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7624Y1 - 분통 - Google Patents

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24Y1
KR200297624Y1 KR2020020018329U KR20020018329U KR200297624Y1 KR 200297624 Y1 KR200297624 Y1 KR 200297624Y1 KR 2020020018329 U KR2020020018329 U KR 2020020018329U KR 20020018329 U KR20020018329 U KR 20020018329U KR 200297624 Y1 KR200297624 Y1 KR 200297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d
powder
open
puf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열
Original Assignee
김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열 filed Critical 김중열
Priority to KR2020020018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분 저장실과 분첩을 규비하면서도 휴다하기 간편한 분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분첩(18)이 배치되는 트인 수용실(12)을 갖추고 있는 제1케이스(10)와 제1케이스(10)의 트인 수용실(1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제1케이스(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14)을 제1케이스(10)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제2분첩(48)이 배치되는 트인 수용실(46)을 가지며, 수용실(46)을 밀폐시키도록 제1케이스(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케이스(40)와 개방된 제2케이스(40)의 수용실(46)을 밀폐하도록 제2케이스(40)의 밑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뚜껑(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도 분과 분첩이 수용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수용실을 개별적으로 밀폐할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각각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케이스의 수용실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뚜껑을 원터치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뚜껑을 수동으로 돌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통{A powder contianer}
본 고안은 분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분 저장실과 분첩을 구비하면서도 휴대하기 간편한 분통에 관한 것이다.
영아 또는 유아의 피부는 매우 연약하고 피부에 땀이 잘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에 땀띠가 생겨 피부가 손상되고 나아가 세균에 감염되기 쉽다. 따라서, 영아또는 유아의 피부에 분(粉)을 도포하여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피부의 손상과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한다.
한편, 미세 분말로 이루어진 분은 분산되기 쉬우므로 별도의 저장용기(이하 '분통'이라 약칭함)에 담아 보관하는데, 이 분통은 저장실을 갖고 있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저장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뚜껑과, 저장실 내에 배치되면서 저장실에 수용되는 분을 묻혀 영아 또는 유아의 피부에 도포하는 분첩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분통은 필요한 분량만큼 묻혀서 영아 또는 유아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피부의 사용부위에 따라 복수의 분통을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엉덩이 등과 같이 손상되기 쉬운 부위에 사용하는 분통과, 얼굴 목등과 같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 부위에 사용하는 분통을 각기 따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던 것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트인 저장실을 갖츠고 있으면서 다단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케이스와, 각 케이스의 저장실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첩과, 최상부 케이스의 트인 저장실을 덮도록 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분통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분통은 복수의 저장실과 복수의 분첩을 구비하여 사용 부위별로 각기 다른 분과 분첩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 휴다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최상부 케이스의 저장실을 덮는 뚜껑이 케이스와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케이스이 저장실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고자 할 때 에는 뚜껑을 회전시켜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고, 다시 뚜껑을 회전시켜 케이스에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 부위별로 각기 다른 분과 분첩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저장실과분첩을 구비하면서도 휴대하기 간편한 분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제1케이스 12 : 수용실
14 : 뚜껑 16 : 인너케이스
17 : 받침뚜껑 18 : 제1분첩
20 : 록커 22 : 작동버튼
24 : 탄성편 26 : 후트
30 : 걸림편 40 : 제2케이스
46 : 수용실 48 : 제2분첩
50 : 보조뚜껑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분첩이 배치되는 트인 수용실을 갖추고 있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트인 수용실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을 상기 제1케이스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제2분첩이 배치되는 트인 수용실을 가지며, 상기 수용실이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케이스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케이스와 개방된 제2케이스의 수용실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2케이스의 밑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에 따른 분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통은 크게 제1케이스(10)와, 제1케이스(10)를 덮는 뚜껑(14)그리고 제1케이스(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케이스(40)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제1케이스(10)는 상부가 트인 수용실(12)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실(12)에는 저장실(16a)을 갖는 인너케이스(16)가 배치된다. 인너케이스(16)의 저장실(16a)은 소정량의 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상부가 트여져 있으며, 트인 상부는 받침뚜껑(17)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받침뚜껑(17)은 저장실(16a)을 밀폐하면서 eh동시에 제1분첩(18)을 받칠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분첩(18)은 비교적 얇도록 구성되며, 인너케이스(16)의 저장실(16a)에 저장된 분을 묻혀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0))의 밑면에는 결합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19)의 내벽에는 한쌍의 체결돌기(19a)들이 마주보며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9)에는 제2케이스(40)의 상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뚜껑(14)과 받침뚜껑(17)은 제1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뚜껑(14)과 받침뚜껑(17)의 일측에는 서로 겹쳐지도록 힌지편(14a, 17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편(14a,17a)들은 제1케이스(10)의 힌지홈(10a)에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힌지편(14a,17a)들과 힌지홈(10a)의 측벽에는 힌지측(11)이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뚜껑(14)와 받침뚜껑(17)은 상기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제1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10)에는 뚜껑(14)을 제1케이스(10)에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이 설치된다. 록킹수단은 제1케이스(10)의 수용실(12)에 설치되는 록커(20)와 뚜껑(14)의 밑면에 형성되는 걸림편(30)으로 이루어진다. 록커(20)는작동버튼(22)을 가지며, 작동버튼(22)은 제1케이스(10)의 작동구멍(10b)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작동버튼(22)을 통하여 사용자는 록커(20)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록커(20)는 양쪽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탄성편(24)들을 가지며, 한쌍의 탄성편(24)들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실(12)에 형성되는 지지턱(12a)에 그 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이러한 탄성편(24)들은 상기 록커(20)를 제1케이스(10)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록커(20)로 하여금 탄성이동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록커(20)는 수직하게 돌출되는 후크(26)를 갖는다. 후크(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4)의 걸림편(30)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탄성이동이 가능한 록커(20)를 따라 뚜껑(14)의 걸림편(30)에 근접하거나 이격되어 뚜껑(14)의 걸림편(30)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다. 특히, 후크(26)의 상면에는 경사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28)는 걸림편(30)의 진입을 자연스럽게 허용한다.
