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9459Y1 -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 Google Patents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459Y1
KR200299459Y1 KR2020020030185U KR20020030185U KR200299459Y1 KR 200299459 Y1 KR200299459 Y1 KR 200299459Y1 KR 2020020030185 U KR2020020030185 U KR 2020020030185U KR 20020030185 U KR20020030185 U KR 20020030185U KR 200299459 Y1 KR200299459 Y1 KR 200299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light guide
advertising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선
Original Assignee
(주)애드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드라이트 filed Critical (주)애드라이트
Priority to KR2020020030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45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백 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균일한 평면광을 조사시키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10)과,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의 전면에 배치되는 광고용 시트(20)와,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 및 광고용 시트(2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은, 판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도광판(11)과, 상기 도광판(11)의 일측에 설치되어 빛을 비추는 광원(12)과, 상기 광원(12)으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도광판(11) 이외의 곳으로 흘러나가는 빛을 도광판(11)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부재(1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30)는,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을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부(31)와, 상기 수용부(31)에 착탈 가능한 외부 틀(3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Wide slim type advertizing panel}
본 고안은 백 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 라이트 유닛은, 수 ㎜ 두께의 도광판의 일측단면 또는 복수개의 측단면에 예를 들어 형광램프와 같은 입사광 공급용 광원을 근접 대향시키는 것에 의해서 입사광을 도광판으로 공급함으로서, 도광판 전체에 걸쳐서 고휘도로 균일하게 조명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 때 도광판으로는, 아크릴 등 광투과율이 높은 재료에 의한 투명수지기판을 이용한다. 도광판은, 적당한 치수의 크기로 이 투명수지기판을 원판으로부터잘라낸 후, 그 표면에 산화티탄 등의 백색계 안료를 첨가한 백색계 잉크 혹은 유백색계 잉크를 이용한 스크린인쇄에 의해서 다양한 패턴의 난반사면을 형성하거나, 혹은 블래스트 공정, 성형 공정 등에 의해서 점 내지 선 형상 패턴의 난반사면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도광판의 난반사면에 의해서 에지면, 즉 단면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멀리까지 균일하게 도광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투명수지기판의 단면은, 난반사하면서 도광판 내를 굴곡진행하는 입사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사율이 높은 색조에 의한 반사 테이프를 단면에 부착하거나, 거울면 마무리를 행하거나 한다.
최근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닛은, 랩탑 컴퓨터 등에 내장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광고용 디스플레이 등으로 사용되는 일이 많아져 그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광고판은 아크릴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외형 내에 형광등과 같은 광원을 내장시켜 만들어진다. 따라서, 광원이 위치한 곳의 밝기가 다른 곳에 비해서 더욱 밝아 광고판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광원으로 주로 사용되는 형광등의 수명이 짧고 전력 소모가 크며 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광고판은 두께가 20㎝ 정도로 두껍고 무겁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설치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광고 내용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광고판은 두껍고 무겁다는 문제로 인하여 설치될 벽면이 소정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질 것이요구되었기 때문에 설치장소 및 설치방법에 여러 가지 제약이 많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백 라이트 유닛을 활용함에 의해 높은 휘도와 균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광고면의 크기에 비하여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설치가 간편한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장소 및 설치방법이 비교적 자유롭고 광고내용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균일한 평면광을 조사시키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을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균일한 평면광을 조사시키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전면에 배치되는 광고용 시트와, 상기 백 라이트 유닛 및 광고용 시트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판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빛을 비추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도광판 이외의 곳으로 흘러나가는 빛을 도광판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는,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착탈 가능한 외부 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광판은 투명재질로서 배면에는 홈부를 구비하도록 만들어지며, 상기 홈부는 상기 도광판의 배면 전체에 걸쳐서 광원이 배열된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모두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동시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외주 벽면 복수개소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내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내주부의 탄성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외부 틀 사이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자체를 문짝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는 경첩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은, 균일한 평면광을 조사시키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10)과,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의 전면에 배치되는 광고용 시트(20)와,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 및 광고용 시트(2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는 균일한 평면광을 조사시키기 위한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은, 투명한 아크릴을 이용해 판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도광판(11)과, 상기 도광판(11)의 일측에 설치되어 빛을 비추는 데코램프 혹은 슬림라이트와 같은 광원(12)과, 상기 광원(12)으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도광판(11) 이외의 곳으로 흘러나가는 빛을 도광판(11)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U자형 단면의 반사 부재(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광판(11)은 아크릴 투명수지와 같은 투명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형상을 가지는 도광판의 배면에는 홈부(11a)를 구비하도록 만들어진다(도 4 참조).
상기 홈부(11a)는 상기 도광판(11)의 배면 전체에 걸쳐서 세로방향으로, 즉 광원(12)이 배열된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홈부(11a)는 모두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홈부(11a)는 V자 혹은 U자 형상을 가지는 홈이거나,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홈일 수 있으며, 도광판(11)의 제조시 동시에 성형되거나, 평평한 도광판을 만들어 그 배면을 스크래치하는 공정을 추가시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으로 사용되는 데코램프나 슬림라이트는 18 내지 32W에 직경이 15㎜ 정도이므로 전력소비가 적고, 광고판넬 전체의 두께를 대략 28 내지 40㎜ 정도로 감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광원(12)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인버터(19)를 통하여 전달되는데, 상기 인버터(19)는 필요에 따라 각종 사양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을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부(31)와, 상기 수용부(31)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외부 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은 상기 본체(30)의 양면에 형성된 수용부(31)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부 틀(32)은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 및 광고 시트(20)의 둘레를 감싸 상기 수용부(31) 내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1)와 상기 외부 틀(32)의 결합은 상기 수용부(31)의 외주 벽면 복수개소에 형성된 돌기(31a)에 상기 외부 틀(3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내주부(32a)가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틀(32)은 상기 수용부(31)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광고 내용을 바꾸고자 할 때에는 상기 외부 틀(32)을 간단하게 분리시킨 후 광고 시트(20)를 교체시키고 다시 상기 외부 틀(32)을 상기 수용부(31)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손쉽게 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의 형상은 사각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은 필요시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은 무게가 가벼우므로 견고한 벽이나 기둥 이외에도 문짝 등에 설치되어도 좋다. 나아가서, 상기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의 수용부에 경첩 등을 설치하여 상기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자체를 문짝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백화점 등의 매장에서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집기장 등의 도어로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백 라이트 유닛을 활용함에 의해 높은 휘도와 균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광고면의 크기에 비하여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설치가 간편한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장소 및 설치방법이 비교적 자유롭고 광고내용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이 제공된다.

