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1648A -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648A
KR20030001648A KR1020010036431A KR20010036431A KR20030001648A KR 20030001648 A KR20030001648 A KR 20030001648A KR 1020010036431 A KR1020010036431 A KR 1020010036431A KR 20010036431 A KR20010036431 A KR 20010036431A KR 20030001648 A KR20030001648 A KR 2003000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breaker
tire
carcass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구
배삼호
Original Assignee
금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1648A/ko
Publication of KR2003000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6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2030/3064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3071Venting air inclusions during the layer applications, e.g. by creating grooves, channels, passages or holes in the band-like tyre component to be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제조장치의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공정에서 제작된 타이어 구성부분 반제품으로부터 타이어 내부를 구성하는 카카스 조립단면체와 타이어의 외부를 구성하는 브레이커 조립단면체를 조립하여 타이어의 반제품인 그린타이어 케이스를 완성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의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치들을 배치하여 각 장치의 배치가 작업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행동반경을 최소로 하게되어 타이어 생산능률이 증대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그만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Setting Method of Tire Shaping and Molding Equipments}
본 발명은 타이어제조장치의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공정에서 제작된 타이어 구성부분 반제품으로부터 타이어 내부를 구성하는 카카스 조립단면체와 타이어의 외부를 구성하는 브레이커 조립단면체를 조립하여 타이어의 반제품인 그린타이어 케이스를 완성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각 장치의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를 생산하는 방법은 타이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구성 반제품을 제작하여 다수개의 장치를 통하여 타이어 반제품을 다시 조립하여 타이어를 완성하게된다.
이와 같은 타이어 생산하는 과정에 있어서 타이어 구성 부품의 반제품으로부터 타이어 내부를 구성하는 카카스단면 조립체와 브레이커단면조립체를 조립성형하고, 카카스단면 조립체와 브레이커 단면조립체를 다시 조립하여 타이어의 반제품인 그린타이어 케이스를 조립성형하는 공정이 있는데, 이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밴드드럼과 타이어의 외부를 구성하고 있는 브레이커부를 조립하는 2기(基)의 브레이커드럼, 상기 밴드드럼과 2기의 브레이커드럼에 의하여 조립된 카카스 조립 단면체와 브레이커 조립단면체를 최종 완성 조립하는 카카스 드럼, 카카스드럼으로 이송되어온 원통모양의 밴드를 일정모양으로 성형하는 턴업링과 같은 장치들이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들은 종래에 그 배치가 효율적으로 배치되지 못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반경이 상당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컷고 각 공정과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와 장치간에 연결수단이 부적절하여 전체적으로 타이어 생산성이 떨어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인데,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부품조립제조기들을 작업자를 중심으로 하여 효율적인 최소공간 배치하고 각 장치에서 각 장치로 조립된 반제품을 이송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조립성형작업도 능률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타이어를 조립성형하는 각 장치가 배치되는 평면적 배치구성도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각 장치의 배치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밴드드럼 14, 16 : 브레이커드럼
7, 10 : 카카스 드럼 3 : 비드/밴드 트랜스퍼링
4, 11 : 턴업링 8 : 그린타이어케이스 트랜스퍼링
5, 12 : 스티칭장치 15 : 회전기구
K축, J축, E축, I축, H축, F축, G축 : Y축선과 직교하며 X축에 평행한 축
A축, C축, M축, D축, B축 : X축과 직교하며 Y축에 평행한 축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각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법에 따른 각 장치는 타이어 내부를 구성하는 카카스부를 원통모양으로 조립하는 밴드드럼(1)과 타이어의 외부를 구성하고 있는 브레이커부를 조립하는 2기(基)의 브레이커드럼(14, 16), 상기 밴드드럼(1)과 2기의 브레이커드럼(14, 16)에 의하여 조립된 카카스 조립 단면체와 브레이커 조립단면체를 최종 완성 조립하는 카카스 드럼(7, 10), 상기 밴드드럼(1)에서 조립된 원통모양의 카카스 조립단면체에 비드를 셋팅하여 상기 카카스드럼(7,10)에 이송하는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 브레이커 드럼(14, 16)에서 조립된 브레이커 조립단면체를 카카스 드럼(7, 10)으로 이송하는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 카카스드럼(7, 10)으로 이송되어온 원통모양의 밴드를 일정모양으로 성형하는 2기의 턴업링(4, 11), 카카스단면조립체와 브레이커단면조립체로부터 조립된 그린타이어케이스를 이송배출하는 그린타이어케이스 트랜스퍼링(8), 그리고 2기의 스티칭장치(5, 12) 로 구성된다. 상기 2기의 브레이커드럼(14, 16)은 회전기구(15)를 중심으로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기구(15)의 움직임에 따른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들이 배치되는 공간적 위치를 살펴보기 위하여 도 1 에 각 장치가 배치될 평면적 공간을 정의하고 있다. 즉 상기의 각장치가 배치되는 일정규모의 평면적공간을 상정하고, 가로방향을 X축으로하고 세로방향을 Y축으로 방향을 정한 다음, Y축선과 직교하며 X축에 평행한 K축, J축, E축, I축, H축, F축, G축을 각 장치의 운동거리나 장치의 크기를 고려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설정하고, X축과 직교하며 Y축에 평행한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서대로 A축, C축, M축, D축, B축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공간에 E축과 A축이 만나는 지점에 밴드드럼(1)을 위치시키고, E축과 B축이 만나는 지점에 회전기구(15)를 위치시키며 이에 따라 2기의 브레이커드럼(14)(16)은 각각 B축선상에서 J축과 I축과 만나는 지점에 배치한다.
