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602Y1 - The apparatus for alternating voice for a headset - Google Patents
The apparatus for alternating voice for a heads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5602Y1 KR200295602Y1 KR2020020025040U KR20020025040U KR200295602Y1 KR 200295602 Y1 KR200295602 Y1 KR 200295602Y1 KR 2020020025040 U KR2020020025040 U KR 2020020025040U KR 20020025040 U KR20020025040 U KR 20020025040U KR 200295602 Y1 KR200295602 Y1 KR 2002956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 modulated
- modulation module
- headset
- modu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셋에 부착하여 발성시 음성을 변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조된 음성을 송화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는 마이크에 연결되어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변조하기 위한 음성변조모듈, 음성변조모듈에 연결되어 음성변조모듈의 음성변조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모드선택 스위치, 음성변조모듈에 연결되어 음성변조모듈로부터의 변조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단자를 구비한 ON/OFF형 자가확인용 스위치, 그리고 음성변조모듈에 연결되어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을 통하여, 다양한 모드로 변조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조된 음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음성변조장치를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and attaches to a headset, and not only to modulate the voice during speech, but also to a device that allows the talker to directly check the modulated voice. To this end, the voice modulation device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icrophone for a voice modulation module for modulating the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connected to the voice modulation module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voice modulation type of the voice modulation module On / off self-confirmed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for transmitting modulated voice from the voice modul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voice modulation module,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driving power connected to the voice modul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output the modulated voice in various modes, but also to check the modulated voice and to use the voice modulator detachably.
Description
본 고안은 헤드셋용 음성 변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핸즈 프리 등의 헤드셋에 부착하여 발성시 음성을 변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조된 음성을 송화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헤드셋용 음성 변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that can be attached to a headset such as a hands-free headset to modulate the voice during speech and to directly check the modulated voice by the caller. It is about.
음성 변조 기술은 사람의 음성 중 원본이 되는 음성의 파형을 변형시킴으로써 다른 소리로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하며, 개인의 사생활 보호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날로 발전하고 있는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통신 기술이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음성 변조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음성 변조 기술은 자신의 음성을 특정 연예인 등의 음성으로 변조하거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성을 변조하는 곳에 사용되고 있다.Voice modulation technology is to create a different sound by modifying the waveform of the original voice of the human voice, and is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personal privacy protection. In particular, in the modern society,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are being developed day by day, and various voice modulation technologies are appearing according to the demand of many people. Such voice modulation technology is used to modulate one's own voice into a voice of a specific entertainer or the like to modulate the voice to prevent invasion of privacy.
사람들이 내는 음성은 음원과 성도(vocal track)의 전달 특성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데, 음원은 피치, 에너지 및 음색과 관련되며, 성도의 전달 특성은 음가 및 음색과 관련된다. 음성이 사람마다 다른 이유는 이러한 음원과 성도의 전달 특성이 개인마다 차이를 가지기 때문이며, 이는 사람마다 독특한 주파수를 가지는 것에 귀결된다. 음성 변조는 이러한 주파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People's voice is produced by the interaction of the sound source with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vocal track, which is related to the pitch, energy and tone, and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vocalization is related to the tone and tone. The reason why the voice is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is that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and the saints are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which results in each person having a unique frequency. Voice modulation is accomplished by converting these frequencies into digital signals.
