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5829Y1 -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829Y1
KR200295829Y1 KR2020020024796U KR20020024796U KR200295829Y1 KR 200295829 Y1 KR200295829 Y1 KR 200295829Y1 KR 2020020024796 U KR2020020024796 U KR 2020020024796U KR 20020024796 U KR20020024796 U KR 20020024796U KR 200295829 Y1 KR200295829 Y1 KR 200295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oor
shock absorber
door open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이광일
Original Assignee
김종훈
이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이광일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2020020024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82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챔버본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도어 또는 상기 챔버본체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제1파이프와; 일단이 챔버본체와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제1파이프 내에 왕복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파이프와; 제1파이프 내에 설치되어 제2파이프의 움직임에 의해 연동하여 구동하는 쇽업쇼바유닛과; 제2파이프 내에 설치되며, 일단은 제2파이프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파이프에 대해 위치고정되어 제1 및 제2파이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압축 인장되는 스프링유닛;을 포함하여, 도어의 폐쇄시 쇽업쇼바유닛은 압축구동되고 스프링유닛은 인장구동된 상태로 유지되어 적은 힘으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본 고안은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중량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 LCD 와 같은 장치를 제조시, 제조 공정상의 정밀성, 안정성 및 특수처리 등을 위해 진공챔버 내에서의 제조 공정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진공챔버는 그 용량이 매우 크다. 그리고, 그 챔버의 개폐도어는 진공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매우 무거운 중량 예를 들어, 약 200∼300㎏ 이상의 중량으로 제작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중량의 도어를 계폐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체인블록이나 모터체인방식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구동장치들은 수동이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중량에 견디지 못하고 체인이 끊어지는 등의 안전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동장치들은 진공챔버 내부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챔버내부를 클린 상태로 유지시키기 힘들고, 챔버내부의 일정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작은 힘으로도 중량의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챔버본체 20..도어
30,40..제1 및 제2파이프 50..쇽업쇼바유닛
51..가이드바 53..가스 쇽업쇼바
60..스프링유닛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챔버본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챔버본체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제1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챔버본체와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제1파이프 내에 왕복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파이프의 움직임에 의해 연동하여 구동하는 쇽업쇼바유닛과; 상기 제2파이프 내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제2파이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파이프에 대해 위치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압축 인장되는 스프링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쇽업쇼바유닛는 압축구동되고 상기 스프링유닛은 팽창구동된 상태로 유지되어 적은 힘으로 상기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쇽업쇼바유닛은, 상기 제1파이프 내에 고정되며 복수의 가이드바를 가지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스쇽업쇼바; 및 이단은 상기 가스쇽업쇼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상기 제2파이프의 왕복이동시 상기 가스쇽업쇼바가 함께 왕복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마련되며, 상기 가스쇽업쇼바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프링유닛은, 일단은 상기 제2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쇽업쇼바유닛의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프링유닛은, 상기 메인코일스프링의 내부에 이중으로 연결되는보조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챔버본체(10)에 대해 힌지결합되는 도어(20)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어 개폐장치는, 일단이 챔버본체(10)에 힌지결합되는 제1파이프(30)와, 상기 제1파이프(30)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도어(10)에 힌지결합되는 제2파이프(40)와, 상기 제1파이프(30) 내에 설치되는 쇽업쇼바유닛(50) 및 상기 제2파이프(40)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유닛(60)을 구비한다.
상기 제1파이프(30)는 중공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챔버본체(1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브라켓(31)이 고정된다.
상기 제2파이프(40)는 상기 제1파이프(3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제2파이프(40)는 제1파이프(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그리고, 제2파이프(40)는 중공형상으로 일단에는 상기 도어(2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브라켓(41)이 고정된다.
상기 쇽업쇼바유닛(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30) 내에 고정되며 복수의 가이드바(51)를 가지는 고정브라켓(53)과, 상기 가이드바(51)를 따라 안내되어 왕복이동되는 가스 쇽업쇼바(55) 및 상기 가스 쇽업쇼바(55)와 상기 제2파이프(40)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54)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바(51) 각각의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51)에 고정된다.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53)의 타단에는 고정브라켓(53)이 체결된다.
상기 가스 쇽업쇼바(55)는 일단에 상기 가이드바(51)를 따라 왕복이동을 안내받는 가이드플레이트(55a)가 연결된다. 또한, 가스 쇽업쇼바(55)의 타단은 상기 고정브라켓(53)에 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55b)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스 쇽업쇼바(55)는 가이드바(51)에 안내되면서 왕복구동된다.
상기 연결브라켓(54)은 일단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5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파이프(40)의 타단에 고정되는 체결부재(43)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스 쇽업쇼바(55)의 왕복구동시, 상기 제2파이프(40)는 상기 연결브라켓(54)과 함께 제1파이프(30) 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유닛(60)은 메인코일스프링(61)과 보조 스프링(63)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코일스프링(61)은 일단이 상기 힌지브라켓(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브라켓(53)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코일스프링(61)의 연결을 위해, 힌지브라켓(41)에는 스프링홀더(41a)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53) 측에는 볼트(56) 및 지지부재(57)에 의해 고정브라켓(53)에 고정되는 스프링홀더(58)가 마련된다.
