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3682Y1 - 파라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파라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82Y1
KR200293682Y1 KR2020020023164U KR20020023164U KR200293682Y1 KR 200293682 Y1 KR200293682 Y1 KR 200293682Y1 KR 2020020023164 U KR2020020023164 U KR 2020020023164U KR 20020023164 U KR20020023164 U KR 20020023164U KR 200293682 Y1 KR200293682 Y1 KR 200293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sol
support
shaft
adjusting mean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장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호 filed Critical 장준호
Priority to KR2020020023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82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대를 파라솔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원격되게 설치하여 사람이 점유하는 공간을 넓게함과 동시에 햇빛의 방향에 따라 파라솔 본체의 차양각도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상하좌우로 조절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파라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양막(31)과 지지살대(32)를 구비한 파라솔 본체(30)를 절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봉(33)을 구비한 파라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33)의 상측 또는 하측부에 장착 가능한 제1지지체(41)와; 제2지지체(42)와 연결파이프(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라솔 본체(3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상하각도조절수단(50)과; 상기 제1지지체(41)와 지지봉(3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라솔 본체(3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각도조절수단(70)과; 땅에 박히는 수직지지대(80)와 상기 연결파이프(60)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60)를 소정의 각도로 지향토록 한 높이조절수단(90)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하각도조절수단(50)과, 좌우각도조절수단(70) 및 높이조절수단(90)은 각각 설치하는 방식만 상이할 뿐 이들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수단들은 돌출부(51)에 형성된 관통구멍(51a)과; 치차(51c)를 구비하여 돌출부(51)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51a)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관통구멍(51a')과; 상기 관통 구멍(51a)의 일측에 형성된 라체트(51b)와; 돌출부(52)에 형성되며 내주연에 다수개의 사각홈(53a)을 구비한 관통구멍(53)과; 다수의 사각돌기(54a)와, 상기 사각돌기(54a)보다 직경이 적은 치차(54d)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라체트(54b)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나사부(54c)가 형성된 축(54)으로 구성되어 상기 축(54)을 상기 관통구멍(51a)(53)(51a') 내에 삽입하고, 상기 축(54)의 타측에는 스프링(55)을 매개로 너트(56)를 나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파라솔 본체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를 측면으로부터 지지해줌으로써 파라솔 밑에 있는 사람이 점유하는 공간을 넓게 함과 동시에 햇빛의 방향에 따라 파라솔 본체의 차양각도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햇빛 방향에 따라 사람이 이동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다.

Description

파라솔 지지장치{Parasol suppor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파라솔의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차양막의 외부에서 지지하도록 하여 파라솔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를 파라솔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원격되게 설치하여 사람이 점유하는 공간을 넓게함과 동시에 햇빛의 방향에 따라 파라솔 본체의 차양각도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상하좌우로 조절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파라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파라솔은 우산이나 양산을 제외한 대형차양면적이 확보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옥외테이블 중앙이나 해변 모래사장 등에서 지지대를 꽂아서 설치하는 자외선 차단용 우산을 상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파라솔(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우산이나 양산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차양막(2)을 지지살대(3)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하고, 지지살대(3)의 중앙에는 접철을 유도하면서 지지살대(3)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여 펼쳐진 차양막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4)로 구성되며, 지지대(4)는 차양막(2)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당한 길이를 가지고 구비되어 지면에 박아서 고정하거나 테이블의 중앙에 삽입함으로서 세워지는 구성이다.
