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7269Y1 - 차량용 부싱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69Y1
KR200297269Y1 KR2020020027335U KR20020027335U KR200297269Y1 KR 200297269 Y1 KR200297269 Y1 KR 200297269Y1 KR 2020020027335 U KR2020020027335 U KR 2020020027335U KR 20020027335 U KR20020027335 U KR 20020027335U KR 200297269 Y1 KR200297269 Y1 KR 200297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hole
present
cylindrical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운
Original Assignee
이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운 filed Critical 이강운
Priority to KR2020020027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69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100)는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홀(113)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스토퍼(115)가 형성되는 상부원통체(110)와,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상기 상부원통체(110)의 홀(113)과 대응되는 홀(123)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스토퍼(125)가 형성되는 하부원통체(120)와, 상기 상부원통체(110) 및 하부원통체(120)의 중앙의 홀(113)(123)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파이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부싱구조{Bushing structure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의 연결부재에 장착되는 부싱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고안은 우레탄으로 이루어져 그 내구성이 뛰어나며 간단한 분해구조로서 그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그 내부에 그리스(grease)가 채워질 수 있어 진동 및 충격의 흡수가 뛰어난 차량의 부싱구조를 제공한다.
차량에서 부싱(bushing)은 컨트롤 아암(control arm), 래트럴 로드(lateral rod), 링크(link), 스테빌라이져(stabilizer) 등의 연결구멍에 장착되어 이들 부재의 움직임을 수용하면서 지지하는 것으로, 이들 부재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며 또한 연결부위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부싱구조(10)를 보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싱(100)은 상하로 스토퍼(81)(81')가 각각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무부재(8)의 구멍에 파이프(3)가 부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부싱(10)은 컨트롤 아암이나 래트럴 로드, 링크, 스테빌라이져 등의 연결구멍에 장착될 때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연결구멍에 장착하고 있다.
도 2는 프레스(50)를 이용하여 래트럴 로드(20)의 구멍(23)에 부싱(10)을 장착하는 예를 보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래트럴 로드(20)의 구멍(23)부위하측에 받침대(40)를 놓고 상기 구멍(23)에 대하여 부싱(10)을 맞추고 프레스(50)를 이용하여 원통형 공구(30)를 상기 부싱(10)에 가압하여 상기 래트럴 로드(20)의 구멍(23)에 부싱(10)을 장착하였다. 역으로, 상기 부싱(10)을 래트럴 로드(20)로부터탈거하는 경우는 래트럴 로드(20)에 장착된 부싱(10)에 상기 프레스(50)를 이용하여 원통형의 공구(30)가 상기 부싱(10)을 가압하여 래트럴 로드(20)의 구멍(23)으로부터 탈거 하였다.
종래의 부싱(10)구조에 따른 상술한 부싱의 장착방식은, 그러나, 특별히 상기 원통형의 공구(30)를 부싱(10)의 중심에 정확히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어느 정도 중심이 맞아도 프레스(50) 가압시 공구(30)가 한쪽으로 비껴나가 부싱(10)에 편하중을 주거나 부싱의 고무체(8)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5902호는 부싱(10)에 중심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공구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할 때, 그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한 부싱 구조를 제공하여 특별히 프레스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장착과 탈거시 가압력의 편심에 따른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특별히 이 경우 그 장착 및 탈거가 수작업으로 가능한 부싱구조를 제공한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경우 정비의 용이성은 더욱 증가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싱은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며 마모를 견디어야 하는 부품으로서 그 내구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부싱 구조가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일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부재에 미치는 충격과 진동을 부싱구조 자체가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그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높고 또한 부재의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부싱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그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높고 또한 부재의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연결부재에 장착되는 부싱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는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홀(hole)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스토퍼(stopper)가 형성되는 상부원통체와,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상기 상부원통체의 홀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하부원통체와, 상기 상부원통체 및 하부원통체의 중앙의 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부싱을 차량의 래트럴 로드의 연결구멍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상부원통체를 그 연결구멍에 위로부터 끼워 넣고, 다음 하부원통체를 그 연결구멍에 아래로부터 끼워 넣고, 그 다음, 상기 상부 및 하부원통체의 대응하는 홀에 상기 파이프를 인입하면 간단히 장착이 이루어진다. 탈거의 경우는 그 역순을 따르면 된다.
특별히, 상기 상부 및 하부원통체의 홀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상기 홈에 그리스(grease)를 주입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원통체의 내부는 그리스를 담고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부싱은 차량의 충격과 진동을 그리스의 작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특별히, 상기 상부 및 하부원통체는 우레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은 일반 고무에 비하여 그 내구성이 4배 이상 높으며, 본 고안에 따른 부싱의 구조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원통체를 우레탄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는, 예를 들어, 차량의 컨트롤 아암 또는 래트럴 로드 또는 링크 또는 스테빌라이져의 연결구멍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싱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종래 부싱을 래트럴 로드에 장착하는 방식을 보이는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의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싱을 래트럴 로드에 장착하는 일 예를 보이는 도면;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싱이 래트럴 로드에 장착된 것을 보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원통체의 홀의 내측면에 빗살무늬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종래부싱 20: 래트럴 로드
100: 본 고안에 따른 부싱 110: 상부원통체
120: 하부원통체 130: 파이프
115: 상부 스토퍼 125: 하부 스토퍼
113: 상부원통체홀 123: 하부원통체홀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싱(100)의 구조를 보인다. 본 고안에 따른 부싱(100)은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홀(113)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스토퍼(113)가 형성되는 상부원통체(110)를 가진다. 또한 상기 부싱(100)은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상기 상부원통체의 홀(113)과 대응되는 홀(123)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스토퍼(125)가 형성되는 하부원통체(120)을 가진다. 또한 상기 부싱(100)은 상기 상부원통체(110) 및 하부원통체(120)의 중앙의 홀(113)(123)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파이프(130)를 가진다. 도 3b는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부싱(100)이 맞추어졌을 때의 단면도를 보인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10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컨트롤 아암 또는 래트럴 로드 또는 링크 또는 스테빌라이져의 연결구멍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하게 한다.
도4a는 예시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100)가 래트럴 로드(20)에 장착되는 경우를 보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래트럴 로드(20)의 연결구멍(23)에 부싱(100)의상부원통체(110)를 위로부터 인입한다. 이때, 그 스토퍼(115)가 래트럴 로드(20)의 구멍(23)부의 주변부(231)에 맞닿을때까지 인입하게 된다. 다음, 상기 부싱(100)의 하부원통체(120)를 래트럴 로드(20)의 연결구멍(23)의 아래로부터 인입하며, 이때, 그 스토퍼(125)가 상기 구멍(23)의 하부 주변부(231')에 맞닿을때까지 인입하게 된다. 다음, 상기 상부원통체(110) 및 하부원통체(120)의 대응하는 이들의 홀(113)(123)을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130)를 인입한다. 탈거의 경우는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100)가 래트럴 로드(20)에 장착된 것을 보인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싱구조(100)에 의할 경우 부싱의 장착 및 탈거가 수작업으로도 가능하다.
특별히,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상부 및 하부원통체(110)(120)는 우레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은 일반 고무에 비하여 그 내구성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부싱(100)의 구조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원통체를 우레탄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상부 및 하부원통체(110)(120)의 홀(113)(123)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홈(1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부원통체 및 하부원통체의 홀(113)(123)의 내측면에는 빗살무늬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홈은 대안으로서 나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원통체의 홀(113)(123)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할 경우, 이들 홈에 그리스(grease)를 주입하여 홈(118)은 그리스를담고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부싱(100)은 차량의 충격과 진동을 그리스의 작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그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높고 또한 부재의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연결부재에 장착되는 부싱구조를 제공한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5)

