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6649A -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649A
KR20030006649A KR1020010042496A KR20010042496A KR20030006649A KR 20030006649 A KR20030006649 A KR 20030006649A KR 1020010042496 A KR1020010042496 A KR 1020010042496A KR 20010042496 A KR20010042496 A KR 20010042496A KR 20030006649 A KR20030006649 A KR 20030006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ntrol channel
mobile terminal
call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엄미희
Original Assignee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649A/ko
Publication of KR2003000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64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실패율을 낮추어 보다 안정적인 이동 단말기의 호 접속 서비스 제공 및 무선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셀의 기지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의 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이동 단말기의 수가 기 지정된 수를 초과하는 기지국 또는 자원 점유로 인하여 새로운 발착신호 처리가 어려운 기지국을 찾아내며, 상기 찾아낸 기지국의 제어채널이 주 제어채널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중에서 인접 기지국과 셀 영역이 중첩되는 공통 영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를 선별한 후 그 선별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호처리전에 다수 액티브 셋을 관리하는 한편, 액티브 셋 정보와 셀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이 주 제어채널로 되도록 변경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호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무선 망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A method of adjusting a control channel according to traffic over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 채널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에 이동 단말기가 집중된 상황에서 호처리 수행전에 사용가능한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제어 채널권을 넘길 수 있도록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2세대 무선 망에서는 핸드오버(handover) 기능을 교환기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교환기의 자원 점유도에 따른 망관리 기능만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의 자원이 많이 사용되는 경우에 교환기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들의 자원을 예약해 둘 수 없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발신 처리 또는 착신 처리에서 호 실패가 잦게 발생되었다.
3세대 무선 망에서는 2세대 무선 망과는 달리 핸드오버 기능을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고려한 표준화가 이루어 졌다.
그러나, 이들 핸드오버 기능은 통화중 혹은 이상 상태 발생에 한정되어 응용된다. 따라서, 트래픽 부하가 많은 지역의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 영역에서 이동 단말기의 호 실패율은 2세대 무선 망과 같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세대 무선 망 구성도로서, IMT-2000 망의 연동관계를 보여준다.
각 무선 단말기는 각각의 기지국(Node-B: 10∼16)이 감지할 수 있는 셀 영역(20∼26) 내에서 통화가 가능하다. 상기 각 기지국(10∼16)은 기지국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30)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와 무선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30)는 연결된 각각의 기지국(10∼16)을 제어하여 각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과 전력제어 및 핸드오버 시점 검출을 행하고, 다른 기지국 제어기간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코어(Core) 망을 구성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MSC(Mobile Switching Center)(40)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30)와 연동되어 실질적인 망 연동 기능을 수행하며, 기지국 제어기(30)로부터의 핸드오버 시점 보고에 따른 동작과 MSC 혹은 SGSN 간의 핸드오버 기능을 수행한다.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50)은 SGSN과 연동되어 인터넷 혹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백본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미 설명 부호 27은 각 기지국(10∼16)의 셀 영역(20∼26)이 중첩되는 공통 영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차세대 무선 망에서 각각의 기지국(10∼16)이 감지할 수 있는 영역(20∼26) 내에서 위치한 이동 단말기가 특정 지역 혹은 특정 기지국(예를 들어, 10)에 집중되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 제어기(30)와 기지국(10)간에 연결된 유선 자원 및 기지국(10)의 무선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해당 기지국(10)영역에 있는 이동 단말기에게 통화 자원을 할당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중요한 공연 혹은 경기장과 같이 일시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서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에게로 착신되는 호와 이동 단말기에서 발신되는 호가 모두 통화 중 신호음과 함께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기지국에 이동 단말기가 집중이 되어 이동 단말기에서 발신하는 호와 이동 단말기로 착신되는 모든 호에 대해 호 실패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호 실패율을 낮추어 보다 안정적인 이동 단말기의 호 접속 서비스 제공 및 무선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세대 무선 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UTRAN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14, 16 : 기지국20, 22, 24, 26 : 셀 영역