한편, 걸림편(30)은 뚜껑(14)의 밑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32)은 록커(20)의 후크(26)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걸림편(30)과 후크(26)을 록킹시킨다. 여기서, 인너케이스(16)에는 뚜껑(14)의 걸림편(30)이 통과하여 록커(20)과 접촉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케이스(10)의 수용실(12)을 개방시키고자 록커(20)의 작동버튼(22)을 누르면, 록커(20)가 제1케이스(10)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되는 록커(20)에 의해 후크(26)도 제1케이스(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뚜껑(14)의 걸림편(30)과 이격된다. 결국 후크(26) 걸림편(30)의 록킹은 해제되며, 뚜껑(14)은 제1케이스(10)의 상하로 젖혀질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받침뚜껑(17)을 회전시켜 인너케이스(16)의 저장실(16a)을 개방시키고 제1분첩(18)을 이용하여 영아 또는 유아의 피부에 분을 도포하면 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10)를 폐쇄하고자 뚜껑(14)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뚜껑(14)은 제1케이스(10)의 수용실(12)을 폐쇄하면서 그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뚜껑(14)의 걸림편(30)은 후크(26)의 경사면(28)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후크(26)는 탄성이동하면서 걸림편(30)의 진입을 허용하게 되고, 이어서 걸림턱(32)에 걸려 상기 제1케이스(10)과 뚜껑(14)을 서로 록킹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록커(20)과 걸림편(30)으로 이루어진 록킹수단에 의해 뚜껑(14)은 제2케이스(40)에 견고하게 록킹된다.
또한 제1케이스(10)의 하부에는 제2케이스(4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2케이스(40)의 상부에는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42a)를 갖는 결합부(4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결합부(42)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체결홈(44)이 형성된다. 결합부(42)는 제1케이스(10)밑면의 결합홈(19)에 끼워지며, 체결홈(44)은 제1케이스(10)의 체결돌기(19a)와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홈(44)의 일측은 상부로 트여져 있으며, 체결홈(44)의 트인 상부를 통하여 제1케이스(10)의 체결돌기(19a)는 체결홈(44)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결함홈(19)과 돌출부(42)그리고 체결돌기(19a)와 체결홈(44)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4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제2케이스(40)에는 상부가 트인 수용실(46)이 형성되어있으며, 수용실(46)은 제2케이스(40)은 제2케에스(40)와 제1케이스(10)가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40)의 수용실(46)에는 제2분첩(48)이 배치된다. 제2분첩(48)은 분을 묻혀서 사용하는 제1케에스(10)의 제1분첩(18)과는 달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48a)을 갖추고 있으면서 통공(48b)을 통하여 저장실(48a)의 분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케이스(40)의 밑면에는 보조뚜껑(5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뚜껑(50)은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40)를 분리하였을 경우, 제2케에스(40)의 밑면으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된 제2케이스(40)의 수용실(46)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뚜껑(50)의 내부에는 마주보는 한쌍의 체결돌기(5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돌기(52)는 결합부(42)의 체결홈(4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제2케이스(40)의 하부에도 보조뚜껑(50)의 체결돌기(52)와 결합되는 체결홈(4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뚜껑(50)은 제1케에스(10)와 제2케이스(40)를 분리하였을 경우에만 개방된 제2케이스(40)의 수용실(46)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40)를 각각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통은 별도의 분과 분첩을 갖추고 있는 제1케이스(10)와 제2케에스(4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도 분과 분첩이 수용되는 제1케에스(10)의 수용실(12)과 제2케이스(40)의 수용실(46)을 개별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40)를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케이스(10)의 수용실(1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뚜껑(14)을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뚜껑(14)을 수동으로 돌려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킨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통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도 분과 분첩이 수용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수용실을 개별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각각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케이스의 수용실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뚜껑을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뚜껑을 수동으로 돌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1분첩(18)이 배치되는 트인 수용실(12)을 갖추고 있는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1케이스(10)의 트인 수용실(1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상기 제1케에스(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14)과 상기 뚜껑(14)을 상기 제1케이스(10)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제2분첩(48)이 배치되는 트인 수용실(46)을 가지며, 상기 수용실(46)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케이스(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케이스(40)와 개방된 제2케이tm(40)의 수용실(46)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2케이스(40)의 밑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뚜껑(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10)에 설치되는 록커(20)와 상기 뚜껑(14)에 형성되는 걸림편(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커(20)는 제1케에스(10)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작동버튼(22)과?? 상기 록커(20)가 탄성이동가느하도록 제1케이스(10)에 탄지되는 한쌍의 탄성편(24)들과, 상기 뚜껑(14)의 걸림편(30)에 걸리는 후크(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통.
  3. 제1항에 있어서, 제1케이스(10)의 수용실(12)에는 분을 저장할 수 있는 트인 저장실(16a)을 갖는 인너케이스(16)가 배치되며, 상기 인너케이스(16)의 저장실(16a)은 제1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뚜껑(17)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통.
KR2020020018329U 2002-06-17 2002-06-17 분통 Expired - Fee Related KR200297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329U KR200297624Y1 (ko) 2002-06-17 2002-06-17 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329U KR200297624Y1 (ko) 2002-06-17 2002-06-17 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24Y1 true KR200297624Y1 (ko) 2002-12-12

