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9810Y1 -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810Y1
KR200299810Y1 KR20-2002-0029485U KR20020029485U KR200299810Y1 KR 200299810 Y1 KR200299810 Y1 KR 200299810Y1 KR 20020029485 U KR20020029485 U KR 20020029485U KR 200299810 Y1 KR200299810 Y1 KR 200299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eadrest
fastening
safety chair
seat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이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수 filed Critical 이완수
Priority to KR20-2002-0029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81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8Adaptations for seat belts characterised by guiding means for childr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자동차에 탑승한 어린이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 사용함으로써 생후 9개월 정도의 영유아기에서부터 13세 이하의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나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크게 시트백, 시트판, 보호가드의 3부분으로 나뉘어지며, 시트백의 하단부 양측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판의 후위에는 시트백의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 시트백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시트판의 양측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암레스트가 만곡지게 형성되어 시트판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보호가드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착탈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9㎏∼36㎏ 사이의 생후 9개월 정도의 영유아기에서부터 13세 이하의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단계별 유아 안전의자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어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유아 안전의자가 어떠한 상태이건 안전벨트를 안전하게 맬 수 있어 사용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Safety chair for young child i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탑승한 어린이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 사용함으로써 생후 9개월 정도의 영유아기에서부터 13세 이하의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나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의 시트 및 안전벨트는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착석하였을 때 몸에 비해 시트 및 안전벨트가 너무 크게 되어 안전하게 받쳐주지 못함은 물론 안전벨트가 유아들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압박하였던 바, 이를 감안하여 유아들의 몸에 맞는 사이즈로 안락한 시트부위를 형성하고, 이 시트부위의 외측에 안전벨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는 그 대상이 되는 어린이의 신체 크기에 따라 어느 정도의 범위로 나누어 단계별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아 안전의자는 자동차 사고시에도 유아들을 안전하게 지켜주기 위해서 강한 내구성을 갖추고 있는데 반해, 아기는 그 성장속도가 매우 빨라 별다른 고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아기의 성장속도에 맞게 단계별로 유아 안전의자를 구매하고 있으므로 그 구매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를 구성함에 있어 유아의 성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생후 9개월 정도의 영유아기에서부터 13세 이하의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본적으로는 구매비용을 절약하고, 나아가서는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과 시트판의 체결부위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과 헤드레스트의 체결부위 상세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파지부의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모든 부재가 완전히 갖추어진 상태.
(b)는 쿠션 주머니와 보호가드가 탈거된 상태.
(c)는 시트백이 탈거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시트백 101,507 : 체결돌기
102 : 핀홈 103 : 고정핀
104 : 탄성록커 105 : 탄성편
106 : 록킹핀 107,202,303,401,503 : 커버
108 : 등받이쿠션 주머니 109,203 : 에어튜브
200 : 시트판 201,509 : 체결홈
204 : 쿠션 주머니 300 : 보호가드
301 : 몸체 301a : 날개부위
302 : 보호판 304 : 안전벨트 수용홈
305,402,514,515 : 기준점 400 : 암레스트
500 : 헤드레스트 501 : 지지대
502 : 록킹홈 504 : 안전벨트 거치대
505 : 안전벨트 파지부 506 : 본체
508 : 체결구 510 : 체결편
511 : 키이 512 : 손잡이
