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6728A -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728A
KR20030006728A KR1020010042611A KR20010042611A KR20030006728A KR 20030006728 A KR20030006728 A KR 20030006728A KR 1020010042611 A KR1020010042611 A KR 1020010042611A KR 20010042611 A KR20010042611 A KR 20010042611A KR 20030006728 A KR20030006728 A KR 20030006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t
hot key
mobile phone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728A/ko
Publication of KR20030006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7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본체의 키패드부 각각의 키들에 대하여 원래의 기능에 핫키의 기능을 더 구성하고 이를 원래의 기능과 혼동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핫키 트리거 키(Trigger key)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은 사용자의 원터치에 따라 휴대폰에 내장된 메뉴 기능을 실행하는 핫 키 기능이 추가된 다수의 숫자/문자 키들과, 상기 숫자/문자 키들이 상기 핫 키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 구동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hot key trigger key and method for triggering hot ke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본체의 키패드부 각각의 키들에 대하여 원래의 기능에 핫키의 기능을 더 구성하고 이를 원래의 기능과 혼동되지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핫키 트리거 키(Trigger key)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단순히 길죽한 형태의 바(bar)형, 바(bar)형의 키 패드 부분에 뚜껑을 달아놓은 것 같은 플립형, 단말기 표시소자인 LCD(Liquid Crystal Display)부분과 키 패드 부분을 분리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한 폴더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처음에는 단순히 음성 통신에만 이용하였지만 근래에는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 청취나, MP3 뮤직(Music)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킨 후 필요할 때 재생하여 듣기도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다.
휴대폰의 기본적인 구성은 기지국과 휴대폰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다른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버튼들로 이루어진 키 패드부, 다이얼한 전화번호나 현재 휴대폰의 기능설정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를 표시하거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display)와, 키 패드부를 보호하기 위한 플립(flip),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와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택 사양으로 통화시 다른 사람에게 통화내용이 들리지 않도록 할 때 사용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과, 차량운전시 사용하는 핸즈프리 키트(kit),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Cable)로서 예를 들면 리셉터클(Receptacle)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휴대폰이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휴대폰의 키패드부분에 동서남북형태로 구성되는 4 way navigation key나 조이스틱(joy stick), 스크롤 바(scroll bar) 등이 입력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처음에는 단순히 음성 통신에만 이용하였지만 근래에는 데이터통신에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이 무선 인터넷 휴대폰으로 뉴스, 은행거래, 전자 상거래등 수백 개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한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 청취나, 인터넷에서 MP3 뮤직(Music)을 오디오 파일 포맷(파일 확장자 mp3)으로 다운로드 받아 휴대폰에 저장시킨 후 필요할 때 재생하여 듣기도 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이 출시되었다.
휴대폰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해 놓을 수 있는 전화번호 목록, 스케줄 관리기능, 개인 정보 관리 등의 정보 관리를 제공하는데, 최신 기종의 경우 전화번호나, 스케줄 관리, 개인정보 관리에 들어갈 내용이 더욱 많아지고, 더욱 많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전화번호 목록, 스케줄 관리기능, 개인 정보 관리 등의 정보 관리나 스케줄, 인터넷 실행 등이 휴대폰의 메뉴 목록에 설정되어 있다.
휴대폰에 있어서 메뉴 관리는 통상적으로 기능 키 중의 하나가 메뉴 키로 설정되어 있어, 설정된 메뉴 키를 누르면 휴대폰에 내장된 복수개의 메인 메뉴가 휴대폰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휴대폰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개의 메인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각 메인 메뉴 하부의 서브 메뉴를 실행한다.
