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8097Y1 - 거푸집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097Y1
KR200298097Y1 KR2020020027435U KR20020027435U KR200298097Y1 KR 200298097 Y1 KR200298097 Y1 KR 200298097Y1 KR 2020020027435 U KR2020020027435 U KR 2020020027435U KR 20020027435 U KR20020027435 U KR 20020027435U KR 200298097 Y1 KR200298097 Y1 KR 200298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fixed
fixed support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일
Original Assignee
최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일 filed Critical 최재일
Priority to KR2020020027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0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 횡방향으로 지지파이프(SP)가 연결핀(P) 및 연결훅(P-1)에 의해 등간격지게 설치되는 거푸집(A)과, 거푸집(A)이 설치되는 측면 바닥으로부터 고정 설치되어 거푸집을 지지하는 고정 지지재(10)와, 상기 고정 지지재(10)에 직각되게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 버팀재 브라켓(40)이 마련된 연결 지지대(50)와, 상기 고정 지지재(10)와 버팀재 브라켓(40)에 양단이 연결되어 거푸집의 횡압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버팀재(30)로 이루어진 거푸집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A) 측의 지지파이프(SP)에 일단을 걸기 위한 걸이부(61)가 형성되고, 걸이부(61)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 나사체결부(62)가 형성된 지지보울트(60)와, 상기 지지보울트(60)의 나사체결부(62)에 관통되며, 고정 지지재(10)의 일측면으로부터 너트(63)에 의해 지지 설치되는 받침와셔(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거푸집의 횡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지지파이프에 대하여 본 고안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지지보울트를 이용하여 지지파이프의 소정부분을 각각의 지점에서 걸고, 거푸집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 지지재 일측 수직되는 면에 받침와셔와 너트를 통해 거푸집을 밀착 연결시켜 줌으로써, 고정 지지재와 함께 연결지지대, 버팀재 브라켓 설치에 따른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합벽의 양생과정에 있어, 거푸집의 유동을 방지하여 원활한 합벽 시공이 유리하며, 양생과정에 있어서도 주변 안전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지지구조{Mold 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거푸집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횡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지지파이프와 거푸집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 지지재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고정 지지재와 함께 설치되는 연결지지대, 버팀재 브라켓 설치에 따른 지지력을 현저히 향상시켜 원활한 합벽 시공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작업능률 및 작업장의 안전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물을 타설하여 양생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건축물의 벽체 즉, 합벽은 지하층 공사를 할 때에 거푸집을 양쪽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못하고, 한 쪽은 터 파기한 쪽의 흙에 지지되고, 다른 한 쪽만 거푸집을 설치하여 시공하는 콘크리트 벽을 말하는 것으로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우에는 지층에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 바닥면을 구축한 다음 이 콘크리트 바닥면에 수평 및 수직으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와 바닥면에 시멘트 몰탈(콘크리트)을 충진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다층의 건축물을 축조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층 건축물의 축조에는 벽체와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수평과 수직으로 안정되게 설치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거푸집을 위치시키는 구조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버팀재(30)를 바닥에 고정시켜 주는 버팀재 브라켓(40) 및 버팀재 브라켓(40)으로부터 이격되며, 거푸집(A)의 일측에 수직되게 고정하는 고정 지지재(10)가 바닥면에 대하여 기초 공사시 바닥면에 설치된 앵커 볼트(AC)를 통해체결 고정된다.
이에 대응하는 소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버팀재 브라켓(40)과 고정 지지재(10)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버팀재(3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수직되는 거푸집(A)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버팀재 브라켓(40)이 바닥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 지지재(10)의 고정작업과 별도로 기 시공된 콘크리트 바닥면에 별도의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앵커 볼트용 구멍을 천공한 다음 이에 앵커 볼트를 매설하고, 이 앵커볼트의 노출된 상단을 버팀재 브라켓(40)에 천공된 앵커볼트용 체결공에 끼워 체결 고정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상기 거푸집(A)의 일측면으로는 지지파이프(SP)가 부착 설치되어 거푸집을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SP)는 첨부된 도 3에서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A)은 가장자리 테두리 및 내측에 마련되는 보강플레이트부분에 형성된 연결공(A-1)에 연결핀(P)으로서 거푸집을 연결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부분에 형성된 연결공(A-1)에는 상기와 동일한 연결핀(P)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파이프(SP)를 잡아줄 수 있는 연결훅(P-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훅(P-1)과 연결핀(P)은 거푸집(A)이 설치되는 면적에 대하여 다수개 설치되며, 지지파이프(SP)의 각 부분을 잡아주어 거푸집의 일측면상에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거푸집(A)은 수직되는 고정 지지재(10)에 대하여 상기 지지파이프(SP)부분과 밀착되는 고정 지지재(10)의 각 부분을 와이어(철사)로 감아상호 밀착 고정시켜 지지구조물인 고정 지지재(10)의 일측 수직되는 면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A)에 대한 고정 지지재(10)는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거푸집(A)의 특성상 합벽을 형성하기 위한 두께 폭을 맞추기 위해서는 거푸집의 하측부터 상측까지 그 간격은 콘크리트물을 타설하기 전부터 양생되기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조건을 갖는다. 이 때문에 합벽이 형성되는 공간부위와 기초면으로부터는 합벽형성에 따라 그 사이에 매장되는 간격유지구(도면에서 생략함)가 별도로 설치되어 거푸집의 수직상태 및 합벽 형성에 따른 폭을 일정하게 맞추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A)은 상기 고정 지지재(10)에 대하여 와이어로 각 부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지지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확히 위치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콘크리트물이 타설될 때에 거푸집(A)에 받는 측면 외압은 거푸집의 수직위치에 변화를 줄 우려가 있고, 이는 이미 가설된 간격유지구에 무리를 주어 후 양생과정에서 합벽이 제대로 수직되는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일일이 지지파이프와 고정 지지재를 감기 때문에, 후 거푸집을 분리하는 철거시에도 작업성이 좋지 않은 단점으로 지적되며, 결론적으로 견고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안전성을 고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거푸집의 횡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지지파이프를 거푸집에 대하여 수직되게 설치되는 고정 지지재에 견고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일률적으로 고정 지지재에 대한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고정 지지재와 함께 설치되는 연결지지대, 버팀재 브라켓 설치에 따른 지지력을 향상시켜 안전한 합벽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일측면 횡방향으로 지지파이프가 연결핀 및 연결훅에 의해 등간격지게 설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이 설치되는 측면 바닥으로부터 고정 설치되어 거푸집을 지지하는 고정 지지재와, 상기 고정 지지재에 직각되게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 버팀재 브라켓이 마련된 연결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재와 버팀재 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어 거푸집의 횡압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버팀재로 이루어진 거푸집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측의 지지파이프에 일단을 걸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되고, 걸이부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지지보울트와, 상기 지지보울트의 나사체결부에 관통되며, 고정 지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너트에 의해 지지 설치되는 받침와셔로 구성된 거푸집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거푸집에 지지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거푸집과 지지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보울트와 받침와셔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보울트에 의해 거푸집과 고정 지지재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 지지재 14: 지지부
