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7703Y1 -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703Y1
KR200297703Y1 KR2020020023936U KR20020023936U KR200297703Y1 KR 200297703 Y1 KR200297703 Y1 KR 200297703Y1 KR 2020020023936 U KR2020020023936 U KR 2020020023936U KR 20020023936 U KR20020023936 U KR 20020023936U KR 200297703 Y1 KR200297703 Y1 KR 200297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enter
linear motion
rotation
conversion mechanis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2020020023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70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눈이 쌓인 길이나 빙판길을 주행할 때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 타이어에 장착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착이 용이하고, 타이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미끄럼 방지 효과가 뛰어난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미끄럼 방지장치는, 타이어 안쪽에서, 양쪽 끝이 분리 가능한 이음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타이어 외경 보다 작은 원형이 되는 와이어와; 각각의 일단이 와이어 상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와이어로부터 타이어 접지면을 가로질러 타이어의 바깥쪽으로 배치됨으로써 접지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마찰부재와; 타이어의 외면 중앙에서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에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에 걸리는 모멘트를 구심방향의 인장력으로 변환하여 그 인장력을 마찰부재의 타단에 작용하고. 역회전방지장치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직선운동변환기구와; 양단이 인접한 두 개의 마찰부재의 타단과 결합하고 그 중앙이 직선운동변환기구에 연결되어, 마찰부재들의 타단을 인접하는 것끼리 두 개씩 쌍으로 직선운동변환기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견인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회전부에 걸리는 모멘트에 의해 직선운동변환기구가 각 마찰부재의 타단을 견인바에 의해 두 개씩 쌍을 지어 타이어의 중심을 향해 동시에 끌어당긴 후 역회전방지장치에 의해 역회전되지 않게 구속됨으로써 각 마찰부재를 타이어에 밀착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를 이동시키지 않고 정차된 상태 그대로 타이어에 장착할 수 있는 데다 그 장착도 아주 용이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자동차에 신속하게 탈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의 접지면과 밀착하여 노면과 마찰되는 마찰부재가 납작하고 또 타이어의 접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주행시 진동과 소음을 크게 유발하지도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NONSKID APPARATUS FOR TIRE}
본 고안은 눈이 쌓인 길이나 빙판길을 주행할 때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 타이어에 장착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착이 용이하고, 타이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미끄럼 방지 효과가 뛰어난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눈이 쌓인 도로나 빙판길을 주행할 때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타이어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겨울철 안전장비로서, 통상 타이어 접지면을 따라 배열되어 그 접지면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체인과 상기 체인의 끝단들을 타이어 양측면에서 각각 연결하여 접지면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두 줄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스노우 체인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스노우 체인은 접지면의 마찰계수를 크게 높일 수 있어야 하고 자동차의 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만간헐적으로 사용되므로 탈착이 용이하여야 한다. 이에, 종래에는 상술한 요건에 충족될 수 있도록 체인과 와이어가 모두 금속제인 스노우 체인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금속제 스노우 체인은 탄성이 전혀 없는 데다 타이어 접지면으로부터 국소적으로 돌출되고 또 신축성 마저 없어 접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지도 않기 때문에 주행시 극심한 차체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여 승차감을 크게 떨어뜨리고 국소 압박으로 타이어와 노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체인 대신에 납작하고 일정한 폭을 가진 합성수지나 고무 등과 같은 유연성 재질의 마찰부재를 가진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의 접지면(2)에 가로로 밀착되고 그 접지면(2)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마찰부재(3)와 상기 마찰부재(3)들의 각 끝단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그 양 끝에 이음수단(6)이 설치된 타이어 둘레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두 줄의 와이어(4, 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타이어(1)에 장착된다.
