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4526Y1 - 피아노완구 - Google Patents

피아노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26Y1
KR200294526Y1 KR2020020024675U KR20020024675U KR200294526Y1 KR 200294526 Y1 KR200294526 Y1 KR 200294526Y1 KR 2020020024675 U KR2020020024675 U KR 2020020024675U KR 20020024675 U KR20020024675 U KR 20020024675U KR 200294526 Y1 KR200294526 Y1 KR 200294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ano
bander
toy
length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수
Original Assignee
이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수 filed Critical 이춘수
Priority to KR2020020024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26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피아노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완구 본체의 일측에 원판상의 회전식 밴더를 형성하여 연주되는 곡이나 노래의 장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피아노 완구에 회전식 밴더가 구비되어지지 못함으로서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어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피아노 완구로 회전식 밴더를 구비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었고 피아노 완구는 연주되어지는 소리만을 느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지 못함으로서 단조로운 놀이기구로 이용될 뿐 그 이상의 새로운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본체의 상면에 원판상 회전식 밴더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 다양한 불빛을 내는 램프 다수 개를 형성함으로서 건반을 통하여 연주되어지는 곡의 장단을 조절함과 동시에 그 장단에 따라 변화된 불빛이 발생되는 피아노 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피아노 완구.

Description

피아노 완구{A toy piano}
본 고안은 피아노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완구 본체의 일측에 원판상의 회전식 밴더를 형성하여 연주되는 곡이나 노래의 장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 완구는 본체의 일측으로 피아노 건반을 형성하여 간이적으로 연주를 행하거나 디지털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소리가 표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유아나 어린아이들의 지적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용한 것이다.
또한, 회전식 밴더는 음반의 표면에 손가락을 밀착시켜 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서 회전하는 음반의 회전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연주되는 곡이나 노래의 장단을 인위적으로 변조시켜 곡의 새로운 느낌을 부여함으로서 청중으로 하여금 새로운 감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근래 들어 테크노 음악이 활성화되면서 음반 연주자인 디스크쟈키(disk jockey) 들이 널리 응용하는 연주기법으로 정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피아노 완구에 회전식 밴더가 구비되어지지 못함으로서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어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피아노 완구로 회전식 밴더를 구비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피아노 완구는 연주되어지는 소리만을 느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지 못함으로서 단조로운 놀이기구로 이용될 뿐 그 이상의 새로운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본체의 상면에 원판상 회전식 밴더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 다양한 불빛을 내는 램프 다수 개를 형성함으로서 건반을 통하여 연주되어지는 곡의 장단을 조절함과 동시에 그 장단에 따라 변화된 불빛이 발생되는 피아노 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피아노 완구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본체 11: 건반
12: 밴더 12a: 마찰판
12b: 요철돌기 13: 조작부
14: 램프 15: 드럼
15a: 케이스 16: 고정홀
17: 접속구 18: 잭
19: 지지대 20: 받침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피아노 완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소정의 내공간을 갖는 함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는 피아노 건반(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원반상 회전식 밴더(12)가 형성되고, 상기 건반(11)과 밴더(12)의 사이에는 각종 기능버튼이 구비된 조작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밴더(12)의 외측으로 덮개가 구비된 램프(14) 다수 개가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드럼(15) 다수개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탈착이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는 여러 가지의 음악이나 리듬 또는 악기 소리를 낼 수 있는 기능과 볼륨 및 템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기능버튼과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도록 된 전원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식 밴더(12)는 음의 장단이나 템포를 조절하는 기능버튼에연동되어짐으로서 연주되는 곡이나 노래의 장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특히, 밴더(12)의 상면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마찰판(12a)을 형성하여 밴더(12)의 작동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마찰판(12a)의 상면에는 요철돌기(12b)를 형성하여 마찰력이 증대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램프(14) 또한 밴더(12)에 연동하면서 다양한 빛이 발산되면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램프(12)의 점멸은 연주되는 곡의 장단에 따라 사전에 입력이 이루어진 메모리 등을 채용함으로서 간단하게 이루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드럼(15)은 본체(10)의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고정홀(16)을 형성하고 일단에 드럼(15)이 장착된 지지대(19)를 긴밀하게 삽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드럼(15)은 스틱을 이용하여 직접 두들겨줌으로서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거나 드럼 형상의 케이스(15a)내로 스피커(미도시)를 내설시켜 하부로 돌출된 접속용 잭(18)이 고정홀(16)의 이웃하게 마련된 접속구(17)에 접속됨으로서 메모리로 저장된 전자적인 소리가 발생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하나의 지지대(19)로는 다수개의 드럼(15)이 장착되거나 고정홀(16)을 다수개로 형성하여 장착되는 드럼(15)의 총수를 가감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끼워 맞춤됨으로서 장착될 수 있도록 적당한 높이를 갖는 받침대(2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공간에는 조작부(13)의 기능버튼과 연결된 회로와 전원공급장치 등이 내설되어짐으로서 피아노 완구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10)에 전원이 공급된 가용 상태에서 피아노 건반을 두드려 피아노 연주를 행하며 동시에 별도로 공급된 스틱(미도시)을 이용하여 드럼(14)를 두드려주거나 기능버튼을 조작하여 저장된 소리가 출력되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밴더(12)를 조작하여 출력되는 곡의 장단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줌으로서 사용자는 새로운 감흥을 얻을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피아노 완구의 일측에 출력되는 곡의 장단을 조작할 수 있는 밴더를 형성함으로서 연주에 따른 흥미와 재미가 부가되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피아노 건반이 형성된 피아노 완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소정의 내공간을 갖는 함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는 피아노 건반(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원반상 회전식 밴더(12)가 형성되고, 상기 건반(11)과 밴더(12)의 사이에는 각종 기능버튼이 구비된 조작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밴더(12)의 외측으로 덮개가 구비된 다수개의 램프(14)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고정홀(16)을 형성하고 일단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드럼(15)이 장착된 지지대(19)의 타단을 긴밀하게 삽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15)은 드럼 형상의 케이스(15a)내로 스피커(미도시)를 내설하고 하부로 돌출된 접속용 잭(18)이 고정홀(16)의 이웃하여 마련된 접속구(17)에 접속됨으로서 메모리로 저장된 전자적인 소리가 발생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완구.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더(12)의 상면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성형된 마찰판(12a)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완구.
KR2020020024675U 2002-08-19 2002-08-19 피아노완구 KR200294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75U KR200294526Y1 (ko) 2002-08-19 2002-08-19 피아노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75U KR200294526Y1 (ko) 2002-08-19 2002-08-19 피아노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26Y1 true KR200294526Y1 (ko) 2002-11-11

