 결과가 제공되면, 컨텐츠 아카이빙 블록(135)에서는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동일하거나 혹은 가장 유사한 특성 정보를 갖는 변형 컨텐츠 및 변형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를 선택 및 인출하여 점선 라인 L13을 통해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적응 컨텐츠 및 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전송 블록(136)에서는 점선 라인 L13을 통해 전달받은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처리 프로그램을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10)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송받은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변형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원하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시켜 컨텐츠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 시스템에서 이를 해석하여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형화된 컨텐츠 규격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와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에 단순 전송하여 실행 및 랜더링 서비스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 특성, 사용자 단말 특성, 네트워크 자원, 사용자 환경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요청 받은 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시키고, 또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어떠한 형태로 처리되어 소비될 것인가에 대한 원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하며, 이 변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함으로써,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 및 소비 환경하에서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 및 사용자 단말의 특성 그리고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하여 컨텐츠 제공자의 의도된 형태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의미적인 범용적 멀티미디어 접근)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49)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를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의 컨텐츠 소비 방식은, 컨텐츠 원본, 원본 일부분,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변형(적응) 수단은: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하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인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수단; 및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재생 수단은: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입력/선택하고,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을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수단;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각각 복호하는 수단; 및
    상기 복호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복호된 변형(적응) 컨탠츠를 랜더링하여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 발생 수단은,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음성 인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이고,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재생되는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저장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에 의거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는 수단; 및
    상기 계산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12.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의 컨텐츠 소비 방식은, 컨텐츠 원본, 원본 일부분,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인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출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또는 무선 단말이고,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8.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9.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재생되는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저장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에 의거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계산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2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를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4.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변형시키는 수단;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의 컨텐츠 소비 방식은, 컨텐츠 원본, 원본 일부분,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 변형(적응) 수단은: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형(적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수단; 및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29.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또는 무선 단말이고,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30.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31.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재생되는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추출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저장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에 의거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는 수단; 및
    상기 계산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33.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의 컨텐츠 소비 방식은, 컨텐츠 원본, 원본 일부분, 요약본, 텍스트 줄거리, 시놉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의 변형(적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38.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이고,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39.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40.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재생되는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저장된 컨텐츠 소비 히스토리의 누적 통계치에 의거하여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계산된 사용자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사용자 특성 정보는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42.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서비스 요청 컨텐츠 및 컨텐츠처리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요청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변형(적응)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장르, 배우, 채널, 컨텐츠 소비 가격, 주제, 컨텐츠 주요 소비 시간대, 컨텐츠 소비 방식,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네트워크 사용자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는, 단말 디스플레이 사이즈, 컬러 깊이, 부/복호기 특성, 배터리 수명,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환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5.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 서버를 갖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수단;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원격지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47.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 지정 정보가 검출될 때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 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49.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각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변형(적응)시킨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트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
    선택적인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메타 데이터로 등록하는 과정;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대응하는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 및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수의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및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랜더링을 통해 상기 선택된 변형(적응)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사용자 단말 특성에 맞게 재생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30011467A 2003-02-24 2003-02-24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030022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67A KR20030022838A (ko) 2003-02-24 2003-02-24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67A KR20030022838A (ko) 2003-02-24 2003-02-24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838A true KR20030022838A (ko) 2003-03-17