513 : 걸림부재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를 통해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시트백(100), 시트판(200), 보호가드(300)의 3부분으로 나뉘어지며, 시트백(100)의 하단부 양측에는 체결돌기(101)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판(200)의 후위에는 시트백(100)의 체결돌기(101)와 대응되는 체결홈(201)이 형성되어 있어 시트백(100)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시트판(200)의 양측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암레스트(400)가 만곡지게 형성되어 시트판(200)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보호가드(300)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착탈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도 3과 같이 시트백(100)의 체결돌기(101) 하단부에는 핀홈(102)을 형성하여 시트판(200)의 체결홈(201)에 끼운 후 핀홈(102)에 봉형상의 고정핀(103)을 꽂아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시트판(200)과 보호가드(300)의 사이로 유아의 다리부위가 통과될 수 있도록 시트판(200)은 정면상 오목하게 형성하게 되고, 보호가드(300)는 정면상 불룩한 형태로 구성되어 그 양측 날개부위(301a)가 시트판(200)과 암레스트(400)의 사이공간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몸체(301)와, 몸체(301)의 후위로부터 상부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유아의 가슴부위를 받쳐주는 보호판(302)을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100)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500)가 상하 조정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시트백(100)의 내부는 헤드레스트(50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대(501)가 삽입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되며, 헤드레스트(500)의 지지대(501)에는 다단의 록킹홈(502)이 형성되고, 이 록킹홈(50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시트백(100)의 상단부에는 탄성록커(104)가 형성되어 헤드레스트(500)를 상하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탄성록커(104)는 시트백(100)에 고정된 탄성편(105)의 자유단부 후위로 록킹핀(106)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100), 헤드레스트(500), 시트판(200), 암레스트(400), 보호가드(300)에는 쿠션을 갖는 커버(107)(503)(202)(401)(303)가 각각 착탈식으로 씌워지며, 시트백 커버(107)의 양쪽에는 등받이쿠션 주머니(108)가 형성되어 여기에 에어튜브(109)가 삽입되고, 시트판(200)의 상부에는 에어튜브(203)가 삽입된 쿠션 주머니(204)가 끈이나 벨크로 매직 테이프와 같은 수단으로 착탈될 수 있게 얹혀진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는 2점식 안전벨트 또는 3점식 안전벨트의 사용이 모두 가능한 것으로, 시트판(200)과 암레스트(40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가드(300)의 몸체(301)와 보호판(302)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안전벨트 수용홈(304)이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부위를 통해 가로방향의 허리벨트(WB)를 수용할 수 있고, 헤드레스트(500)의 하부 양쪽에는 안전벨트 거치대(50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레스트(500)의 양측에는 안전벨트 파지부(505)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부위를 통해 대각방향의 어깨벨트(SB)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안전벨트 파지부(50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5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본체(506)와, 본체(506)의 상단부에 꺽임가능하게 취부되며 후방으로 체결돌기(507)가 형성된 체결구(508)와, 체결구(508)의 체결돌기(507)와 대응되도록 헤드레스트(500)에 형성된 체결홈(509)과,헤드레스트(500)의 체결홈(509) 하부측에 탄성을 갖게 형성되어 어깨벨트(SB)를 파지하는 체결편(510)과, 체결돌기(507)의 상부위치를 선택적으로 막아주어 체결구(508)가 유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본체(506)의 체결관계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키이(511)로 구성하게 되는데, 체결편(510)은 철판을 3면 절개하여 탄성을 갖게 하고 상기 절개된 부위의 하단부를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이 절곡부위를 통해 어깨벨트(SB)를 끼울 수 있게 구성하며, 키이(511)는 헤드레스트(5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외측으로 인출된 손잡이(512)와, 체결홈(509)의 상부에서 손잡이(512)에 편심 장착되어 손잡이(512)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돌기(507)의 상부위치를 막아주는 걸림부재(513)로 구성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이외에도 어깨벨트(SB)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암레스트(400)의 하부, 안전벨트 수용홈(304), 안전벨트 거치대(504), 안전벨트 파지부(505)에는 각각 안전벨트가 통과되는 방향으로 기준점(402)(305)(514)(515)을 표시하여 안전벨트 사용에 대해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작용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9㎏정도의 체중을 갖는 생후 9개월 정도의 영유아기 아기들은 그 체구가 그다지 크기 않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를 이루는 모든 부재를 완전히 갖춘 상태에서 자동차의 시트에 얹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의 안전벨트는 2점식인 경우 암레스트(400) 하부, 보호가드(300)의 안전벨트 수용홈(304), 반대측 암레스트(400) 하부를 통해 매게 되고, 3점식인 경우 허리벨트(WB)는 2점식과 동일하고 어깨벨트(SB)는 헤드레스트(500)의 안전벨트 거치대(504) 또는 안전벨트 파지부(505), 유아의 가슴, 암레스트(400)의 하부를 통해 매어 허리벨트(WB)와 함께 벨트 체결부위에 체결하면 된다.
영유아기를 조금 지난 아이들은 체구가 영유아기 시기의 유아들보다는 크게 되므로 시트판(200)에 끈이나 벨크로 매직 테이프와 같은 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얹혀진 쿠션 주머니(204)를 탈거하여 시트판(200)과 보호가드(30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한 후 사용하면 되며, 등받이쿠션 주머니(108)의 에어튜브(109)로부터 공기를 빼낼 수도 있고, 이보다 조금 더 큰 아이들의 경우에는 보호가드(300) 자체를 암레스트(400)로부터 탈거한 후 시트백(100)과 시트판(200)만으로 사용하게 되며, 이때의 안전벨트는 보호가드(300)가 없어 위험하므로 주로 3점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허리벨트(WB)의 경우 암레스트(400) 하부, 아이의 배부위, 반대측 암레스트(400) 하부를 통해 매게 되고, 어깨벨트(SB)는 헤드레스트(500)의 안전벨트 거치대(504) 또는 안전벨트 파지부(505), 아이의 가슴, 암레스트(400)의 하부를 통해 매어 허리벨트(WB)와 함께 벨트 체결부위에 체결하면 된다.