Family

ID=7312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675U KR200294526Y1 (ko) 2002-08-19 2002-08-19 피아노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835A (ko) 2021-12-08 2023-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산수량 변동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및 그 가변운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835A (ko) 2021-12-08 2023-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산수량 변동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및 그 가변운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824B2 (en) Convertible child&#39;s toy
US5471373A (en) Entertainment apparatus for use with a sucker type pop
US8210894B2 (en) Toy with sound-activated motion
US7494243B2 (en) Multi-color illumination display apparatus
US5446236A (en) Musical toy
US6454627B1 (en) Musical entertainment doll
JP2001067070A (ja) 電子楽器玩具
KR200294526Y1 (ko) 피아노완구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KR200239364Y1 (ko) 외부기기와 연결 사용되는 전자드럼
US10546569B1 (en) Drum based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incorporating internal kick drum
KR200294525Y1 (ko) 피아노 완구
KR200343408Y1 (ko) 드럼과 건반이 결합된 연주용 완구
KR200343407Y1 (ko) 기타와 드럼이 결합된 연주용 완구
KR200277468Y1 (ko) 연주용 완구
JP6782031B1 (ja) 電子式打楽器玩具
KR200273098Y1 (ko) 디지털피아노 완구
US6612897B2 (en) Musical toy with a motor driven display
CN207856326U (zh) 六面操作发声玩具
CA2391919A1 (en) Interacting toy figure for computer users
CN210078846U (zh) 一种多功能游戏玩具桌
KR0135929Y1 (ko) 장난감 바이올린
CN210229128U (zh) 一种玩具手拍鼓
JP3111677U (ja) 同調装置付きのオルゴール
JP3011900U (ja) 縄跳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