사람의 음성은 각기 독특한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주파수는 아날로그 신호라고 할 수 있는 여러가지 파형이 복합적으로 혼합되어 표현된다. 음성 변조 기술은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의 파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음성 변조 기술에서는 사람의 음성 신호를 일정한 형식의 디지털 데이터로 부호화함으로써 사람의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의 변환 방법의 하나로 컴퓨터 파일화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는 데, 이를 아래에 설명한다.Each human voice has a unique frequency, which is a complex mixture of waveforms, analog signals. Voice modulat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onverts the waveform of such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n voice modulation technology, a human voice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encoding a human voice signal into digital data of a predetermined format. As a method of converting a digital signal, a computer filing method is widely used,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사람 각각의 음성을 컴퓨터 파일로 만들어 비교하면 파형의 일정한 형식, 즉 음성 패턴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허스키한 음성을 내는 사람의 음성, 고음의 음성을 내는 사람의 음성, 혀가 짧은 사람의 음성 등 사람 개개의 음성 특성 중에서 공통으로 인지할 수 있는 파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통되는 파형을 추출하여 표본화한 후, 이 파형을 인위적인 디지털 데이터로 만들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예를 들면, 여자 음성을 남자 음성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여자 음성의 파형을 남자 음성으로 들릴 수 있는 파형으로 재조립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음성의 높낮이인 피치와 음성의 속도 변화도 이와 같은 음성 변조에 영향을 끼친다.Comparing each person's voice to a computer file can find a uniform format of the waveform, or voice pattern. For example, there are waveforms that can be recognized in common among individual voice characteristics such as a voice of a husky voice, a voice of a high voice, and a voice of a short tongue. After extracting and sampling these common waveforms, we develop an algorithm that can turn them into artificial digital data. For example, in order to make a female voice into a male voice, it is achieved by developing an algorithm for reassembling the waveform of the female voice into a waveform that can be heard by the male voice. The pitch of the voice and the change in the speed of the voice also affect the voice modulation.
이러한 음성 변조 기술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첫째로는 대역필터군(equalizer)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직접 음성신호의 특정주파수 대역 에너지를 증감시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원하는 음색으로 변환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로는 음원과 관련된 요소, 예를 들면 피치, 무성화 정도, 에너지 등을 추정하여 그 값을 변경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 원래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여 다른 음성에 적용시키면 원래의 음성으로 변환되는것 같은 효과가 있다. 셋째로는 음원과 성도 전달특성을 모두 추정하여 이를 대상 음색의 음원과 성도 전달특성으로 매핑(mapping)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변환 성공률이 가장 높은 방법이지만 음색을 정확하게 변환하기 어려우므로 연구가 아직 진행 중에 있다.Such voice modulation technology exists in various form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method using a band filter group, which directly increases or decreases a specific frequency band energy of a voice signal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vert to a desired tone. Second, there is a method of changing the value by estimat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sound source, for example, the pitch, the degree of silence, the energy, etc. In this case, if the feature of the original voice is extracted and applied to another voice, it is converted into the original voice. Same effect. Third, there is a method of estimating both the sound source and the voc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mapping them to the sound source and the voc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tone. This is the method with the highest conversion success rate, but research is still underway as it is difficult to convert the timbre accurately.
이러한 음성 변조 장치 중의 하나로 한국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208111호는 음성변환기능이 내장된 마이크 겸용 이어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여기서의 마이크 겸용 이어폰은 마이크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송화자의 음성을 남성 및 여성 음성으로 각각 변조하기 위한 음성 변조부, 음성변조된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이어폰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핸드폰의 송신회로로 출력하는 증폭기 및 마이크에 의해 입력되어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남성음성 또는 여성음성으로 변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s one of such voice modulation device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08111 describes a microphone-type earphone with a voice conversion function. In this case, the microphone combined earphone includ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ic signal converted by the microphone, a voice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voice of the talker amplified by the amplifier into a male and female voice, and a voice modulated signal and a received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witch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o the earphone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put by the amplifier and microphone output to the transmission circuit of the mobile phone to convert the signal amplified in the amplifier to male or female voice.
그러나 이러한 음성변환기능이 내장된 마이크 겸용 이어폰의 경우, 마이크에 음성변조기능을 포함시켜야 하므로 구조상의 문제로 인하여 음성 변조 방식을 단순화할 수 밖에 없고, 변조된 음성을 통화하면서 들을 수 있을 뿐이며 음성이 어떻게 변조되어 들리는지 사전에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조된 음성을 통화하면서 계속적으로 듣게 되고, 청취를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주의가 산만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microphone earphone with a built-in voice conversion function, the voice modulation function must be included in the microphone, and thus, due to a structural problem, the voice modulation method can be simplified, and only the modulated voice can be heard while talk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confirmed beforehand how it is modulated. In addition, the modulated voice is continuously heard while talk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ttention is distracted and the concentration falls because there is no means for blocking the listening.
