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5365Y1 -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 Google Patents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365Y1
KR200295365Y1 KR2020020023887U KR20020023887U KR200295365Y1 KR 200295365 Y1 KR200295365 Y1 KR 200295365Y1 KR 2020020023887 U KR2020020023887 U KR 2020020023887U KR 20020023887 U KR20020023887 U KR 20020023887U KR 200295365 Y1 KR200295365 Y1 KR 200295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unique number
reader
walle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노병덕
Original Assignee
(주) 세이프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이프텔 filed Critical (주) 세이프텔
Priority to KR2020020023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365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갑분실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RF리더기와 RF Tag를 이용하여 지갑분실시 경고음이 울리도록 하는 RF ID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전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코일안테나를 통하여 RF 전파를 발사하되 그 RF 캐리어에는 Power및 고유의 번호를 RF 변조하여 송신하며 RF 태그로부터 고유번호가 실린 RF Power를 수신하게 되면 이것을 복조하여 송신한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RF리더기를 장착한 혁대와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RF Power중 캐리어 부분은 정류하여 DC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RF 태그 내부의 회로를 구동하며 RF Power중 신호부분은 필터링하여 정보를 추출하여 내장된 프로그램번호와 일치하면 RF Power를 고유번호와 함께 RF 리더기로 송출하는 RF 태그를 부착한 지갑으로 구성하고 상기 RF리더기가 RF전파를 송신한 다음 일정시간 경과후 까지 상기 RF 태그로 부터 동일한 고유번호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혁대에는 비교적 장치가 큰 RF리더기를 설치하고 분실하기 쉬운 지갑에는 패시브타입의 RF태그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지갑 분실시 경고음을 발생하여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와 혁대에 RF리더기를 장착함으로써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지갑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지갑마다 상이한 고유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여러사람이 동일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고유번호의 RF태그를 분실하기 쉬운 여러장치에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RF리더기를 사용하여 여러장치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A warning device of the loss of wallet using RF ID}
본 고안은 지갑분실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RF Tag를 이용하여지갑분실시 경고음이 울리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 인구와 유동인구가 많아지면서 대인별 접촉회수도 많아지고 이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만원 버스를 이용하거나 출퇴근시의 러쉬아워시에 지하철을 이용하다보면 타인과의 신체의 접촉회수가 증가하면서 개인 소지품의 분실 사고도 빈번해지고 있다.
또한, 개인의 휴대 지갑에는 다양한 신용카드들과 여러 종류의 신분증등 사회활동에 꼭 필요한 물건들이 꽃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갑의 분실은 개인적으로는 여러 필수품들의 분실로 인한 경제활동의 불편은 고사하고 신고 및 재발급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고 사회적으로는 여러 범죄의 원인 제공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이러한 지갑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은밀한 곳에 지갑을 보관하거나 별도의 보관함을 들고 다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은밀한 곳에 보관하는 방법은 보관의 효과는 있으나 사용할 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관함의 경우는 보관함 자체를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갑분실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세하게는 RF Tag를 이용하여 지갑분실시 경고음이 울리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RF ID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는
소형전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코일안테나를 통하여 RF 전파를 송신하되 그 RF 캐리어에는 Power및 고유의 번호를 RF 변조하여 송신하며 RF 태그로부터 고유번호가 실린 RF Power를 수신하게 되면 이것을 복조하여 송신한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RF리더기를 장착한 혁대와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RF Power중 캐리어 부분은 정류하여 DC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RF 태그 내부의 회로를 구동하며 RF Power중 신호부분은 필터링하여 정보를 추출하여 내장된 프로그램번호와 일치하면 RF Power를 고유번호와 함께 RF 리더기로 송출하는 RF 태그를 부착한 지갑으로 구성하고 상기 RF리더기가 RF전파를 송신한 다음 일정시간 경과후 까지 상기 RF 태그로 부터 동일한 고유번호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RF리더기 11 : 안테나
20 : RF변복조부 30 : RF발진부
40 : 제어기 50 : 고유번호기억장치
60 : 경고음발생부 70 : 스피커
90 : 혁대 100 : RF태그장치
101 : 지갑 110 : 태그안테나
120 : RF정류회로 130 : 제어기
140 : 고유번호기억장치 150 : RF변복조
