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13240A -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240A
KR20030013240A KR1020020032032A KR20020032032A KR20030013240A KR 20030013240 A KR20030013240 A KR 20030013240A KR 1020020032032 A KR1020020032032 A KR 1020020032032A KR 20020032032 A KR20020032032 A KR 20020032032A KR 20030013240 A KR20030013240 A KR 2003001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dsorption layer
adsorption
adsorbent
magne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151B1 (ko
Inventor
나카무라모리미츠
후지에가즈히코
다츠미야스오
가와이마사토
Original Assignee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for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23Beds in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for air
    • F25J3/04151Purification and (pre-)cooling of the feed air; recuperative heat-exchange with product streams
    • F25J3/04163Hot end purification of the feed air
    • F25J3/04169Hot end purification of the feed air by adsorption of the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2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11Methods relating to the process cycle i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77Direction of flow
    • B01D2259/40081Counter-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using ho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2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tw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1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 B01D2259/4141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 B01D2259/4145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arranged in series
    • B01D2259/4148Multiple layers positioned apart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16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involving cryogenic temperatur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1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nitrous oxide (N2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를 정제하는데,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는 정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7a, 8a)과, 제1 흡착층(7a, 8a)을 경유한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7b, 8b)을 구비한 흡착통(7, 8)을 가지는 흡착기(4)를 구비하며, 제2 흡착층(7b, 8b)을 구성하는 흡착제가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이다.

Description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process for purification of air for air liquefaction separation}
본 발명은 공기를 저온 증류함으로서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공기 액화 분리에 원료로서 이용되는 공기를 정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료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는 정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소, 산소, 아르곤 등을 제조하는데는 공기를 저온 증류에 의해 분리하는 공기 액화 분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원료가 되는 공기를 공기 액화 분리에 공급하는데서는, 미량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원료 공기의 정제가 행하여지고 있다. 원료 공기의 정제에서는 주로 물과 이산화탄소가 제거된다.
액화 분리시에는, 질소보다 비점이 높은 산소를 액화시켜서 분리하기 때문에, 분리된 액화 산소 중에, 산소보다도 고비점 물질인 질소 산화물(예를 들면 일산화이질소(N20))이나 탄화수소가 농축하는 일이 있다.
질소 산화물 및 탄화수소는 저온 하에서 고화하여, 열 교환기, 증류탑 내에 축적하여, 이들을 폐색할 염려가 있다. 또 이들이 액화 산소 중에 폭발 원인이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원료 공기 정제시에는 안전성 확보의 관점에서, 질소 산화물 및탄화수소를 제거하여, 이들이 농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질소 산화물 및 탄화수소를 제거하는 기술로서는 제올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이들을 흡착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일본국 특개 2000-107546호 공보에는 각각 수분, 이산화탄소, 일산화이질소에 대응한 3종류의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제3 흡착층을 적층한 흡착통을 이용하여, 수분, 이산화탄소, 일산화이질소를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산화이질소를 제거하는 흡착제로서는 칼슘 교환 X형 제올라이트, 나트륨 모우더나이트(mordenite), 바륨 교환 제올라이트, 바인더레스(binderless) 칼슘 교환 제올라이트가 예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 2000-140550호 공보에는, 공기 중의 일산화이질소의 적어도 일부를 파우자사이트(faujasite)형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흡착제로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 2001-129342호 공보에는 수분,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후의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과 탄화수소를 흡착제로 이용하여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흡착제로서는 Si/Al 비율이 0.9∼1.3의 범위이며, 칼슘 이온과 다른 이온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를 들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질소 산화물이나 탄화수소(특히 불포화탄화수소 이외의 것)를 효율 좋게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현실이며, 질소 산화물이나 탄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어 왔다. 특히, 안전성확보의 관점에서, 일산화이질소(N2O)의 제거 기술의 확립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를 정제하는데,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는 정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 계통도이다.
