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9668Y1 -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668Y1
KR200299668Y1 KR20-2002-0022085U KR20020022085U KR200299668Y1 KR 200299668 Y1 KR200299668 Y1 KR 200299668Y1 KR 20020022085 U KR20020022085 U KR 20020022085U KR 200299668 Y1 KR200299668 Y1 KR 200299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headlights
headlight
taillights
tur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배식
Original Assignee
전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배식 filed Critical 전배식
Priority to KR20-2002-0022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6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66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주행시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미등과 전조등을 자동적으로 점등 소등시켜주는 자동차 미등,전조등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수단과, 감지된 조도를 기준조도와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결과 감지된 조도가 기준조도(23.1±1.4 lux, 0.78±0.04v)이하일 경우에는 미등을 자동적으로 온시켜주고, 기준조도(6.2±1.4 lux, 0.36±0.04v)이하일 경우 전조등을 자동으로 온시켜주며, 기준조도(12±1.4 lux, 0.52±0.04v)이상이 되면 전조등이 소등되고, 기준조도(48.1±1.41 lux, 1.38±0.04v)이상에서는 미등이 자동적으로 소등되는 자동라이트시스템을 제공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미등전조등 제어장치에 의하면, 주변조도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조등 및 미등이 조절됨에 의해 운전자의 조작없이도 최적의 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automatic controller of headlight and tail light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전조등,미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으로 각각 조작되던 전조등과 미등을 외부조도의 상황에 따라 각각 차등적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후방에 설치된 미등은 주행중 주변 차량들로 하여금 당해 차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통 운전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하게 되는데, 이른 아침이나 초저녁, 흐린날씨, 터널 진출입시와 같이 비교적 어두운 주변의 밝기정도에 따라 미등의 점등이 필요한 경우에 운전중 직접 점등해야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6-7623호 및 제98-60359호가 제시된 바 있지만, 상기 제96-7623호는 주변의 미세한 조도의 변화 예를 들면 시내주행중 주변의 가로등, 네온사인, 디스플레이 등에 의한 조도의 잦은 변화에 의해 미등이 이에 감응하여 잦은 점멸동작을 반복하게 되며, 더욱이 운전중 미등의 점등상태를 식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제98-60359호는 상기 제96-7623호의 단점을 보완하였으나, 자동차의 미등에만 국한되어 있어, 전조등은 여전히 운전자에 의해 조작해야만 되고, 이것에 의해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과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수단과, 이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조도를 미등,전조등을 차등적으로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고, 자동차 주변조도에 따라 미등,전조등을 자동적으로 차등 점등 또는 소등시켜줌에 의해,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또 전방시계의 확보와 운전시 미등,전조등의 조작에 따르는 부담을 없애주며,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미등,전조등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등,전조등 온오프시 동작 파형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장치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18 --- 저항, RO1,RO2 --- CDS(광도전센서)
Q1,Q2 --- 트랜지스터, RY --- 릴레이,
VR1,VR2 --- 가변저항, L1 --- 미등,
L2 --- 전조등, U1A~U1D --- 비교기,
LO --- LED, C1~C5 --- 콘덴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수단과; 미등,전조등의 차등적점등과 소등의 실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조도를 설정하는 기준조도설정수단과; 상기 조도감지수단과 기준조도설정수단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미등과 전조등을 차등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 시켜주는 구동제어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제어수단의 미등,전조등구동제어 실행구간을 소정시간 지연시켜주는 지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조도감지와 비교에 따른 미등,전조등의 차등적 점등 또는 소등감도를 가변설정하기 위한 감도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미등,전조등의 차등적 자동 점등과 소등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 미등전조등 자동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감지수단으로서 