160 : 신호처리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통상적인 RF태그와 기지국간의 통신 일반과 그 기술전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통상의 RF Tag(태그)는 태그가 부착된 객체의 위치를 정지 상태 또는 이동상태에서 알아내고 식별하여, 그들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0년대 초 이후 알. 엠.리차드슨(R. M. Richardson)의 미국 특허 제 3,098,971 호에서, 트랜스폰더상의 전자 소자는 반송 주파수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태그상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RF 전력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음이 알려졌다. 태그 안테나에 의해 취출되는 신호는 RF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될 수 있는 교류 전류를 안테나에 유도하고 정류된 전류는 전자 소자의 전원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태그 안테나 로딩은 측정하고자 하는 어떤 것, 예를 들면 상기 특허의 마이크로폰 저항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인입 RF 에너지로부터 태그 안테나에 유도되는 발진 전류가 변화될 것이고, 이 발진 전류의 변화는 태그 안테나로부터 방사된 RF 전력이 변화되게 한다. 태그 안테나로부터 방사된 전력의 이러한 변화는 기지국 안테나에 의해 취출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폰은 그 자신이 내장된 전원을 갖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전력을 산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특허에서, 안테나 전류는 반송 주파수의 고조파(harmonic)에서 발진하는데 그 이유는 다이오드 전류가 배가된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이며, 이 주파수는 단지 반사되는 경우보다도 훨씬 용이하게 반송 주파수로부터 취출되고 선별될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태그는 자신의 전원을 갖지 않으므로, 이것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능동 태그와 구별하기 위해 소위 수동(passive) 태그라 불리운다. 배터리는 태그 안테나로부터 정보를 산포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공급한다. 능동태그는 기지국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태그 안테나상의 로딩을 또한 변화시킬 수 있다.
1970년대에는, 로직 및 판독/기록 메모리를 갖는 태그를 사용할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면, 태그는 몇가지 특성, 예를 들면 볼드윈 등(Baldwin et al.)의 미국 특허 제 4,075,632 호에서 동물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을 또한 식별할 수 있었다. 안테나 로드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변화된다. 트랜지스터 스위치는 에이. 코엘레(A. Koelle)의 미국 특허 제4,786,907 호에서 트랜스폰더의 로딩을 또한 변화시켰다.
두배의 반송 주파수에서 안테나 전류를 변조하는 다이오드 정류 회로 및 평형 변조기(balanced modulator)의 조합은 게리티. 케롤(Gary T. Carroll)의 미국 특허 제 4,724,427 호에서 제안되었다.
종래 기술의 태그는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태그로부터 기지국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전자 로직, 메모리 회로, 수신 회로, 변조 회로를 이용하고 있다.
보다 소형화, 보다 고속화, 그리고 보다 저전력화를 위한 반도체 기술의 계속적인 진전에 따라 기능이 상당히 증대될 수 있었고 그러한 태그의 가격도 상당히 저하될 수 있었다. 현재 이용가능한 연구 개발 기술은 통신 기술에 있어 새로운 기능 및 다양한 제품을 또한 가능하게 할 것이다. 기지국으로부터 태그까지의 통신 거리의 범위는 중요하다. 이 범위는 태그상의 안테나 및 정류 회로에 의해 형성되는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우선. 태그상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변조된 RF 필드로부터 안정한 공급 전압이 추출되고 다음에, 태그 디지탈 전자장치의 이용을 위해 잘 정의된 0 및 1을 갖는 데이터 신호가 변조된 RF 필드로부터 복구가 되며 또한, RF 태그의 정보 수신 섹션은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RF 전원도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 캐패시터로부터 전력을 인출해 사용하고 있다. 또한, RF 태그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내장하고 있는 액티브타입(Active type)과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RF로부터 내부회로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패시브타입(Passive type)으로 구분되며 필요에 따라구별 사용할 수 가 있는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통상의 RF기지국과 RF태그와의 통신일반을 이용하고 패시브타입의 RF태그를 사용한 기술을 혁대와 지갑에 응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고안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혁대(90)에 RF리더기(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갑(101)에는 RF태그장치(100)가 내장되어 있어 서로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RF리더기(10)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코일안테나(11)와 상기 코일안테나(1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기(40)로 전송하고 제어기(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코일안테나(11)로 출력할 수 있도록 RF변복조부(20)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된 RF신호를 IF신호(중간주파수신호)로 만들때 사용되는 RF발진부(30)가 상기 RF변복조부(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RF변복조블럭(20)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된 제어기(40)에는 고유번호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5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40)의 출력을 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60)와 스피커(70)가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40)에서 상기 기억장치(50)에 복수개의 고유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 하나의 RF리더기(10)로 고유번호가 서로 다른 RF태그장치(100)를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한편 RF리더기(10)에는 소형전지나 별도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가 있다(도면 미도시). 