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8305Y1 - 통신 장비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통신 장비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305Y1
KR200298305Y1 KR2020020023598U KR20020023598U KR200298305Y1 KR 200298305 Y1 KR200298305 Y1 KR 200298305Y1 KR 2020020023598 U KR2020020023598 U KR 2020020023598U KR 20020023598 U KR20020023598 U KR 20020023598U KR 200298305 Y1 KR200298305 Y1 KR 200298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equipment controller
unit
communica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유안 슈에
Original Assignee
치-유안 슈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유안 슈에 filed Critical 치-유안 슈에
Priority to KR2020020023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305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통신 시스템용으로 사용되는 SIM 소켓을 구비한 신호 송/수신 유닛과, 다수의 전화선과 상기 신호 송/수신 유닛에 연결되는 신호 처리 유닛과, 상기 신호 송/수신 유닛과 신호 처리 유닛에 안정한 파워를 제공하는 전원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비 콘트롤러는 전파 신호가 인접장소 중 가장 강한 장소에 설치되고, 셀룰러 폰을 송/수신하기 위해 전화를 사용하므로써 전화선을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 전화 대신 셀룰러 폰을 사용하는 기능 및 실내에서 다수의 광대역폰을 여러명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비 콘트롤러{A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er}
본 고안은 통신 장비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파 신호가 인접장소 중 가장 강한 장소에 설치되고 셀룰러 폰을 송/수신하기 위해 전화를 사용하므로써 전화선을 설치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전화 대신에 셀룰러 폰을 사용하는 기능과 다수의 광대역 폰을 실내에서 여러명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통신 장비에 관한 것이다.하루가 다르게 기술이 변화하고, 통신 기술은 매일 발전하고 정부 정책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셀룰러 폰의 통화 품질은 스테이션을 광범위하게 설치하므로써 개선되어 왔다. 셀룰러 폰의 비용이 상대적으로 과거에 비해 낮아짐과 동시에 상기 셀룰러 폰을 사용하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셀룰러 폰을 통화 수단으로 사용하기 전에 모든 홈 사용자 또는 개별 사용자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화선을 배선해주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provider)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의 분배자(divider)에게 신청해야 한다. 도시에서, 전화망은 완전하게 발전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화선을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고 신속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개발 지역에서, 특히 오지에서는 전화선을 배선하고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시스템 공급자를 연결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셀룰러 폰을 통화 수단으로 사용하기 전에 모든 홈 사용자 또는 개별 사용자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화선을 배선해주는 통신 시스템 제공자(provider)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의 분배자(divider)에게 신청해야 한다. 도시에서, 전화망은 완전하게 발전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화선을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고 신속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개발 지역에서, 특히 오지에서는 전화선을 배선하고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시스템 공급자를 연결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셀룰러 폰이 발전된 후에, 편리한 무선 특성으로 인해, 이는 많은 사람을 급속히 끌어들였다. 특히, 종래의 전화와 대조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전화 시스템의 장거리 배선 및 설치 문제를 해소한다. 그러나, 한대의 셀룰러 폰은 단지 한사람의 사용자에게만 이용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에게는 이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또한, 산, 고층 빌딩 및 기타 전파 발생기는 대개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셀룰러 폰의 통신 신호에 영향을 끼친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전파 신호가 인접장소 중 가장 강한 장소에 통신 장비 콘트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통신 장비 콘트롤러에 장착된 셀룰러 폰을 송/수신하기 위해 전화를 사용하므로써, 전화의 배선을 설치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전화 대신 셀룰러 폰을 사용하는 기능 및 실내에서 다수의 전화를 여러명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화선을 통해 컴퓨터 및 팩스에 연결되어 인터넷 서핑 및 디지털 데이터 전송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상기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해 채택된 구조 및 기술적 수단은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의 개략 도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블록 선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통신 장비 콘트롤러 2 : 전화선
3 : 전화 11 : SIM 소켓
12 : 접속구 13 : 신호 송/수신 유닛
14 : 신호 처리 유닛 15 : 전원 공급 유닛
131 : 안테나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구조의 개략 도시도 및 블록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통신 장비 콘트롤러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인식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용 표준 소켓인 SIM 소켓(11) 및 전화 단자가 외부에 꽂힐 수 있는 다수의 접속구(outlet)(12)를 가지며, 내부에는 적어도 후술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셀룰러 폰과 같은 다양한 통신기능을 갖도록 유도하는 상기 SIM 소켓(11)에 연결되는 신호 송/수신 유닛(13)으로서, 신호 송/수신 유닛(13)과 이동통신(mobile) 시스템 사이의 통신 매개체인 안테나(131)를 구비하는 신호 송/수신 유닛과,
다수의 접속구(12)와 신호 송/수신 유닛(13) 사이의 매개체이며 접속구(12)로부터의 신호를 셀룰러 폰의 신호로 전환할 수 있고 (이후 신호는 송/수신(13)의 안테나(131)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 유닛(13)으로부터의 신호를 전화 신호로 전환하여 접속구(12)로 송출할 수 있는 신호처리 유닛(14), 및
상기 신호 송/수신 유닛(13)과 상기 신호 처리 유닛(14)에 안정적인 파워를 제공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유닛(15)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을 도시하며, 여기에서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1)의 접속구(12)가 전화선(2)을 통해서 전화(3)에 연결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SIM(가입자 인식 모듈) 카드를 SIM 소켓(11)에 끼운 후에, 사용자의 셀룰러 폰은 전화기로서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기능을 갖는 장점을 가지며 그 결과 한대의 셀룰러 폰을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1)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양호하게 수신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필요만 있고, 이후 신호가 약하거나 전자 노이즈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하 또는 다른 장소에서는 전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을 사용하므로써 고품질의 음성 통신을 얻게 될 것이다.
또한, 통신 장비 콘트롤러(1)는 컴퓨터(4)와 팩스(5)에 연결되고 그 결과 사용자는 컴퓨터(4)를 통해 인터넷을 서핑할 수도 있고 팩스(5)를 사용하여 서류 또는 정보를 다른 팩스에 무선 셀룰러 폰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했듯이, 본 고안의 통신 장비 콘트롤러(1)는 셀룰러 폰과 전화를 연결하도록 사용되며, 유선 전화기의 양호한 통신 품질과 광범위한 기능 및 셀룰러 폰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편리한 특성을 얻게 될 것이다.