또한, 부재를 완전히 갖춘 상태이건 보호가드(300)를 탈거한 상태이건 아이들의 키에 따라 헤드레스트(500)를 다단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시트백(100) 상단부에 구비된 탄성록커(104)의 탄성편(105)을 당겨 록킹핀(106)이 록킹홈(502)으로부터 이탈되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500)를 상하 원하는 만큼 조정한 후 탄성편(105)을 놓아주면 록킹핀(106)이 그 자리에 위치한 록킹홈(502)에 록킹되어 헤드레스트(5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의 신체크기를 가진 아이의 경우에는 상관없지만 어깨벨트(SB)는 어느 정도의 압박감이 있으므로 어깨벨트(SB)가 너무 타이트하다고 느껴질 만한 연령대의 유아들은 안전벨트 파지부(505)를 통해 어깨벨트(SB)를 다소 느슨하게 고정함이 바람직하며, 이때에는 키이(511)의 손잡이(512)를 돌려 체결돌기(507)의 걸림위치를 해제한 후 체결구(508)를 당겨 체결돌기(507)가 체결홈(509)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본체(506)가 하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완전 개방상태가 되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어깨벨트(SB)를 여유를 두고 체결편(510)의 하부로부터 끼워 파지하며, 본체(506)와 체결구(508), 키이(511)를 순차 원위치시켜 어깨벨트(SB)의 파지상태를 유지하면 된다. 반대로 어깨벨트(SB)를 풀 경우에는 반대의 과정으로 진행하면 된다.
13세 이하의 체구가 통상 36㎏ 정도 되는 어린이들의 경우 시트백(100)이 있게 되면 자동차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시트백(100)을 탈거한 후 시트판(200)만을 사용하게 되는데, 시트백(100)을 탈거할 때에는 먼저 봉형상의 고정핀(103)을 시트백(100) 체결돌기(101)의 핀홈(102)으로부터 빼내어 체결돌기(101)가 상방향으로 자유상태가 되게 한 후 시트백(100)을 들어내면 되며, 이때의 안전벨트는 주로 3점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허리벨트(WB)의 경우 암레스트(400) 하부, 어린이의 배부위, 반대측 암레스트(400) 하부를 통해 매게 되고, 어깨벨트(SB)는 아이의 가슴, 암레스트(400)의 하부를 통해 매어 허리벨트(WB)와 함께 벨트 체결부위에 체결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를 사용함에 있어 부재가 대부분 착탈식이며, 구조적으로 일반적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와는 상이하므로 안전벨트를 맬 때 어떠한 부위를 통해 어떻게 맬지 몰라 고민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암레스트(400)의 하부, 안전벨트 수용홈(304), 안전벨트 거치대(504), 안전벨트 파지부(505)에 각각 안전벨트가 통과되는 방향으로 붉은색 원형으로 된 기준점(305)(402)(514)(515)을 인쇄하거나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한 것으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가 어떠한 상태이건(부재의 착탈이 가능하여 형태변화가 심함) 이러한 기준점(305)(402)(514)(515)은 적어도 하나 이상 외부로 표시되므로 이를 보고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안전벨트를 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9㎏∼36㎏ 사이의 생후 9개월 정도의 영유아기에서부터 13세 이하의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그 신체 크기에 따라 부재를 착탈하면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유아 안전의자 하나만 있으면 각 단계별 유아 안전의자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어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유아 안전의자가 어떠한 상태이건 안전벨트를 안전하게 맬 수 있어 사용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전벨트를 매는 자리에 기준점이 표시되어 있어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안전벨트를 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상부에는 헤드레스트(500)가 상하 조정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단부 양측에는 하방향으로 각각 체결돌기(101)가 형성된 시트백(100);
    후위에는 상기 시트백(100)의 체결돌기(101)와 대응되는 체결홈(201)이 각각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시트백(100)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양측 후방으로부터 암레스트(400)가 전방까지 만곡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정면상 오목한 형태의 시트판(200); 및
    상기 시트판(200)과의 사이에 다리통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면상 불룩한 형태로 구성되어 그 양측 날개부위(301a)가 상기 시트판(200)과 암레스트(400)의 사이공간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몸체(301)와, 상기 몸체(301)의 후위로부터 상부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301)와의 사이에 안전벨트 수용홈(304)을 형성하면서 유아의 가슴부위를 받쳐주는 보호판(302)이 일체로 형성된 보호가드(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100), 상기 헤드레스트(500), 상기 시트판(200), 상기 암레스트(400), 상기 보호가드(300)에는 쿠션을 갖는 커버(107)(202)(303)(401)(503)가 각각 착탈식으로 씌워지며, 상기 시트백 커버(107)의 양쪽에는 등받이쿠션 주머니(108)가 형성되어 여기에 에어튜브(109)가삽입되고, 상기 시트판(200)의 상부에는 에어튜브(203)가 삽입된 쿠션 주머니(204)가 착탈식으로 얹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500)의 하부 양쪽에는 안전벨트 거치대(504)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5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본체(506)와, 상기 본체(506)의 상단부에 꺽임가능하게 취부되며 후방으로 체결돌기(507)가 형성된 체결구(508)와, 상기 체결구(508)의 체결돌기(507)와 대응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500)에 