A축과 F축이 만나는 지점에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을 배치하고, B축과 F축이 만나는 지점에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을 배치하고, G축과 C축이 만나는 지점에 카카스드럼(7)을 배치하며, G축과 D축이 만나는 지점에 또다른 카카스드럼(10)을 배치하며, 상기 두 카카스드럼(7)(10)에 인접하여 -X축방향으로 G축과 C축선상에 각각 턴업링(4)와 턴업링(11)을 배치하고, 상기 턴업링(4)과 다른 하나의 턴업링(11)이 배치된 G축선상에서 턴업링(4)의 +Y방향으로 인접하여 스팅칭장치(5)를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턴업링(11)의 -Y방향으로 다른 스티칭장치(12)를 배치한다.
그리고 G축과 M축이 만나는 지점에 즉 G축선상에서 두 카카스드럼(7)(10) 사이 중간에 그린케이스 트랜스퍼링(8)을 배치한다.
이상과 같은 장치 및 배치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밴드드럼(1)은 A축선상에서 E축의 위치에서 F축의 위치까지 왕복운동하고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은 F축선상에서 A축의 위치에서 C축 또는 D축의 위치까지 왕복운동한다.
그리고, 카카스 드럼(7)은 C축 선상에서 G축의 위치에서 F축의 위치까지 왕복운동을 하고 카카스 드럼(10)은 D축 선상에서 G축의 위치에서 F축 위치까지 왕복운동을 한다.
또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은 F축 선상에서 H축선상 까지 움직임과 동시에 D축의 위치 또는 C축의 위치까지 왕복운동한다.
이와 같은 움직임을 통하여 각각의 반제품들로 타이어완성품에 가깝게 조립성형하는데 그 작동작동방법은 밴드드럼(1)에서 타이어 내부를 구성하는 일부단면체가 원통모양으로 카카스단면조립체로 성형되면, 이 카카스단면조립체를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으로 홀딩하고 이 때 밴드드럼(1)은 E축선상으로 되돌아 간다.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으로 홀딩되어진 원통모양의 카카스단면조립체와 비드(비드가 셋팅된 카카스단면조립체)는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에 의하여 F축선상에서 A축선 위치까지 또 F축선상에서 C축선 또는 D축선의 위치까지 이송된다.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이 F축선상에서 C축선 또는 D축선으로 이동하면 턴업링(4, 11)은 C축선 및 D축선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또다른 카카스드럼(7, 10)은 C축 D축선상에서 G축의 위치에서 F축의 위치까지 이송하게 된다.
상기 카카스드럼(7, 10)이 C축 D축의 축선상에서 F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에 홀딩되어진 비드와 밴드를 카카스드럼(7) 또는 카카스드럼(10)로 옮겨진다.
카카스드럼(7) 또는 카카스드럼(10)이 비드와 밴드를 홀딩하면 카카스드럼(7) 또는 카카스드럼(10)은 원래위치인 G축선상으로 되돌아간다.
비드와 밴드를 홀딩한 카카스드럼(7) 또는 카카스드럼(10)이 G선상으로 되돌아오면 턴업링(4) 또는 턴업링(11)에 의하여 밴드가 비드를 감싸게 된다.
원통모양의 밴드가 비드를 감싸게 되면 타아어 외부측면을 구성하는 일부 반제품을 카카스드럼(7) 또는 카카스드럼(10)에서 조립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타이어 내부를 구성하는 카카스 단면조립체는 일정하게 부풀어 올려져서 타아어 외부를 구성하는 일부 조립단면체를 조립하는데, 타이어 외부를 구성하는 브레이커 조립 단면체는 브레이커 드럼(14, 16)에 의하여 조립되어진다.
