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5075A - 목초액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목초액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075A
KR20030005075A KR1020020063644A KR20020063644A KR20030005075A KR 20030005075 A KR20030005075 A KR 20030005075A KR 1020020063644 A KR1020020063644 A KR 1020020063644A KR 20020063644 A KR20020063644 A KR 20020063644A KR 20030005075 A KR20030005075 A KR 20030005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vinegar
cosmetics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수
Original Assignee
장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수 filed Critical 장명수
Priority to KR102002006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5075A/ko
Publication of KR2003000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07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초액에 함유된 초산을 비롯한 유기산류의 살균력 및 항산화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화장료와 목초액을 혼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목초액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mposition of cosmetics to compound Wood Vinegar.}
목초액은 참나무류(커스)의 목재를 탄화시킬 때 발생되는 연기를 연기 온도 80-150℃때 포집하여 급속냉각시켜 생성되는 조목초액을 다시 6 ∼ 12개월동안 정치(定置) 또는 증류(蒸溜)시켜 만든 것으로 성분은 85%이상이 물, 나머지는 유기산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있다. 그 외에 미네랄과 비타민등 200종류이상의 유기물,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독특한 향(스모크향)을 지닌다.
목초액은 PH3의 산성액체로 식물이나 동물의 체내 침투성, 흡수성이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특히 초산, 락산등의 유기산류와 200여종 이상의 유기물이 함유된 목초액을 상온에서 1개월 이상 보관하였는데도 대장균이나 일반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정제된 목초액 자체에 균성장억제 기능이 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1947년 일본에서는 '목초액의 제조와 그 활용'이라는 소책자가 발행될만큼 많은 연구를 하였고, 1977년 일본국립병원 내과과장이 자신이 치료중이던 간질환(肝疾患) 환자들에게 목초액을 투여하여 부작용없이 건강해진 사실을 발표한 이후,의료현장에서 목초액을 이용하는 의료인들이 생겨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의학 박사 김한성 교수가 목초액을 임상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임상사용의 예로 알려진 목초액의 효능은,
1.만성간질환에서 의 전신무력감, 전신권태감의 개선 및 검사수치의 향상.
2.당뇨환자의 혈당치 조절및 전신무력감 개선.
3.통풍의 개선효과.
4.천식,아토피등의 알레르기질환 개선
5.피로회복 및 만성피로해소, 운동능력향상.
6.혈중 알코올농도 저하 및 숙취제거.
7.성기능 강화효과.
8.탈모증의 개선.
9.약물중독시 해독작용(스테로이드 부작용 경감)
10.난치성 무종의 치료효과.
11.화상상처의 빠르고 흉터없는 치유등이 있다.
이처럼 목초액의 순도가 높은 것은 식품의 방부제로 사용되고, 무좀이나 피부가려움등에 민간처방으로 사용되어졌고,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많이 보고되고 있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에 주목받고 있다. 즉 성인병과 피부손상의 개선효과, SOD(활성산소 소거능력)등으로 세포재생등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목초액은 많은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에 의한 연구가 계속되어져 왔고, 이에 목초액의 안전성이 확인되었기에(정제목초액의 아급성 독성시험: 자연과학연구소논문지. Vol 1. No 1. 1996 김판기) 화장료 첨가물로의 이용가능성을 생각하게 되었다.
화장료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항산화제 및 살균제는 일반적으로 합성 물질인데, 합성 물질은 천연물과는 달리 독성이 강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합성 항산화제 및 살균제를 제조하는 비용이 많이 들며, 정제과정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자연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천연피부 보호제 성분으로의 관심이 증대되어 피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물질을 추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1.시약을 이용하여 추출한 복합생약추출물 항균제
(특허출원번호 200047075: 감초, 고삼, 백반, 사간, 오배자, 죽순, 천궁, 황련 또는 황백 추출물)
2.은행추출물 항산화제
(특허등록번호 100302226: 폴리페놀과 은행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제)
3.에탄올 및 부틸렌글리콜,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박추출물
(특허출원번호 1997006624: 박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4.디에틸에테르 및 노말헥산을 이용하여 목초액에서 항산화성 성분군을 분리하는 방법
(특허출원번호 200060760: 목초액으로부터 항산화성 성분은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항상산화성 성분군을 함유하는 화장료)
5.오갈피나무의 수피로부터 에탄올과 물 및 몇가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항산화제를 얻는 방법(공개번호 199948807)등이 있으나,
상기의 방법은 사용재료등이 고가인 생약제이고,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약을 이용한 추출방법임으로 천연 항산화물질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 하겠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숯가공업체에서 이미 가공되어진 조목초액을 구입하여 음용이 가능하도록 정제하여 과학기술분석센타에 성분분석을 의뢰한후, 안전성이 확인되어진 순수 천연 목초액을 화장료와 배합함으로써 목초액의 살균력 및 항산화 효과 등 목초액의 유익한 효능의 이용가능성을 증대시킬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음용이 가능하도록 정제된 목초액의 살균성 및 항산화성등 여러 유익한 효능이 용이하게 이용되어 질 수 있도록 피부개선기능이 뛰어난 화장료를 제조함에 있어 화장료와 목초액을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목초액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가 바람직하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목초액의 함량을 달리 하였음에, 목초액의 함량이 0.5중량%미만인 경우 효과가 미약하고 5중량%를 넘으면 화장료에 목초액특유의 향이 강하게 나타나 사용감이 부담스러운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기초제품 화장료(화장수. 스킨, 영양크림, 아이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필링 팩등)에 적용하였으나 화장료의 제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1 - 7)와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표의 제형 비율대로 제조하였다
실시예1. 화장수
실시예 2. 로션
실시예 3. 영양크림
실시예 4. 아이크림
실시예 5. 에센스
실시예 6. 클렌징 폼
실시예 7. 필링 팩
실험예
실험예 1. 가려움증의 개선효과
상기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아토피성 피부질환이 있는 20-40대 여성 20명을 대상로 선별하여 8주간 사용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1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 꺼칠꺼칠한 피부의 개선효과
상기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특히 아토피성 피부의 부작용으로 생기는 각질에의 개선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아토피가 악화된 대상자를 20명 선별하여 4주간 사용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표1,2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목초액과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은 목초액의 살균 및 항산화성의 효능이 85%이상 보여지고 있어 피부를 보호하는 화장료로서의 사용목적에 적합하다 할 수 있다.