종래의 이러한 파라솔은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차양막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서 지지대가 위치한 중심부분의 공간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적인 활용공간은 파라솔의 가장자리에 집중되어진다. 특히, 지지대가 중앙에 위치함으로서 파라솔의 크기와 상관없이 차양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늘을 십분 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이 가장자리에만 집중됨으로서 실질적인 물품의 보관이나 돗자리를 펼쳐서 사용자들이 편한 자세를 유지하는 등의 행동에 상당한 제약을 받게된다. 뿐만 아니라 파라솔을 설치한 상태에서 햇빛의 직사위치에 따라 수시로 파라솔을 이동시키면서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고정한 상태에 있더라도 충분한 고정이 없을 경우에는 세워진 파라솔이 넘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파라솔이 넘어지는 등의 현상이 있을 경우에는 파라솔의 하방에 위치한 물품의 손상은 물론 휴식자의 신체적인 손상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야간에 파라솔을 설치한 경우에는 램프와 같은 조명기구를 설치할 때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살대에 불안한 상태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으며, 특히 공간활용성의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21902호에는 도2와 같이 파라솔(10)의 상부에 별도의 지지대(11)를 형성하고, 이 지지대(11)에는 받침대(20)를 연결하되, 받침대(20)는 다수의 수직받침대(21)와 수평받침대(22) 및 이들 수직받침대(21)와 수평받침대(22)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각도조절구(23)로 구성되어 차양막의 외부에서 파라솔을 지지하도록 하여 파라솔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파라솔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2에 도시된 종래의 파라솔은 수평받침대(22)를 수직받침대(21)에 대해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파라솔(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는 있으나, 햇빛이 비치는 방향에 따른 파라솔의 차양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파라솔을 받쳐주는 지지대를 파라솔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원격되게 일측에 설치하여 사람이 점유하는 공간을 넓게 함과 동시에 햇빛이 비치는 방향에 따라 파라솔 본체를 자유자재로 각도 조절하여 햇빛을 효율적으로 차양할 수 있도록 한 파라솔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파라솔의 정면도;
도2는 파라솔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종래기술에 따른 파라솔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설치상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
도6은 도3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결합단면도;
도8a 내지 도8c는 태양의 위치에 따른 본 고안의 파라솔의 차양상태를 설명한 도식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 지지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설치상태도;
도10a와 10b는 핀 및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파라솔 본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지지체의 단면도;
도10c와 도10d는 나사결합방식과 핀 결합방식에 의해 각각 접속되는 연결파이프의 단면도;
도10e와 도10f는 나사결합방식과 핀 결합방식에 의해 연결파이프와 지지대에 각각접속되는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0g는 일측은 나사결합방식, 타측은 핀 결합방식에 의해 연결파이프와 지지대에 각각 접속되는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파라솔 본체 31: 차양막
32: 지지살대 33: 지지봉
41: 제1지지체 42: 제2지지체
50: 상하각도조절수단 51, 52, 153: 돌출부
51a, 53, 152, 153a: 관통구멍
51b, 54b, 153b, 153c, 155b, 156: 라체트
53a, 152a: 사각홈 54a, 155a, 156a: 사각돌기
54c: 나사부 55, 157: 스프링
56: 너트 60: 연결파이프
70: 좌우각도조절수단 80: 수직지지대
90: 높이조절수단 158: 나사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 지지장치는, 차양막과 지지살대를 구비한 파라솔 본체를 절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봉을 구비한 파라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측 또는 하측부에 장착 가능한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와 연결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라솔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상하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제1지지체와 지지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라솔 본체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각도조절수단과; 땅에 박히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연결파이프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를 소정의 각도로 지향토록 한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이 도시되어 있는바, 일반적인 우산이나 양산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차양막(31)을 지지살대(32)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하고, 지지살대(32)의 중앙에는 차양막(31)의 철을 유도하면서 지지살대(32)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여 펼쳐진 차양막(31)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봉(33)으로 통상적인 파라솔(30)이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파라솔(30)의 차양막(31) 외측에서 지지대(80)가 세워지도록 지지장치를 개선하여 공간활용의 극대화와 더불어 햇빛의 직사각도 변화에 충분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을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체(41)는 파라솔 본체(30)의 지지봉(33)의 하측에 장착됨으로써 파라솔본체(30)를 떠받치는 형태를 이루지만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라솔 본체(30)의 상측에 장착되어 파라솔 본체(30)가 매달려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햇빛의 조사각에 따라 파라솔을 상하로 회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바, 이 상하각도조절수단(50)은 제2지지체(42)와 연결파이프(6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파라솔 본체(30)를 도8a 내지 도8c와 같이 사람이 자리를 옮기지 않고 파라솔본체(30)만을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좌우각도조절수단(70)을 포함하는데 이 좌우각도조절수단(70)은 제1지지체(41)와 지지봉(3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도3 참조).
또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땅에 박히는 수직지지대(80)와 상기 연결파이프(60)사이에 설치되어 연결 파이프(60)를 소정의 각도로 지향토록 한 높이조절수단(90)을 포함한다.
도3 및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상하각도조절수단(50)과, 좌우각도조절수단(70) 및 높이조절수단(90)은 각각 설치하는 방식만 상이 할뿐 이들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명세서 및 도면상의 간략화를 위해서 상하각도조절수단(5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및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각도조절수단(50)은 제2지지체(42)의 돌출부(51)에 형성된 2개의 관통구멍(51a)과 치차(51c)를 구비하여 돌출부(51)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51a)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관통구멍(51a')과; 상기 관통 구멍(51a)의 일측에 형성된 라체트(51b)와; 연결파이프(60)의 돌출부(52)에 형성되며 내주연에 다수개의 사각홈(53a)을 구비한 관통구멍(53)과 다수의 사각돌기(54a)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라체트(54b)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나사부(54c)가 형성된 축(5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립시에는 축(54)을 관통구멍(51a)(53)내에 삽입하고, 축(54)의 타측에는 스프링(55)을 매개로 너트(56)를 나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라솔 지지장치에 있어서, 만약에 도3에 도시된 파라솔본체(30)를 화살표방향(A)으로 회동시키고자할 경우에는 너트(56)에 대해 도5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외력을 가한다.
