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12999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999A
KR20030012999A KR1020010047272A KR20010047272A KR20030012999A KR 20030012999 A KR20030012999 A KR 20030012999A KR 1020010047272 A KR1020010047272 A KR 1020010047272A KR 20010047272 A KR20010047272 A KR 20010047272A KR 20030012999 A KR20030012999 A KR 20030012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999A/ko
Publication of KR2003001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9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음성 통화시의 통화 절차와 같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송 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원하는 상대측 단말기의 수신번호를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수신번호 입력이 완료된 후, 단문 메시지 전송(SMS) 또는 음성통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 경우,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한 메시지 내용의 작성이 완료된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져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음성 통화시의 통화 절차와 같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송 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여 1인 1전화 시대가 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유선방식 일반전화를 이용한 통화 횟수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횟수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는 메모를 해야될 경우가 발생하는데, 특히 업무적으로 사용하는 전화 이외에 개인적으로 직접 연락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메모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서 전화통화를 할 경우에는, 대부분 전화기 옆에 필기도구와 메모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통화중 메모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는 도보나 교통수단에 의해 특정 지역을 이동하는 중에 전화를 받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필기도구와 메모지를 구비하지 못할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에 전화번호 등 메모할 사항이 발생할 경우는, 상대측이 불러주는 전화번호를 암기하고 있다가 통화가 끝난 후 암기한 전화번호를 단말기의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런데,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전송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며, 전달할 내용이 간단한 경우나 음성통화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음성통화 보다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는 편이 훨씬 편리하고, 요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구비된 단문 메시지 전송(SMS) 기능키(미도시)를 누르고, "메시지 전송(또는 발신)" 메뉴를 선택한다.
다음, 수신 번호와 회신 번호를 차례로 입력한 후, "새로운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메시지 내용을 작성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메시지 전송 절차는 일반적인 음성 통화 절차와는 달리, 거쳐야 하는 절차가 많고, 그 순서에 있어서도 음성 통화 절차와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여 중장년층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외면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음성 통화시의 통화 절차와 같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송 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원하는 상대측 단말기의 수신번호를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수신번호 입력이 완료된 후, 단문 메시지 전송(SMS) 또는 음성통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 경우,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한 메시지 내용의 작성이 완료된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사용자는 기존의 음성통화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대측 단말기의 수신번호를 먼저 입력하고(S11), 다음으로 단문 메시지 전송(SMS) 기능키(미도시)를 누른다(S12).
다음, 새로운 메시지 내용이나 기 저장되어 있던 메시지를 로딩(Loading)한 후(S15), "전송" 버튼을 누르면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이 이루어진다(S16, S17).
이때, 회신 번호는 메시지 전송 전 어느 단계에 삽입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SMS) 기능키를 누른 다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14).
또한, 상기 상대측 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은 지역번호, 국번 및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하거나, 단축 다이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단축 다이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기존의 음성 통화시에 이용하던 다이얼 입력 절차를 그대로 단문 메시지 전송에 적용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는 일단 상대측 전화번호를 먼저 입력한 뒤, 음성 통화를 할 것인지 아니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음성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는 "통화"버튼(미도시)을 누르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는 "단문 메시지 전송"버튼(미도시)을 누른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해 따로 사용법을 습득할 필요가 없게 된다.
물론, 음성 통화시는 "통화"버튼을 누른 후, 상대측과 통화 연결이 되면, 음성을 주고받으면 된다(S13).
그러나, 단문 메시지 전송은 전송할 문자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메시지 작성 등 몇가지 절차가 더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기존의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은 단문 메시지 전송에 관련된 서브 메뉴들을 호출하는 일종의 메뉴 호출 버튼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즉,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을 누르면 메시지 송/수신에 관련된 서브 메뉴가 표시되고, 메시지 송신을 위해 메시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새로운 메시지를전송할 것인지, 기 저장되어 있던 메시지를 로딩할 것인지 등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의 용도는, 수신번호를 입력한 후 바로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을 누르면, 단문 메시지를 바로 전송하겠다는 일종의 전송명령이 되고, 수신번호 입력 없이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을 누르면,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번호 입력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상기 단축 다이얼과 전화번호 직접 입력 방법 이외에도, 단말기의 부가기능 중 하나인 전화 번호부(Phone Book) 기능을 연계하여, 수신자의 대표 번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수신번호를 입력하던 간에, 수신번호 입력 후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을 눌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그 순서에 있어서 음성 통화 절차 차이가 없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메시지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은,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음성 통화시의 통화 절차와 같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송 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원하는 상대측 단말기의 수신번호를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수신번호 입력이 완료된 후, 단문 메시지 전송(SMS) 또는 음성통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 경우,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한 메시지 내용의 작성이 완료된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단문 메시지 전송 여부의 판단은, 수신번호 입력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버튼의 종류에 따라, 그 버튼이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인 경우에, 단문 메시지 전송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은 수신번호가 입력되지 않고 선택될 경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전송하고자 하는 단문 메시지는, 새로운 메시지를 작성하는 대신, 기 작성되어 있던 메시지를 로딩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수신번호는 지역번호, 국번 및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단축 다이얼 또는 전화 번호부 기능과 연계하여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KR1020010047272A 2001-08-06 2001-08-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KR20030012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272A KR20030012999A (ko) 2001-08-06 2001-08-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272A KR20030012999A (ko) 2001-08-06 2001-08-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999A true KR20030012999A (ko) 2003-02-14