30 : 기지국 제어기31, 32, 33, 34 : 기지국 정합부
35 : 경로 제어부36 : 핸드오버 제어부
37 : 트래픽 제어부38 : 호 제어수단
40 : SGSN/MSC50 : GGSN/타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은, 각 셀의 기지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의 수를 파악하는 제 1과정; 상기 파악된 이동 단말기의 수가 기 지정된 수를 초과하는 기지국 또는 자원 점유로 인하여 새로운 발착신호 처리가 어려운 기지국을 찾아내는 제 2과정; 및 상기 찾아낸 기지국의 제어채널이 주 제어채널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중에서 인접 기지국과 셀 영역이 중첩되는 공통 영역에 위치한이동 단말기를 선별하고, 그 선별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호처리전에 다수 액티브 셋을 관리하는 한편, 액티브 셋 정보와 셀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이 주 제어채널로 되도록 변경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UTRAN 구성도로서, UTRAN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10, 12, 14, 16) 및 기지국 제어기(30)로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30)는 각 기지국(node-B)(10, 12, 14, 16)과의 물리적 연결 경로와 제어신호 및 데이터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 상기 복수의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와 상기 SGSN/MSC(40)간의 전달 경로를 제어하는 스위치 형태의 경로 제어부(35), 각 기지국(10, 12, 14, 16)의 제어권에 있는 이동 단말기와 각 기지국(10, 12, 14, 16)의 전력 제어와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핸드오버 제어부(36), 및 각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 및 상기 경로 제어부(35)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한편 트래픽의 예상 부하를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에게로 전달하는 트래픽 제어부(37)를 갖춘 호 제어수단(38)을 구비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41은 각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와 SGSN/MSC(40)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화 경로이고, 미설명 부호 43은 각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와 상기 각각의 제어부(35, 36, 37)간 내부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로이며, 미설명 부호 45는 외부의 SGSN/MSC(40)와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경로이다. 미설명 부호 47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30)내에 존재하는 통화 경로(41)의 군(群)이다.
상기 각각의 기지국(10, 12, 14, 16)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해당 기지국(10, 12, 14, 16)과의 무선 제어채널, 각 기지국(10, 12, 14, 16)과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간의 제어 경로(49), 상기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 내부 제어 메시지 전달 경로(43), 외부 제어정보 전달 경로(45)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상기 SGSN/MSC(40)으로 셀(cell)정보 변경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10, 12, 14, 16)과의 무선 제어채널, 기지국(10, 12, 14, 16)과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간의 제어 경로(49),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 내부 제어 메시지 전달 경로(4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에게로 상기 각 기지국(10, 12, 14, 16)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 수신 감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해 주는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대기 행렬에 둔다.
특히, 상기 이동 단말기는 현재 제어권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예컨대, 10)과 제어정보 전달 경로(49)를 유지하는 한편, 빠른 핸드오버를 위해 수신 감도가 좋은 몇몇 부 기지국(예컨대, 12, 14, 16)과의 제어정보 전달 경로(49)를 확보한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공통 영역(27)에 위치한 경우는 부 기지국(12, 14,16)으로도 발착신이 충분히 가능한 상태이지만 핸드오버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주 기지국(10)을 통해서 발착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 채널 조정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앞서서, 다수 기지국 전파를 수신하는 모든 단말기(통화중 또는 통화 절단상태의 모든 단말기)에 대한 액티브 셋을 기지국 제어기(30)에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일단, 기지국 제어기(30)의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에서는 각 이동 단말기와의 제어 경로(49)에 대한 점유 상태와 각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통화) 전달 경로(41)의 자원 점유 상태를 감시하고, 경로 제어부(35)에서는 상기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와 SGSN/MSC(40)간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실제 트래픽 데이터를 감시한다(단계 S10). 이를 기지국 제어기(30)의 내부 부하를 감시한다고 한다.