형성된 체결홈(509)과, 상기 헤드레스트(500)의 체결홈(509) 하부측에 탄성을 갖게 형성되어 어깨벨트(SB)를 파지하는 체결편(510)과, 상기 체결돌기(507)의 상부위치를 선택적으로 막아주어 상기 체결구(508)가 유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상기 본체(506)의 체결관계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키이(511)로 구성된 안전벨트 파지부(505)를 상기 헤드레스트(500)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100)의 체결돌기(101) 하단부에는 핀홈(102)을 형성하여 상기시트판(200)의 체결홈(201)에 끼운 후 상기 핀홈(102)에 봉형상의 고정핀(103)을 꽂아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500)의 하부에는 다단의 록킹홈(502)을 갖는 지지대(501)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시트백(100)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500)의 지지대(501)가 삽탈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시트백(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대(501)의 록킹홈(502)에 대응되는 탄성록커(104)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레스트(500)를 상하방향으로 다단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7.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400)의 하부, 상기 안전벨트 수용홈(304), 상기 안전벨트 거치대(504), 상기 안전벨트 파지부(505)에는 각각 안전벨트가 통과되는 방향으로 기준점(305)(402)(514)(515)을 표시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KR20-2002-0029485U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Expired - Fee Related KR200299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85U KR200299810Y1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85U KR200299810Y1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810Y1 true KR200299810Y1 (ko) 2003-01-14

Family

ID=4932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48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9810Y1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81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929B1 (ko) 2011-07-05 2013-01-24 강신태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KR101570501B1 (ko) 2014-03-31 2015-11-19 최현숙 유아용 안전시트의 등받이
KR101586958B1 (ko) * 2014-12-05 2016-01-20 이지영 분리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
KR101646939B1 (ko) * 2015-06-24 2016-08-23 이재원 폭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CN109228978A (zh) * 2018-11-29 2019-01-18 符锡炯 安全座椅的椅座椅背锁定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929B1 (ko) 2011-07-05 2013-01-24 강신태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KR101570501B1 (ko) 2014-03-31 2015-11-19 최현숙 유아용 안전시트의 등받이
KR101586958B1 (ko) * 2014-12-05 2016-01-20 이지영 분리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
KR101646939B1 (ko) * 2015-06-24 2016-08-23 이재원 폭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CN109228978A (zh) * 2018-11-29 2019-01-18 符锡炯 安全座椅的椅座椅背锁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4934A (en) Child car s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4440331A (en) Protective child carrier assembly
US6142565A (en) Infant chair liner
AU634050B2 (en) Convertible child carrier
US6773065B1 (en) Reclining changing seat
US20160128491A1 (en) A combination of child carrier and stroller
US6827400B2 (en) Sleeping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US5551750A (en) Headrest booster seat
US6793287B2 (en) Booster seat head rest
US10369906B2 (en) Child safety seat
AU2017316615A1 (en) Child safety seat
EP1439089B1 (en) Storable seat
AU2006319741A1 (en) Car seat pillow and trolley cushion
US10967762B2 (en) Child safety seat
KR200299810Y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CN201712500U (zh) 婴儿汽车座椅装置
US4164357A (en) Combination infant and child seat
EP0481453A1 (en) Seat construction for a stroller
JP4159164B2 (ja) 乳幼児用マット
GB2429401A (en) Child car seat with base and wheeled support
EP1157880B1 (en) Child seat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JPS5927178Y2 (ja) 子供用椅子
JPH0732251Y2 (ja) 幼児兼用リヤシート
JP3040637U (ja) 安全ベルトに装着される子供用の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0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0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