Family

ID=2771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272A KR20030012999A (ko) 2001-08-06 2001-08-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9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64B1 (ko) * 2004-01-26 2006-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KR100793769B1 (ko) * 2001-08-08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자메일전송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2032A (en) * 1995-11-27 1997-11-25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rminal having one key user message acknowledgment function
JPH1056666A (ja) * 1996-04-09 1998-02-24 Nokia Mobile Phones Ltd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のメッセージのメニュー駆動入力方法
US6161020A (en) * 1997-10-18 2000-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radio terminal with SMS function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10039046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전화번호부 기능간 연동 방법
KR20010077232A (ko) * 2000-02-01 2001-08-17 김영탁 휴대폰의 문자메세지전송서비스기능을 이용한문자채팅(송,수신)방법
US20020107051A1 (en) * 2001-02-08 2002-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2032A (en) * 1995-11-27 1997-11-25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rminal having one key user message acknowledgment function
JPH1056666A (ja) * 1996-04-09 1998-02-24 Nokia Mobile Phones Ltd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のメッセージのメニュー駆動入力方法
US6161020A (en) * 1997-10-18 2000-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radio terminal with SMS function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10039046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전화번호부 기능간 연동 방법
KR20010077232A (ko) * 2000-02-01 2001-08-17 김영탁 휴대폰의 문자메세지전송서비스기능을 이용한문자채팅(송,수신)방법
US20020107051A1 (en) * 2001-02-08 2002-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69B1 (ko) * 2001-08-08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자메일전송방법
KR100598064B1 (ko) * 2004-01-26 2006-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30053A1 (en)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unit
KR200300129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KR1004640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KR1010092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KR20000044293A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KR1003937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0820793B1 (ko) 원격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03938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다중전송 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040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그룹 등록방법
KR100690704B1 (ko) 휴대폰의 신호 전송방법
KR100618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KR2002007837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시간 표시 방법
KR100406955B1 (ko) 통신단말기의 단축전화번호 송출방법
JPH10112765A (ja) Fax機能付き携帯電話装置
KR20030044122A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9806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JP2001127869A (ja) 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電話装置
KR100539873B1 (ko) 이동단말기의미확인수신단문메시지검색방법
KR2005006194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그룹정보를 이용한 착신거부 방법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1004865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65278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자 고유번호 입력방법
KR20050021660A (ko)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927

Appeal identifier: 2004101001245

Request date: 2004032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3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10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405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320

Effective date: 200509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12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320

Effective date: 200509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509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40320

Decision date: 20050927

Appeal identifier: 200410100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