또한 일반 방송에서는 복잡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휴대하기에 불편하고 독립적으로이루어진 음성 변조장치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리고 음성 변조의 구현을 위하여 미리 음성을 녹음한 다음 재생 속도를 달리하여 음성 변조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음성 변조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broadcasting, a voice is modulated using a complex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method, bu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is not composed of an independent voice modulation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modulating voice by recording a voice in advance and then reproducing the voice at different playback speeds in order to implement voice modulation.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음성변환기능이 내장된 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성 변조 모드가 다양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휴대하기에 편리하며 헤드셋에 탈착가능한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evice with a built-in voice conversion function, to provide a voice modulation device for a headset that has a variety of voice modulation mode, simple structure, convenient to carry and detachable to the headset do.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내에 음성 자가 확인 수단을 구비하여 변조된 자신의 음성을 사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중에 변조된 자신의 음성을 선택하여 직접 들을 수 있는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in which a voice self-verification means is provided in the headset voice modulator for not only confirming the modulated voice in advance but also directly selecting a modulated voice during a call. To provide.
도 1은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 변조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voice modulation device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 변조 장치의 음성변조모듈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oice modulation module of the voice modulation device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 변조 장치에서의 변조모드선택 스위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in the voice modulation device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 변조 장치를 휴대용 전화기 및 핸즈프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the voice modulation device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portable telephone and a handsfree.
도 5는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 변조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oice modulation device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이어폰 2. 마이크1. Earphone 2. Microphone
3. 음성변조장치 4. 음성입출력매체3. Voice Modulator 4. Voice I / O Media
31. 음성변조모듈 32. 변조모드선택 스위치31. Voice modulation module 32.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33. 자가확인용 스위치 34.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33. Self-check switch 34. Earphone drive amplifier
본 고안은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는 마이크에 연결되어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변조하기 위한 음성변조모듈, 음성변조모듈에 연결되어 음성변조모듈의 음성변조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모드선택 스위치, 음성변조모듈에 연결되어 음성변조모듈로부터의 변조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단자를 구비한 ON/OFF형 자가확인용 스위치, 그리고 음성변조모듈에 연결되어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wherein the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icrophone to modulate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and is connected to a voice modulator module, and is connected to a voice modulator.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type, connected to the voice modulation module, ON / OFF type self-checking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voice from the voice modulation module, and connected to the voice modulation module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또한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에서 음성변조모듈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입력신호증폭기, 입력신호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펄스에 따라 분석하여 디지털 신호화하는 A/D 변환기, A/D 변환기에 제공하기 위하여 기준 시간으로 사용할 펄스를 만들어내는 기준 함수 발생기, 기준 함수 발생기에서 제공한 펄스에 따라 샘플링 레이트를 A/D 변환기에 제공하는 기준시간함수 발생기, 디지털화 신호를 임시 기억하는 SRAM, SRAM에서 임시 기억되어 변조된 디지털 신호를 받아서 일시 유지하는 래치, 변조 모드에 따라 SRAM과 래치를 제어하여 임시 기억된 디지털 신호를 변조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변조된 래치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modulator module is an input signal amplifier for amplifying a voice analog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and an A / D for digitally analyzing the amplified voice analog signal from an input signal amplifier according to a pulse. A reference function generator that generates a pulse to be used as a reference time for the converter, an A / D converter, a reference time function generator that provides a sampling rate to the A / D converter according to the pulses provided by the reference function generator, and a digitized signal SRAM to store, a latch to receive and temporarily hold a modulated digital signal stored in the SRAM, a controller to control the SRAM and the latch to modulate the temporarily stored digital signal according to a modulation mode, and a digital signal from the modulated latch. It includes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into an analog signal The.
또한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에서는, 자가확인용 스위치가 ON인 경우, 자가확인용 스위치의 제1 출력단자를 통하여 음성변조모듈로부터 변조된 음성을 수신하여 증폭한 다음, 이어폰으로 송신하는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eadset voice mod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lf-check switch is ON, the earphone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the modulated voice from the voice modulation module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self-check switch and then transmitting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ving amplifier.
