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17697A - 유기 el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el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697A
KR20030017697A KR1020010050325A KR20010050325A KR20030017697A KR 20030017697 A KR20030017697 A KR 20030017697A KR 1020010050325 A KR1020010050325 A KR 1020010050325A KR 20010050325 A KR20010050325 A KR 20010050325A KR 20030017697 A KR20030017697 A KR 20030017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rganic
pixel
scan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276B1 (ko
Inventor
김창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276B1/ko
Priority to EP02018443A priority patent/EP1286396A3/en
Priority to US10/223,620 priority patent/US6930447B2/en
Priority to JP2002240539A priority patent/JP3782380B2/ja
Priority to CNB021495491A priority patent/CN1214356C/zh
Publication of KR2003001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6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교차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개의 화소를 갖고,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가 적어도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상기 나누어진 부분이 동시에 스캔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투명기판 상에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의 화소 어레이당 두 라인 이상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두 개 이상의 화소가 상기 라인에 각각 연결된 보조전극을 구비하여, 보조전극을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나누고, 폭방향으로도 반 이상으로 나누어 스캔되는 동안 다수 개의 보조전극을 구동하도록 하여 듀티수 감소효과로 인해 소자의 발광시간을 증가에 의한 화소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유기 EL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본 발명은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할 때 스캔라인의 수를 줄여 화소당 발광시간을 증가시켜 발광효율 및 개구율이 높은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이다.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고해상도의 패널일수록 픽셀의 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스캔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수가 많아진다.
스캔 라인의 수가 많아지면 한 픽셀이 발광하는 시간이 그만큼 짧아지고, 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발광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므로 순간 휘도도 그만큼 높아져야 한다.
도1과 같이 양극 스트립을 반으로 나누어 독자적으로 스캔을 하게 함으로써 스캔의 수를 반으로 줄여 발광 효율 및 수명을 좋게 한다.
도2와 같이 양극 스트립을 폭 방향으로 기존 폭 대비 반으로 나누고, 스캔을 기존 스캔 폭 대비 두배의 넓이로 형성하여 스캔수를 반으로 줄인 방식이 있다.
그러나 도1 및 도2와 같은 방식은 데이터가 양쪽으로 나뉘게 됨으로써 데이터용 칩을 양쪽에 모두 사용하게 됨으로써 원가 상승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두 방식은 스캔라인을 반으로 밖에 줄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할 때 스캔라인 수를 대폭적으로 줄이고, 보조전극을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나누어 하나의 스캔라인이 스캔될 때 구동되는 데이터라인의 수를 증가시켜 화소의 발광효율 및 개구율이 증가된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스캔 구동 개념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스캔 구동 개념도.
도5a 내지 도5e는 상기 도3의 개념도에 따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6은 상기 도3의 개념도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기판
2a, 2b, 2c, 2d, 2e, 2f : 보조전극
3a, 3b, 3c, 3d, 3e, 3f : 화소
4-1, 4-1 : 절연막
4a : 비아홀
5a, 5b, 5c : 제1전극
6 : 격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특징은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교차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개의 화소를 갖고,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가 적어도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상기 나누어진 부분이 동시에 스캔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투명기판 상에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의 화소 어레이당 두 라인 이상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두 개 이상의 화소가 상기 라인에 각각 연결된 보조전극; 상기 보조전극과 연결되도록 상기 각 화소에 패터닝되어 형성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부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 제1전극 패턴의 에지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 중 인접한 화소 어레이 당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인접한 화소 어레이가 동시에 스캔 구동되도록 상기 제2전극을 상기 인접한 화소 어레이 당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크게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진 화소 어레이가 두부분이 동시에 차례로 스캔되고 각 화소 어레이당 적어도 두 라인 이상으로 나누어진 보조전극에 데이터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이는 보조전극을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나누고, 폭방향으로도 반 이상으로 나누어 보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캔라인이 스캔되는 동안 다수 개의 보조전극을 구동하도록 하여 듀티수 감소효과로인해 소자의 발광시간을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스캔 구동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과 같이 다수 개로 배열되고, 두 부분(scan a, scan b)으로 나누어지고 나누어진 부분(scan a, scan b)이 동시에 차례로 스캔되는 전극(10a, 10b)과, 상기 전극(10a, 10b)과 교차하는 방향의 화소(3a, 3b, 3c, 3d) 어레이 당 두 라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화소 어레이를 상기 두 라인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두 라인이 상기 동시에 스캔되는 전극(10a, 10b)에 의해 두 개로 나누어진 보조전극(2a 및 2b, 2c 및 2d)을 포함한다.
