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6423A -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423A
KR20030006423A KR1020010042149A KR20010042149A KR20030006423A KR 20030006423 A KR20030006423 A KR 20030006423A KR 1020010042149 A KR1020010042149 A KR 1020010042149A KR 20010042149 A KR20010042149 A KR 20010042149A KR 20030006423 A KR20030006423 A KR 20030006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duction motor
power
switch mode
capaci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서
조영섭
권봉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2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423A/ko
Publication of KR2003000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42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or
    • H02P2207/01Asynchronous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보조 전원공급 없이 SMPS(Switch Mode Power Supply: 스위치모드 파워서플라이)의 시동 및 구동이 가능한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3상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는 컨버터부와, 컨버터부에서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링크 커패시터와, 링크 커패시터의 직류전원을 3상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인가함으로써 유도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부와, 컨버터부 및 인버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Switch Mode Power Supply: SMP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도전동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3상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충방전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초기 구동시킬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에 의하면, 별도의 보조 전원공급장치 없이도 인버터 구동을 위한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의 시동 및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INDUCTION MOTOR DRIVER CIRCUIT}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보조 전원공급 없이 스위치모드 파워서플라이(Switch Mode Power Supply: SMPS)의 시동 및 구동이 가능한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해 인버터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상기 인버터를 구성하는 스위치 소자들을 제어함으로써 3상 전압으로 변환시켜 전동기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전동기 구동용 인버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인버터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여기서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보조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인버터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고, 또한 별도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인버터의 스위치 소자에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인버터 직류 링크전압을 이용하는 파워서플라이를 이용하여 인버터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또한 파워서플라이의 초기 구동 시에 구동전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 때 자체적인 인버터 직류 링크전압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초기에 상기 인버터 직류 링크에 직류전압이 충전되어 있지 않으면 초기 구동전압의 확보가 불가능하므로, 파워서플라이의 초기구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다시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인버터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인버터의 스위치 소자에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인버터 직류 링크전압의 초기 생성을 위해 전자식 접촉기(Electo-magnetic contactor)와 충전저항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회로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보조 전원장치 없이도 인버터 구동을 위한 파워서플라이의 시동 및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의 파워서플라이 구동부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3상 교류전원2 : 컨버터부
6 : 파워서플라이 구동부8 : 인버터부
10 : 유도 전동기12 :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SMPS)
Cd: 링크 커패시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3상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는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에서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링크 커패시터와, 상기 링크 커패시터의 직류전원을 3상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인가함으로써 유도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 및 인버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Switch Mode Power Supply: SMP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도전동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3상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충방전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초기 구동시킬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는 입력측의 한쪽 단이 다이오드(Dc)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p)의 캐소드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c)의 애노드는 상기 3상 교류전원 중 한 상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p)의 애노드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의 양(+)극쪽 단에 연결되며, 입력측의 다른쪽 단은 상기 링크 커패시터의 음(-)극쪽 단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와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시동 및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는 입력측의 한쪽 단에 제 1 저항 및 제 1 커패시터의 한쪽 단이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저항 의 다른쪽 단에는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다른쪽 단과 제 2 저항 및 제 2 커패시터의 한쪽 단이 공통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저항 및 제 2 커패시터의 다른쪽 단은 상기 입력측의 다른쪽 단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의 파워서플라이 구동부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는 3상 교류전원(1), 컨버터부(2), 링크 커패시터(Cd),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 및 인버터부(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도 전동기(10)는 상기 인버터부(8)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3상 교류전원(1)의 각상의 단자는 컨버터부(2)에 연결되고, 그 중 하나인 단자 c는 다이오드(Dc)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다이오드(Dc)의 캐소드에는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의 제 1 단자(X)가 연결된다. 