도 3은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에서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과 일산화이질소 흡착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칼슘 X형 제올라이트에서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과 일산화이질소 흡착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칼슘 A형 제올라이트에서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과 일산화이질소 흡착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등온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의 이산화탄소와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breakthrough curve, 破過曲線)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의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의 이산화탄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의 이산화탄소와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의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의 이산화탄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의 이산화탄소와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의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의 이산화탄소에 관한 흡착 파과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압축기 2 : 냉각기
3 : 물 분리기 4 : 흡착기
5 : 가열기 6 : 공기 액화 분리 장치
7, 8 : 흡착통 7a, 8a : 제1 흡착층
7b, 8b : 제2 흡착층 7c, 8c : 제3 흡착층
RA : 원료 공기
본 발명의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는 공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과, 제1 흡착층을 경유한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을 구비한 흡착통을 가지는 흡착기를 구비하며,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가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는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의 나트륨 일부 또는 전부를 마그네슘으로 이온 교환한 흡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은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로서는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과 칼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은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로서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를 대신하여,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A형 제올라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은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제 장치에서는 제1 흡착층과 제2 흡착층 사이에,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3 흡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방법은 공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과, 제1 흡착층을 경유한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을 구비한 흡착통을 가지는 흡착기를 구비하며,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가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인 정제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 공기 중의 수분을 제1 흡착층에서 흡착 제거한 후, 이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제2 흡착층에서 흡착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제 방법에서는 제2 흡착층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방법에서는, 제1 흡착층과 제2 흡착층 사이에,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3 흡착층이 설치된 정제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흡착층을 경유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3 흡착층에서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여기서 도시한 정제 장치는 원료 공기(RA)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1)와, 압축된 원료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기(2)와, 원료 공기 중의 드레인수를 분리하는 물 분리기(3)와, 물 분리기(3)를 경유한 원료 공기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흡착기(4)와, 가열기(5)를 주요 구성 기기로 하고 있다. 부호 6은 공기 액화 분리 장치를 도시한다.
물 분리기(3)는 가압에 의해 원료 공기 중의 포화수를 응축시켜, 응축수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흡착기(4)는 제1 및 제2 흡착통(7, 8)으로 구성되며, 원료 공기를 이들 흡착통(7, 8) 중의 어느 하나에 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흡착기(4)는 한 쪽의 흡착통에서 흡착 처리를 행하는 사이에, 다른 쪽의 흡착통에서 재생 처리를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흡착통(7, 8)을 전환 사용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원료 공기의 정제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및 제2 흡착통(7, 8)은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착 할 수 있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7a, 8a)과,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 할 수 있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7b, 8b)을 구비하고 있다. 제2 흡착층(7b, 8b)은 제1 흡착층(7a, 8a)에 대하여 공기 유통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흡착층(7a, 8a)을 구성하는 흡착제로서는 알루미나 겔, 실리카 겔을 들 수 있다.
제2 흡착층(7b, 8b)을 구성하는 흡착제로서는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로서는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의 나트륨 일부 또는 전부를 마그네슘으로 이온 교환한 것(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또는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온 교환성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의 비율)은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온 교환율은 중량%로 나타낸다.
이 흡착제로서는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과 칼슘을 함유하는 것(마그네슘-칼슘 X형 제올라이트)을 이용할 수 있다.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X형 제올라이트는 그 골격을 구성하는 실리카와 알루미나의 비율(Si/Al비)이 약 1.0∼1.5인 것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Si/Al비가 1.15 이상인 것은 관습적으로 저 실리카 X형 제올라이트(LSX)로 불리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X형 제올라이트의 Si/Al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Si/Al비가 1.0∼1.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흡착층(7b, 8b)을 구성하는 흡착제로서는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칼슘 및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A형 제올라이트(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착층(7b, 8b)을 구성하는 흡착제로서는 상기 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마그네슘-칼슘 X형 제올라이트,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 중에서 1종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한 정제 장치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정제 방법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원료 공기(RA)는 경로(L1)를 경유하여 압축기(1)로 압축되며, 냉각기(2)에서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되어, 물 분리기(3)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흡착기(4)에 도입된다.