즉, 두 부분(scan a, scan b)으로 나누어져 각각 스캔되는 전극(10a, 10b)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보조전극을 두 부분(data a,b 와 data c,d)으로 나누고, 다시 폭방향으로 나누어 상기 scan a, scan b를 동시에 스캔하여 4 개의 보조전극(2a, 2b, 2c, 2d)을 구동한다.
유기 EL 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동시에 scan a, scan b를 차례로 스캔을 하고, 상기 scan a 부분은 폭방향으로 나누어진 보조전극(2a, 2b)에 데이터신호 data a, data b를 인가하고, 상기 scan b 부분은 폭방향으로 나누어진 보조전극(2c, 2d)에 데이터신호 data c, data d를 인가하여 한 스캔시간동안 4개의 화소가 발광한다.
따라서 하나의 보조전극을 4개 이상으로 나눔으로써 1/4이상의 듀티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하나의 화소(3a, 3b, 3c, 3d)가 발광하는 시간이 증가한다.
도4는 상기 도3과 같은 구성과 유사하게, 두 부분(scan a, scan b)으로 나누어지고 나누어진 부분(scan a, scan b)이 동시에 차례로 스캔되는 전극(10a, 10b)과, 상기 전극(10a, 10b)과 교차하는 방향의 화소(3a, 3b, 3c, 3d, 3e, 3f) 어레이 당 세 라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화소 어레이를 상기 세 라인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세 라인이 상기 동시에 스캔되는 전극(10a, 10b)에 의해 세 개로 나누어진 보조전극(2a, 2b, 2c 와 2d, 2e, 2f)을 포함한다.
즉, 두 부분(scan a, scan b)으로 나누어져 각각 스캔되는 전극(10a, 10b)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보조전극을 세 부분(data a,b,c 와 data d,e,f)으로 나누고, 다시 폭방향으로 나누어 상기 scan a, scan b를 동시에 스캔하여 6 개의 보조전극(2a, 2b, 2c, 2d, 2e, 2f)을 구동한다.
유기 EL 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동시에 scan a, scan b를 차례로 스캔을 하고, 상기 scan a 부분은 폭방향으로 나누어진 보조전극(2a, 2b, 2c)에 데이터신호 data a, data b, data c를 인가하고, 상기 scan b 부분은 폭방향으로 나누어진 보조전극(2d, 2e, 2f)에 데이터신호 data d, data e, data f를 인가하여 한 스캔시간동안 6개의 화소가 발광한다.
따라서 하나의 보조전극을 6개 이상으로 나눔으로써 1/6이상의 듀티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하나의 화소(3a, 3b, 3c, 3d, 3e, 3f)가 발광하는 시간이 증가한다.
도5a 내지 도5e는 상기 도3의 개념도에 따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유기 EL 소자의 제조 공정의 평면도이다.
도5e는 도3의 개념도 중 scan a와 scan b 중 한 부분만 도식한 것으로, 도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교차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개의 화소를 갖고,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가 적어도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상기 나누어진 부분이 동시에 스캔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투명기판 상에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의 화소 어레이당 두 라인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두 개의 화소가 상기 라인에 각각 연결된 보조전극(2a, 2b)과, 상기 보조전극(2a, 2b)이 각각 홀수 및 짝수번째 화소(3a, 3b)를 제어하도록 상기 보조전극(2a, 2b)의 상부 소정영역이 노출되도록 비아홀(4a)이 형성된 절연막(4-1)과, 상기 보조전극(2a, 2b)과 연결되도록 비아홀(4a)을 포함한 상기 각 화소에 패터닝되어 형성된 제1전극(5a, 5b)과, 상기 제1전극(5a, 5b) 상부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미도시)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전극(미도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5) 패턴의 에지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투명기판(1) 상에 형성된 절연막(4-2)과, 일방향으로 배열된 두 화소 어레이 당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두 화소 어레이가 동시에 스캔 구동되도록 상기 제2전극을 상기 두 화소 어레이 당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격벽(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전극(2a, 2b)은 스트라이프 패턴과, 상기 홀수 및 짝수 중 어느 하나의 화소를 제어하도록 상기 스트라이프 패턴과 연결된 돌출영역을 가진다.
