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5621Y1 - 소형 운반차 - Google Patents

소형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621Y1
KR200295621Y1 KR2020020025530U KR20020025530U KR200295621Y1 KR 200295621 Y1 KR200295621 Y1 KR 200295621Y1 KR 2020020025530 U KR2020020025530 U KR 2020020025530U KR 20020025530 U KR20020025530 U KR 20020025530U KR 200295621 Y1 KR200295621 Y1 KR 200295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gear
base frame
gear device
wheel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규
Original Assignee
한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규 filed Critical 한상규
Priority to KR2020020025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6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621Y1/ko

Links

Landscapes

  • Retarder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좌우 방향전환이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체의 고장도 없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장되도록 한 소형 운반차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2)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바퀴(3)와 보조바퀴(4)가 마련되고, 상측으로는 핸들(6)이 설치된 서포터(5)가 세워진 소형 운반차(1)에 있어서, 한 쌍의 바퀴(3)는 각각 별도의 구동축(7)(7')상에 결합되며, 각 구동축(7)(7')은 베이스프레임(2) 하측으로 베어링(8) 지지되는 하우징(16) 내측으로 4개의 베벨기어(14)(15)를 조합 구성한 차동기어장치(9)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차동기어장치(9) 외주에는 래치트(ratchet)기구 또는 일방향 베어링(11)이 내장되어 있는 스프로킷(10)을 결합하고, 스프로킷(10)은 베이스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12)와 체인(13)으로 연결하여 운반차(1)의 진행방향 측으로만 차동기어장치(9)를 구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좌우 방향전환이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체의 고장도 없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장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운반차{Small―sized cart}
본 고안은 소형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좌우 방향전환이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체의 고장도 없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장되도록 한 소형 운반차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는 소형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소형 운반차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소형 운반차의 경우 베이스프레임 하측으로 한 쌍의 바퀴를 부설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의 경우 많은 양의 물건을 싣고 이동코자 할 시에 운반차를 밀고 이동하기가 어려웠다.
근자에는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한 소형 운반차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모터 구동식 운반차의 경우 베이스프레임 양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바퀴가 고정된 구동축과 모터간에 체인이나 풀리 등과 같은 구동수단으로 연결하여 구동축을 단순히 회전하도록 구성하였는바,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양측 바퀴가 동축상에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운반차의 방향전환 시 양측 바퀴의 회전비가 맞지 않아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동력전달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모터 구동식 소형 운반차를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바퀴를 별도의 축상에서 일괄 구동될 수 있게 하여 방향 전환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 동력이 전달될 시에만 바퀴에 동력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체의 고장이 없고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장되도록 한 소형 운반차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소형 운반차 2:베이스프레임
3:바퀴 4:보조바퀴
5:서포터 6:핸들
7,7':구동축 8:베어링
9:차동기어창치 10:스프로킷
11:래치트(ratchet)기구 또는 일방향 베어링
12:기어드 모터 13:체인
14,15:베벨기어 16:하우징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2)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바퀴(3)와 보조바퀴(4)가 마련되고, 상측으로는 핸들(6)이 설치된 서포터(5)가 세워진 소형 운반차(1)를 적극적으로 개량 고안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2) 전후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한 쌍의 바퀴(3)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조바퀴(4)를 마련하되, 상기 한 쌍의 바퀴(3)는 각각 별도의 구동축(7)(7')상에 결합되며, 각 구동축(7)(7')은 베이스프레임(2) 하측으로 베어링(8) 지지되는 차동기어장치(9)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차동기어장치(9) 외주에는 래치트(ratchet)기구 또는 일방향 베어링(11)이 내장되어 있는 스프로킷(10)을 결합하고, 베이스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12)와 체인(13)으로 연결하여 운반차(1)의 진행방향 측으로만 차동기어장치(9)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동기어장치(9)는 4개의 베벨기어(14)(15)로 조합되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베벨기어(14)는 각각의 구동축(7)(7')에 결합되고, 나머지 2개의 베벨기어(15)는 하우징(16)에 축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3)측에 핸들(6)이 설치된 서포터(5)를 세웠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바퀴(4)측에 핸들(6)이 설치된 서포터(5)를 세워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배터리를 도시한 것이고, 18과 19는 핸들(6)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레버와 브레이크레버를 도시한 것이며 20은 브레이크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소형 운반차(1)는 골프장의 골프백 운반용, 각종 산업현장에서의 소형 화물 운반용 등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사용례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먼저 물품 등을 베이스프레임(2)에 싣고 이동코자 할 시에 핸들(6)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레버(18)를 조작하여 기어드 모터(12)에 전원을 인가하면 기어드 모터(12)의 구동력이 체인(13)을 통하여 차동기어장치(9)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로킷(10)에 전달되므로 래치트기구 또는 일방향 베어링(11)이 내장되어 있는 스프로킷(10)의 회전력에 의해 차동기어장치(9)가 회전되므로 차동기어장치(9)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축(7)(7')이 회전하면서 한 쌍의 바퀴(3)를 회전시켜 운반차(1)를 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운반차(1)를 운전하는 중도에 운전자가 방향을 선회코자 우측 또는 좌측으로 핸들(6)을 밀게되면 차동기어장치(9)는 스프로킷(10)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하우징(16)에 축 결합되어 있는 베벨기어(15)는 공전과 자전(自轉)을 하면서 바깥쪽에 있는 베벨기어(14)를 빠르게, 안쪽에 있는 베벨기어(14)는 느리게(혹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양측 바퀴(3)의 미끄러짐 없이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방향 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핸들(6)에 마련되는 조작레버(18)를 OFF 시켜 기어드 모터(1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소형 운반차(1)를 이동할 시에는 차동기어장치(9) 외주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로킷(10)에 내장되어 있는 래치트기구 또는 일방향 베어링(11)에 의해 정지된 상태로 구동축(7)(7')과 결합 구성되는 차동기어장치(9)만 회전되므로 기어드 모터(12)의 부하 없이 운전이 이루어 질 수 있어 별도의 클러치장치 등이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소형 운반차(1)는 베이스프레임(2) 하측으로 기어드 모터(12)에 체인(13) 연결되고 래치트기구 또는 일방향 베어링(11)이 내장되어 있는 스프로킷(10)이 결합된 차동기어장치(9)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차동기어장치(9)에는 한 쌍의 바퀴(3)가 각각 결합된 별도의 구동축(7)(7')을 결합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차동기어장치(9)에 의해 방향 전환 시 바퀴(3)의 미끄러짐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가 제공되는 실용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베이스프레임(2)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바퀴(3)와 보조바퀴(4)가 마련되고, 상측으로는 핸들(6)이 설치된 서포터(5)가 세워진 소형 운반차(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퀴(3)는 각각 별도의 구동축(7)(7')상에 결합되며, 각 구동축(7)(7')은 베이스프레임(2) 하측으로 베어링(8) 지지되는 하우징(16) 내측으로 4개의 베벨기어(14)(15)를 조합 구성한 차동기어장치(9)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차동기어장치(9) 외주에는 래치트(ratchet)기구 또는 일방향 베어링(11)이 내장되어 있는 스프로킷(10)을 결합하고,
    상기 스프로킷(10)은 베이스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12)와 체인(13)으로 연결하여 운반차(1)의 진행방향 측으로만 차동기어장치(9)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운반차.
KR2020020025530U 2002-08-27 2002-08-27 소형 운반차 KR200295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530U KR200295621Y1 (ko) 2002-08-27 2002-08-27 소형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530U KR200295621Y1 (ko) 2002-08-27 2002-08-27 소형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621Y1 true KR200295621Y1 (ko) 2002-11-18