반대로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에서 자가확인용 스위치가 OFF인 경우에는, 음성변조모듈로부터 변조된 음성을 자가확인용 스위치의 제2 출력단자를 통하여 음성입출력매체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lf-check switch is OFF in the headset voice mod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modulated by the voice modulator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 output medium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self-check switch.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용 음성 변조 장치는 마이크에 연결되어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변조하기 위한 음성변조모듈, 음성변조모듈에 연결되어 음성변조모듈의 음성변조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변조모드선택 스위치, 음성변조모듈로부터 변조된 음성을 수신하여 증폭하는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에 연결되어 선택에 따라 증폭된 변조 음성을 이어폰에 송신하기 위한 자가확인용 스위치, 그리고 음성변조모듈 및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에 연결되어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icrophone for modulating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and a voice modulator for selecting a voice modulator of the voice modulator.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earphone driving amplifier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the modulated voice from the voice modulation module, self-checking switch for transmitting amplified modulation voice to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earphone driving amplifier, and voice modulation It is connected to the module and the amplifier for driving th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driving power.
이하에서는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3)는 크게 음성변조모듈(31), 변조모드 선택스위치(32), 자가확인용 스위치(33),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34) 및 전원(3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3)는 이어폰(1), 마이크(2) 및 음성입출력매체(4)와 연결되어 음성을 변조하는데 사용된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headset voice modulator 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voice modulation module 31, a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32, a self-check switch 33, and an earphone driving amplifier 34. And a power source 35. The voice modulator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1, the microphone 2, and the voice input / output medium 4 and used to modulate the voice.
이어폰(1) 및 마이크(2)는 그 형태에 따라 헤드셋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음성입출력매체(4)로는 휴대용 전화기를 예로 들 수 있다.The earphone 1 and the microphone 2 may be configured not only as a headset but also as hands free, depending on the form thereof. The voice input / output medium 4 may be a portable telephon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송화자가 마이크(2)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면 음성변조모듈(31)을 통하여 음성이 변조된다. 음성변조모듈(31)은 변조모드 선택스위치(32)에 의하여 음성을 여러 단계로 변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조모드 선택없이 바로 송화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talker inputs a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2, the voice is modulated by the voice modulator 31.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can not only modulate the voice in various stages by the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32, but also directly transmit the voice of the talker without selecting the modulation mode.
음성변조모듈(31)로부터 변조된 음성은 자가확인용 스위치(33)를 이용하여 송화자 자신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가확인용 스위치(33)는 ON/OFF 형으로서 복수의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출력단자를 통하여 송화자의 변조된 음성을 다시 이어폰으로 돌려보내 확인하거나 바로음성입출력매체(4)로 전달하여 내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가 확인용 스위치(33)는 푸쉬 버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The voice modulated by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can be directly confirmed by the talker by using the switch 33 for self-check. As shown in Fig. 1, the self-check switch 33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s ON / OFF type, and the modulated voice of the talker is returned to the earphone for confirmation or immediately inputt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You can send it to (4) and export it. For example, the self-check switch 33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예를 들어 송화자가 자가확인용 스위치(33)을 누르는 경우, 스위치 접점이 ON 상태가 되어 상부의 제1 출력단자(36)가 선택되므로, 변조된 음성이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34)를 통하여 증폭된 다음, 이어폰(1)을 통하여 송화자에게 전달된다. 이 경우 변조된 음성은 음성입출력매체(4)로 전송되지 않으므로, 수화자는 변조된 음성을 들을 수 없다. 따라서 수화자와의 통화전에 미리 변조된 음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talker presses the self-check switch 33, since the switch contact is turned on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36 is selected, the modulated voice is amplified by the earphone driving amplifier 34. Then, it is delivered to the talker through the earphone (1). In this case, the modulated voice is not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 output medium 4, so that the called party cannot hear the modulated voic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firm the pre-modulated voice before the call with the receiver.