30: 버팀재 40: 버팀재 브라켓
50: 연결 지지대 60: 지지보울트
61: 걸림부 62: 나사체결부
63: 너트 70: 받침와셔
A: 거푸집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인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보울트에 의해 거푸집과 고정 지지재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일부분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보울트와 받침와셔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측면 횡방향으로 지지파이프(SP)가 연결핀(P) 및 연결훅(P-1)에 의해 등간격지게 설치되는 거푸집(A)과, 거푸집(A)이 설치되는 측면 바닥으로부터 고정 설치되어 거푸집을 지지하는 고정 지지재(10)와, 상기 고정 지지재(10)에 직각되게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 버팀재 브라켓(40)이 마련된 연결 지지대(50)와, 상기 고정 지지재(10)와 버팀재 브라켓(40)에 양단이 연결되어 거푸집의 횡압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버팀재(30)로 이루어진 거푸집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재(10)가 위치하는 거푸집(A)측의 지지파이프(SP)에 지지보울트(60)를 통해 거푸집(A)과 고정 지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보울트(60)는 상기 지지파이프(SP)를 걸어 지지하기 위해 일단부분은 걸이부(61)가 형성되고, 걸이부(61)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 나사체결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보울트(60)의 나사체결부(62)에는 고정 지지재(10)의 일측면으로부터 너트(63)에 의해 지지 설치되는 받침와셔(70)가 체결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받침와셔(70)가 위치되는 고정 지지재(10)는 일 실시예로서 수직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받침와셔(70)의 상하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가 돌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AC는 고정 지지재(10)를 바닥면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보울트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거푸집 지지구조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벽 형성에 따라 거푸집(A)을 설치함에 있어, 고정 지지재(10)는 거푸집의 일측면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고정 지지재(10)의 저면측에 형성된 받침플레이트(도면에서 미표기함)를 통해 앵커 보울트(AC)에 의해 연결 지지대(50)와 함께 직각으로 설치되되, 상기 고정 지지재(10)로부터 횡으로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지지대(50)측의 버팀재 브라켓(40)은 버팀재(30)의 양단 고정을 통해 직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버팀재(30)의 고정에 있어, 상기 버팀재(30) 일단은 고정 지지재(10)와 버팀재 브라켓(40)에 각 일단이 연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설치된다.
한편,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푸집(A)에는 종래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연결핀(P)과 연결훅(P-1)을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지지된 지지파이프(SP)에 대하여 본 고안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지지보울트(60)를 걸어 고정 지지재(10)의 외측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자세하게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이프(SP)에는 지지보울트(60)의 걸이부(61)를 걸고, 타측 부분인 나사체결부(62)는 상기 고정 지지재(10)의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상기 나사체결부(62)가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와셔(70)를 관통한 다음, 너트(63)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준다.
상기 너트(63)는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 부분이 마련되어 체결과 분리가 쉽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너트(63)에 의해 최종적으로 지지보울트(60)를 상기 지지파이프(SP)와 연결할 때에 있어서, 받침와셔(70)의 일측면은 상기 고정 지지재(10)의 수직되는 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 지지재(10)의 수직되는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4)는 상기 받침와셔(70)의 하단부를 받쳐줌으로써, 받침와셔(70)가 고정 지지재(10)에 대하여 수직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즉, 견고하게 거푸집(A)을 고정 지지재(10)에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거푸집(A)과 고정 지지재(10)를 연결하는 지지보울트(60)는 거푸집측에 설치되는 지지파이프(SP)에 대하여 각각의 지점에서 고정 지지재(10), 버팀재 브라켓(40), 연결 지지대(50) 및 이들을 지지하는 버팀재(30)의 유기적인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작업에 이어 콘크리트 타설시에 거푸집을 통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려는 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거푸집 설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의 횡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지지파이프에 대하여 본 고안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지지보울트를 이용하여 지지파이프의 소정부분을 각각의 지점에서 걸고, 거푸집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 지지재 일측 수직되는 면에 받침와셔와 너트를 통해 거푸집을 밀착 연결시켜 줌으로써, 고정 지지재와 함께 연결지지대, 버팀재 브라켓 설치에 따른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합벽의 양생과정에 있어, 거푸집의 유동을 방지하여 원활한 합벽 시공이 유리하며, 양생과정에 있어서도 주변 안전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측면 횡방향으로 지지파이프(SP)가 연결핀(P) 및 연결훅(P-1)에 의해 등간격지게 설치되는 거푸집(A)과, 거푸집(A)이 설치되는 측면 바닥으로부터 고정 설치되어 거푸집을 지지하는 고정 지지재(10)와, 상기 고정 지지재(10)에 직각되게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 버팀재 브라켓(40)이 마련된 연결 지지대(50)와, 상기 고정 지지재(10)와 버팀재 브라켓(40)에 양단이 연결되어 거푸집의 횡압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버팀재(30)로 이루어진 거푸집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A) 측의 지지파이프(SP)에 일단을 걸기 위한 걸이부(61)가 형성되고, 걸이부(61)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 나사체결부(62)가 형성된 지지보울트(60)와,
    상기 지지보울트(60)의 나사체결부(62)에 관통되며, 상기 고정 지지재(10)의 일측면으로부터 너트(63)에 의해 지지 설치되는 받침와셔(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와셔(70)가 위치되는 고정 지지재(10)의 일측면에는 받침와셔(70)의 상하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구조.
KR2020020027435U 2002-09-12 2002-09-12 거푸집 지지구조 Ceased KR200298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35U KR200298097Y1 (ko) 2002-09-12 2002-09-12 거푸집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35U KR200298097Y1 (ko) 2002-09-12 2002-09-12 거푸집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097Y1 true KR200298097Y1 (ko) 2002-12-12