먼저, 타이어(1) 바로 앞 지면에 마찰부재(3)들이 타이어(1)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깔아놓은 다음 차량을 이동시켜 타이어(1)가 그 마찰부재(3)들 위에 올라가게 한다. 이어 타이어(1) 내측과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두 와이어(4, 5)를 그 양끝을 연결하여 각각 원형인 폐곡선 형태로 만들면 마찰부재(3)들이 와이어(4, 5)에 의해 타이어(1)의 중앙쪽으로 당겨져 타이어(1)의 접지면(2)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행하면 마찰부재(3)들이 접지면(2)에 앞서서 노면에 닿아 타이어(1)가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이 종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폭에 따른 면적을 가지는 유연한 마찰부재(3)들이 타이어(1)의 접지면(2)에 밀착하여 고정됨으로써 주행에 따른 차체의 진동과 소음의 발생량이 적어 앞서 금속제 스노우 체인에 비해 승차감을 크게 저하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마찰부재(3)가 탄력이 없어 체결여유를 가져야 하는 와이어(4, 5)들의 후프 응력에 의한 인장력에만 의존하여 접지면(2)에 느슨한 상태로 밀착 고정되므로 주행시 마찰부재(3)가 지면에 마찰될 때 타이어(1)의 원주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효과가 떨어지고 극심한 마찰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와이어(4, 5)와 마찰부재(3)의 길이 조정이 불가능하여 정해진 규격의 타이어(1) 외에는 장착할 수 없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타이어에 신속하게 탈,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규격에 제한 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에 장착할 수 있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이어에 신속하게 탈,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규격에 제한 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에 장착할 수 있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타나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인 직선운동변환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인 직선운동변환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장동상태를 간단히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이어 12 : 접지면
22 : 견인바 24 : 마찰패드
100 : 직선운동변환기구 110 : 하우징
112 : 태양기어회전축 113 : 연동기어회전축
114 : 유성기어회전축 116 : 슬라이드홈
122 : 회전부 125 : 스프링
126 : 태양기어 127 : 연동기어
128 : 유성기어 130 : 커버
134 : 역회전방지장치 140 : 견인랙
142 : 걸고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타이어 안쪽에서, 양쪽 끝이 분리가능한 이음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타이어 외경 보다 작은 원형이 되는 와이어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와이어 상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타이어 접지면을 가로질러 타이어의 바깥쪽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접지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마찰부재와; 타이어의 외면 중앙에서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에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걸리는 모멘트를 구심방향의 인장력으로 변환하여 그 인장력을 상기 마찰부재의 타단에 작용하고. 역회전방지장치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직선운동변환기구와; 양단이 인접한 두 개의 마찰부재의 타단과 결합하고 그 중앙이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마찰부재들의 타단을 인접하는 것끼리 두 개씩 쌍으로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견인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에 걸리는 모멘트에 의해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가 상기 각 마찰부재의 타단을 상기 견인바에 의해 두 개씩 쌍을 지어 타이어의 중심을 향해 동시에 끌어당긴 후 상기 역회전방지장치에 의해 역회전되지 않게 구속됨으로써 상기 각 마찰부재를 타이어에 밀착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설치되는 태양기어와; 상기 태양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회전방지장치와; 상기 태양기어의 둘레에서 상기 태양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태양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태양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유성기어에 치합되는 랙이 형성되어 상기 각 유성기어에 의해 이동되는 복수개의 견인랙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상기 각종 기어들과, 상기 견인랙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외부에서 상기 태양기어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중심에 상기 태양기어가 결합되는 태양기어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기어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견인랙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홈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슬라이드홈의 일측에 연동기어가 결합되는 연동기어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각 슬라이드홈의 일측 단부에 상기 각 연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견인랙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상기 유성기어가 유성기어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태양기어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역전방지장치에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측단부에는 소정길이의 막대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봉부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역회전방지장치는, 상기 커버의 하부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회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걸림턱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타측방향으로는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회동부가 타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가 양측방향으로 모두 회전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타나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인 직선운동변환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주요부인 직선운동변환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장동상태를 간단히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타이어(10) 안쪽에서 그 양쪽 끝이 연결되어 타이어(10) 보다 외경이 작은 원형이 되는 와이어(미도시),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를 체결하는 결합수단(미도시), 상기 와이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여덟 개의 마찰부재(24), 상기 마찰부재(24)들을 두 개씩 묶는 네 개의 견인바(22), 상기 견인바(22)들을 네 줄의 견인랙(140)으로 타이어 중심을 향해 끌어당기는 직선운동변환기구(1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는 타이어의 둘레 보다 길이가 짧은 철선(鐵線)으로, 그 양 끝에 서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가지고 있어 타이어(10)의 안쪽에서 그 결합수단이 연결되어 타이어(10)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의 원형이 된다.