흡착기(4)에서는 이 원료 공기는 제1 및 제2 흡착통(7, 8) 중의 어느 한 쪽에 도입된다. 이하, 원료 공기가 제1 흡착통(7)에 도입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경로(L2a)를 통하여 흡착통(7)에 도입된 원료 공기는 우선 상류 측의 제1 흡착층(7a)에 도입되며, 원료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 제거된다.
제1 흡착층(7a)을 경유한 공기는 하류 측의 제2 흡착층(7b)에 도입되어, 여기서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가 흡착 제거된다. 제2 흡착층(7b)에서는, 이산화탄소도 제거된다.
제2 흡착층(7b)을 경유한 공기는 경로(L3a, L4)를 통하여 정제 공기로서 공기 액화 분리 장치(6)에 도입되며, 여기서 저온 증류되어, 질소(N2), 산소(O2), 아르곤(Ar) 등으로 분리된다.
이하, 흡착기(4)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흡착통(7)에서 흡착 처리가 행하여질 때에는, 원료 공기가 도입되지 않은 제2 흡착통(8)에서 흡착제의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
제2 흡착통(8)에서의 재생 처리에는 공기 액화 분리 장치(6)로부터의 폐가스가 재생 가스로서 이용된다. 즉, 이 폐가스는 경로(L5)를 경유하여 가열기(5)에서 100∼250℃로 가열된 후, 경로(L6, L7b)를 경유하여 제2 흡착통(8)에 도입되어, 흡착제를 가온한다. 이것으로써, 흡착제에 흡착된 물, 이산화탄소, 질소 산화물, 탄화수소 등이 탈착되어 흡착제는 재생된다.
제2 흡착통(8)을 경유한 폐가스는 경로(L8b, L9)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2 흡착통(8)의 흡착제의 재생 처리가 종료한 후에는, 공기 액화 분리 장치(6)로부터의 폐가스를 가열기(5)를 우회하는 경로(L10)를 경유하여, 경로(L6, L7b)를 통하여 제2 흡착통(8)에 도입한다. 이 폐가스는 가열기(5)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저온인 것으로, 재생 처리에서 가열된 흡착제를 냉각할 수 있다.
제1 흡착통(7) 내의 흡착제가 흡착 포화에 가까워지면, 원료 공기의 제1 흡착통(7)으로의 공급을 정지하여, 원료 공기를 경로(L2b)를 통하여 제2 흡착통(8)에 도입한다.
원료 공기는 제1 흡착층(8a)에서 수분이 제거되며, 제2 흡착통(8b)에서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가 제거된 후, 경로(L3b, L4)를 통하여 정제 공기로서 공기액화 분리 장치(6)에 도입된다.
제2 흡착통(8)에서 흡착 처리가 행하여질 때에는, 공기 액화 분리 장치(6)로부터의 폐가스가 가열기(5)에서 가온된 후, 경로(L6, L7a)를 경유하여 제1 흡착통(7)에 도입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킨다. 제1 흡착통(7)을 경유한 폐가스는 경로(L8a, L9)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1 흡착통(7)의 흡착제의 재생 처리가 종료한 후에는, 공기 액화 분리 장치(6)로부터의 폐가스를 경로(L10, L6, L7a)를 통하여 제1 흡착통(7)에 도입하여, 흡착제를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정제 방법은 한 쪽의 흡착통에서 흡착 처리를 행하는 사이에, 다른 쪽의 흡착통에서 재생 처리를 행하여, 이들 흡착통(7, 8)을 전환 사용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원료 공기의 정제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장치에서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7a, 8a)과,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7b, 8b)을 구비한 흡착통(7, 8)을 가지는 흡착기(4)를 구비하며, 제2 흡착층(7b, 8b)을 구성하는 흡착제가 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마그네슘-칼슘 X형 제올라이트,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등이기 때문에,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액화 분리 장치(6)에서, 증류물 중에 질소 산화물이나 탄화수소가 농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도시한 정제 장치는 흡착통(7, 8)의 제1 흡착층(7a, 8a)과 제2 흡착층(7b, 8b) 사이에,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3 흡착층(7c, 8c)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에 도시한 정제 장치와 다르다.