또한 지갑(101)에는 RF태그(100)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RF태그장치(100)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태그안테나(110)와 RF정류부(120)와 RF변복조부(150)가 연결되고 상기 RF정류부(120)에서 출력되는 전원라인이 태그제어기(130)와 각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태그제어기(130)에는 지정된 고유번호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1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RF변복조부(150)에는 상기 제어부(130)와 신호를 주고 받도록 연결된 신호처리부(160)와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ID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RF ID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시스템에서 RF리더기(10)가 장착된 혁대(90)를 장착하고 RF태그장치(100)가 부착된 지갑(101)을 소지하는 경우 RF리더기(10)에서는 주기적으로 고유번호 확인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고유번호를 송신한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을 한다. 즉, 제어기(40)는 일정시간마다 고유번호기억장치(50)로부터 고유번호를 읽어들여 RF변복조부(20)로 출력하여 코일안테나(11)를 통하여 정보를 RF태그장치(100)로 송신을 하게 된다. 상기 제어기(40)는 일정시간 경과 후 RF태그장치(100)로부터 상기 안테나(11)와 RF변복조부(20)를 통하여 RF태그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확인하고 수신이 되지 않거나 수신된 데이터가 송신한 데이터와 상이한 경우에는 경고음발생부(60)를 통하여 경고음이 스피커(70)로 출력이 되도록 상기 제어기(40)는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경우 지갑소지자는 지갑(101)의 분실사실을 인지하고 적절한 조취를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과정에서 RF태그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송신한 데이터와 일치하면 그 과정을 종료하고 다시 주기적으로 고유번호확인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때, RF태그장치(100)는 태그안테나(110)가 RF리더기(10)로부터 고유번호확인신호를 수신하면 RF정류회로(120)로 수신신호가 입력이 되며 RF정류회로(120)는 수신된 신호를 정류하고 안정화시켜 DC전원을 생성하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DC전원은 제어기(130)와 기타 부품들을 활성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활성화된 RF변복조부(150)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인가받아 복조과정을 거쳐 신호처리부(160)로 출력을 하고 상기 신호처리부(160)에서는 전송신호에서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제어기(13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제어기(130)는 고유번호 기억장치(140)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번호와 송신되는 고유번호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고유번호기억장치(140)에서 고유번호를 읽어드려 상기 신호처리부(160)로 출력을 하면 상기 신호처리부(160)는 RF변복조부(150)가 테그안테나(110)를 통하여 고유번호정보가 포함된 RF신호를 송출하도록 신호처리를 하여 변조될 수 있는 신호를 RF변복조부(150)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송신된 고유번호 데이터와 저장된 고유번호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3의 RF리더기가 신호를 출력한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동작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RF태그장치(100)는 동일한 RF리더기(10)를 사용하면서도 복수개로 여러가지 장치에 설치할 수가 있기때문에 지갑(101)뿐만이 아니라 가방등과 같은 소지품들에 여러군데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RF태그장치(100)를 지갑(101)외에 최근에 사용빈도수가 많아지고 개인별 소지를 많이 하고 있는 핸드폰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동작이나 효과를 가질수가 있으며 상기 동일한 고유번호를 갖는 복수개의 RF태그장치(100)와 하나의 RF리더기(10)를 사용하여 분실하기 쉬운 여러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역으로 상기 RF리더기(10)에 복수개의 고유번호를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고유번호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RF태그장치(100)를 하나의 RF리더기(10)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혁대에는 비교적 장치가 큰 RF리더기를 설치하고 분실하기 쉬운 지갑에는 패시브타입의 RF태그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지갑 분실시 경고음을 발생하여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와 혁대에 RF리더기를 장착함으로써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지갑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지갑마다 상이한 고유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여러사람이 동일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고유번호의 RF태그를 분실하기 쉬운 여러장치에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RF리더기를 사용하여 여러장치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소형전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코일안테나(11)를 통하여 RF 전파를 발사하되 그 RF 캐리어에는 Power및 고유번호기억장치(50)의 고유번호를 RF변복조부(20)에서 RF 변조하여 송신하며 RF태그장치(100)로부터 고유번호가 실린 RF Power를 수신하게 되면 이것을 RF변복조부(20)에서 복조하여 송신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기(40)가 내장된 RF리더기(10)를 장착한 혁대(90);와
    상기 RF리더기(10)로부터 RF Power중 캐리어 부분은 RF정류회로(120)에서 정류하여 DC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RF태그장치(100) 내부의 회로를 구동하며 RF Power중 신호부분은 필터링하여 정보를 추출하여 고유번호기억장치(140)에 내장된 고유번호와 일치하면 RF Power를 고유번호와 함께 RF리더기(10)로 송출하는 RF태그장치(100)를 부착한 지갑(101);과