Family

ID=7308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32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7624Y1 (ko) 2002-06-17 2002-06-17 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324B1 (ko) * 2009-03-19 2010-11-12 정성호 원터치식 개폐가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324B1 (ko) * 2009-03-19 2010-11-12 정성호 원터치식 개폐가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6317B2 (ja) カプセル化粧品詰め替え構造及び気密機能を持つコンパクトケース
US10334935B2 (en) One-touch compact case having refillable structure
JP5926865B2 (ja) コンパクト型エアタイト化粧品容器
KR200423018Y1 (ko) 화장품용기
KR101574997B1 (ko)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KR101782905B1 (ko) 이종화장품과 화장도구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200297624Y1 (ko) 분통
KR200409415Y1 (ko) 화장품용기
KR200200749Y1 (ko) 분통
JP4953906B2 (ja) 気密コンパクト
KR200375840Y1 (ko)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
KR20180061897A (ko) 건티슈와 물을 휴대할 수 있는 케이스
CN106163323A (zh) 用于至少一种化妆品的封装装置以及相关的封装方法
US7661525B1 (en) Collapsible pill cup with timer
KR200246282Y1 (ko) 분통
KR200399930Y1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
JP2009506914A (ja) 鉛筆芯用ボックス
KR20090008547U (ko) 휴대용 약 보관용기
KR200260240Y1 (ko) 분통
US20240298780A1 (en) Cosmetics Case
KR200372866Y1 (ko) 거울 오염 방지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210001794A (ko) 퍼프덮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329805B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KR101336419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JP5005385B2 (ja) 気密コンパ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6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6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UJ0210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J02102R02D

Patent event date: 20040309

Request date: 2004030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4103000049

Decision date: 20050830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3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309

Effective date: 20050830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50831

Patent event code: UJ13011S10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410300004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50830

Request date: 200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