상기 컨버터부(2), 링크 커패시터(Cd) 및 인버터부(8)는 서로 병렬 접속되며,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의 제 2 단자(Y)는 상기 병렬 접속된 링크 커패시터(Cd)의 음(-)극쪽 단자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링크 커패시터(Cd)의 양(+)극쪽 단자와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의 제 1 단자(X)가 다이오드(Dp)를 통해 연결되는 바, 링크 커패시터(Cd)의 양(+)극쪽 단자가 다이오드(Dp)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의 제 1 단자(X)가 다이오드(Dp)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이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Cd)에 직류 링크전압이 완전히 충전되어 인버터부(8)를 구동하게 될 때, 이러한 직류 링크전압과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에 충전된 전압간에 전기적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의 제 1, 2 단자(X,Y)는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의 시동 및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의 시동을 위한 별도의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필요치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저항(R1), 제 1 커패시터(C1), 제 2 저항(R2), 제 2 커패시터(C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의 제 1 단자(X)에 제 1 저항(R1) 및 제 1 커패시터(C1)의 한쪽 단이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저항(R1)의 다른쪽 단에는상기 제 1 커패시터(C1)의 다른쪽 단과 제 2 저항(R2) 및 제 2 커패시터(C2)의 한쪽 단이 공통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저항(R2) 및 제 2 커패시터(C2)의 다른쪽 단은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의 제 2 단자(Y)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저항(R1, R2)은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에 충전되는 전압의 균등 분배를 위한 분압저항이다.
그밖에 컨버터부(2), 인버터부(8),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 등은 통상의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갖는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에 3상 교류전원(1)이 인가되면, 3상 교류전압 중 c상의 교류전압(Vc)이 가장 높을 때 다이오드(Dc)가 도통되어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로 전류가 흘러 제 1 커패시터(C1)와 제 2 커패시터(C2)를 충전시키고, 컨버터부(2)의 다이오드(D4)나 다이오드(D6)를 통하여 3상 중 가장 전압이 낮은 상으로 흘러 나간다.
이 때, 초기에 컨버터부(2)의 입력부에 3상 교류전원(1)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컨버터부(2)를 구성하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실리콘 제어 정류기)의 특성상 SCR의 게이트에 구동펄스가 인가되지 않으면, 링크 커패시터(Cd)에 직류 링크 전압이 충전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3상 교류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에 접속된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는 링크 커패시터(Cd)에 직류 링크전압의 초기 충전 없이도 시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한 컨버터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해 컨버터를 제어함으로써, 전자식 접촉기와 충전저항 없이도 링크 커패시터(Cd)에 직류 링크전압이 충전된다.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Cd)와도 접속된 것으로, 상기 링크 커패시터(Cd)에 직류 링크전압이 충전되면, 이러한 직류 링크전압은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12)는 인버터부(8)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인버터부(8)는 이에 연결된 유도 전동기(10)를 구동시킨다.
한편, 3상 교류전원(1)의 상전압이 상기 링크 커패시터(Cd)의 직류 링크전압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다이오드(Dp)가 역바이어스(reverse-bias)되어 링크 커패시터(Cd)의 양(+)극쪽 단자와 파워서플라이 구동부(6)의 제 1 단자(X)간에 회로가 개방되므로, 양 전압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에 의하면, 별도의 보조 전원공급장치 없이도 인버터 구동을 위한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의 시동 및 구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구동회로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버터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대한 위험요소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3상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는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에서 정류된 교류전원을 평활하여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링크 커패시터와, 상기 링크 커패시터의 직류전원을 3상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인가함으로써 유도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 및 인버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Switch Mode Power Supply: SMP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도전동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3상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충방전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초기 구동시킬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 구동부