이 정제 장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정제 장치와 마찬가지로, 제2 흡착층(7b, 8b)을 구성하는 흡착제로서, 상술한 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마그네슘-칼슘 X형 제올라이트,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3 흡착층(7c, 8c)에 이용되는 흡착제로서는 나트륨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 나트륨을 함유하는 A형 제올라이트(나트륨 A형 제올라이트), 칼슘을 함유하는 A형 제올라이트(칼슘 A형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한 정제 장치를 사용한 본 발명의 정제 방법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 정제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 공기(RA)의 정제를 행할 때에는, 원료 공기는 제1 흡착층(7a, 8a)에서 수분이 제거되며, 제3 흡착층(7c, 8c)에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며, 제2 흡착층(7b, 8b)에서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가 제거된 후, 경로(L3a, L3b, L4)를 통하여 정제 공기로서 공기 액화 분리 장치(6)에 도입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장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정제 장치와 마찬가지로,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액화 분리 장치(6)에서, 증류물 중에 질소 산화물이나 탄화수소가 농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장치에서는 제1 흡착층(7a, 8a)과 제2 흡착층(7b, 8b) 사이에, 이산화탄소를 흡착 제거하는 제3 흡착층(7c, 8c)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후에, 이 공기를 제2 흡착층(7b, 8b)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흡착층(7b, 8b)에서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장치에서는 수분 제거용 수분 흡착층과, 이산화탄소 제거용 이산화탄소 흡착층을 가지는 흡착통을 구비한 종래형 정제 장치의 이산화탄소 흡착층보다도 하류 측에, 상기 흡착제(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등)로 이루어지는 흡착층을 형성한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기존의 정제 장치의 흡착통에, 상기 흡착제(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 등)를 추가 충전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설비에 필요한 비용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실험 1>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NaX)를 마그네슘 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에 30분간 침지시키는 이온 교환 처리를 3회 행하여, 이온 교환성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함유율(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약 65%인 흡착제(NaMgX)를 얻었다.
게다가, 이온 교환 처리의 회수나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을 바꾼 다수종의 흡착제(NaMgX)를 제작하였다.
이들 흡착제를 이용하여 일산화이질소의 흡착 시험을 행한 결과를 도 3에 도시한다.
도 3으로부터,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40% 이상에서 급격한 흡착량의 증가가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을 40% 이상으로 함으로써,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2>
칼슘 X형 제올라이트(CaX)를,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30분간 침지시키는 이온 교환 처리를 20회 행하여, 이온 교환성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함유율(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55%인 흡착제(MgCaX)를 얻었다.
게다가, 이온 교환 처리의 회수나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을 바꾼 다수종의 흡착제(MgCaX)를 제작하였다.
이들 흡착제를 이용하여 일산화이질소의 흡착 시험을 행한 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로부터,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5% 이상에서, 분명히 유의한 흡착량의 증가가 나타나기 때문에,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3>
칼슘 A형 제올라이트(CaA)를 마그네슘 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에 30분간 침지시키는 이온 교환 처리를 20회 행하여, 이온 교환성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함유율(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약 55%인 흡착제(MgCaA)를 얻었다.
게다가, 이온 교환 처리의 회수나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을 바꾼 다수종의 흡착제(MgCaA)를 제작하였다.
이들 흡착제를 이용하여 일산화이질소의 흡착 시험을 행한 결과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로부터,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5% 이상인 경우에, 이온 교환율이 0%인 경우에 비하여 10% 이상의 흡착량 증가가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4>
제2 흡착층(7b, 8b)을 구성하는 흡착제(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 가능한 것)의 흡착 특성의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일산화이질소를 질소 산화물로서 이용하였다.
일산화이질소는 공기 중에서 0.3ppm 전후밖에 존재하지 않는 미량 성분이기 때문에, 공기 중의 분압이 낮다. 그래서, 저압 하에서의 일산화이질소 흡착량을측정하였다. 각종 흡착제에 대하여 일산화이질소를 흡착시켜, 이들 흡착제의 일산화이질소에 관한 흡착 등온선을 작성하였다. 흡착 시험의 온도 조건은 10℃로 하였다. 얻은 흡착 등온선을 도 6에 도시한다.