    상기 RF리더기(10)가 RF전파를 송신한 다음 일정시간 경과후 까지 상기 RF 태그장치(100)로부터 동일한 고유번호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장치(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ID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번호기억장치(50)는 복수개의 고유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ID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KR2020020023887U 2002-08-09 2002-08-09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KR200295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87U KR200295365Y1 (ko) 2002-08-09 2002-08-09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87U KR200295365Y1 (ko) 2002-08-09 2002-08-09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365Y1 true KR200295365Y1 (ko) 2002-11-18

Family

ID=7307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887U KR200295365Y1 (ko) 2002-08-09 2002-08-09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36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689B1 (ko) 2008-10-08 2010-07-14 주식회사 네이스코 Rfid를 이용한 농기계 도난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16785B1 (ko) * 2003-10-13 2011-02-25 홍종철 알에프아이디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또는 분실방지용) 무선 단말기
KR101034815B1 (ko) * 2008-10-13 2011-06-13 홍종철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분실 방지 방법
KR101168586B1 (ko) 2011-02-01 2012-07-25 한국성전(주) 휴대기기 분실 방지용 혁대
KR101294793B1 (ko) 2012-11-12 2013-08-08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벨트 및 그 운용 방법
CN111379803A (zh) * 2020-04-10 2020-07-07 重庆市宇红轨道车辆配件有限公司 基于rfid的车辆闸瓦实时智能检测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85B1 (ko) * 2003-10-13 2011-02-25 홍종철 알에프아이디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또는 분실방지용) 무선 단말기
KR100969689B1 (ko) 2008-10-08 2010-07-14 주식회사 네이스코 Rfid를 이용한 농기계 도난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34815B1 (ko) * 2008-10-13 2011-06-13 홍종철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분실 방지 방법
KR101168586B1 (ko) 2011-02-01 2012-07-25 한국성전(주) 휴대기기 분실 방지용 혁대
KR101294793B1 (ko) 2012-11-12 2013-08-08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벨트 및 그 운용 방법
CN111379803A (zh) * 2020-04-10 2020-07-07 重庆市宇红轨道车辆配件有限公司 基于rfid的车辆闸瓦实时智能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328B1 (ko)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가 결합된 이동 단말 회로 및 그이동 단말기에서의 무선 식별 방법
US75229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wireless interrogation of portable consumer devices
RU255218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тери предмета и быстрого поиска предмета
JP2968351B2 (ja) 持ち運びの可能なフィールドプログラマブル検出用プレート
US7348875B2 (en) Semi-pass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with active beacon
US5499017A (en) Multi-memory electronic identification tag
US7548164B2 (en) Means to deactivate a contactless device
ES2335010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soportar multiples configuraciones lector-etiqueta utilizando una etiqueta de radiofrecuencia multimodo.
ES2326547T3 (es) Soporte de datos portatil, con interfaz activo sin contactos.
US20090221240A1 (en) Low power device activated by an external near-field reader
EP1488375B1 (en)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station configuration and a data carrier configuration
US11281871B2 (en) Protection of personal data contained on an RFID-enabled device
JP2006004015A (ja) バッテリーレス型プログラム制御可能な論理回路付きrfid応答器
WO2000016289A1 (en) Electrostatic rfid/eas system
JP2008070964A (ja) 携帯情報端末機器による紛失予防システム
KR200295365Y1 (ko)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장치
US20090128300A1 (en) Wireless device with an rfid interrogator
KR100440550B1 (ko)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지갑 분실경고 방법
KR200488747Y1 (ko)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카드
KR20070004179A (ko) 지갑 분실 방지장치
FR2845802A1 (fr) Circuit integre rfid-uhf
Siegel Microwaves are everywhere: RFID-do you know where your pet is?
KR20070058282A (ko) 비접촉 식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CN106650880A (zh) 一种ic卡信号放大电路及采用此电路的ic卡
JP2811679B2 (ja) メモリカード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