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10242A -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242A
KR20030010242A KR1020010045125A KR20010045125A KR20030010242A KR 20030010242 A KR20030010242 A KR 20030010242A KR 1020010045125 A KR1020010045125 A KR 1020010045125A KR 20010045125 A KR20010045125 A KR 20010045125A KR 20030010242 A KR20030010242 A KR 2003001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sheet
present
polye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박종훈
김동옥
배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to KR102001004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0242A/ko
Priority to JP2001313003A priority patent/JP2003053817A/ja
Publication of KR2003001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24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입경이 0.2~7.0㎛인 맥반석 또는 황토등 원적외선 방사체의 미세한 분말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5.0~50중량% 혼합하여 분산성이 우수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한 다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를 함유한 마스터배치 칩을 1.0~40중량% 첨가하고, 100~150℃에서 3.0~5.0시간 가열 건조하고, 압출기를 사용하여 시트형상으로 압출시킨 다음, 카렌더롤의 온도를 10~50℃로 급냉하여, 시트의 두께 0.1~10.0㎜인 원적외선 방출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시트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백화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시트로 만들어진 성형품은 반영구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비교적 오랜 기간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식품의 숙성효과가 뛰어나고, 냄새를 제거하며, 맛과 영양의 보존작용 및 습도 유지와 물의 활성화 작용등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a polyester sheet excelling in forming and radiating far-infrared rays}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뛰어난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에 관한 것으로써, 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맥반석, 세라믹류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체의 미세분말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수지를 일정량 투입하여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뛰어난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에서 얻어진 시트는 진공성형, 압공성형 또는 진공·압공 성형시 성형성이 우수하고, 백화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된 각종 용기는 반영구적으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각종 식품의 신선도 유지기간을 연장시키고, 식품의 숙성효과가 뛰어나고, 냄새를 제거하며, 맛과 영양의 보존 및 습도의 유지와 물의 활성화 작용등 그 효과가 우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용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는 기계적 강도, 열적특성,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 내습성, 내수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시트상으로 성형된 후, 각종 식품 포장용기, 성형용, 건축자재용, 농수축산용 소재 및 일반 포장용기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그 자체만으로 제조된 시트는 투명성은 우수하지만 기능성이 부여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 전개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맥반석, 황토, 세라믹 등의 원적외선 방사체중 적어도 1종 이상을 시트 제조공정중 투입함으로써 반영구적인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체를 첨가하여 시트상으로 제조 할 때에 시트의 표면층에 있는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서 시트가 가이드롤을 통과할 때 롤을 마모시키게 되며, 또한 과량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함유하는 경우, 시트가 부서지기 쉬워지므로 성형품의 깨짐현상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황토, 맥반석, 세라믹 등의 원적외선 방사체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마스터배치로 제조한 다음, 시트 제조공정중에 투입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 시트를 제조하기에 이르렀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된원적외선 방사체 내에는 SiO2, Al2O3, MgO, (K,H3O)Al2(Si,Al)4O10(H2O,OH)2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스터배치 제조시 원적외선 방사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분말상태로 분쇄하고, 원적외선 방사체 분말은 평균입경이 0.2~7.0㎛ 사이로 조절된 입경을 갖는 미세한 황토, 맥반석, 세라믹 파우더중 1종 또는 2종을 혼합기에서 60분이상 혼합한 후, 이를 트윈 압출기로 압출하여 분산성이 우수한 마스터배치 수지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제조된 마스터배치 수지를 3층이상 적층시트의 코어층에 1.0~10.0g/㎡ 함유시켜 반영구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본산과 글리콜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제조된 극한점도 0.5 ∼0.7dl/g가 되도록 중합하고, 이를 고상중합 공정을 통해 극한점도가 0.75~1.0 dl/g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 다음, 이를 저온에서 미세분말 형상으로 분쇄하여 분말의 평균 크기가 50Mesh를 초과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고온 가공처리 및 분쇄과정을 통해 평균입경이 0.2~7.0㎛인 맥반석, 황토 및 세라믹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체 미립자를 혼합기에서 60분이상 혼합한 후, 트윈 압출기로 압출하여 원적외선 방사 마스터배치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마스터배치 수지의 원적외선 방사체 함량은 5.0~50중량%로 하는 것이분산성이 우수하다. 분산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해서는 수지내의 원적외선 방사체의 함량을 5.0~3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초과하면 원적외선 방사체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극한점도가 떨어져 칩이 쉽게 부서지는 현상(brittle)이 일어나 시트제조 후에도 기계적 강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좋다. 제조된 마스터배치 수지를 100~150℃에서 3.0~5.0 시간 가열 건조시킨 다음, 공 압출장치로 공급하여 코어층 또는 서브층에 원적외선 방사체를 1.0~10.0g/㎡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영역(λ=4∼ 25㎛)의 분광 방사율이 80%를 초과하는 복수층의 무정형 시트를 얻게된다. 시트의 제조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온 가공처리 및 분쇄과정을 통해 제조된 평균입경 0.2~7.0㎛로 조절된 입경을 갖는 미세 분말의 황토, 맥반석, 세라믹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기에서 파우더 형태로 분쇄된 폴리에스테르와 60분 이상 충분히 혼합하여 분산 시킨후, 트윈 압출기로 압출하여 분산성이 우수한 원적외선방사 마스터배치 수지를 제조한다. 