이후, 상기 경로 제어부(35) 및 기지국 정합부(31, 32, 33, 34)는 내부 제어 메시지 전달 경로(43)를 통하여 트래픽 제어부(37)에게로 수집된 자원 점유 정도와 트래픽 감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한편, 핸드오버 제어부(36)는 내부 제어 메시지 전달경로(43)를 통하여 상기 트래픽 제어부(37)에게로 실제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 정보를 전달한다(단계 S12).
그에 따라, 상기 트래픽 제어부(37)는 그 수신된 제어 경로(49) 점유 정보와 주 제어채널 정보에 근거하여 각 기지국(10, 12, 14, 16)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의 수를 계산하는 한편, 데이터(통화) 전달 경로(41)의 점유 상태 및 트래픽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원과 유휴 자원을 산출한다(단계 S14, S16).
상기 트래픽 제어부(37)는 그 산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평균 수용 가능 양을 넘는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예컨대, 10이라고 가정)을 찾아내고, 상기 산출한 유휴 자원과 평균 통화 시간을 고려하여 새로운 발착신호 처리가 어려운 기지국(예컨대, 10이라고 가정)을 찾아낸다(단계 S18).
이와 같이 하여 다량의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즉, 10) 또는 자원 점유로 발착신호 처리가 어려운 기지국(즉, 10)을 찾게 됨에 따라 상기 트래픽 제어부(37)는 내부 제어 메시지 전달 경로(43)를 통하여 핸드오버 제어부(36)에게로 해당 정보(즉, 기지국(10)에 다량의 이동 단말기가 위치해 있다거나 기지국(10)이 발착신호 처리가 어렵다는 정보)를 전달한다(단계 S20).
이어,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는 각 기지국(10, 12, 14, 16)으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신호 수신 감도에 관한 정보 및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상기 단계 S20에서의 정보를 수신하게 됨에 따라 해당 기지국(10)에 위치하면서 주 제어채널이 해당 기지국(10)과 설정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 중에 공통 영역(27)에 포함되어 부 기지국(12, 14, 16)으로도 발착신이 충분히 가능한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를 선별한다(단계 S22).
그 후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는 그 선별된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핸드오버 발생 이벤트 메시지(예:Relocation Required)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핸드오버 발생 이벤트 정보를 외부 제어정보 전달 경로(45)를 통해 SGSN/MSC(40)에게로 전달하여 그 SGSN/MSC(40)에 연결된 HLR/VLR의 셀 정보 변경 처리를 한다(단계 S24, S26)
그 셀 정보 갱신의 결과에 따라, 상기 SGSN/MSC(40)는 현재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49)과 핸드오버 대상 채널인 현재의 부 제어채널(또 다른 49)이 서로 다른 기지국 제어기(RNC)에 속한 채널인 경우 그 SGSN/MSC(40)는 목적 기지국 제어기(RNC)에게로 제어권을 넘기는 절차를 수행한다(단계 S28).
이후, 상기 SGSN/MSC(40)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예:Relocation Command)를 외부 제어정보 전달 경로(45)를 통해 핸드오버 제어부(36)에게 전송한다(단계 S30).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에서 그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현재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49)과 핸드오버 대상 채널인 현재의 부 제어채널(또 다른 49)이 동일 기지국 제어기(30)에 소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2).
그 판단 결과, 동일 기지국 제어기(30)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단계 S32에서 "Yes") 그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주 기지국(10) 및 부 기지국간의 제어 채널 변경을 요구하는 메시지(예:Active Set Update Command)를 생성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에게로 송신한다(단계 S34). 상기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간의 제어 채널 변경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는 각 이동 단말기에 대해 소정 개수(예컨대, 3개 정도)의 기지국 우선 순위 정보(즉, 액티브 세트(active set)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셀 영역(20)에 기지국(10)에서 충분히 커버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양의 이동 단말기가 있는 경우 공통 영역(27)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권을 상기 셀 영역(20)에 인접한 셀 영역(22, 24, 26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 넘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에서 관리하고 있는 액티브 세트 정보(서빙 노드 B 정보라고도 함)에 근거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부 기지국에게 제어권을 넘기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기지국 우선 순위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권을 넘겨줄 후보 인접 기지국(즉, 부 기지국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는 각 이동 단말기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 우선 순위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제어 채널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 대한 액티브 세트 정보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후보 인접 기지국(즉, 부 기지국)을 선택하게 된다.