  1.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상부원통체와;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상기 상부원통체의 홀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하부원통체와;
    상기 상부원통체 및 하부원통체의 중앙의 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결부재에 장착되는 부싱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원통체의 홀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결부재에 장착되는 부싱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원통체는 우레탄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연결부재는 컨트롤 아암 또는 래트럴 로드 또는 링크 또는 스테빌라이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결부재에 장착되는 부싱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연결부재는 컨트롤 아암 또는 래트럴 로드 또는 링크 또는 스테빌라이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결부재에 장착되는 부싱구조.
KR2020020027335U 2002-09-12 2002-09-12 차량용 부싱구조 KR200297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335U KR200297269Y1 (ko) 2002-09-12 2002-09-12 차량용 부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335U KR200297269Y1 (ko) 2002-09-12 2002-09-12 차량용 부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269Y1 true KR200297269Y1 (ko) 2002-12-13

Family

ID=7312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335U KR200297269Y1 (ko) 2002-09-12 2002-09-12 차량용 부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553A (zh) 用于放置在两个结构元件之间的支承垫
KR200297269Y1 (ko) 차량용 부싱구조
KR100455211B1 (ko) 쇽 업소버의 오일씰
CN202301732U (zh) 具有抗振动性能的汽车减振器
KR101165050B1 (ko) 쇽업소버의 상부 장착구조
CN107310338B (zh) 一种汽车上摆臂总成
JP3656398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CN101900178A (zh) 车用减震装置
KR10116230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CN204942383U (zh) 一种减震器
CN111216506A (zh) 双横臂后悬架减振器总成和双横臂后悬架总成及安装方法
CN210949344U (zh) 一种活塞杆传动结构
CN218494369U (zh) 一种管道安装用管箍
KR100837235B1 (ko) 쇽업소버의 캡
KR20200008405A (ko)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CN214698973U (zh) 一种建筑工程用减震基座
KR100422219B1 (ko) 플라스틱 인서트 사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방법
KR101099051B1 (ko) 토크 로드 마운트의 차체장착용 부시마운트
CN213112403U (zh) 一种电动叉车高门架高刚性油缸
CN109398016B (zh) 一种导向弹性悬挂机构及车辆
CN2616448Y (zh) 摩托车双向可变阻尼减震器
KR100782008B1 (ko) 쇽 업소버
KR10034512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KR200316654Y1 (ko) 차량의 마운터 브라켓용 완충부재
KR20240098594A (ko) 차량용 궤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91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9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123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