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7082Y1 - 다용도 우산 - Google Patents

다용도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082Y1
KR200297082Y1 KR2020020028200U KR20020028200U KR200297082Y1 KR 200297082 Y1 KR200297082 Y1 KR 200297082Y1 KR 2020020028200 U KR2020020028200 U KR 2020020028200U KR 20020028200 U KR20020028200 U KR 20020028200U KR 200297082 Y1 KR200297082 Y1 KR 200297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upport
multipurpose
umbrella stand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억
Original Assignee
권영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억 filed Critical 권영억
Priority to KR2020020028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082Y1/ko
Priority to AU2003247211A priority patent/AU2003247211A1/en
Priority to PCT/KR2003/001527 priority patent/WO2004026066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2011/005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8Umbrellas having upward pointing rib ends when closed, i.e. the lower dry side of the cover facing the outside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45B7/005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crank-shaped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편심되는 차수막과 상기 차수막에 대응되어 균일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바및 상기 지지바가 동시에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우산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빗물의 유입에 의한 의복 젖음을 방지하면서 외측에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우산{a multipurpose umbrella}
본 고안은 다용도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편심되는 차수막과 상기 차수막에 대응되어 균일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바및 상기 지지바가 동시에 승하강하도록 되는 우산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빗물등에 의한 의복 젖음을 방지하면서 외측에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하도록 하는다용도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는, 차수막과 이를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우산을 사용하여 비를 피하게 되며, 상기 우산은 인체의 특성상 사용시 사용자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위치에서 들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는 중력에 의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낙하되나 기압차에 의한 바람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편심되는 상태로 우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여러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가 용이한 소형의 우선을 사용할때 우산은 원상으로만 형성되어 우산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무릎 이하나 등이나 어깨등이 선택적으로 젖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형을 우산을 사용하면 되나 이경우 사용시 힘이들게 됨은 물론 보관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편심우산이 실용신안공보 제92-806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산의 상부대(4)의 삽입공(4c) 내부에는 괘지돌기(4a)를 형성하고 상부대(4)의 주연에는 괘지공(4b)을 형성하며 상부대(4)에 끼우게된 우산대(5)의 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6)을 형성하여 안내돌기(7a)가 형성되는 보조손잡이(7)에 누름보턴(8)을 우산대(5)에 형성된 괘지편(9)(9a)을 누를수 있게 형성되며, 고정손잡이(10)의 절곡단부에는 괘지돌기(11a)가 형성된 삽착봉(11)을 상부대(4)에 편심으로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편심우산은, 고정손잡이(10)를 우산대(5)에서 고정및 분리하여 우산을 편심되게 하는 구성으로 고정손잡이(10)의 분실 염려가 있으며, 연결이 복잡하게 용이하게 사용할수 없게 되고, 삽착봉(11)에 의한 견고한 결합이 힘들어 우산대(5)의 유동이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막이 타원을 형성하게 함으로서 2인이 함께 사용할 시는 각자의 바깥쪽 어깨가 젖는것을 방지하며 1인이 사용할 시에는 타원의 장축을 앞뒤로 향하게 하면 보행시에도 사용자의 등과 무릎 아래가 젖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원형우산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미려한 외형을 갖도록 하는 다용도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a,b는 각각 종래의 편심우산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우산을 도시한 평면도
도3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우산에서 차수막 편심부의 지지바및 일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우산의 지지바 확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차수막 110...시트
200...지지바 210...지지편
310...손잡이 320...후크편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편심되는 차수막;
상기 차수막에 대응되어 균일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가 동시에 승하강하도록 되는 우산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우산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우산(400)은,차수막(100)과 상기 차수막(100)에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바(200)를 상기 지지바(200)가 고정되는 우산대(3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차수막(100)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시트(미도시)가 재봉되어 연결되는 구성으로 그 소정부위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200)는, 상기 차수막(100)의 연결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각각 연결되고, 그 상단이 방사상의 지지홈(210a)을 갖는 지지편(210)을 개재하여 우산대(300)에 고정되며, 연결수단(220)을 통하여 절첩및 확장토록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링크(230a)(230b)(230c)(230d)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연결수단(220)은, 우산대(300)의 외경측에 삽입되는 고정편(220a)과 상기 고정편(220a)과 링크(230a)를 연결하는 연결바(220b)와 상기 링크(230a)를 절첩시키도록 연결되는 보조바(220c)로서 구성된다.
상기 우산대(300)는, 저부에 손잡이(320)가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 고정편(3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우산대(300)는 점차로 직경이 축소되는 다단의 연결봉(300a)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연결봉에 순차로 수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방수재가 일면에 코팅되고나 자체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시트가 각각 재봉 연결되는 차수막(100)이 타원형상이나 모자형상등을 갖도록 되어 외측에 미려한 형상의 외관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차수막(100)은, 소정부위에 지지편(210)과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될때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사용할때 인체공학상 필연적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는 우산에 여유공간을 제공하여 편심에 따른 빗물의 들침을 방지한다.
계속하여, 상기 차수막(100)의 저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바(200)에 의해 차수막(100)에 뼈대를 제공하여 우산이 입체형상을 갖도록 되어 그 내부에 비를 피할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200)는, 각각 연결되는 시트의 연결부에 탄성밴드나 와이어등에 의해 각각 대응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00)의 상단이 우산대(3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편(2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지지홈(210a)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으로 차수막(100)을 지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지지바(200)는 연결수단(220)을 통하여 절첩및 확장토록 되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차수막(100)을 용이하게 지지토록 하고, 일반적인 우산과 동일한 구성및 동작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200)가 최대직경의 하나의 연결봉 내측으로 점차로 축소되는 직경을 갖는 다른하나 이상의 연결봉이 순차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차수막(100)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220)은, 우산대(300)의 외경측에 삽입되는 고정편(220a)과 상기 고정편(220a)과 링크(230a)를 연결하는 연결바(220b)와 상기링크(230a)를 절첩시키도록 연결되는 보조바(220c)로서 구성되어 차수막(100)을 일반적인 우산과 동일한 구성으로 펼칠수 있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우산을 펼치면 상기 지지대(200)가 우산대(300)에 의해 지지도면서 차수막(100)이 펼쳐지게 되고, 상기 차수막(100)에 의해 편심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수막(1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의해 두사람 이상이 사용할수 있음은 물론 편심위치에 따른 빗물의 들침을 방지토록 하여 사용자의 의복등이 젖게 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우산의 차수막이 타원을 형성하게 함으로서 어깨가 젖는것을 방지하며, 보행시에도 사용자의 등어리와 무릎 아래가 젖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원형우산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미려한 외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시트가 재봉되어 연결되는 구성으로 그 소정부위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비대칭인 편심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수막(100);
    상기 차수막의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고, 그 상단이 방사상의 지지홈(210a)을 갖는 지지편(210)을 개재하여 우산대(300)에 고정되며, 연결수단(220)을 통하여 절첩및 확장토록 상호 연결되는 지지바(200)및,
    저부에 손잡이(320)가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 고정편(310)이 설치되는 우산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0)는, 상호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다수의 링크(230a)(230b)(230c)(230d)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우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0)에 설치되는 연결수단(220)은, 우산대(300)의 외경측에 삽입되는 고정편(220a)과 상기 고정편(220a)과 링크(230a)를 연결하는 연결바(220b)와 상기 링크(230a)를 절첩시키도록 연결되는 보조바(220c)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300)는, 점차로 직경이 축소되는 다단의 연결봉(300a)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연결봉에 순차로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우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0)는, 상기 시트(110)의 연결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각각 연결되고, 그 상단이 방사상의 지지홈(210a)을 갖는 지지편(210)을 개재하여 우산대(3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우산
KR2020020028200U 2002-09-18 2002-09-18 다용도 우산 KR200297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200U KR200297082Y1 (ko) 2002-09-18 2002-09-18 다용도 우산
AU2003247211A AU2003247211A1 (en) 2002-09-18 2003-07-30 A general-purpose umbrella
PCT/KR2003/001527 WO2004026066A1 (en) 2002-09-18 2003-07-30 A general-purpose umbre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200U KR200297082Y1 (ko) 2002-09-18 2002-09-18 다용도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082Y1 true KR200297082Y1 (ko) 2002-12-02