Claims (6)

  1. 셀룰러 폰과 전화를 연결하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용으로 사용되는 SIM 소켓을 구비한 신호 송/수신 유닛과,
    다수의 전화선과 상기 신호 송/수신 유닛에 연결되는 신호 처리 유닛과,
    상기 신호 송/수신 유닛과 신호 처리 유닛에 안정한 파워를 제공하는 전원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 유닛은 셀룰러 폰과 같은 다양한 통신 기능을 갖도록 유도하는 상기 SIM 소켓에 연결되며, 신호 송/수신 유닛과 이동 통신(mobile) 시스템 사이의 통신 매개체인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유닛은 다수의 접속구와 신호 송/수신 유닛 사이의 매개체이며, 접속구로부터의 신호를 셀룰러 폰의 신호로 전환할 수 있고 이후 신호들은 상기 신호 송/수신 유닛의 안테나에 의해 송신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신호 송/수신 유닛으로부터의 신호를 전화의 신호로 전환하여 접속구로 송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전화선을 통해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전화선을 통해서 팩스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비 콘트롤러.
KR2020020023598U 2002-08-07 2002-08-07 통신 장비 콘트롤러 KR200298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98U KR200298305Y1 (ko) 2002-08-07 2002-08-07 통신 장비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98U KR200298305Y1 (ko) 2002-08-07 2002-08-07 통신 장비 콘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305Y1 true KR200298305Y1 (ko) 2002-12-16

Family

ID=7312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598U KR200298305Y1 (ko) 2002-08-07 2002-08-07 통신 장비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3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12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voice and data information over wireless and wireline networks
KR20010099822A (ko) 무선전화 잭과 rf 무선통신을 결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398277B1 (ko) 전력선을 사용하는 수신 무선전화신호의 전환 및 분배
KR20010075228A (ko) 전력선을 이용한 무선 커버리지 증대를 위한 무선 신호의분배 방법 및 시스템
US20040198236A1 (en) Wireless telephone jack
US7031692B1 (en) Portable cellular telephone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KR920007409A (ko) 종합 정보 통신망용 텔리폰 세트
US20030148788A1 (en) Integrated wireless local loop system
US5059141A (en) Modem/telephone handset cord adaptor
US20050119014A1 (en) Home cellular phone system
KR200298305Y1 (ko) 통신 장비 콘트롤러
US6925073B2 (en) Cordless voice and data application in a broadband gateway
KR100349017B1 (ko) 영상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유무선 겸용 영상전화기
KR100244851B1 (ko)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화수행방법
US20050176417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40203735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er
WO1999049682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s devices to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 mobile telephone
GB2391749A (en) SIM socket for connection of telephone lines to a cellular phone
KR100328977B1 (ko) 피씨에서의씨티아이구현방법
KR20010015632A (ko) 어댑터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US20040198445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er
CN2591876Y (zh) 通讯装置控制盒
JP3274651B2 (ja) 携帯型電話機接続用アダプ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話機システム
JP2002344615A (ja) 電話番号識別システムとその操作方法
JPH08107586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