상기 보조 스프링(63)은 메인 코일스프링(61)의 내부에 개재되게 병렬로 설치된다. 이 보조스프링(63) 양단은 상기 스프링홀더(41a)(58)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쇽업쇼바유닛(50)과 스프링유닛(60)이 직렬형태로 연결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쇽업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53)을 기준으로 하여 가스쇽업쇼바(51)가 작동하고,스프링유닛(60)의 압축 및 인장에 따른 힘전달의 작용점이 상기 고정브라켓(53)을 통해 제1파이프(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약 200∼300㎏ 이상의 중량으로 제작되더라도, 그 큰 중량을 스프링과 쇽업쇼바를 이용한 이중구조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 개폐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메인 코일스프링(61)과 보조스프링(63)이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고, 가스 쇽업쇼바(50)는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파이프(30)는 제2파이프(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20)를 작업자가 A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스프링유닛(60)의 탄성복원력과 상기 가스 쇽업쇼바(50)의 인장력에 의해 제1파이프(30) 내부로 제2파이프(40)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어(20)가 자연스럽게 작은 힘으로도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유닛(60)은 한 쌍의 스프링을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스프링이 끊어지더라도 하나의 스프링으로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가스 쇽업쇼바(50)의 경우에도 복수 즉, 3∼4개를 나란하게 배열하여 마련함으로써, 한/두개가 파손되더라도 전체적인 시스템에는 이상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에 따르면, 이중 스프링과 복수의 가스쇽업쇼바를 조합하여, 스프링의 장점인 파워와 약점인 완충문제를가스 쇽업쇼바를 통해 보완함으로써, 중량의 도어를 작은 힘으로도 간단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챔버본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챔버본체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제1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챔버본체와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제1파이프 내에 왕복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파이프의 움직임에 의해 연동하여 구동하는 쇽업쇼바유닛과;
    상기 제2파이프 내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제2파이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파이프에 대해 위치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압축 인장되는 스프링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쇽업쇼바유닛는 압축구동되고 상기 스프링유닛은 인장구동된 상태로 유지되어 적은 힘으로 상기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쇼바유닛은,
    상기 제1파이프 내에 고정되며 복수의 가이드바를 가지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스쇽업쇼바; 및
    이단은 상기 가스쇽업쇼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상기 제2파이프의 왕복이동시 상기 가스쇽업쇼바가 함께 왕복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마련되며,
    상기 가스쇽업쇼바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유닛은,
    일단은 상기 제2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쇽업쇼바유닛의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유닛은,
    상기 메인코일스프링의 내부에 이중으로 연결되는 보조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KR2020020024796U 2002-08-20 2002-08-20 도어 개폐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295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796U KR200295829Y1 (ko) 2002-08-20 2002-08-20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796U KR200295829Y1 (ko) 2002-08-20 2002-08-20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829Y1 true KR200295829Y1 (ko) 2002-11-29

Family

ID=7307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796U Expired - Lifetime KR200295829Y1 (ko) 2002-08-20 2002-08-20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8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90B1 (ko) * 2012-10-29 2014-07-08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Oled 증착 장비의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90B1 (ko) * 2012-10-29 2014-07-08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Oled 증착 장비의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7137A1 (en) Compression spring rod
US8292274B2 (en) Dampened compression spring rod
CA2226725C (en) Door hinge fix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CN1333149C (zh) 十字活节铰链
AU2003214821A1 (en) Dampened Compression Spring Rod
CN105358462A (zh) 用于电梯设备的制动装置
KR200295829Y1 (ko) 도어 개폐장치
CN102278419A (zh) 具有复位单元的管线导引装置和具有这种管线导引装置的机械手
ZA200103233B (en) Line spacer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CN112869962A (zh) 一种稳定性好的担架
CN107690501B (zh) 液压冲击装置
KR200489153Y1 (ko)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KR200397649Y1 (ko) 문짝용 완충기구
CN218398175U (zh) 夹持治具
CN215923008U (zh) 一种化学材料安全储存装置
CN204826991U (zh) 一种电动、气动、手动一体式开窗机
CN105003151B (zh) 一种电动、气动、手动一体式开窗机
JPH05332902A (ja) 材料試験機
US20050173850A1 (en) Linear electric motor assisted gas spring
CN102849120A (zh) 工程机械及其覆盖件支撑装置
KR200449202Y1 (ko) 에어 햄머용 단조 작업 장치
JP7450787B1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AU2002256127B2 (en) Compression spring rod
CN213954064U (zh) 一种应用于气缸或油缸的锁轴装置
CN212122576U (zh) 一种数控机床用的防护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21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101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