Family

ID=3202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200U KR200297082Y1 (ko) 2002-09-18 2002-09-18 다용도 우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97082Y1 (ko)
AU (1) AU2003247211A1 (ko)
WO (1) WO200402606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632U (ja) * 1992-11-05 1994-05-24 倉子 山田 洋 傘
KR19990011890U (ko) * 1998-12-16 1999-03-25 김운경 우산 살대의 절첩장치
KR200267939Y1 (ko) * 1999-01-27 2002-03-13 고구 타원형 우산
KR19990034865U (ko) * 1999-05-04 1999-09-06 이종술 3단절첩식우산및양산의살대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7211A1 (en) 2004-04-08
WO2004026066A1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7082Y1 (ko) 다용도 우산
KR20110077110A (ko) 레저용 의자
CN210988608U (zh) 一种折叠式雨伞
KR200375547Y1 (ko) 거울 겸용 머리빗 케이스
KR200233782Y1 (ko) 케이스로 완전 밀폐되는 우산
JP3046354U (ja) 扇子兼用帽子
JP3149240U (ja)
KR101721757B1 (ko) 기능성 패션 우산
KR100297334B1 (ko) 조끼형 우비
KR200239197Y1 (ko) 우산커버가 일체화 된 우산
KR100274741B1 (ko) 우산비서
CN207574673U (zh) 一种四角拐杖
KR200244335Y1 (ko) 모자 우산
JP3097898U (ja) 折畳式レジャー椅子の手摺構造
KR200337579Y1 (ko) 핸즈프리 우산
KR200300988Y1 (ko) 보조막을 갖는 우산
JP2003235622A (ja)
CN109198782A (zh) 鞋罩
KR200260779Y1 (ko) 휴대용 간이 우산
JP3117760U (ja) 発汗促進フード
KR200207123Y1 (ko) 공기주입식 우산
KR20050102891A (ko) 배낭용 차양막
KR920002611Y1 (ko) 어깨걸이가 부착된 우산
KR200276580Y1 (ko) 커플 우산
KR101774881B1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9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9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4

Patent event code: UT06012S01D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1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