상기 마찰부재(24)들은 예컨대 합성수지나, 우레탄, 발포수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은 유연성 소재로 성형된 소정 길이의 납작한 패드로, 그 각 일단이 상기 와이어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이에 타이어(10) 안쪽에서 양끝이 연결되어 원형이 된 와이어로부터 타이어(10)의 접지면(12) 바깥으로 인출되어 그 각 타단이 타이어(10) 바깥쪽에서 타이어(10)의 중심을 향하게 된다. 이 마찰부재(24)는 타이어(10)의 접지면(12)에 밀착, 고정되어 주행시 노면과 직접 마찰하여 타이어(10)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마찰부재(24)의 길이와 수량은 타이어(10)의 크기에 따라 다소 증감될 수 있으며, 금속제의 체인으로 구성되거나 금속제의 체인이 일체로 삽입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견인바(22)들은 중앙이 완만하게 구부러진 강봉으로, 이들은 각각 그 양단에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마찰부재(24)가 결합되어 그 두 마찰부재(24)를 직선운동변환기구에 연결한다. 이에, 직선운동변환기구(100)가 마찰부재(24)들을 2 개씩 짝을 지어 타이어(10) 중심으로 끌어당길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견인바(22)는 마찰부재(24)들을 두 개씩 짝을 지어 직선운동변환기구(100)에 연결할 수 있게 하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견인바(2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100)는 타이어(10) 바깥쪽에서 회전부(122)에 걸리는 회전력을 타이어(10) 구심방향의 인장력을 변환하여 상기 견인바(22)들을 타이어(10)의 중심을 향해 동시에 끌어당기는 인장기구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중심에 설치되는 태양기어(126)와, 상기 태양기어(126)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회전방지장치(134)와, 상기 태양기어(126)의 둘레에서 상기 태양기어(126)에 치합되어 상기 태양기어(126)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4개의 연동기어(127)와, 상기 연동기어(127)에 치합되어 상기 태양기어(126)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4개의 유성기어(128)와,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유성기어(128)에 치합되는 랙(143)이 형성되어 상기 각 유성기어(128)에 의해 이동되는 4개의 견인랙(140), 상기 하우징(110)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된 상기 각종 기어(126, 127. 128)들과, 상기 견인랙(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130), 그리고, 상기 커버(130) 외부에서 상기 태양기어(126)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회전부(122)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4방향이 돌출된 원반 형태의 케이스로, 그 중심에 상기 태양기어(12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태양기어회전축(112)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기어회전축(112)을 중심으로 상기 견인랙(140)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홈(116)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슬라이드홈(116)의 일측에는 상기 태양기어(126)의 회전력을 상기 유성기어(128)로 전달하는 연동기어(127)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기어회전축(1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슬라이드홈(116)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각 연동기어(12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견인랙(14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상기 유성기어(12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성기어회전축(114)이 형성되며, 상기 유성기어회전축(114)의 중심과, 상기 하우징(110)의 소정부에는 다수의 볼트체(132)에 의해 상기 커버(130)를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홀(131)가 형성된다.