    를 포함하는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는 입력측의 한쪽 단이 다이오드(Dc)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p)의 캐소드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c)의 애노드는 상기 3상 교류전원 중 한 상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p)의 애노드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의 양(+)극쪽 단에 연결되며, 입력측의 다른쪽 단은 상기 링크 커패시터의 음(-)극쪽 단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SMPS)와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 모드 파워서플라이(SMPS)를 시동 및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구동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 구동부는 입력측의 한쪽 단에 제 1 저항 및 제 1 커패시터의 한쪽 단이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저항 의 다른쪽 단에는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다른쪽 단과 제 2 저항 및 제 2 커패시터의 한쪽 단이 공통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저항 및 제 2 커패시터의 다른쪽 단은 상기 입력측의 다른쪽 단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KR1020010042149A 2001-07-12 2001-07-12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Abandoned KR20030006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149A KR20030006423A (ko) 2001-07-12 2001-07-12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149A KR20030006423A (ko) 2001-07-12 2001-07-12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423A true KR20030006423A (ko) 2003-01-23

Family

ID=2771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149A Abandoned KR20030006423A (ko) 2001-07-12 2001-07-12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4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27B1 (ko) * 2001-08-2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씨 모터의 기동 제어 장치
KR100982868B1 (ko) * 2003-12-26 2010-09-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라인 컨택터와 파워라인 오류 검출이 가능한 전동지게차의모터 제어 시스템
KR20150141085A (ko) * 2014-06-09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10061503A (zh) * 2019-05-24 2019-07-26 合肥为民电源有限公司 一种辅助开关电源的供电电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258A (ja) * 1993-06-08 1994-12-22 Meidensha Corp インバータの停電対策回路
KR950026095A (ko) * 1994-02-15 1995-09-18 백중영 유도전동기 구동용 인버터의 정전 방지 회로
KR950025997A (ko) * 1994-02-28 1995-09-18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00070269A (ko) * 1999-07-16 2000-11-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전력변환장치
KR20010073796A (ko) * 2000-01-20 2001-08-03 구자홍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20030016107A (ko) * 2001-08-20 200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씨 모터의 기동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258A (ja) * 1993-06-08 1994-12-22 Meidensha Corp インバータの停電対策回路
KR950026095A (ko) * 1994-02-15 1995-09-18 백중영 유도전동기 구동용 인버터의 정전 방지 회로
KR950025997A (ko) * 1994-02-28 1995-09-18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00070269A (ko) * 1999-07-16 2000-11-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전력변환장치
KR20010073796A (ko) * 2000-01-20 2001-08-03 구자홍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20030016107A (ko) * 2001-08-20 200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씨 모터의 기동 제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27B1 (ko) * 2001-08-2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씨 모터의 기동 제어 장치
KR100982868B1 (ko) * 2003-12-26 2010-09-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라인 컨택터와 파워라인 오류 검출이 가능한 전동지게차의모터 제어 시스템
KR20150141085A (ko) * 2014-06-09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10061503A (zh) * 2019-05-24 2019-07-26 合肥为民电源有限公司 一种辅助开关电源的供电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75669B2 (ko)
EP1728313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dc bus precharge circuit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JPH04203471A (ja) エンジン式発電装置
JPH118910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電源装置
EP2863530A1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JP707083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2512861A (zh) 具有可控的中间电路中心点电压的充电设备以及具有这种充电设备的驱动系统
WO2011004588A1 (ja) 電気車制御装置
JP2009232672A (ja) モータ駆動システム
ITMI970098A1 (it) Circuito regolatore-riduttore
CN115528766A (zh) 利用马达驱动系统的车辆电池充电系统
KR20030006423A (ko)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JP2000358305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電源装置
JPH0614600A (ja) エンジン式発電装置
JP2012231580A (ja) 電源システム
EP4108507A1 (en) System for charging vehicle battery using motor driving system
KR20100028403A (ko) 하이브리드 동력 장치
JP2007252074A (ja) 電力変換装置
US20080036427A1 (en) Electric Vehicle Control Apparatus
EP1440501B1 (en) Motor control circuit and associated full bridge switching arrangement
JP3614064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10104076A (ja) 電力変換回路
KR200333455Y1 (ko) 축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이용한 3상브러시리스 직류전동기 구동장치
JP4340967B2 (ja) 多相電圧形整流器
KR102694018B1 (ko) 스위치 구동 전원부를 포함하는 전기차를 위한 급속 충전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7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9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