Family

ID=2773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467A KR20030022838A (ko) 2003-02-24 2003-02-24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2838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621A1 (en) * 2004-08-31 2006-03-09 Epiontech Co., Ltd. System for automatically verifying mobile contents through ground-wired interne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670605B1 (ko) * 2005-08-31 2007-01-17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776799B1 (ko) * 2005-12-02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끊김 없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8062977A1 (en) * 2006-11-23 2008-05-29 Intromobile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ponent
KR100934088B1 (ko) * 2004-12-09 2009-12-2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컨텐트 플로우들을 생성하고 분산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9157675A2 (ko) * 2008-06-26 2009-12-30 (주) 아이티비엠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WO2009126009A3 (ko) * 2008-04-11 2010-01-21 (주) 아이티비엠지 유비쿼터스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40212B1 (ko) * 2008-01-30 2010-02-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7698006B2 (en) 2002-10-15 2010-04-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ng audio signal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KR101017343B1 (ko)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양방향 컨텐츠를 인코딩하는 방법
KR101017345B1 (ko)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양방향 컨텐츠의 이벤트 실행방법
KR101017344B1 (ko)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버 및 유비쿼터스 단말
US7912457B2 (en) 2004-04-21 2011-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KR101258461B1 (ko) * 2012-05-29 2013-04-26 주식회사 위엠비 이기종 디바이스 환경을 위한 메타 파일 생성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적응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8544043B2 (en) 2004-07-21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to content servers
KR101511137B1 (ko) * 2012-06-28 2015-04-1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요소 서비스 합성을 통한 자원 인지형 콘텐츠 제공 방법
US9853711B2 (en) 2007-10-04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8006B2 (en) 2002-10-15 2010-04-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ng audio signal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US9083538B2 (en) 2004-04-21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to a distribution network
US8472930B2 (en) 2004-04-21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US7912457B2 (en) 2004-04-21 2011-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on and transport of multimedia content flows
US8544043B2 (en) 2004-07-21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to content servers
WO2006025621A1 (en) * 2004-08-31 2006-03-09 Epiontech Co., Ltd. System for automatically verifying mobile contents through ground-wired interne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934088B1 (ko) * 2004-12-09 2009-12-2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컨텐트 플로우들을 생성하고 분산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70605B1 (ko) * 2005-08-31 2007-01-17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776799B1 (ko) * 2005-12-02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끊김 없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8062977A1 (en) * 2006-11-23 2008-05-29 Intromobile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ponent
US9853711B2 (en) 2007-10-04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KR100940212B1 (ko) * 2008-01-30 2010-02-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방법 및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0987256B1 (ko) * 2008-04-11 2010-10-12 (주) 아이티비엠지 유비쿼터스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WO2009126009A3 (ko) * 2008-04-11 2010-01-21 (주) 아이티비엠지 유비쿼터스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09157675A2 (ko) * 2008-06-26 2009-12-30 (주) 아이티비엠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WO2009157675A3 (ko) * 2008-06-26 2010-04-22 (주) 아이티비엠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017344B1 (ko)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버 및 유비쿼터스 단말
KR101017345B1 (ko)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양방향 컨텐츠의 이벤트 실행방법
KR101017343B1 (ko) * 2010-04-02 2011-02-28 (주) 아이티비엠지 양방향 컨텐츠를 인코딩하는 방법
KR101258461B1 (ko) * 2012-05-29 2013-04-26 주식회사 위엠비 이기종 디바이스 환경을 위한 메타 파일 생성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적응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1137B1 (ko) * 2012-06-28 2015-04-1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요소 서비스 합성을 통한 자원 인지형 콘텐츠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342B2 (en) Efficient data distribution to multiple devices
US7657563B2 (e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ased on user's preferences
KR20030022838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적응/처리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및환경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8510644B2 (en) Optimization of web page content including video
US200501827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a consumption based on user terminal characteristic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0901197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video content to obtain text keywords or phrases for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links to network-based resources
US201002810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orming and Delivering Video File Content for Mobile Devices
CN102483742A (zh) 用于管理因特网媒体内容的系统和方法
KR20140079775A (ko) 비디오 관리 시스템
JP2023522092A (ja) インタラクション記録生成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JP4303085B2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10047768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256932B1 (ko) 컨텐츠 재생방법
CA31245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delivering content assets
US83215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mote control key data in home network device
CN112052376A (zh) 资源推荐方法、装置、服务器、设备和介质
KR20090000654A (ko) 컨텐츠 중계 장치 및 방법
US9084011B2 (en) Method for advertising based on audio/video content and method for creating an audio/video playback application
US20060136983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texts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thereof
KR20050101791A (ko) 맞춤형 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5098A (ko)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01650203B1 (ko) 웹 페이지에 포함된 동영상을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060945A (ja) 配信システムおよび配信方法
CN119299777A (zh) 一种服务器、显示设备及图像的动态裁剪方法
CN118413696A (zh) 一种基于跨云集成环境的流媒体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412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430

Appeal identifier: 2006101000540

Request date: 20060123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22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123

Effective date: 200704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4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0123

Decision date: 20070430

Appeal identifier: 2006101000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