도 6으로부터, 종래의 정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NaX)에 비하여,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NaMgX,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 65%), 마그네슘-칼슘 X형 제올라이트(MgCaX,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 55%)는 일산화이질소의 흡착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6으로부터,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NaX)에 비하여, 칼슘 A형 제올라이트(CaA),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MgCaA,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 55%)는 일산화이질소의 흡착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6으로부터, 칼슘 A형 제올라이트(CaA)에 비하여,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MgCaA)는 일산화이질소의 흡착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도 6으로부터,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NaMgX)는 칼슘 A형 제올라이트(CaA)에 비하여, 공업적인 정제 처리 조건에 상당하는 저압 하(의형압력 1.5㎩ 이하)에서는 일산화이질소의 흡착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한 X형 또는 A형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일산화이질소에 대한 뛰어난 흡착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5>
흡착 대상을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로 하여, 다음에 나타내는 흡착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흡착 대상을 함유하는 가스를 흡착층에 접촉시켜, 흡착층을 통과한 가스 중에서의 흡착 대상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7∼도 9는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NaX)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일산화이질소를 흡착 대상으로 하는 파과 곡선을 도시하며, 도 9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대상으로 하는 파과 곡선을 도시하며, 도 7은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흡착시킨 때의 파과 곡선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이산화탄소에 비하여 일산화이질소는 파과하기까지의 시간이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로부터, 이들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흡착시킨 경우에도, 일산화이질소의 파과가 빨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산화탄소 제거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NaX)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와 일산화이질소를 동시에 효율 좋게 흡착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6>
흡착 대상을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로 하여 흡착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은 시험 5에 준하였다.
도 10∼도 12는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NaMgX-마그네슘 이온 교환율 65%)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일산화이질소를 흡착 대상으로 하는 파과 곡선을 도시하며, 도 12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대상으로 하는 파과 곡선을 도시하며, 도 10은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흡착시킨 때의 파과 곡선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로부터, 이산화탄소의 경우와 일산화이질소의 경우를 비교하여, 파과하기까지의 시간에 큰 차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일산화이질소의 흡착대가 비교적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으로부터,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흡착시킨 경우, 이들 각 성분의 파과 시간은 각 성분을 단독으로 흡착시킨 경우(도 11, 도 12를 참조)와 거의 동등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일산화이질소의 흡착대가 이산화탄소 흡착의 영향을 받아서 약간 짧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험 결과로부터,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NaMgX)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와 일산화이질소를 동시에 흡착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흡착층에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하며, 제2 흡착층에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NaMgX)를 이용함으로써, 수분, 질소 산화물,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시험 7>
흡착 대상을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로 하여 흡착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은 시험 5에 준하였다.
도13∼도15는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MgCaA)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일산화이질소를 흡착 대상으로 하는 파과 곡선을 도시하며, 도 15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대상으로 하는 파과 곡선을 도시하며, 도 13은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흡착시킨 때의 파과 곡선을 도시한다.
도 13으로부터, 일산화이질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흡착시킨 경우, 이들 각 성분의 파과 시간은 각 성분을 단독으로 흡착시킨 경우(도 14, 도 15를 참조)와 거의 동등하거나 그것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험 결과로부터, 마그네슘-칼슘 A형 제올라이트(MgCaA)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와 일산화이질소를 동시에 효율 좋게 흡착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도 2에 도시한 정제 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정제를 행하였다.
흡착통(7, 8)은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향하여, 알루미나 겔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7a, 8a),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NaX)로 이루어지는 제3 흡착층(7c, 8c), 나트륨-마그네슘 X형 제올라이트(NaMgX)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7b, 8b)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원료 공기를 공기 압축기(1)에서 550㎪로 압축하여, 냉각기(2)에서 10℃까지 냉각한 후, 흡착기(4)에서 원료 공기 중의 불순물(수분, 이산화탄소 및 질소 산화물)을 흡착 제거하였다. 원료 공기 중의 일산화이질소 농도는 0.3ppm이였다. 흡착통(7, 8)은 4시간마다 전환 사용하였다.