Family

ID=7312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435U Ceased KR200298097Y1 (ko) 2002-09-12 2002-09-12 거푸집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0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529B1 (ko) * 2006-06-13 2006-11-10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구조
KR20230012293A (ko) * 2021-07-15 2023-01-2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맞벽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KR20230121304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지지수단 밀림방지 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529B1 (ko) * 2006-06-13 2006-11-10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구조
KR20230012293A (ko) * 2021-07-15 2023-01-2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맞벽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KR102553850B1 (ko) * 2021-07-15 2023-07-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맞벽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KR20230121304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지지수단 밀림방지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40B1 (ko) 리모델링 구조물의 지하 하향 증축 구조 및 공법
US20090025309A1 (en) Seismic support and reinforcement systems
US20080202064A1 (en) Bracket and method for supop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050188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e concrete and steel floor construction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100775359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US200302338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e concrete and steel floor construction
CN115928914A (zh) 免拆保温模板平整度垂直度优化施工方法
KR200298097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0418842Y1 (ko) 딥 데크의 연결부간 고정구조
JPH117189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足場板支持装置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KR100463101B1 (ko) 트레스 브래킷 설치공법
KR100728266B1 (ko) 무지주 지하 옹벽 거푸집 시공의 흙막이와 인장와이어연결구조
KR200298098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0342718Y1 (ko) 유로폼 레이커 시스템
KR200294830Y1 (ko)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230014578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인서트앵커 겸용 레벨링 상부철근 받침대
JP5378137B2 (ja) 既存布基礎および土台の補強構造
JPH03129034A (ja) 床の施工方法ならびに床スラブ用打込み型枠と自立型トラス状鉄筋の連結装置
KR200183468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102509793B1 (ko) 합벽 시공용 측압 확보구
KR200381403Y1 (ko) 개선된 바닥 고정구조를 갖춘 합벽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91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101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021130

Request date: 2005111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60811

Appeal identifier: 200510000272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111

Effective date: 20060811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60812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0510000272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60811

Request date: 20051111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