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7562Y1 -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 Google Patents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562Y1
KR200297562Y1 KR2020020027341U KR20020027341U KR200297562Y1 KR 200297562 Y1 KR200297562 Y1 KR 200297562Y1 KR 2020020027341 U KR2020020027341 U KR 2020020027341U KR 20020027341 U KR20020027341 U KR 20020027341U KR 200297562 Y1 KR200297562 Y1 KR 200297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t
cap
housing
ope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숙
추래흥
Original Assignee
추래흥
윤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래흥, 윤희숙 filed Critical 추래흥
Priority to KR2020020027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562Y1/ko

Link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란셋장치는 중공의 원통형상이고 내부에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가 삽입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 상단에 위치하고 가압되어 장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부재와, 하부는 란셋이 착탈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상부에서 충격력을 받는 란셋홀더와, 피부에 침투되어 사혈하게 하는 란셋니들을 구비한 란셋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는 하우징과 결합되고 하부는 란셋을 직접 교체하도록 만들어진 캡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하나의 란셋에 2개 또는 3개의 란셋니들을 구비해 타침 회수를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캡의 분리 없이 개방된 캡의 하부로 직접 란셋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고, 하부가 개방되어 혈액이 캡에 묻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독이 편리하다.

Description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THE LANCETS WITH OPENING CAP}
본 고안은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란셋은 건강진단이나 치료를 위해서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는 경우와 한방에서 수지침요법이나 부항요법을 위해 사혈할 때 사용된다. 당뇨와 같은 질병을 가진 환자들은 혈액 분석을 위한 혈액의 채취가 자주 필요하므로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점차 개발되어지고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20-2002-0012172(자동 사혈침 기구)에서, 몸체의 상부에 누름 부재를 설치하고, 몸체 하부에 결합된 하부캡을 회전시켜 몸체와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사혈침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의 깊이에 따라 사혈침의 침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20-1999-0023980(란셋장치)에서, 관통구를 갖는 하우징의 말단부가 손가락 끝의 굴곡부와 같은 반구형으로 하여 환자에게 거부감을 적게 하도록 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한방에서 특히 부항요법을 위해 사혈할 경우에는 환자의 피부를 10∼20여곳 정도 찌르게 되는데 종래 기술은 도 1과 같이, 란셋니들(41)이 1개 구비되어 있어, 이 경우 10∼20번 환자의 피부를 찔러야 하므로 환자에게 심리적 부담감을 주게 된다.
또한, 란셋은 1회용으로 한 사람에게 사용 후 교체 해야하므로. 잦은 교체 동작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란셋장치는 교체 시에 캡(30)을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하고 란셋(40)을 란셋홀더(58)에 끼운 후 다시 캡(30)을 하우징에 결합하게 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며, 도 1과 같이, 캡(30)의 하부가 관통구(31)만 제외하고 밀폐되어 있어 혈액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캡(30) 하부에 환자의 혈액이 묻을 경우 소독하기 어렵고,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피부를 여러 곳 사혈 할 경우에 하나의 란셋에 2개 또는 3개의 란셋니들을 구비하여 타침 회수를 최소화하여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또한, 캡의 하부를 개방하여 란셋을 직접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하고, 혈액이 장치에 묻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란셋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란셋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의 캡이 하우징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의 란셋을 나타낸 도면
A : 2개의 란셋니들을 구비한 란셋
B : 3개의 란셋니들을 구비한 란셋
도 5는 본 고안의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의 캡을 나타낸 도면
A : 하부 돌출부분이 2개인 캡 B : 하부 돌출부분이 3개인 캡
도 6은 본 고안의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 하우징 20,120 : 누름부재
30,130 : 캡 31 : 관통구
40,140 : 란셋 41,141 : 란셋니들
50 : 작동부 51 : 스프링a
52 : 스프링b 53 : 핀가이드부재
54 : 충격전달봉 55 : 스프링c
56 : 충격받이봉 57 : 가이드 홀
58 : 란셋홀더
본 고안은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공의 원통형상이고 내부에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50)가 삽입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상단에 위치하고 가압되어 장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부재(120)와,
하부는 란셋(140)이 착탈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밀폐된 상부는 충격력을 받는 란셋홀더(58)와,
피부에 침투되어 사혈하게 하는 란셋니들(141)을 구비한 란셋(140)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는 하우징(110)과 결합되고, 하부는 란셋(140)을 직접 교체하도록 만들어진 캡(130)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나 도면과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의 캡이 하우징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하우징(110)은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내부에는 순간적인 충격력으로 란셋니들을 피부에 침투시켜 사혈하기 위한 작동부(50)가 삽입되어 있다.
작동부(50)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인 충격력으로 작동하는 통상의 란셋장치와 같다. 도 2의 종래의 란셋장치의 단면도를 참고로 하여 작동순서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누름부재(20)를 가압하면 누름부재(2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스프링a(51)와 스프링b(52)가 수축되었다가 스프링a(51)가 순간적으로 하부로 신장하면서 충격전달봉(54)이 하부에 위치한 충격받이봉(56)을 타격하게 되고, 충격받이봉(56)은 다시 란셋(40)이 고정된 란셋홀더(58)를 타격하여 란셋(40)이 외부로 돌출하게 하고, 이때 스프링c(55)는 수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있다가 순간적으로 다시 신장되어 란셋(4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누름부재(20)의 가압을 풀면, 수축되었던 스프링b(52)가 신장되어 누름부재(20)를 상부로 원상복귀하게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의 란셋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란셋(140)은 란셋니들(141)을 2개 또는 3개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란셋니들(141) 두 개를 일직선으로 배치하거나, B와 같이 란셋니들(141) 세 개를 정삼각형 모양으로 배치할 수 있으나, 그 밖에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의 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캡(130)은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되어, 상부에는 나선모양의 홈으로 회전에 의해 하우징(110)과 결합 체결되며, 하부는 A 또는 B 의 형태로 하부를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피부에 접촉되는 밑면은 둔탁하게 마감하여 피부에 닿았을 때 거부감이 없도록 한다.
캡(130)의 지름은 결합되는 하우징(110)의 지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0.8㎝∼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캡(130)은 란셋 교체시 캡을 하우징(110)에서 분리하고 다시 체결하는 번거로움 없이 캡(130)의 개방된 하부로 직접 사용한 란셋을 제거하고 새로운 란셋을 끼울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누름부재(120)를 눌러 란셋홀더(58)를 밖으로 일부 노출시킨 상태에서 교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환자의 피부를 여러 곳 찔러야 할 경우에 하나의 란셋에 다수개의 란셋니들을 구비하여 타침 회수를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란셋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캡의 분리 없이 개방된 캡의 하부로 직접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고, 하부가 개방되어 혈액이 캡에 묻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소독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2)