송화자가 음성변조장치(3)의 자가확인용 스위치(33)을 누르지 않는 경우, 스위치 접점은 OFF 상태가 되어 제2 출력단자(37)가 선택되므로 음성입출력매체(4)로 음성변조모듈(31)에 의하여 변조된 음성이 전송된다. 따라서 음성입출력매체(4)에 접속하고 있는 수화자는 송화자의 변조된 음성을 듣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음성변조모듈(31)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의 음성변조모듈(31)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If the talker does not press the self-check switch 33 of the voice modulator 3, the switch contact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37 is selected, so that the voice modulator 31 is connected to the voice input / output medium 4. The modulated voice is transmitted. Therefore, the receiver who is connected to the voice input / output medium 4 hears the modulator's modulated voice. Since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2는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에서 음성변조모듈(31)의 내부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음성변조모듈(31)의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나타낸다.2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in the voice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성변조모듈(31)은 입력신호증폭기(311),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312),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313), 기준함수 발생기(314), 기준시간함수 발생기(315),래치(latch)(316), 제어부(317) 및 D/A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318)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2,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signal amplifier 311,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312),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313, and a reference. A function generator 314, a reference time function generator 315, a latch 316, a controller 317,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318 are included.
먼저 마이크(2)로부터 음성변조모듈(31)의 입력신호증폭기(311)로 음성이 입력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음성은 아날로그 신호로서, 입력신호증폭기(311)에서 증폭된 후 A/D 변환기(31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A/D 변환기(312)에서는 기준시간함수 발생기(315)로부터의 클록수에 따라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First, voice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2 to the input signal amplifier 311 of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The voice input as described above is an analog signal and is amplified by the input signal amplifier 311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312. The A / D converter 312 converts the voic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ocks from the reference time function generator 315.
기준함수 발생기(314)는 기준 시간으로 사용할 펄스를 규칙적으로 만들어내는 역할을 담당하며, 기준시간함수발생기(315)는 A/D 변환기(312)와 제어부(317)에 들어가도록 샘플링 레이트(rate)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기준함수 발생기(314)의 소정수의 펄스마다 한번씩 기준시간함수발생기(315)가 펄스를 발생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한다.The reference function generator 314 plays a role of regularly generating a pulse to be used as a reference time, and the reference time function generator 315 enters the A / D converter 312 and the controller 317 so as to enter a sampling rate. Create Therefore, the reference time function generator 315 generates a pulse once for each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of the reference function generator 314, and analyzes the input voice signal based on the reference time generator 315.
이와 같이 기준함수 발생기(314)와 기준시간함수 발생기(315)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을, 변조모드의 선택에 따른 제어부(317)의 제어에 의하여 SRAM(313)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래치(316)에서 특정 시각의 디지털 신호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한 후, D/A 변환기(318)에서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화한 뒤 변조된 음성을 자가확인용 스위치(33)측으로 출력한다.In this way, the voice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using the reference function generator 314 and the reference time function generator 315 is stored in the SRAM 31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7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odulation mode. Next, the latch 316 temporarily maintains the digital signal state at a specific time, and then digitalizes the digital signal again by the D / A converter 318 and outputs the modulated voice to the self-check switch 33 side. do.
제어부(317)에 의한 음성 변조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317)는 변조 모드 선택 스위치(32)에서의 변조 모드에 따라 송화자가 원하는 음성 변조 모드를 입력받아 음성을 변조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에서는 음성변조모드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 신호의 박동 주기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원래의 음성 신호의 진폭으로 다시 재생함으로써 변조된 음성을 만들어낸다.The voice modulation process by the controller 31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317 controls the voice to modulate the voice by receiving the voice modulation mode desired by the talker according to the modulation mode of the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3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ted voice is generated by modulating the frequency of the beat cycle of the input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voice modulation mode and replaying the amplitude of the original voice signal.