그리고 절연막(4-1)은 상기 보조전극(2a, 2b)의 돌출영역에 비아홀(4a)을 갖고 투명기판(1)까지 확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비아홀(4a)에 상기 제1전극(5)이 콘택되어 상기 보조전극(2a, 2b)과 제1전극(5)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도5e와 같이 보조전극(2a, 2b)의 돌출영역을 한 화소 어레이당 하나씩 떨어지도록 형성하거나, 도6과 같이 보조전극(2a, 2b)의 돌출영역을 인접하는 화소 어레이 사이에 두 개씩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6은 상기 도3의 개념도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그 구성 및 제조공정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제1, 2실시예와 같이 보조전극과의 전기적 콘택을 위해 비아홀을 보조전극의 돌출영역에 형성함으로써 화소의 개구율 및 발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 EL 소자의 제조방법은 도5a 내지 도5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a와 같이 투명기판(1) 상에 한 화소 어레이 당 서로 평행한 두 라인으로 화소 어레이 중 홀수번째 화소(3a)는 상기 한 라인에 의해 제어하고, 상기 스캔라인 방향의 화소 어레이 중 짝수번째 화소(3b)는 상기 다른 한 라인에 의해 제어하는 돌출영역(a)을 갖는 보조전극(2a, 2b)을 형성한다.
이어 도5b와 같이 상기 두 라인의 보조전극(2a, 2b)이 각각 홀수 및 짝수번째 화소(3a, 3b)를 제어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두 라인의 보조전극(2a, 2b)의 돌출영역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비아홀(4a)을 갖는 절연막(4-1)을 형성한다.
이어 도5c와 같이 상기 홀수 및 짝수번째 화소(3a, 3b)와, 상기 두 라인의 보조전극(2a, 2b)이 각각 홀수, 짝수번째 화소(3a, 3b)를 제어하도록 상기 화소(3a, 3b)를 제어하고 비아홀(4a)을 포함한 보조전극(2a, 2b)의 상부에 투명 도전성 물질을 패터닝하여 제1전극(5)을 형성한다.
이어 도5d와 같이 상기 제1전극(5) 패턴의 에지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투명기판(1) 상에 절연막(4-2)을 더 형성한다.
이어 도5e와 같이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두 화소 어레이가 외부의 스캔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두 화소 어레이가 동시에 스캔 구동되도록 제2전극을 상기 두 화소 어레이 당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격벽(6)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극(5)의 상부에 유기발광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즉, 상기 보조전극(2a, 2b)과 교차하는 방향의 두 화소(3a, 3b) 어레이당 하나씩 격벽(6)을 형성한 후,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제2전극(미도시)을 형성한 후, 패시베이션, 인캡슐레이션을 하면 소자가 완성된다.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 중 인접한 두 개의 화소 어레이가 동시에 스캔 구동되도록 상기 보조전극(2a, 2b)과 교차하는 방향의 인접한 두 화소 어레이 당 하나의 스캔라인(미도시)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전극의 재료는 전도성 물질을 사용하면 되며, 특히 Cr, Mo, Al, Cu 이것의 합금 및 두 개 이상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께는 0.01~10㎛이고, 선폭은 소자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절연막(4-1, 4-2)의 재료로는 무기 및 유기 절연막 모두 사용 가능하며, 무기절연막에는 산화계 절연막(oxide류, SiO2)와 질화계 절연막(nitride류, SiNx)가 좋으며, 유기 절연막은 폴리머(특히 polyacryl류, polyimidefb, novolac, polyphenyl, polystylene)면 된다. 또한 절연막의 두께는 0.01~10㎛면 되며, 가시광선에 대하여 흡광도가 낮은 물질이 좋다.
발광 영역내의 제1전극(5a, 5b)의 일부분은 상기 절연막(4-2)으로 덮어야 하는데, 이는 제1전극(5a, 5b)과 제2전극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공정 중에 에지부분이 손상되기 쉬운 상기 제1전극(5a, 5b)의 에지부분을 커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5a, 5b)은 투명전극이고, 제2전극은 금속전극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할 때 스캔라인 수를 대폭적으로 줄이고, 보조전극을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나누어 하나의 스캔라인이 스캔될 때 구동되는 데이터라인의 수를 증가시켜 화소의 발광효율 및 개구율을 증가시킨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교차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다수개의 화소를 갖고,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가 적어도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상기 나누어진 부분이 동시에 스캔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투명기판 상에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의 화소 어레이당 두 라인 이상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두 개 이상의 화소가 상기 라인에 각각 연결된 보조전극;
    상기 보조전극과 연결되도록 상기 각 화소에 패터닝되어 형성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부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패턴의 에지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 중 인접한 화소 어레이 당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인접한 화소 어레이가 동시에 스캔 구동되도록 상기 제2전극을 상기 인접한 화소 어레이 당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KR10-2001-0050325A 2001-08-21 2001-08-21 유기 el 소자 KR10043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325A KR100434276B1 (ko) 2001-08-21 2001-08-21 유기 el 소자
EP02018443A EP1286396A3 (en) 2001-08-21 2002-08-16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10/223,620 US6930447B2 (en) 2001-08-21 2002-08-20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02240539A JP3782380B2 (ja) 2001-08-21 2002-08-21 有機elディスプレイ
CNB021495491A CN1214356C (zh) 2001-08-21 2002-08-21 有机电致发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325A KR100434276B1 (ko) 2001-08-21 2001-08-21 유기 el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697A true KR20030017697A (ko) 2003-03-04