CDS(RO1,RO2; 광도전센서)와, 미등(L1)의 점등 기준조도와 소등 기준조도를 설정하고 또한 차등적으로 전조등(L2)의 점등 기준조도와 소등 기준조도값을 설정하는 수단으로서 저항(R1,R2,..R18)과, 상기 CDS(RO1,RO2)의 조도감지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감지도설정수단으로서 가변저항(VR1,VR2) 및 저항(R3)과 상기 CDS(RO1,RO2)로 감지된 조도(Vs)와 상기 저항(R1,R2)으로 설정된 기준조도(Vref)를 비교하는 수단으로서 비교기(U1A,U1B,U1C.UID)와, 이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미등(L1),전조등(L2)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수단으로서 비교기(U1A,U1B,U1C.UID) 출력신호에 의해서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Q2) 및 릴레이와, 상기 비교기(U1A,U1B,U1C.UID)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미등(L1),전조등(L2)이 차등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될때 외부광에 오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비교기 출력신호를 지연시키는 수단으로 콘덴서(C1,C2,C3,C4)와, 미등 작동상태를 표시해 주기위한 수단으로서 LED로 구성되며, 여기서 미설명부호 D1~D4는 다이오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 미등, 전조등 자동제어장치에 의한 미등, 전조등 자동제어동작을 상기 도 1과 도 2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저항(R1,R2)에 의해서 전원(B+) 전압이 분압되어 비교기(U1A)DML(-)입력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기준조도에서 설정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가변저항(VR1)을 조절하면 저항(R3)과 가변저항(VR1) 및 CDS(RO1)으로 분압되는 비교기(U1A)의 (+)입력단전압(Vs)이 가변되어 설정된다. 이 전압(Vs)은 미등(L1),전조등(L2)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민감도를 결정하게 되어 너무 밝은데도 미등이 점등되거나 또는 어두운데도 미등이 점등되지 않은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CDS(RO1)의 내부 저항값은 증가한다. 그러므로 밝은 대낮에는 CDS(RO1)의 내부 저항값이 거의 0에 가까운 값이 되어 Vs(입력단전압) > Vref(기준전압)의 조건상태에 놓이게 된다. Vs > Vref 이므로 비교기(U1A)의 출력신호는 하이(H)신호가 되고, 이 하이(H)신호에 의해서 트랜지스터(Q2)도 오프되어 릴레이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미등(L1), 전조등(L2)에는 전원(B+)이 인가되지 않아 미등(L1),전조등(L2)이 소등상태에 놓인다. 그러나 이른아침,초저녁,흐린날씨,터널의 진입과 같이 조도가 떨어져 Vs < Vref가 되면 비교기(U1A)의 출력신호가 로우(L)가 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2)도 온된다. 즉 트랜지스터(Q2)가 온되면 릴레이가 온되어 미등(L1)에 전원(B+)이 공급되므로 미등(L1)이 점등된다.
그리고 이때 LED(LO)도 운전자에게 미등이 점등되었슴을 알려주게 된다. 이후에 자동차 주변이 다시 밝아져서 즉 터널을 빠져나왔을 경우에 주변조도가 증가하고, 이것에 의하여 Vs > Vref가 되면 비교기(A1)의 출력은 다시 하이(H)가 되어 트랜지스터(Q1,Q2)를 오프시키고, 릴레이(Ry)가 오프되어 미등(L1)은 소등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주변조도에 따라 미등 및 전조등의 작동이 자동적으로이루어지게 되며, 비교기(U1A)의 출력신호가 하이(H)에서 로우(L)로 변화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온될 때 콘덴서(C1)가 충전되는 소정시간 이후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하이레벨로 되고, 비교기(U1A)의 출력신호가 로우(L)에서 하이(H)로 변화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될 때 콘덴서(C1)가 방전되는 시간동안은 트랜지스터(Q2)가 온상태를 더 유지함으로써, 교차되는 다른 자동차의 전조등, 외부광이 순간적으로 CDS(RO1,R02)에 조사되었을 경우나, 매우 짧은 순간 CDS(RO1,RO2) 주변조도가 감소되었다가 다시 증가되는 환경에서는 불필요하게 미등(L1), 전조등(L2)이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상기 본 고안의 자동차의 미등,전조등 자동제어장치는 자동차 주변 조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주변의 조도가 기준조도(23.1±1.4 lux, 0.78±0.04v)이하일 경우에는 미등을 자동적으로 온시켜주고, 기준조도(6.2±1.4 lux, 0.36±0.04v)이하일 경우 전조등을 자동으로 온시켜주며, 기준조도(12±1.4 lux, 0.52±0.04v)이상이 되면 전조등이 소등되고, 기준조도(48.1±1.41 lux, 1.38±0.04v)이상에서는 미등이 자동적으로 소등되므로, 운전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항상 양호한 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미등,전조등 작동의 민감도를 운전자의 취향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결국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부연설명하자면, 본 고안은 CDS(RO1,RO2; 광도전센서)에서 주변조도에 따라 센서자체의 저항치가 변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인데, 도 3의 블록도의 상부는 미등을 작동시키는 부분으로, 비교기(U1A)는 주변조도의 정도에 따라 어떤 조도에서 작동이 되게 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며, 필터(D2,C2,R8)는 주변조도가 불규칙하게 변할 때 미등 또는 전조등이 빠른 주기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비교기(U1B)는 필터에서 완만한 타이밍으로 변하는 밝기로 변환된 신호를 검출하여 일정시간 이상 어두움이 감지되면 트랜지스터(Q1)에 트리거 신호를 전달해서 출력신호로 작동되게 된다.