일반적으로 음성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박동 주기와 음성 신호의 진폭, 그리고 단위 신호들의 상관 관계식 상수들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서 변조된 음성은 입력된 음성의 반복되는 박동 주기의 주파수를 더욱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여 변조함으로써, 입력된 주파수에 대하여 이러한 주파수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변조한 음성을 생성한다. 음성변조모드 설정으로 주파수를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낮은 음성으로 만들거나 높은 음성으로 변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변조 모드중에는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는 모드가 존재하므로, 입력된 음성이 변조되지 않고 원래의 음성 그대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송화자는 변조에 따른 시간 지연 효과를 거의 인식할 수 없다. 또한, 실시간으로 음성 변조가 가능하며, 주파수의 변조 정도에 따라 다양한 음색의 음성 변조가 가능하다.In general, speech is composed of regularly repeated beat cycles, amplitude of speech signal, and correlation constants of unit signa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ted voice modulates the frequency of repeated beat cycles of the input voice faster or slower, thereby modulating the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input frequency. The voice modulation mode can be set to make the frequency slower or faster so that the input voice signal can be made low or high voice.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mode that does not change the frequency among the voice modulation mode, the input voice may be output as it is without being modula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voice mod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der can hardly recognize the time delay effect due to the modulation. In addition, voice modulation is possible in real time, and voice modulation of various tones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modulation degree of frequency.
도 3은 본 고안의 음성 변조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외부에 2개의 변조모드 선택스위치(321, 322), 자가 확인용 스위치(33) 및 연결용 잭을 구비한 모습을 나타낸다.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voice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with two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es (321, 322), self-check switch 33 and the connection jack on the outsid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조모드 선택스위치는 2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부의 스위치는 ON/OFF 스위치(321)로서, OFF, A형, B형의 3가지 선택이 가능하며, 하부의 스위치는 모드선택 스위치(322)로서 1, 2, 3, 4의 4가지 선택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위치 모드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불과하며,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ure 3, the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upper switch is the ON / OFF switch 321, and three types of OFF, A, and B types can be selected, and the lower switch is the mode selection switch 322, and four selections of 1, 2, 3, and 4 are available. This is possible. This switch mode is mere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의 스위치 모드를 예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서는 각각 3, 4가지로 설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음성 변조에 있어서 다양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ON/OFF 스위치(321)에서 A형 및 B형은 모두 ON 상태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송화자의 음성이 변조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스위치를 OFF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음성변조 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송화자의 음성이 변조되지 않고 수화자에게 그대로 전달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by illustrating a switch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or four types of software can be used to enable various selections in voice modulation. In the ON / OFF switch 321, both A and B types are in an ON state. In this case, the voice of the talker is modula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When the switch is in the OFF state, the voice modulator does not operate, so the voice of the talker is transmitted to the talker without being modulated.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의 음성변조모듈에 이용된 메모리는 자체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위치 작동에 따라 다양한 변조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조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변조모드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 신호의 박동 주기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원래의 음성 신호의 진폭으로 다시 재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에서 예시한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에서는 ON/OFF 스위치(321)를 통하여 A, B형 2가지로 음성변조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모드선택 스위치(322)에서는 4가지의 음성변조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변조가능한 총 모드는 총 8(2×4) 가지가 될 수 있다.The memory used in the voice modulation module of the voice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ts own software, and various modulation modes may be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s described above, the modulation method is performed by modulating the frequency of the pulsation period of the input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voice modulation mode and replaying the amplitude of the original voice signal. In the voice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3, the voice modulation mode may be set in two types A and B through the ON / OFF switch 321, and the four voice modulation modes may be set in the mode selection switch 322. Since it can be selected, the total modulated mode can be 8 (2 × 4) branches in total.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에서의 변조모드 선택스위치에서 A, B형은 송화자의 음성을 각각 남성과 여성의 음성으로 변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조된 음성은 다시 하부의 4가지 유형의 모드선택 스위치(322)에 따라 변조된다. 4가지 유형의 모드선택 스위치(322)에는 톤을 달리하도록 변조 방식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의 수 및 변조 방식은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in the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in the voice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 and B types can modulate the voice of the talker into the male and female voices, respectively. The modulated voice is modulated again by the four types of mode selection switches 322 below. The four types of mode selection switch 322 can be configured with a modulation scheme to vary the tone. The number of modes and modulation schem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3)의 자가확인용 스위치(33)을 누른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화자의 음성을 수화자에게 전달하지 않고, 음성변조장치(3)내에 포함된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34)를 통하여 증폭시켜 이어폰(1)으로 전달하므로 송화자는 변조된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자가확인용 스위치(33)을 누르지 않은 경우에는 스위치 접점이 떨어져 변조된 음성이 바로 음성입출력매체(4)로 전달되어 통화중인 수화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송화자는 간단한 ON/OFF 방식으로 음성이 어떻게 변조되어 나갈 것인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lf-check switch 33 of the voice modulator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as shown in Fig. 1, the voice modulator 3 is not transmitted to the talker. The amplifier is amplified through the earphone driving amplifier 34 included therein and transferred to the earphone 1 so that the talker can hear the modulated voice. In addition, when the self-check switch 33 is not pressed, the switch contact is separated and the modulated voice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 output medium 4 and is delivered to the called party. Therefore, the talker can check in advance how the voice will be modulated by a simple ON / OFF method.