이때 압출 공정에서는 압출시 가수분해에 의한 물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장치에 의해 충분히 수분을 제거하여야 하며, 여기서 얻어진 마스터배치 수지는 극한점도는 0.60~0.75dl/g 정도이다. 원적외선방사 마스터배치 수지내 원적외선 방사체 함량은 5.0~30중량%가 적당하다. 이 범위를 초과하면 원적외선 방사체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시트 제조시 용융 압출공정에서 필터압 상승으로 시트 제조가 어려워지며,극한점도 저하로 인해 마스터배치 칩이 부서지기 쉽게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체가 함유된 마스터배치 수지를 100~150℃에서 3.0~5.0시간 가열 건조공정을 통해 공정 수분율 150ppm이하인 원적외선방사 마스터배치 수지를 공압출 장치로 공급하여 코어층 또는 서브층에 원적외선 방사체를 1.0~10.0g/㎡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영역의 분광 반사율이 80%를 초과하는 복수층의 무정형 시트를 얻게 된다. 이 때에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 시트는 코어층의 층비가 전체 두께의 9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코어층의 충비가 90%를 초과하게 되면 원적외선 방사체가 표층으로 돌출되어 시트 제조공정 중에 가이드롤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9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제조된 시트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원적외선 방사영역(λ=4~25㎛)의 분광방사율이 80%를 초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 제조시 우수한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가지며, 공정 통과성이 우수하고 각종의 용기로 성형시 우수한 성형성을 가지며, 특히 식품용기로 사용시 내용물의 장기 보관성이 우수한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특성치 및 제반 물성측정은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원적외선방사체의 평균입경
사용된 모든 입자의 평균입경은 메탄올에 분산된 상태에서 입도분포 측정기
(Granulometer HR-85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때 입자를 구형으로 환산한 체적분율 50%인 점을 입자의 평균입경으로 하였다.
(2) 원적외선 방사율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의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값임.
(3) 시트의 탁도(Haze)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헤이즈 측정기(Nippon Denshoku사 제품 300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때 헤이즈값은 전체산란광/전체투과광×100으로 산출한 값이다.
(4) 가이드롤 마모상태
48시간 생산 후, 가이드롤의 표면상태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1급: 가이드롤 표면에 손상이 전혀 없는 상태.
2급: 가이드롤 표면에 약간의 스크레치가 발생한 상태.
3급: 가이드롤 표면에 스크레치 발생이 다소 많은 상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극한점도 0.5~0.7 dl/g인 액상칩을 고상중합을 통해 극한점도가 0.75~1.0 dl/g인 베이스레진을 제조한 후, 이를 저온에서 미세분말 형상으로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평균입경이 50메쉬 이하의 크기로 하였다. 여기에 고온 가공처리 및 분쇄과정을 통해 제조된 평균입경이 1.0~3.0㎛인 미세한 황토 분말을 혼합기에서 60분이상 혼합한 후, 트윈 압출기로 압출하여 원적외선 방사체 함량이 15중량%인 마스터배치 수지를 제조하고, 이를 100~150℃에서 3.0~5.0시간 가열 건조한 다음 공압출 장치에서 코어층에 원적외선 방사체가 4.0g/㎡ 함유된 복수층의 무정형 시트를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시트의 물성은 표 1에서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율,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탁도, 공정통과성 등이 우수하고, 시트의 내부에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원적외선 방사체의 함량이 폴리에스테르 시트에 대하여 2.0g/㎡인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얻었으며, 시트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원적외선 방사체의 함량이 폴리에스테르 시트에 대하여 6.0g/㎡인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얻었으며, 시트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원적외선 방사체를 함유하지 않는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얻었으며, 시트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원적외선 방사체의 평균입경이 6㎛인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얻었으며, 시트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원적외선 방사체로 맥반석 미립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얻었으며, 시트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항목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실시예1 비교실시예2 비교실시예3
원적외선 방사체종류 - 황토 황토 황토 - 황토 맥반석
평균입경 3.0 3.0 3.0 - 6.0 2.5
첨가량 g/㎡ 4.0 2.0 6.0 - 4.0 4.0
원적외선 방사율 % 90.0 87.5 91.5 82.5 89.7 89.3
HAZE % 10.5 8.0 19.0 1.0 13.7 23.5
공정통과성 1급 1급 2급 1급 3급 1급
본 발명에 의한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뛰어난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로 만들어진 성형품은 반영구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보관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식품의 숙성효과가 뛰어나며 냄새를 제거하고, 맛과 영양의 보존작용, 습도의 유지효과, 물의 활성화 작용등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공하게 되며,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원적외선 방사체를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할 경우,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하여 가이드롤이 쉽게 마모되어 제조에 어려움이 있었고, 과량의 원적외선 방사체의 함유로 인하여 시트가 부서지는 폐단이 있었으나. 본발명은 성형성을 개선하여 이와 같은 브리틀(brittle)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발명임

Claims (3)

  1. 극한점도 0.5∼0.7 dl/g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평균입경이 0.2∼7.0㎛인 원적외선 방사체를 5∼50 중량% 첨가하고 이를 혼합·분산시킨 원적외선 방사 마스터배치 수지를 100∼150℃에서 3.0∼5.0 시간동안 가열 건조한 다음, 공압출 장치로 공급하여 코어층 또는 서브층에 원적외선 방사체를 1.0~10.0g/㎡ 함유시킨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영역(λ= 4~25㎛)의 분광 방사율이 80%를 초과하는 복수층의 무정형 시트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원적외선 방사체는 황토, 맥반석, 세라믹류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체로서, SiO2, Al2O3, MgO, (K.H3O)Al2(Si.Al)4O10(H2O.OH)2등의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세 가공처리된 원적외선 방사체를 시트의 코어층에 포함시키고, 코어층의 층비는 전체 두께 대비 90%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10045125A 2001-07-26 2001-07-26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Ceased KR20030010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25A KR20030010242A (ko) 2001-07-26 2001-07-26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JP2001313003A JP2003053817A (ja) 2001-07-26 2001-10-10 成形性および遠赤外線放射効果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シート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25A KR20030010242A (ko) 2001-07-26 2001-07-26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242A true KR20030010242A (ko) 2003-02-05