KR100434276B1 KR100434276B1 (ko) 2004-06-05

Family

ID=1971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325A KR100434276B1 (ko) 2001-08-21 2001-08-21 유기 el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30447B2 (ko)
EP (1) EP1286396A3 (ko)
JP (1) JP3782380B2 (ko)
KR (1) KR100434276B1 (ko)
CN (1) CN121435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166A (ko) * 2004-11-23 2006-05-26 현대엘씨디주식회사 패시브 매트릭스형 oled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79B1 (ko) * 2001-10-18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블 스캔 구조의 유기 el 표시소자
JP2004077567A (ja) * 2002-08-09 2004-03-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7271784B2 (en) * 2002-12-18 2007-09-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566545B2 (ja) * 2003-10-24 2010-10-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時分割階調表示ディスプレイ用駆動装置、時分割階調表示ディスプレイ
KR100775827B1 (ko) * 2005-12-22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균일한 저항값을 갖는 스캔 라인을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US7667383B2 (en) * 2006-02-15 2010-02-2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ight source comprising a common substrate, a first led device and a second led device
JP4905838B2 (ja) * 2007-10-19 2012-03-28 日本精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JP2009192981A (ja) * 2008-02-18 2009-08-27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30127926A1 (en) * 2011-11-11 2013-05-23 Qualcomm Mens Technolog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riving a display
CN110767675B (zh) * 2018-08-06 2022-06-1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终端
JP2020053153A (ja) * 2018-09-25 2020-04-02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3792A (ja) * 1988-05-11 1989-11-15 Sharp Corp カラーelパネル
JPH05307997A (ja) * 1992-04-30 1993-11-19 Pioneer Electr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960042506A (ko) * 1995-05-31 1996-12-21 엄길용 평판표시소자의 구동방식과 그 소자
TW364275B (en) * 1996-03-12 1999-07-11 Idemitsu Kosan Co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0244136B1 (ko) * 1996-06-27 2000-02-01 김영남 플라즈마 표시장치
US6407502B2 (en) * 1997-09-16 2002-06-18 Lite Array, Inc. EL display with electrodes normal to the surface
US6140766A (en) * 1997-12-27 2000-10-31 Hokuriku Electric Industry Co., Ltd. Organic EL device
JP2000029432A (ja) * 1998-07-08 2000-01-28 Tdk Corp 有機el表示装置
KR100267964B1 (ko) * 1998-07-20 2000-10-16 구자홍 유기 이엘(el)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3699850B2 (ja) * 1999-01-29 2005-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845724B1 (ko) * 1999-12-22 2008-07-1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JP2001217081A (ja) * 2000-02-02 2001-08-10 Sharp Corp 有機発光表示装置
JP2001267085A (ja) * 2000-03-23 2001-09-28 Sanyo Electric Co Ltd 有機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94006B1 (ko) * 2001-05-04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류구동 표시소자의 더블 스캔 구조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166A (ko) * 2004-11-23 2006-05-26 현대엘씨디주식회사 패시브 매트릭스형 oled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276B1 (ko) 2004-06-05
CN1406101A (zh) 2003-03-26
JP2003077683A (ja) 2003-03-14
US6930447B2 (en) 2005-08-16
JP3782380B2 (ja) 2006-06-07
EP1286396A3 (en) 2006-11-29
US20030038592A1 (en) 2003-02-27
EP1286396A2 (en) 2003-02-26
CN1214356C (zh)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1783B2 (ja) 有機el表示パネル
KR100267964B1 (ko) 유기 이엘(el)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7399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디스플레이 장치
JP3795447B2 (ja) 有機elデバイスの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100434276B1 (ko) 유기 el 소자
KR100404203B1 (ko) 트리플 스캔 구조의 유기 el 소자
US677457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US20050104822A1 (en) Self light emission display device
KR10061116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4361978B2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82392B1 (ko) 풀-컬러유기전계발광소자및그제조방법
KR100404205B1 (ko) 더블 스캔 구조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7216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04206B1 (ko) 더블 스캔 구조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09165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142415A (ja) パッシブマトリクス有機薄膜発光ディスプレイ
KR19990043881A (ko) 측면 에미터를 이용한 전계방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2664A (ko) 전계방출표시소자의 패드라인 형성방법
KR20010039307A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