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의 음성 변조 장치를 휴대용 제품에 응용한 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음성 변조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능하며, 다음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핸즈프리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서술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voice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ortable produ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mbodiments. The speech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can be used for hands-free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merely illustrat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를 핸즈프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3)의 상부에는 이어폰(1) 및 마이크(2)로 이루어진 핸즈프리를 연결하고, 하부에는 휴대용 전화기(41)를 연결함으로써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3)를 사용할 수 있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voice mod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ands-free device. As shown in Fig. 4, the voice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voice modulator 3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 handsfree consisting of the earphone 1 and the microphone 2, and connecting the portable telephone 41 to the lower part. The device 3 can be used.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41)와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3단자의 이어폰용 잭을 사용하는 데, 이러한 3단자는 기준 전압으로 삼을 수 있는 그라운드, 이어폰으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단자, 그리고 마이크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에 접속된 3개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헤드셋용 음성변조장치에서는 이러한 3개의 단자를 모두 이용하는 이어폰용 잭을 사용하므로,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라면 본 고안의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전혀 없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3)는 기존의 핸즈프리에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이 적은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connect with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41, a jack for earphones of three terminals is used, and these three terminals use a ground and earphone whi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voltage to generate a voice signal. It consists of an analog signal terminal for output, and three terminals connected to the analog signal for receiving the audio signal of the microphone. In the voice modulator for a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jack for earphone using all three terminals is used, there is no problem to use the mobile phone in combination wit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voice modulator 3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detachably in the existing hands-free,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and the structure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of less trouble.
도 5는 전술한 음성변조장치와는 그 내부 구조를 달리하는 음성변조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도면을 나타낸다. 도 5의 음성변조장치는 전술한 음성변조장치와는 달리, 송화자가 변조된 음성으로 수화자와 통화하는 중에 직접 변조된 음성을 들을 수 있게 해 준다. 다만 음성변조모듈은 전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FIG. 5 shows a schematic overall view of a voice modulator having a different internal structure from the voice modulator described above. Unlike the voice modulator described above, the voice modulator of FIG. 5 enables the caller to directly listen to the modulated voice while talking to the called party with the modulated voice. However, the voice modulation module uses the same one as described abov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변조장치는 음성변조모듈(31), 변조모드선택 스위치(32), 자가 확인용 스위치(33),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34) 그리고 전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서는 음성변조모듈(31)에 의하여 변조된 음성이 이어폰 구동용 증폭기(34)를 통하여 증폭된 다음에 자가확인용 스위치(33)를 ON 하는 경우, 증폭된 변조 음성이 이어폰(1)으로 송신되므로 송화자가 통화중에 자신의 변조된 음성을 직접 들을 수 있다. 또한 송화자가 자신의 변조된 음성을 듣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자가확인용 스위치(33)를 OFF 시키면 자신의 변조된 음성을 듣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처럼자가확인용 스위치(33)를 사용하여 송화자의 변조된 음성을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자가확인용 스위치(33)로서는 토글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the voice mod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modulator module 31, a modulation mode selection switch 32, a self-check switch 33, and an earphone driving amplifier 34. And it consists of a power source. In FIG. 5, when the voice modulated by the voice modulation module 31 is amplified through the earphone driving amplifier 34 and then the self-check switch 33 is turned on, the amplified modulated voice is transferred to the earphone 1. Because it is transmitted, the talker can hear his or her modulated voice directly during the call. In addition, when the talker does not want to hear his / her modulated voice, the self-confirmed switch 33 may be turned off to hear his / her modulated voic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verification switch 33 can be used to selectively listen to the modulator's modulated voice. As the self-verification switch 33, it is preferable to use a toggle switch.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모드로 변조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핸즈프리 등에 착탈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실시간으로 변조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고, 변조된 음성을 내보내기 전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화자에게 실례되는 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통화중에 자신의 변조된 음성을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voice modulated in various modes can be output through the voice mod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used detachably. In addition, the voice mod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miniaturized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can output the modulated voice in real time, and can be confirmed in advance through simple switch operation before exporting the modulated voice. You can prevent things from happening to you.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listen to its modulated voice during a call through a simple switch operation.