Family

ID=7312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530U KR200295621Y1 (ko) 2002-08-27 2002-08-27 소형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6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28B1 (ko) * 2008-12-04 2011-01-19 주식회사 미래인도 전동식 운반차
KR101042918B1 (ko) 2009-09-09 2011-06-20 권성필 이륜형 자동 균형 전기자동차
CN109941384A (zh) * 2019-04-04 2019-06-28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安全型电动婴儿车及其三轮车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28B1 (ko) * 2008-12-04 2011-01-19 주식회사 미래인도 전동식 운반차
KR101042918B1 (ko) 2009-09-09 2011-06-20 권성필 이륜형 자동 균형 전기자동차
CN109941384A (zh) * 2019-04-04 2019-06-28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安全型电动婴儿车及其三轮车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8824B (zh) 无级变速器、离合器系统、车辆以及用于控制变速器的方法
ATE389835T1 (de) Übertragungssystem
EP1719656A4 (en) MOTOR DRIVEN WHEEL DRIVE DEVICE
HK1087454A1 (en) Automobile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of regulating torque transmission
EP1889743A3 (de) Getriebe
CN202040292U (zh) 共构式双向输入单向输出轮系结构
DE602006012311D1 (de) Getriebe mit planetenrädern
TW201900450A (zh) 一種傳動機構及其應用之單向組件
WO2009054325A1 (ja) 伝達比可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操舵装置
ATE325723T1 (de) Rad mit endvorrichtung
KR200295621Y1 (ko) 소형 운반차
GB0621238D0 (en) Axie assembly and vehicle
DE60116571D1 (de) Zwillingsräder mit Differential
CN110382341A (zh) 多级变速自行车
KR200280614Y1 (ko) 골프백 운반차
KR100582701B1 (ko) 지게차용 전동드라이브 액슬장치
KR101793789B1 (ko) 다단 변속 자전거
CN220286343U (zh) 一种动力传输装置
JP2004149098A (ja) 自転車用電動式車輪駆動装置
JP2007001444A5 (ko)
JP2002156024A (ja) 模型自動車のトラクションデフ
JP2004316880A (ja) 2軸出力無段変速機
WO2006016196A3 (en) Clutch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brake and operating by the differential principle
JP4234763B1 (ja) 自走動力式搬送ローラ装置
KR950001719B1 (ko)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2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