최근에는 휴대폰의 메인 메뉴 하부의 서브 메뉴들을 휴대폰이 키패드부에서하나의 키만을 누르면 곧바로 실행시키는 핫 키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데, 그와 같은 핫 키로는 잠금 설정, 매너모드, 인터넷 접속 등이 있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에는 보다 많이 기능이 들어가고 그에 따라 필요한 핫 키의 개수도 늘어날 전망이다. 그렇지만 핫 키가 많이 필요하다고 해서 단말기의 크기를 크게 만드는 경우에는 경박단소화에 역행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미 사용 중인 키에 핫 키 기능을 중복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숫자/문자 키를 제외한 기능 키에 핫 키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키를 매너 모드 키로 사용하고, #키를 잠금 키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idle 상태에서 *키를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누르면 휴대폰의 발신 또는 착신시에 무음 상태에서 발신 또는 착신되며, 특히 착신 시에는 진동으로 자동전환된다. 그리고 #키를 설정된 시간 누르면, 휴대폰의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에만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와 같은 핫 키로 지정할 수 있는 키의 개수에는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로는 핫 키로써 숫자/문자 키를 이용하고 있지 못한데 그와 같은 이유는 숫자/문자 키에 핫 키의 기능을 추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숫자/문자 키를 눌렀을 때 숫자 문자 키의 기능을 동작시켜야 하는지, 아니면 핫 키로 동작시켜야 하는지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핫 키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휴대폰에 별도의 핫 키 전용 키패드를 구비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폰의 경박 단소화에 역행하므로 휴대폰의 핫 키 기능의 개수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폰 본체의 키패드부 각각의 키들에 대하여 원래의 기능에 핫키의 기능을 더 구성하고 이를 원래의 기능과 혼동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핫키 트리거 키(Trigger key)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원터치에 따라 메뉴 기능을 휴대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핫 키 기능이 추가된 숫자/문자로 구성된 다수의 숫자/문자 키들과, 상기 숫자/문자 키들이 상기 핫 키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폰은 상기 숫자/문자 키들 이외의 기능을 실행하는 다수개의 기능 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는 휴대폰에 별도로 구성하거나, 상기 기능 키 중 하나에 구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핫 키 기능이 추가된 숫자/문자 키들이 상기 핫 키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때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를 먼저 누른 다음 상기 핫 키 기능이 추가된 숫자/문자 키들을 누른 경우에 상기 핫 키로 동작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임의의 키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폰의 핫 키 트리거 키가 구동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핫 키 트리거 키가 구동된 상태이고,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핫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이면 상기 입력된 핫 키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핫 키 트리거 키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이면 상기 휴대폰은 자신의 상태를 핫 키 트리거드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아니면 상기 입력된 키를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핫 키 트리거드 상태이고,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핫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아니면, 상기 핫 키 트리거드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의 키패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의 핫 키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5,6,9 : 핫 키 기능이 추가된 제 1부터 제 6 및 제 9 숫자/문자 키
7,8 : 제 7, 제 8 숫자/문자 키
10 : 제 10 숫자/문자 키(운전 중 모드 기능이 포함된)
11,12,13,14 : 기능 키15 : CLR 키(핫 키 트리거 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의 키패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의 키패드부는, 1 ∼ 10까지의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 자음 또는 모음과 영문이 적혀 있는 제 1부터 제 10 숫자/문자 키(1-10)와, 원터치로 매너 기능을 실행하는 *키(11)와, 원터치로 잠금 기능을 실행하는 #키(12)와, 발신 호를 실행시키는 SEND 키(13)와, 프로그램(예를 들면, 통화, 메뉴 기능 등)을 종료시키는 END 키(14)와, 입력된 문자를 입력된 역순으로 지우는데 이용되는 CLR(Clear) 키(1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키(11), #키(12), SEND 키(13), END 키(14) 및 CLR 키(15)는 제 1부터 제 9 숫자/통화 키(1∼ 9)와는 달리 기능 키라 한다. 특히 *키(11)에는 휴대폰이 흔들리는 모양의 아이콘이 있고, #키(12)에는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호 착신시 또는 호 발신시 소리대신 진동으로 알리거나, 휴대폰의 잠금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 10 숫자/문자 키(10)는 숫자/문자 키(10)의 기능과 함께, 휴대폰 사용자가 운전 중임을 발신측으로 자동 통보해주는 기능을 갖는 기능키의 역할을 한다. 즉 제 10 숫자/문자 키(10)를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자동으로 운전 모드로 설정되어 휴대폰 사용자에게 발신한 발신측 사용자에게 현재 휴대폰 사용자가 운전 중이므로 잠시 후 다시 통화를 시도하거나 메모를 남길 것을 요청하는 음성 사서함 모드로 연결한다. 이는 운전 중 휴대폰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대방에게는 현재 휴대폰 사용자가 운전 중이므로 통화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알려줌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제 1부터 제 9 숫자/문자 키(1 ∼ 9)는 제 10 숫자/문자 키(10)와 같이 일정 시간 누르는 경우에는 휴대폰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을 하게 되므로 제 10 숫자/문자 키(10)와 같은 기능 키로서 활용할 수는 없다.