브레이커 조립 단면체의 조립성형은 브레이커 드럼(14)와 브레이커 드럼(16)에 의하여 두 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브레이커 조립단면체의 조립성형을 두 개의 브레이커드럼(14, 16)에 의하도록 한 것은 타이어 외부를 구성하는 브레이커 단면조립체의 조립성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먼저 하나의 브레이커 드럼(14)은 B축선상에서 H축위치에서 I축의 위치로, I축에서 브레이커 단면조립체의 조립하기 위한 부분조립이 끝나면 회전기구(15)가 회전하여 상기 브레이커 드럼(14)의 I축에서 J축선으로 이동하게 되고
J축선에서 조립되어 조립이 끝나면 K축선 위치로 이동하여 타이어 외부를 구성하는 브레이커 단면조립체를 완성하게 된다.
이같이 브레이커 단면조립체가 완성되면 다시 브레이커 드럼(14)은 회전기구(15)에 의하여 회전되어 H축선으로 되돌아 간다.
브레이커 드럼(14) 또는 브레이커 드럼(16)이 B축선상의 H축위에 오면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이 B축선상의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이 B축선상의 F위치에서 H축 위치까지 이동하게되고 브레이커드럼(14) 또는 브레이커드럼(16)과 브레이커 트렌스퍼링(13)이 일치하게 되면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이 B축선상의 F축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완성된 브레이커 단면조립체를 갖고 있는 브레이커드럼(14) 또는 브레이커드럼(16)은 B축선상의 H축위치에 오면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이 B축선상의 F축 위치에서 H축 위치까지 이동하고 브레이커드럼(14)또는 브레이커드럼(16)과 브레이커드럼트랜스퍼링(13)이 일치하게 되면 브레이커드럼 트랜스퍼링(13)이 브레이커 단면조립체를 홀딩하게되고 홀딩된 브레이커 단면조립체를 홀딩하여 F축선 위치로 되돌아 온다.
브레이커 단면조립체를 홀딩하여 B축선상의 F축의 위치로 되돌아온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은 다시 F축선상의 C축선 또는 D축선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이 F축선상의 D축 또는 C축선 위치로 조립성형된 브레이커 단면조립체를 이송하여 오면 턴업링(4) 또는 턴업링(11)은 C축선 또는 D축선과 수직방향으로 비켜나가게 되며, 이미 타이어 내부를 구성하는 카카스단면조립체를 갖고 있는 카카스드럼(7) 또는 카카스드럼(10)은 미리 대기하고 있는 상기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까지 이동한다.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과 카카스드럼(7 또는 10)이 일치하게 되면 카카스 드럼(7 또는 10)에 홀딩된 카카스단면조립체가 일정한 모양으로 부풀어 오르게되고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이 홀딩하고 있는 브레이커 단면조립체와 결합하여 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카카스단면조립체와 브레이커 단면조립체가 상호 조립되면 , 카카스드럼(7 또는 10)은 C축 또는 D축선상의 G축 위치로 되돌아 오게되고 스티칭장치(5 또는 12)에 의하여 상기 카카스단면조립체와 브레이커 단면조립체의 조립된 상태를 완전밀착 조립시켜 그린타이어 케이스로 완전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같이 카카스단면조립체와 브레이커 단면조립체가 상호 완전밀착 성형이 완료된 상태를 그린 타이어 케이스라 칭하는데, 상기 그린타이어케이스는 그린케이스 트랜스퍼링(8)에 의해서 본장치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타이어의 반제품인 그린타이어케이스를 조립성형하는 상기과 같은 방법 및 장치로 달성함은 각 장치의 배치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행동반경을 최소로 하게되어 타이어 생산능률이 증대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그만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타이어를 생산하는 공정중 카카스단면조립체와 브레이커단면조립체를 조립성형하고 이로부터 그린타이어케이스를 조립성형하는 다수개의 장치를 배치함에 있어서, 각장치가 배치되는 일정규모의 평면적공간을 상정하고, 가로방향을 X축으로하고 세로방향을 Y축으로 방향을 정하고, Y축선과 직교하며 X축에 평행한 K축, J축, E축, I축, H축, F축, G축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설정하고, X축과 직교하며 Y축에 평행한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서대로 A축, C축, M축, D축, B축을 설정하고, 설정된 공간에 E축과 A축이 만나는 지점에 밴드드럼(1)을 위치시키고, E축과 B축이 만나는 지점에 회전기구(15)를 위치시키며 이에 따라 2기의 브레이커드럼(14)(16)은 각각 B축선상에서 J축과 I축과 만나는 지점에 배치하고, A축과 F축이 만나는 지점에 비드/밴드 트랜스퍼링(3)을 배치하고, B축과 F축이 만나는 지점에 브레이커 트랜스퍼링(13)을 배치하고, G축과 C축이 만나는 지점에 카카스드럼(7)을 배치하며, G축과 D축이 만나는 지점에 또다른 카카스드럼(10)을 배치하며, 두 카카스드럼(7)(10)에 인접하여 -X축방향으로 G축과 C축선상에 각각 턴업링(4)와 턴업링(11)을 배치하고, 턴업링(4)과 다른 하나의 턴업링(11)이 배치된 G축선상에서 턴업링(4)의 +Y방향으로 인접하여 스팅칭장치(5)를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턴업링(11)의 -Y방향으로 다른 스티칭장치(12)를 배치하고, G축과 M축이 만나는 지점에 즉 G축선상에서 두 카카스드럼(7)(10) 사이 중간에 그린케이스 트랜스퍼링(8)을 배치하는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
KR1020010036431A 2001-06-25 2001-06-25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 KR20030001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431A KR20030001648A (ko) 2001-06-25 2001-06-25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431A KR20030001648A (ko) 2001-06-25 2001-06-25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648A true KR20030001648A (ko) 2003-01-08