Claims (4)

  1. 균일한 평면광을 조사시키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10)과,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의 전면에 배치되는 광고용 시트(20)와,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 및 광고용 시트(2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은, 판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도광판(11)과, 상기 도광판(11)의 일측에 설치되어 빛을 비추는 광원(12)과, 상기 광원(12)으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도광판(11) 이외의 곳으로 흘러나가는 빛을 도광판(11)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부재(1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30)는, 상기 백 라이트 유닛(10)을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부(31)와, 상기 수용부(31)에 착탈 가능한 외부 틀(3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11)은 투명재질로서 배면에는 홈부(11a)를 구비하도록 만들어지며, 상기 홈부(11a)는 상기 도광판(11)의 배면 전체에 걸쳐서 광원(12)이 배열된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홈부(11a)는 모두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동시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1)의 외주 벽면 복수개소에는 돌기(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틀(32)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내주부(3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기(31a)와 상기 내주부(32a)의 탄성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수용부(31)와 상기 외부 틀(32) 사이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자체를 문짝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는 경첩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KR2020020030185U 2002-10-10 2002-10-10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Expired - Fee Related KR200299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185U KR200299459Y1 (ko) 2002-10-10 2002-10-10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185U KR200299459Y1 (ko) 2002-10-10 2002-10-10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459Y1 true KR200299459Y1 (ko) 2002-12-31

Family

ID=7312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18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9459Y1 (ko) 2002-10-10 2002-10-10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4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361B1 (ko) 2005-11-10 2006-10-09 최용수 액자 겸용 광고 간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361B1 (ko) 2005-11-10 2006-10-09 최용수 액자 겸용 광고 간판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5420B1 (en) Edge illuminated display device with light guiding member
US5943801A (en) System and method for backlighting a display
US7999885B2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a display
US9128692B2 (en) LED light means with timepiece
US7758230B2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EP2028635A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ED light source
EP4004640B1 (en)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bezel size
KR100603953B1 (ko) 사용이 편리한 광고판넬 조립구조
KR100920801B1 (ko) 조명등기구
US752065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2000056138A (ja) 導光板及び面発光体
KR200299459Y1 (ko) 와이드 슬림형 광고판넬
JP3721959B2 (ja) 表示用照明器具
KR200299455Y1 (ko) 스탠드형 슬림 양면 광고판넬
KR200311585Y1 (ko) 도광판을 이용한 포스터 박스 겸용 광고용 판넬
US7125156B2 (en) Ultra-thin backlight display panel
KR20050113681A (ko) 로고 조명구조
KR200311647Y1 (ko) 카운터용 라이트 박스
KR200281567Y1 (ko) 면 광원 장치
KR200302590Y1 (ko) 페이스 면 조명 시계
JP2872143B2 (ja) 導光板装置
KR200324608Y1 (ko) 백라이트가 구비된 시계
KR200235102Y1 (ko) 필름 판독기
JP4132731B2 (ja) 照明装置
KR20000038126A (ko) 평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갖는 휴대용 컴퓨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0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0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