Family

ID=1971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125A Ceased KR20030010242A (ko) 2001-07-26 2001-07-26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053817A (ko)
KR (1) KR200300102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243B1 (ko) * 2001-09-13 2004-09-18 주식회사 새 한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 수지시트의 제조방법
KR100458015B1 (ko) * 2001-09-26 2004-11-18 주식회사 삼동산업 농업용 폴리올레핀 필름의 제조방법
KR20050069090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효성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내열용기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내열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93187T3 (da) * 2004-09-21 2012-03-05 & I Irtech S L G Fremgangsmåde og maskine til sintring og/eller tørring af pulvermaterialer under brug af infrarød strål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920A (ko) * 1988-08-29 1990-03-27 무라다 아끼라 가변 저항기
KR960034268A (ko) * 1995-03-07 1996-10-22 안시환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KR970000556A (ko) * 1995-06-07 1997-01-21 안시환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970011713A (ko) * 1995-08-23 1997-03-27 배순훈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KR19980069105A (ko) * 1997-02-26 1998-10-26 장용균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72652A (ko) * 2000-09-18 2000-12-05 임용하 원적외선 방사 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920A (ko) * 1988-08-29 1990-03-27 무라다 아끼라 가변 저항기
KR960034268A (ko) * 1995-03-07 1996-10-22 안시환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KR970000556A (ko) * 1995-06-07 1997-01-21 안시환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970011713A (ko) * 1995-08-23 1997-03-27 배순훈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KR19980069105A (ko) * 1997-02-26 1998-10-26 장용균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72652A (ko) * 2000-09-18 2000-12-05 임용하 원적외선 방사 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243B1 (ko) * 2001-09-13 2004-09-18 주식회사 새 한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 수지시트의 제조방법
KR100458015B1 (ko) * 2001-09-26 2004-11-18 주식회사 삼동산업 농업용 폴리올레핀 필름의 제조방법
KR20050069090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효성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내열용기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내열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53817A (ja)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507B1 (ko) 티타늄 나이트라이드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중합체및 공중합체 조성물
CN101880445B (zh) 聚合物材料及其添加剂
JP5383496B2 (ja) 粉末組成物及びそれから物品を製造する方法
US20040101642A1 (en) Glassy carb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20180079878A1 (en) Extruded plastic film filled with metal particles, method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US20040122150A1 (en) Polyester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 carbide
KR102021295B1 (ko)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생분해성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1534621B1 (ko) 멤브레인 성형이 가능한 무광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광 데코시트
US20070260002A1 (en) Titanium nitride particles, methods of making them, and their use in polyester compositions
EP1924645A1 (en) Polyester polymer and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particles of titanium nitride and carbon-coated iron
KR102397528B1 (ko)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10242A (ko)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제조방법
KR100865117B1 (ko) 우수한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KR100449243B1 (ko) 성형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 수지시트의 제조방법
KR10225324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00123772A (ko) 수지 조성물
PL217218B1 (pl) Przezroczysty pojemnik i sposób wytwarzania przezroczystego pojemnika
KR102016880B1 (ko)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방법
CA2518592C (en) Antibiotic method for parts of refrigerator using antibiotic substance
KR102126082B1 (ko)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pet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2080274B1 (ko)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1552429B1 (ko) 차광성 및 표면활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231760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250012756A (ko) 과채 포장용 필름 제조 장치 및 과채 포장용 필름
CA2596420A1 (en) Glassy carb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7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4113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62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1217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42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3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