이때 본 발명의 숫자/문자 키(1,2,3,4,5,6,7,8,9) 중 제 1부터 제 6 숫자/문자 키(1,2,3,4,5,6)와, 제 9 숫자/문자 키(9)에는 숫자/문자 이외의 그림 문자인 아이콘(icon)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숫자/문자 키(1)에는 우편봉투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는 메시지 메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2 숫자/문자 키(2)에는 북(Book)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는 폰북(phone book) 메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3 숫자/문자 키(3)에는 날짜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는 스케줄 메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4 숫자/문자 키(4)에는 메모장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는 메모장 메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5 숫자/문자 키(5)에는 영문자 i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는 인터넷 메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6 숫자/문자 키(6)에는 블루투스 상표(Trademark)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는 블루투스 메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9 숫자/문자 키(9)에는 화살표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는 컴퓨터 동기(PC Sync.) 메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제 1부터 제 6과 제 9 숫자/문자 키(1,2,3,4,5,6,9)의 각각의 아이콘은 각각의 숫자/문자 키(1,2,3,4,5,6,9)의 숫자/문자 입력 기능 이외의 본 발명 휴대폰에 핫 키 기능 새롭게 추가한 것으로, 이를 통해 휴대폰에 내장된 메뉴를 원터치로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통상의 숫자/문자 키 기능과 핫 키 기능을 구분하기 위한 트리거 키를 설정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15번으로 나타낸 CLR 키(15)를 제 1부터 제 6과 제 9 숫자/문자 키(1,2,3,4,5,6,9)에 추가된 핫 키 기능을 원터치로 실행하기 위한 핫 키 트리거 키로 설정하였다.
참고로 도면상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CLR 키(15)에 핫 키 트리거를 위한 트리거 키 기능을 추가하지 않고, 휴대폰의 키패드부분에 핫 키 기능 키를 따로 설정하거나 휴대폰의 사이드에 사이드 버튼으로 핫 키 트리거 키로써 설정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의 핫 키 트리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키가 눌리면(S10), 휴대폰의 메인 프로세서인 이동국 모뎀(MSM)은 현재 휴대폰의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휴대폰의 상태는 통화 중이거나(도시하지 않음), 인터넷 실행 중인 경우일 수도 있고(도시하지 않음),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IDLE 상태일 수도 있다(S1).
이때, 현재 휴대폰이 IDLE 상태이면, 현재 휴대폰의 핫 키(도 1의 CLR 키(15))가 트리거되지 않은 상태인지(Hot key not triggered)(S2), 핫 키가 트리거된 상태인지(Hot key triggered)(S6)에 따라 다음 단계(S3,S7)가 진행된다. 즉 키 눌림(S10)이 핫 키 트리거 키(도 1의 15)가 눌린 다음 키패드부의 키 중 임의의 어느 키가 눌린 것인지, 핫 키 트리거 키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키패드부의 키 중 임의의 어느 키가 눌린 것인지에 따라 다음 단계(S3,S7)가 진행된다.
이때, 핫 키 트리거 키(도 1의 15)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의 키가 눌린 것(S10) 이라면, 눌린 키가 핫 키 트리거 키인지를 판단한다(S3).
판단결과(S3) 핫 키 트리거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이고, 눌린 키가 핫 키 트리거 키가 아니라면 눌린 키에 대한 처리를 한다(S4). 즉 눌린 키는CLR 키(도 1의 15)가 아닌 경우로써, 제 1부터 제 10 숫자/문자 키(1 ∼ 10)로서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제 10 숫자/문자 키(10)의 기능으로서 운전 중 모드를 실행하거나, 제 11부터 제 14 기능 키(11 ∼ 14)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판단결과(S3) 핫 키 트리거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눌린 키가 핫 키 트리거 키라면 핫 키 트리거 상태가 된다(S5).
그러나 키가 눌렸을 때(S10), IDLE 상태이고(S1) 핫 키가 트리거되어 있다면(S6), 눌린 키가 핫 키 인지를 판단한다(S7). 즉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숫자/문자 키의 기능뿐 아니라 핫 키 기능이 추가된 제 1부터 제 6 숫자/문자 키(1,2,3,4,5,6)와, 제 9 숫자/문자 키(9) 중 어느 하나의 키가 눌렸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판단결과(S7) 제 1부터 제 6 숫자/문자 키(1,2,3,4,5,6)와, 제 9 숫자/문자 키(9) 중 어느 하나의 키가 눌렸다면 눌린 키에 해당하는 핫 키 기능을 휴대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핫 키로 처리한다(S8).