한편 도 3의 블록도의 하부는 전조등을 작동시키는 부분으로, 그 작동은 상기 미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수단과, 이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조도를 미등,전조등을 차등적으로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고, 자동차 주변조도에 따라 미등,전조등을 자동적으로 차등 점등 또는 소등시켜줌에 의해,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또 전방시계의 확보와 운전시 미등,전조등의 조작에 따르는 부담을 없애주며,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수단과; 미등,전조등의 차등적점등과 소등의 실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조도를 설정하는 기준조도설정수단과; 상기 조도감지수단과 기준조도설정수단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미등과 전조등을 차등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 시켜주는 구동제어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제어수단의 미등,전조등구동제어 실행구간을 소정시간 지연시켜주는 지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등,전조등 자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감지와 비교에 따른 미등,전조등의 차등적 점등 또는 소등감도를 가변설정하기 위한 감도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등,전조등 자동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전조등의 차등적 자동 점등과 소등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등,전조등 자동제어장치.
KR20-2002-0022085U 2002-07-24 2002-07-24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Ceased KR200299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085U KR200299668Y1 (ko) 2002-07-24 2002-07-24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085U KR200299668Y1 (ko) 2002-07-24 2002-07-24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529A Division KR20040009539A (ko) 2002-07-24 2002-07-24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668Y1 true KR200299668Y1 (ko) 2003-01-06

Family

ID=4932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085U Ceased KR200299668Y1 (ko) 2002-07-24 2002-07-24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6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4346B (zh) 大灯亮度无级自动调节系统和方法以及汽车
US4971405A (en) Photoelectrically controlled corner light system for a vehicle
KR200299668Y1 (ko)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KR20040009539A (ko)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JP3857485B2 (ja) 車両用前照灯の制御装置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20090097686A (ko) 자동 조명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JPH01309836A (ja) 車両用照明機器の調光制御装置
JP3921774B2 (ja) 照明装置
JP2024089126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自動点灯装置
JP2001151010A (ja) 薄暮補助灯制御装置
JP3819665B2 (ja) 薄暮補助灯制御装置
KR970037334A (ko) 차량 조명등 자동 제어 장치
KR100187418B1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포그램프의 스위칭회로
KR970006394Y1 (ko) 차량용 실내등 자동 제어 장치
KR200164115Y1 (ko)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JPH0527621U (ja) 自動車用計器盤の照明装置
CN113665475A (zh) 一种汽车车灯的控制方法及装置
KR940002896Y1 (ko) 전조등 자동 제어장치
JPH0366170B2 (ko)
CN112423449A (zh) 一种具有昼间灯-近光智能控制装置的组合前照灯
KR0171329B1 (ko)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JPS61157449A (ja) 車両用照明灯の自動点灯、消灯方法
KR200262456Y1 (ko) 차량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 점소등장치
KR19980053304A (ko) 주위환경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점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7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4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