이러한 본 고안의 음성변조장치의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오락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변조를 통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장난 전화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using the function of the voice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be used for entertainment purposes, but also can protect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 through voice modul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lock the prank calls from the outside.
본 고안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below. will b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5040U KR200295602Y1 (en) | 2002-08-22 | 2002-08-22 | The apparatus for alternating voice for a head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5040U KR200295602Y1 (en) | 2002-08-22 | 2002-08-22 | The apparatus for alternating voice for a heads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5602Y1 true KR200295602Y1 (en) | 2002-11-18 |
Family
ID=7312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504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5602Y1 (en) | 2002-08-22 | 2002-08-22 | The apparatus for alternating voice for a heads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5602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1234B1 (en) * | 2002-10-16 | 2005-07-18 | 다인정보통신(주) | A earphone with voice modulation function |
KR100683279B1 (en) * | 2005-04-29 | 2007-02-15 | 김봉석 | Remote control with voice modulation |
-
2002
- 2002-08-22 KR KR2020020025040U patent/KR20029560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1234B1 (en) * | 2002-10-16 | 2005-07-18 | 다인정보통신(주) | A earphone with voice modulation function |
KR100683279B1 (en) * | 2005-04-29 | 2007-02-15 | 김봉석 | Remote control with voice modul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71363C (en) | Telephone with user recorded ringing signal | |
JP2002064626A (en) | Portable telephone | |
KR200295602Y1 (en) | The apparatus for alternating voice for a headset | |
US6298132B1 (en) | Ringing-tone control device for telephone set, using audio signal sent by caller | |
JPH10276250A (en) | Portable terminal equipment | |
KR100195435B1 (en) | Telephone waiting music selecting method and thereof | |
JPH0380746A (en) | Telephone holding tone generating device | |
KR200295427Y1 (en) | The independent portable apparatus for alternating voice | |
KR100413387B1 (en) | Headset for Modulated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200244401Y1 (en) | A voice modulator for ear-phone | |
KR200199522Y1 (en) | Listening Indication Generator of Communicator | |
JP2000332611A (en) |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 |
KR200218614Y1 (en) | Audio input/output apparatus | |
JP2000307684A (en) | Telephone set adapter device | |
JPS6135657A (en) | Key telephone set | |
KR20010091273A (en) |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play back function of background music | |
JPS6346848A (en) | Device for switching incoming voice | |
JP2003076400A (en) | Voice modul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head set for the same and communicate method for the same | |
JPH098875A (en) |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that can record ringing tone | |
JPH01272350A (en) |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thod | |
JPS6361537A (en) | Telephone set capable of outputting sound | |
KR20000006254U (en) | Calling device of portable telephone using portable recorder | |
JPH0237859A (en) | Telephone set | |
KR19990038260A (en) | Stereo telephone | |
KR20030061091A (en) | Device for generating key soun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22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21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2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2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1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