Claims (2)

  1. 목초액을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함에 있어 0.5중량% 내지 5.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중 목초액의 함량을 0.5중량%로 하는 스킨, 아이크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63644A 2002-10-17 2002-10-17 목초액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Ceased KR20030005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44A KR20030005075A (ko) 2002-10-17 2002-10-17 목초액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44A KR20030005075A (ko) 2002-10-17 2002-10-17 목초액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075A true KR20030005075A (ko) 2003-01-15

Family

ID=2772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644A Ceased KR20030005075A (ko) 2002-10-17 2002-10-17 목초액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50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223A (ko) * 2004-04-09 2005-10-13 안봉전 목초액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용도와 이를 이용한 헤어토닉
KR100840391B1 (ko) * 2005-10-19 2008-06-23 변무원 정제된 목초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용 약제
KR101021088B1 (ko) * 2007-06-05 2011-03-14 주식회사 젠트로 조목초액의 정제방법, 이로부터 정제된 목초액, 및 상기정제된 목초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구강 청결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5513A (ja) * 1988-04-28 1989-11-06 Ichimaru Pharcos Co Ltd 脱臭樺木タール又はそれを含有する皮膚用剤
KR20010103353A (ko) * 2000-05-09 2001-11-23 남춘옥 순수한 목탄(숯)과 정제한 목초액 및 순수한 꿀을 배합또는 융합 이용하여 식품. 의약품. 화장품등의 첨가물로사용가능케한 중화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20050051A (ko) * 2000-12-19 2002-06-26 김경애 나무타르(wood tar)를 함유하는 피부치료제 조성물
KR20030032631A (ko) * 2001-10-19 2003-04-2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47502A (ko) * 2001-12-11 2003-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초액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5513A (ja) * 1988-04-28 1989-11-06 Ichimaru Pharcos Co Ltd 脱臭樺木タール又はそれを含有する皮膚用剤
KR20010103353A (ko) * 2000-05-09 2001-11-23 남춘옥 순수한 목탄(숯)과 정제한 목초액 및 순수한 꿀을 배합또는 융합 이용하여 식품. 의약품. 화장품등의 첨가물로사용가능케한 중화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20050051A (ko) * 2000-12-19 2002-06-26 김경애 나무타르(wood tar)를 함유하는 피부치료제 조성물
KR20030032631A (ko) * 2001-10-19 2003-04-2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47502A (ko) * 2001-12-11 2003-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초액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223A (ko) * 2004-04-09 2005-10-13 안봉전 목초액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용도와 이를 이용한 헤어토닉
KR100840391B1 (ko) * 2005-10-19 2008-06-23 변무원 정제된 목초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용 약제
KR101021088B1 (ko) * 2007-06-05 2011-03-14 주식회사 젠트로 조목초액의 정제방법, 이로부터 정제된 목초액, 및 상기정제된 목초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구강 청결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239B2 (en) Extract of Trigonella foenum-graecum
Okwu et al. Evalu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acryodes edulis and Raphia hookeri Mann and Wendl exudates used in herbal medicine in south eastern Nigeria
WO2006109898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nano silver and natural essential oil
KR20110082292A (ko)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JP2003055241A (ja) 痒み防止皮膚外用剤
CN111135209A (zh) 一种具有防疟驱蚊止痒修复的青蒿喷剂及其制备方法
JP2021172620A (ja) 口腔ケア剤
CN109453094B (zh) 一种驱蚊止痒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护肤品
JPH10139676A (ja) 抗アレルギー性皮膚外用組成物
KR101533195B1 (ko) 천연방부제를 사용한 안전한 물티슈 조성물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64914B1 (ko)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urlu-Ozkaya et al. Oleuropein using as an additive for feed and products used for humans
KR100785974B1 (ko)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20108930A (ko) 항산화제 및 피부 화장료
KR20030005075A (ko) 목초액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06254A (ko) 발효 쑥초액 및 탄화 쑥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및 약품부외품
KR20190101550A (ko) 오크라, 퀴노아, 석류, 들깨, 편백 추출 혼합물과 프로폴리스 및 합성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Abdulazeez et al. The Bio-physiological Impa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inger Aqueous Extract in Awassi Ewes
JPS5913726A (ja) セリ濃縮物を主成分とする食品
CN109939049A (zh) 纯天然植物抗菌保健湿巾配方及其制备方法
KR20080033737A (ko)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CN108066518A (zh) 一种犬用中药浴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