상기 태양기어(126)는 상기 하우징(110)의 중심에 마련된 상기 태양기회전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태양기어(126)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는 스프링(125)과, 상기 스프링(125)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는 회전부(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태양기어(126)에 치합되는 상기 연동기어(127)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기어(127)는, 상기 태양기어(126)의 기어열에 치합되어 상기 태양기어(126)의 회전력을 상기 유성기어(128)로 전달하는 것으로, 얇은 판재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된 상기 연동기어회전축(1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유성기어(128)는 상기 태양기어(126)의 주위에 배열되는 상기 연동기어(127)에 치합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성기어회전축(1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견인랙(140)의 랙(143)에 치합되어 상기 태양기어(126)의 회전력을 상기 견인랙(14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견인랙(140)은,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홈(116)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견인바(22)의 중앙을 거치하여 상기 견인바(22)에 결합된 한쌍의 마찰부재(24)를 상기 타이어(10)의 중심측으로 당기는 것으로, 소정길이의 바 형태로 단부에 상기 견인바(22)의 중앙부에 거치되는 걸고리(142)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유성기어(128)의 기어열에 치합되는 랙(143)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122)는, 상기 하우징(110)의 태양기어회전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태양기어(126)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는 스프링(125)의 단부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여 상기 태양기어(126)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122)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부(122)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회전방지장치(134)에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턱(124)이 형성되고, 외측단부에는 소정길이의 막대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봉부재가 삽입되어 적은 힘으로 상기 회전부(122)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삽입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역회전방지장치(134)는 상기 커버(130)의 하부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커버(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회동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135)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122)의 걸림턱(124)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122)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함과 동시에 타측방향으로는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회동부(135)가 타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122)가 양측방향으로 모두 회전되도록 걸림부(136)가 형성되어,상기 회전부(122)를 돌려 상기 태양기어(126)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상태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링(125)의 탄성변위를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상기 태양기어(126)가 회전되고, 상기 역회전방지장치(134)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전부(122)의 스프링(125)은 태양기어(126) 등을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서 탄력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면을 덮어 하우징(110) 내부의 태양기어(126), 연동기어(127) 및 유성기어(128) 등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위성기어회전축(114)의 결합공(115) 및 상기 결합부(117)의 결합공(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13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볼트(132) 체결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타이어에 장착된다.
먼저, 자동차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이어(10) 안쪽에서 와이어의 그 양끝을 연결하여 원형으로 만든다. 이어 상기 와이어에 각각 고정되고 견인바(22)에 두 개씩 연결된 마찰부재(24)들을 타이어(10)의 접지면(12)을 가로질러 타이어(10) 바깥쪽 중앙으로 인출한다.
이어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100)의 견인랙(140)을 상기 견인바(22)에 연결하여 직선운동변환기구(100)를 임시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직선운동변환기구(100)의 회전부(122)에 소정길이의 봉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회전부(122)를 일정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때까지 회전시킨 다음 역회전방지장치(134)를 회동시켜 회전부(122)의 회전을 고정시키면 상기 역회전방지장치(134)의 걸림부(136)가 상기 회전부(122)의 걸림턱(124)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122)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회전부(122)와 상기 태양기어(126)의 사이에 마련된 상기 스프링(12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견인랙(140)의 걸고리(142)에 결합된 견입바(22)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마찰부재(24)가 상기 직선운동변횐기구(100)에 의해 상기 타이어(10)의 중심측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타이어(10)의 접지면(12)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장착되는 본 고안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100)는, 마찰부재(24)들을 두 개씩 직선운동변환기구(100)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고 더욱이 자동차 이동시키지 않고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신속,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10)의 접지면(12)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주행시 진동과 소음을 크게 유발하지도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자동차를 이동시키지 않고 정차된 상태 그대로 타이어에 장착할 수 있는 데다 그 장착도 아주 용이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자동차에 신속하게 탈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의 접지면과 밀착하여 노면과 마찰되는 마찰부재가 납작하고 또 타이어의 접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주행시 진동과 소음을 크게 유발하지도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타이어 안쪽에서, 양쪽 끝이 분리가능한 이음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타이어 외경 보다 작은 원형이 되는 와이어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와이어 상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타이어 접지면을 가로질러 타이어의 바깥쪽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접지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마찰부재와;
    타이어의 외면 중앙에서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에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걸리는 모멘트를 구심방향의 인장력으로 변환하여 그 인장력을 상기 마찰부재의 타단에 작용하고. 역회전방지장치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직선운동변환기구;