이 시험 결과, 흡착기(4)로부터의 도출 가스 중에는 수분, 이산화탄소, 일산화이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에서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과,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을 구비한 흡착통을 가지는 흡착기를 구비하며,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가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이기 때문에,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액화 분리 장치에서, 증류물 중에 질소 산화물이나 탄화수소가 농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흡착층과 제2 흡착층 사이에, 이산화탄소를 흡착 제거하는 제3 흡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후에, 이 공기를 제2 흡착층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흡착층에서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공기를 저온 증류에 의해 주로 질소와 산소로 분리되는 공기 액화 분리에 원료로서 이용되는 공기를 정제하는 장치에 있어서,
    공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과, 제1 흡착층을 경유한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을 구비한 흡착통을 가지는 흡착기를 구비하며,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가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와, 나트륨 X형 제올라이트의 나트륨 일부 또는 전부를 마그네슘으로 이온 교환한 흡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와,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과 칼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를 대신하여,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A형 제올라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양이온 중의 마그네슘 이온 교환율이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1 흡착층과 제2 흡착층 사이에,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3 흡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9. 공기를 저온 증류에 의해 주로 질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공기 액화 분리에 원료로서 이용되는 공기를 정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흡착층과, 제1 흡착층을 경유한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2 흡착층을 구비한 흡착통을 가지는 흡착기를 구비하며, 제2 흡착층을 구성하는 흡착제가 이온 교환가능한 양이온으로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X형 제올라이트인 정제 장치를 이용하며,
    원료 공기 중의 수분을 제1 흡착층에서 흡착 제거한 후, 이 공기 중의 질소 산화물 및/또는 탄화수소를 제2 흡착층에서 흡착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흡착층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착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제1 흡착층과 제2 흡착층 사이에,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지는 제3 흡착층이 설치된 정제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흡착층을 경유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3 흡착층에서 흡착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방법.
KR1020020032032A 2001-08-07 2002-06-07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및 방법 KR100855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9159 2001-08-07
JPJP-P-2001-00239159 2001-08-07
JP2001328366A JP3545377B2 (ja) 2001-08-07 2001-10-25 空気液化分離用空気の精製装置および方法
JPJP-P-2001-00328366 2001-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240A true KR20030013240A (ko) 2003-02-14
KR100855151B1 KR100855151B1 (ko) 2008-08-28

Family

ID=2662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032A KR100855151B1 (ko) 2001-08-07 2002-06-07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24588B2 (ko)
EP (1) EP1284405B1 (ko)
JP (1) JP3545377B2 (ko)
KR (1) KR100855151B1 (ko)
CN (1) CN1332737C (ko)
DE (1) DE60218583T2 (ko)
TW (1) TW54289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409B1 (ko) * 2009-04-24 2011-06-17 (주)솔리드메카 Bga패키지 테스트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bga패키지 테스트 방법
WO2016108323A1 (en) * 2014-12-31 2016-07-07 Ecopro Co. Ltd. Adsorbent having microwave absorption proper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3155B2 (en) * 2002-04-29 2004-04-2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urification of gas streams
WO2005035100A1 (en) * 2003-09-24 2005-04-21 Donaldson Company, Inc. High purity air and gas fractionation system
FR2863909B1 (fr) * 2003-12-22 2006-05-26 Ceca Sa Methode de purification de flux gazeux pollue par co2 et hydrocarbure(s) et/ou oxyde(s) d'azote par adsorbant zeolitique agglomere