그러나 판단결과(S7) 제 1부터 제 6 숫자/문자 키(1,2,3,4,5,6)와, 제 9 숫자/문자 키(9)가 눌리지 않았다면, 즉 제 7, 제 8 숫자 키 또는 기능 키(도 1의 11,12,13,14번) 중 어느 하나의 키가 눌렸다면 사용자 오류로 처리하고, 핫 키 트리거 상태를 해제하여 핫 키 트리거 키를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한다(S9).
이때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실수로 핫 키 트리거 키를 다시 누른 것이라면 핫 키 트리거드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다음의 키 눌림을 기다린다(S1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폰에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미 사용하고 있는 키들을 모두 핫 키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의 크기 변화없이 보다 많은 핫 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핫 키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리거 키 역시 idle 상태에서 특별히 이용되고 있지 않은 키를 이용한다면, 하드웨어적인 부담없이 보다 많은 핫 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원터치에 따라 휴대폰에 내장된 메뉴 기능을 실행하는 핫 키 기능이 추가된 다수의 숫자/문자 키들과,
    상기 숫자/문자 키들이 상기 핫 키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상기 숫자/문자 키들 이외의 기능을 실행하는 다수개의 기능 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는 휴대폰에 별도로 구성하거나, 상기 기능 키 중 하나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핫 키 기능이 추가된 숫자/문자 키들이 상기 핫 키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때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를 먼저 누른 다음, 상기 핫 키 기능이 추가된 숫자/문자 키들을 누른 경우 상기 핫 키로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4. 임의의 키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폰의 핫 키 트리거 키가 구동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핫 키 트리거 키가 구동된 상태이고,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핫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이면 상기 입력된 핫 키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의 핫 키 구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핫 키 트리거 키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이면 상기 휴대폰은 자신의 상태를 핫 키 트리거드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상기 핫 키 트리거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아니면 상기 입력된 키를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의 핫 키 구동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핫 키 트리거드 상태이고, 상기 임의의 키 신호가 핫 키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아니면,
    상기 핫 키 트리거드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의 핫 키 구동 방법.
KR1020010042611A 2001-07-14 2001-07-14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구동 방법 KR20030006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11A KR20030006728A (ko) 2001-07-14 2001-07-14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11A KR20030006728A (ko) 2001-07-14 2001-07-14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728A true KR20030006728A (ko) 2003-01-23

Family

ID=2771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11A KR20030006728A (ko) 2001-07-14 2001-07-14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72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30A (ko) * 1997-07-21 1999-02-18 윤종용 통신단말기에서 키 공용화방법
KR20000003376A (ko)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메뉴 탐색 방법
KR100251583B1 (ko) * 1997-12-29 2000-04-15 윤종용 단일 기능키 다수 기능 제어 장치
KR100365341B1 (ko) * 2001-02-02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30A (ko) * 1997-07-21 1999-02-18 윤종용 통신단말기에서 키 공용화방법
KR100251583B1 (ko) * 1997-12-29 2000-04-15 윤종용 단일 기능키 다수 기능 제어 장치
KR20000003376A (ko)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메뉴 탐색 방법
KR100365341B1 (ko) * 2001-02-02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7544B1 (en) Method and terminal of defining soft-keys for user selection of desired function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EP126319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ing context sensitive menu keys in a keypad locked mode
US6518957B1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creen
EP1207672A2 (en) User interface for radiotelephone
US20040185912A1 (en) Handset
US6931258B1 (en) Radiophone provided with an operation key with multiple functionality for handling access to a menu structure
JP2007189753A (ja) 電話機
JP2008544618A (ja) 強化された着信履歴メニュー
JP3379476B2 (ja) 表示装置付携帯端末
KR100334796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EP1146416B1 (en) A radio terminal
JP4308031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及び携帯電話端末
KR100692001B1 (ko) 핫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핫키 실행 방법
KR20030006728A (ko) 핫 키 트리거 키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핫 키구동 방법
JP2003143264A (ja) 携帯通信端末
JP2000078252A (ja) 携帯電話機
KR10044651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모 기능 구현방법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JP2002111824A (ja) 携帯電話端末
KR100429205B1 (ko)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255274Y1 (ko) 사이드 키를 구비한 휴대폰
JP3379494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244970B1 (ko) 송출 제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통화 장치
JP2011049838A (ja)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方法
JP2000278390A (ja) 移動体通信端末における電話帳データ登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