이후,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는 수신된 제어 채널 변경 요구 메시지(예:Active Set Update Command)에 근거하여 부 기지국으로 제어 채널을 변경한 후 완료 메시지(예:Active Set Update Complete)를 생성하여 주 제어채널(49) 및 내부 제어 메시지 전달 경로(43)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36)에게 그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핸드오버 제어부(36)에서는 이전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49)을 부 제어채널로 설정하고, 핸드오버 대상 채널인 부 제어채널(또 다른 49)을 이후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로 설정한다(단계 S36, S38). 이에 의해, 기지국 관할 영역에 다수의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더라도 자유로운 송수신 자원의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단계 S32에서 현재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49)과 핸드오버 대상 채널인 현재의 부 제어채널(또 다른 49)이 다른 기지국 제어기에 소속된 경우라면 상기 현재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49)이 소속된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부 제어채널(또 다른 49)이 속한 다른 기지국 제어기로 제어권을 넘기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SGSN/MSC(40)를 통해 그 부 제어채널이 속한 다른 기지국 제어기에게로 전달한다(단계 S40).
그에 따라, 상기 다른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제어권 확보에 대한 메시지가 기지국 제어기(30)으로 전송되면 그 기지국 제어기(30)는 주 기지국(10) 및 부 기지국 간의 제어채널 변경을 요구하는 메시지(예:Active Set Update Command)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에게로 송신한다(단계 S42).
이후,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는 주 제어채널(49) 및 내부 제어 메시지 전달 경로(43)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30)내의 핸드오버 제어부(36)에게 완료 메시지(예:Active Set Update Complete)를 전송한다. 그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핸드오버 제어부(36)에서는 이전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49)을 부 제어채널로 설정하고, 핸드오버 대상 채널인 부 제어채널(또 다른 49)을 이후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로 설정한다(단계 S44, S46). 이에 의해, 기지국 관할 영역에 다수의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더라도 자유로운 송수신 자원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에 수용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수보다 더 많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경우 인접한 다른 기지국의 영역의 신호가 함께 수신되는 공통 영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영역을 호처리 전 단계에서 강제로 다른 인접한 기지국의 제어권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호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무선 망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무선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유도하여 최적의 무선 망 구축을 도와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6)

  1. 각 셀의 기지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의 수를 파악하는 제 1과정;
    상기 파악된 이동 단말기의 수가 기 지정된 수를 초과하는 기지국 또는 자원 점유로 인하여 새로운 발착신호 처리가 어려운 기지국을 찾아내는 제 2과정; 및
    상기 찾아낸 기지국의 제어채널이 주 제어채널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중에서 인접 기지국과 셀 영역이 중첩되는 공통 영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를 선별하고, 그 선별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호처리전에 다수 액티브 셋을 관리하는 한편, 액티브 셋 정보와 셀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이 주 제어채널로 되도록 변경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기지국 제어기에서 각 이동 단말기와의 제어 경로에 대한 점유상태 및 각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달 경로의 자원 점유상태를 감시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감시 결과에 따른 제어 경로 점유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주 제어채널 정보에 근거하여 각 기지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의 수를 계산하는 제 2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각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되고 있는 데이터의 실제 트래픽 데이터를 감시함에 의해 수집된 상기 데이터 전달 경로의 점유 상태 및 트래픽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원과 유휴 자원을 산출한 결과값을 토대로 평균 수용가능한 통화량을 초과하는 기지국을 찾아내고, 상기 제 1과정의 절차를 통하여 소속된 단말기 수가 포화된 기지국을 찾아내어, 상기 산출한 유휴 자원과 평균 통화시간 또는 소속된 단말기 수를 고려하여 상기 새로운 발착신호 처리가 어려운 기지국을 찾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선별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 발생 이벤트 메시지를 교환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선별된 이동 단말기의 셀 정보를 갱신시킴에 따라 얻은 갱신된 셀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과 핸드오버 대상 채널이 동일 기지국 제어기에 속하는 경우,
    상기 주 제어채널의 주 기지국 및 상기 핸드오버 대상의 부 기지국간의 제어채널 변경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에게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완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대상 채널을 이후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선별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 발생 이벤트 메시지를 교환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선별된 이동 단말기의 셀 정보를 갱신시킴에 따라 얻은 갱신된 셀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과 핸드오버 대상 채널이 다른 기지국 제어기에 속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대상 채널이 속한 다른 기지국 제어기에게로 제어권을 넘기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다른 기지국 제어기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기지국 제어기로부터의 제어권 확보에 대한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주 제어채널의 주 기지국 및 상기 핸드오버 대상 채널의 부 기지국간의 제어채널 변경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에게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완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대상 채널을 이후 통화 시도시에 사용되는 주 제어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6.