  1. 순간적인 충격력으로 란셋니들을 피부에 침투시켜 사혈하는 란셋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원통형상이고 내부에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50)가 삽입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상단에 위치하고 가압되어 장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부재(120)와,
    하부는 란셋(140)이 착탈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상부에서 충격력을 받는 란셋홀더(58)와,
    피부에 침투되어 사혈하게 하는 란셋니들(141)을 구비한 란셋(140)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는 하우징(110)과 결합되고, 하부는 란셋(14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방형인 캡(130)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란셋(140)은 2개 또는 3개의 란셋니들(14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KR2020020027341U 2002-09-12 2002-09-12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KR200297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341U KR200297562Y1 (ko) 2002-09-12 2002-09-12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341U KR200297562Y1 (ko) 2002-09-12 2002-09-12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562Y1 true KR200297562Y1 (ko) 2002-12-11

Family

ID=7312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341U KR200297562Y1 (ko) 2002-09-12 2002-09-12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5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7730B2 (en) Blood expression device
US6645219B2 (en) Rotatable penetration depth adjusting arrangement
RU2269954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ланце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дермальной ткани (варианты), колпачок для ланце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кончика пальца, колпачок для ланце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криволинейной дермальной ткани, ланц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дермальной ткани
US5746761A (en) Disposable lancet for finger/heel stick
KR200283543Y1 (ko) 자동 사혈침 기구
JP4732652B2 (ja) 標本採取の切開装置
KR100947411B1 (ko) 란셋 시스템
US20040133127A1 (en) Capillary tube tip design to assist blood flow
US20060184189A1 (en) Cap for a dermal tissue lancing device
HU220178B (hu) Állítható csúcs lancettához
JPH03210250A (ja) 使い捨ての柔軟組織バイオプシー装置
KR102277465B1 (ko) 채혈기
JP2010537709A (ja) 漢方用鍼アセンブリ
CN111419247A (zh) 第一滴去除型刺血针装置
US7846173B2 (en) Puncturing guidance tube for a long and fine needle
KR101731340B1 (ko) 무통 채혈기
KR200297562Y1 (ko) 개방형 캡을 구비한 란셋장치
RU2717636C1 (ru) Одноразовый ланцет для безболезненного прокола кожи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ый ланцет
JP3415698B2 (ja) 採血針,採血用補助具及び採血器
KR100817484B1 (ko) 침이 내장된 일회용 캡을 갖는 사혈기
KR20210066481A (ko) 일회용 채혈 기구
KR200399638Y1 (ko) 침관
US20090112121A1 (en) Bleeding apparatus
CN222604999U (zh) 一种中医穴位用针线一体埋线针
KR200311119Y1 (ko) 하부캡이 분리되는 한방용 침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91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9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5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