EP1736237A4 (en) * 2004-03-30 2009-05-06 Taiyo Nippon Sanso Corp PRE-TREATMENT OF A CLEANING AGENT FOR AIR CLEANING DEVICE AND HYDROCARBON ABSORPTION AGENT FOR USE THEREIN AND PROCESS FOR PRE-TREATMENT OF ROLE AIR
JP3778915B2 (ja) * 2004-03-31 2006-05-24 大陽日酸株式会社 原料空気精製装置の再起動方法
EP1765485B1 (en) * 2004-07-08 2012-09-12 Hyosung Corporation Process for refining nitrogen trifluoride gas using alkali earth metal exchanged zeolite
ES2392979T3 (es) * 2004-07-08 2012-12-17 Hyosung Corporation Procedimiento para refinar gas trifluoruro de nitrogeno usando zeolita sometida a intercambio iónico e impregnada con un metal alcalinotérreo
US20080184882A1 (en) * 2004-09-24 2008-08-07 White Donald H High purity air and gas fractionation system
JP4590287B2 (ja) * 2005-03-15 2010-12-01 大陽日酸株式会社 空気液化分離装置における原料空気の精製方法
US9651302B2 (en) 2005-12-14 2017-05-16 Taiyo Nippon Sanso Corporation Purification method and purification apparatus for feed air in cryogenic air separation
FR2896861B1 (fr) * 2006-01-31 2008-07-18 Air Liquide Procede de regulation d'un ensemble d'appareils de separation d'air par distillation cryogenique et ensemble d'appareils de separation d'air operant selon ledit procede
FR2913610A1 (fr) * 2007-03-16 2008-09-19 Air Liquide Procede pour eliminer le n2o d'un flux gazeux
CN100491874C (zh) * 2007-05-24 2009-05-27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去除大型制氧机中氧化亚氮聚集的方法
US8734571B2 (en) * 2012-05-31 2014-05-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urification of air
US10464813B2 (en) 2013-06-18 2019-11-05 Versum Materials Us, Llc Process for recovery and purification of nitrous oxide
US20160136556A1 (en) * 2014-11-18 2016-05-1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taminant separator for a nitrogen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an airstream
CN105758118A (zh) * 2014-12-19 2016-07-13 常熟市永安工业气体制造有限公司 空分系统
US10029204B2 (en) * 2015-10-12 2018-07-24 GE Oil & Gas, Inc. Regenerating sieve material used for processing natural gas
US9795915B2 (en) * 2016-01-29 2017-10-2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Heater arrangement for TEPSA system
US20200063056A1 (en) * 2018-08-23 2020-02-27 M Chemical Company Adsorbent and process for methanol and oxygenates separation
US11137205B2 (en) * 2018-12-21 2021-10-05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heat bumps following regeneration of adsorbers in an air separation unit
US12196486B2 (en) * 2021-07-21 2025-01-1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ir separation apparatus, adsorber, and method
CN114307950A (zh) * 2021-12-31 2022-04-12 北京北大先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性能CaMgA分子筛吸附剂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820A (ja) 1989-11-09 1991-07-01 Kawasaki Steel Corp 圧延荷重の予測方法
JPH072967B2 (ja) 1989-11-10 1995-01-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大入熱溶接継手靭性の優れた構造用鋼板の製造方法
US5531808A (en) * 1994-12-23 1996-07-02 The Boc Group, Inc. Removal of carbon dioxide from gas streams
US5919286A (en) * 1997-03-06 1999-07-0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SA process for removel of nitrogen oxides from gas
US5779767A (en) * 1997-03-07 1998-07-1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Use of zeolites and alumina in adsorption processes
FR2773499B1 (fr) * 1998-01-14 2000-02-11 Air Liquide Procede de purification par adsorption de l'air avant distillation cryogenique
US6106593A (en) 1998-10-08 2000-08-2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urification of air
FR2784600B1 (fr) * 1998-10-20 2000-12-08 Air Liquide PROCEDE DE PURIFICATION D'UN FLUIDE CRYOGENIQUE COMPORTANT DES IMPURETES N2O, CnHm ET/OU NOx
FR2784599B1 (fr) * 1998-10-20 2000-12-08 Air Liquide Procede de purification d'un flux gazeux en ses impuretes n2o