Family

ID=2771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431A KR20030001648A (ko) 2001-06-25 2001-06-25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1648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422A (ko) * 1983-07-30 1985-03-18 로테 자누스 제프스키 아담 딜 변위 측정기 및 그 측정법
KR850001423A (ko) * 1983-07-20 1985-03-18 미다 가쓰시게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裝置)
US5156713A (en) * 1988-01-25 1992-10-20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building machine having a cylindrical member transfer apparatus
KR950007655A (ko) * 1993-09-24 1995-04-15 빅케, 라이씽거 살진균성 혼합물
JPH08174709A (ja) * 1994-12-27 1996-07-09 Bridgestone Corp シングルステージ式タイヤ成形システム
US5948207A (en) * 1996-02-12 1999-09-07 Vmi Epe Holland B.V. Assembly of devices for building a green tire for vehicles
KR20000036134A (ko) * 1999-03-15 2000-06-26 스위셔 케드린 엠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00351164A (ja) * 1999-06-14 2000-12-19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423A (ko) * 1983-07-20 1985-03-18 미다 가쓰시게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裝置)
KR850001422A (ko) * 1983-07-30 1985-03-18 로테 자누스 제프스키 아담 딜 변위 측정기 및 그 측정법
US5156713A (en) * 1988-01-25 1992-10-20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building machine having a cylindrical member transfer apparatus
KR950007655A (ko) * 1993-09-24 1995-04-15 빅케, 라이씽거 살진균성 혼합물
JPH08174709A (ja) * 1994-12-27 1996-07-09 Bridgestone Corp シングルステージ式タイヤ成形システム
US5948207A (en) * 1996-02-12 1999-09-07 Vmi Epe Holland B.V. Assembly of devices for building a green tire for vehicles
KR20000036134A (ko) * 1999-03-15 2000-06-26 스위셔 케드린 엠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00351164A (ja) * 1999-06-14 2000-12-19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0655B1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tyres for vehicle wheels
JP2009516601A (ja) タイヤブランクの組立時に使用される移送及び製造システム
EP2234799B1 (en)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US10328646B2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tyres for vehicle wheels
JP2013501650A (ja) 車両ホイール用タイヤを構築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プラント
US10286618B2 (en) Handling device for tires
KR20140107458A (ko) 차륜용 타이어 제조를 제어하는 방법, 공정, 및 설비
KR20030001648A (ko) 타이어 조립성형장치의 배치방법
RU269033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линией сборки каркасных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борки каркасных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шин
US10611111B2 (en)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JP2006116817A (ja) タイヤ成形装置
RU2343072C2 (ru) Узел из устройств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вулканизированных радиальных шин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их шин
US5310328A (en) Green tire forming apparatus
JP2000167944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4076925B1 (en) Method for building belt assemblies for tyres for vehicle wheels
EP4069500B1 (en) Method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JP4803358B2 (ja) タイヤ成形装置
EP4076919B1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tyres for vehicle wheels
EP4076924B1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tyres for vehicle wheels
JP4450684B2 (ja) タイヤ成型システム
CN222372343U (zh) 摆渡车及轮胎生产系统
RU245794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ки шин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4829120B (zh) 用于生产车辆车轮用轮胎的方法和设备
RU201423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KR200330693Y1 (ko) 타이어 성형기의 카카스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10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