    양단이 인접한 두 개의 마찰부재의 타단과 결합하고 그 중앙이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마찰부재들의 타단을 인접하는 것끼리 두 개씩 쌍으로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견인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에 걸리는 모멘트에 의해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가 상기 각 마찰부재의 타단을 상기 견인바에 의해 두 개씩 쌍을 지어 타이어의 중심을 향해 동시에 끌어당긴 후 상기 역회전방지장치에 의해 역회전되지 않게 구속됨으로써 상기 각 마찰부재를 타이어에 밀착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설치되는 태양기어와;
    상기 태양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회전방지장치와,
    상기 태양기어의 둘레에서 상기 태양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태양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태양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유성기어에 치합되는 랙이 형성되어 상기 각 유성기어에 의해 이동되는 복수개의 견인랙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상기 각종 기어들과, 상기 견인랙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외부에서 상기 태양기어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심에 상기 태양기어가 결합되는 태양기어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기어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견인랙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홈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슬라이드홈의 일측에 연동기어가 결합되는 연동기어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각 슬라이드홈의 일측 단부에 상기 각 연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견인랙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상기 유성기어가 유성기어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태양기어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역전방지장치에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측단부에는 소정길이의 막대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봉부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장치는,
    상기 커버의 하부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회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걸림턱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타측방향으로는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회동부가 타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가 양측방향으로 모두 회전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미끄럼 방지장치.
KR2020020023936U 2002-08-10 2002-08-10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97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936U KR200297703Y1 (ko) 2002-08-10 2002-08-10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936U KR200297703Y1 (ko) 2002-08-10 2002-08-10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281A Division KR20040014677A (ko) 2002-08-10 2002-08-10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703Y1 true KR200297703Y1 (ko) 2002-12-12

Family

ID=7305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93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7703Y1 (ko) 2002-08-10 2002-08-10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70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073B1 (ko) * 2017-01-23 2017-12-26 강대진 차량용 스노우 체인
KR20210120949A (ko) * 2019-10-04 2021-10-07 한국전력공사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CN114407400A (zh) * 2022-01-19 2022-04-29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 轮胎钢圈贴合盘
CN116533690A (zh) * 2023-07-04 2023-08-04 之江实验室 一种用于车辆的自动防滑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073B1 (ko) * 2017-01-23 2017-12-26 강대진 차량용 스노우 체인
KR20210120949A (ko) * 2019-10-04 2021-10-07 한국전력공사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KR102337772B1 (ko) 2019-10-04 2021-12-10 한국전력공사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CN114407400A (zh) * 2022-01-19 2022-04-29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 轮胎钢圈贴合盘
CN116533690A (zh) * 2023-07-04 2023-08-04 之江实验室 一种用于车辆的自动防滑系统
CN116533690B (zh) * 2023-07-04 2023-09-08 之江实验室 一种用于车辆的自动防滑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9807B (zh) 用于防滑设备和牵引增强设备的张紧装置
JP2003507243A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
KR200297703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US2589207A (en) Antiskid device
US4836258A (en) Attachment apparatus for a tire mat
KR20040014677A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US4886100A (en) Traction device adapted to compensate for tire size variations resulting from inflation and road deflection
JP2005126069A (ja)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US5261470A (en) Wheelchair traction device for snow and ice
US4224972A (en) Combination winch and traction intensifier for rubber tired vehicles
US2936016A (en) Anti-skid device
KR2003235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27050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부
KR100752710B1 (ko)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KR100648250B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276438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마찰패드
KR200270505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견인바
US20030047725A1 (en) Auxiliary device for moving vehicles in mired situations
KR101354404B1 (ko) 스노 체인
KR200270501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CN2626751Y (zh) 汽车防滑链
KR200309737Y1 (ko) 미끄럼 방지용 자동차 커버
KR200293580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부
CA2273462C (en) Emergency vehicle traction device
KR200293581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마찰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0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101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7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