EP1005904A3 (en) * 1998-10-30 2000-06-14 The Boc Group, Inc. Adsorbents and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JP2000279752A (ja) 1999-03-30 2000-10-10 Mitsubishi Heavy Ind Ltd 亜酸化窒素吸着剤、吸着塔および廃水の処理方法
US6143057A (en) * 1999-04-23 2000-11-07 The Boc Group, Inc. Adsorbents and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JP4755328B2 (ja) * 1999-07-29 2011-08-24 リンデ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空気浄化方法及び装置
US6391092B1 (en) * 1999-10-12 2002-05-21 The Boc Group, Inc. Thermal swing adsorption process for the removal of dinitrogen oxide, hydrocarbons and other trace impurities from air
JP2002001113A (ja) * 2000-06-27 2002-01-08 Nippon Sanso Corp 圧力変動吸着分離用の吸着剤及び吸着筒並びに装置
US6416569B1 (en) * 2000-08-28 2002-07-09 The Boc Group, Inc.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process
US6432171B1 (en) * 2000-08-28 2002-08-13 The Boc Group, Inc. Thermal swing adsorption process
DE60124354T2 (de) * 2000-08-28 2007-08-30 The Boc Group, Inc. Verfahren zur adsorptiven Reinigung von Luft
US6409800B1 (en) * 2000-08-28 2002-06-25 The Boc Group, Inc.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process
US6506236B2 (en) * 2001-03-28 2003-01-1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reducing the level of carbon dioxide in a gaseous mix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409B1 (ko) * 2009-04-24 2011-06-17 (주)솔리드메카 Bga패키지 테스트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bga패키지 테스트 방법
WO2016108323A1 (en) * 2014-12-31 2016-07-07 Ecopro Co. Ltd. Adsorbent having microwave absorption property
US9962681B2 (en) 2014-12-31 2018-05-08 Ecopro Co., Ltd Adsorbent having microwave absorption proper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4405B1 (en) 2007-03-07
EP1284405A2 (en) 2003-02-19
CN1332737C (zh) 2007-08-22
CN1414328A (zh) 2003-04-30
TW542896B (en) 2003-07-21
KR100855151B1 (ko) 2008-08-28
US6824588B2 (en) 2004-11-30
DE60218583T2 (de) 2007-11-08
DE60218583D1 (de) 2007-04-19
US20030029314A1 (en) 2003-02-13
JP2003121070A (ja) 2003-04-23
JP3545377B2 (ja) 2004-07-21
EP1284405A3 (en)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151B1 (ko) 공기 액화 분리용 공기의 정제 장치 및 방법
EP0992274B1 (en) Purification of air
US6270557B1 (en) Process for purifying air by adsorption before cryogenic distillation
JP2967871B2 (ja) 二酸化炭素と水の吸着方法及び吸着剤
RU2099129C1 (ru)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сырой газовой смеси
US5989506A (en) Process for the removal and recovery of mercury from hydrocarbon streams
US5919286A (en) PSA process for removel of nitrogen oxides from gas
KR100300918B1 (ko) 가스정제방법및장치
US6468328B2 (en) Oxygen production by adsorption
US6273939B1 (en) Process for purifying a gas stream of its N2O impurities
US6425937B1 (en) Process for purifying air by adsorption over a barium-exchanged zeolite
WO20030535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purification
US7011695B2 (en) Barium-and calcium-based zeolitic adsorbent for gas purification in particular air
EP0946410B1 (en) Process for recovering sulfur hexafluoride
JP2010158678A (ja) プロパン吸着剤及び前処理精製装置、並びに原料空気の前処理方法
RU2100336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алкена
CN1498669A (zh) 从原料气流中吸附一氧化二氮的方法
NZ264478A (en) Argon purification using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liquid argon passed through adsorption bed at temperature between the bubble point and dew point
KR20010067037A (ko) 공기 정화 방법 및 장치
AU659759B2 (en) Purification of argon by cryogenic adsorption
US483495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purity argon
JP2000271425A (ja) 予備冷却なしに空気を精製し、低温分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ラント
CA2165378A1 (en) Purification of natural gas
KR20250006053A (ko) 분자체를 사용하여 제논을 수득하는 방법
US20080256913A1 (en) Systems for purifying a gas mixture comprising two gases using granulated porous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6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120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