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선별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주 제어채널 변경시 기지국 제어기에서 관리하고 있는 상기 선별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액티브 셋내의 후보 인접 기지국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후보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을 주 제어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조정 방법.
KR1020010042496A 2001-07-13 2001-07-13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KR20030006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496A KR20030006649A (ko) 2001-07-13 2001-07-13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496A KR20030006649A (ko) 2001-07-13 2001-07-13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649A true KR20030006649A (ko) 2003-01-23

Family

ID=2771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496A KR20030006649A (ko) 2001-07-13 2001-07-13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64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6722A (en) * 1996-05-17 1998-08-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load balancing using handoff
WO1998052375A2 (en) * 1997-05-13 1998-11-19 Nokia Networks Oy Handover method
KR20000037848A (ko) * 1998-12-02 2000-07-05 서평원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EP1089588A1 (en) * 1999-09-15 2001-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device and program unit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quality in a CDMA system
KR20010028527A (ko) * 1999-09-21 2001-04-06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내 과부하 방지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6722A (en) * 1996-05-17 1998-08-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load balancing using handoff
WO1998052375A2 (en) * 1997-05-13 1998-11-19 Nokia Networks Oy Handover method
KR20000037848A (ko) * 1998-12-02 2000-07-05 서평원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EP1089588A1 (en) * 1999-09-15 2001-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device and program unit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quality in a CDMA system
KR20010028527A (ko) * 1999-09-21 2001-04-06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내 과부하 방지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9695B2 (ja) 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ルーティング手順
US66286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mitting direct handoff between base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EP1060629B1 (en) Load balancing of ongoing calls between different base station controllers
CA2191506C (en) Base station controlled handoff method and apparatus
US64459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aving dropped calls
US6289220B1 (en) Multiple controller identities for neighbor lists
JP4581067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で測定報告を伝送する方法
US7606569B2 (en) Wireless terminal for selecting optimal base station from among plural base stations
JP2699934B2 (ja) 通信規制制御方式
JPH1050222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加入者ページング制御方法
EP0963672A1 (en) Handover and call setup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0904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mmunicat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02752B1 (ko) 다중 이동 통신망 환경에서의 접속망 선택 시스템 및 방법
US6370383B1 (en) Adaptive power level tiered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US5428822A (en) Radio system including mobile radio stations which provide registration message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order of transmission of the messages
JP2002112327A (ja) 階層型無線セル構造を持つセルラ移動体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での無線伝送のための方法
US7006450B2 (en) Switch selection mechanism for a switch pool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80829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호 분산 제어방법
KR20030006649A (ko)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KR1003639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제어국의 호 분산 방법
KR10042919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내 과부하 방지장치 및 방법
KR20010026925A (ko) 통신 시스템의 과부하 처리 방법
JP46453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サービス変更方法
KR20160046241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연속성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