너트(56)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지면 그에 나합된 축(54)역시 화살표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는바, 이때 축(54)에 형성한 라체트(54b)가 제2지지체(42)에 형성된 라체트(51b)와 분리됨으로써 사람은 파라솔 본체(30)를 도3의 화살표방향(A)으로 자유로이 회동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너트(56)를 도5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만큼 연결파이프(60)에 대해 제2지지체(42)를 회동시킨 뒤 누르고 있던 너트(56)에 대한외압을 해제하면 스프링(55)의 바이어스에 의해 너트(56)와 축(54)은 도5에 도시된 상태로 원 위치된다. 이때 각각의 라체트(54b),(51b)는 계합되므로 연결파이프(60)에 대해 제2지지체(42)는 회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3에서 파라솔을 화살표방향(B)으로 회동시키고자할 경우에도 화살표방향(A)으로 움직일 경우와 동일하게 좌우각도조절수단(70)을 조정하면 되는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또한 화살표방향(C)으로 연결파이프(60)를 움직일 경우 역시 동일하게 높이조절수단(90)을 조작하면 되므로 이 역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6과 도7에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상하각도조절수단(5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돌출부(151)에 형성되며 내주연에 다수개의 사각홈(152a)을 구비한 2개의 관통구멍(152)과, 관통구멍(153a)이 각각 형성된 3개의 돌출부(153)중 양측 돌출부(153)에 형성된 라체트(153b,153c)와, 다수의 사각돌기(155a)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라체트(153b)와 계합되는 라체트(155b)가 형성된 중공의 제1축(155)과, 다수의 사각돌기(156a)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라체트(153c)와 계합되는 라체트(156b)가 형성되며 암나사부(156c)가 형성된 제2축(156) 및 제1축(155)과 제2축(156) 사이에 탄설되어 이들 축(155,156)을 서로에 대해 탄발토록 한 스프링(157)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측단에 숫나사부(158a)가 형성된 나사축(158)의 숫나사부(158a)를 제1축(155)과 스프링(157)을 관통하여 제2축(156)의 암나사부(156c)에 나삽시켜서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지지체(42)를 연결파이프(60)에 대해 회동시키고자할 경우에는나사축(158)을 풀어 나사축(158)의 숫나사부(158a)가 제2축(156)의 암나사(156C)로부터 풀어지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제1 및 제2축(155,156)이 스프링(157)의 탄발력에 의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D)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축(155,156)이 화살표방향(D)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각각의 제1 및 제2축(155,156)에 형성된 사각돌기(155a,156a)가 관통구멍(152)에 형성된 사각홈(152a)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축(155,156)의 내측에 형성시킨 라체트(155b,156b)가 돌출부(153)의 측면에 형성시킨 라체트(153b,153c)로부터 이탈되므로 제2지지체(42)는 연결파이프(6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라 파라솔을 행거 타입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는 제1지지체(41)를 파라솔의 지지봉(33)상측에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80)의 중간부분에는 별도의 각도조절 수단(90')을 설치하여 파라솔본체(30)를 좀더 멀리 이동시킬 수있도록 하였다.
도10a와 10b는 핀 및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파라솔 본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지지체(4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3과 같은 경우에는 도10a와 같은 핀 결합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10b와 같이 제1지지체(41)에 나사산을 형성시켜 파라솔 본체(30)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10c와 도10d는 나사결합방식과 핀 결합방식에 의해 각각 접속되는 연결파이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에 이용되는 연결파이프나 제1지지체 또는 지지대가 나사나 핀결합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핀결합방식 또는 나사방식이 아닌 끼워 맞춤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파라솔을 받쳐주는 지지대를 파라솔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에 설치하여 사람이 점유하는 공간을 넓게 함과 동시에 햇빛이 비치는 방향에 따라 파라솔 본체를 자유자재로 각도 조절하여 햇빛을 차양해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차양막(31)과 지지살대(32)를 구비한 파라솔 본체(30)를 절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봉(33)을 구비한 파라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33)의 상측 또는 하측부에 장착 가능한 제1지지체(41)와;
    제2지지체(42)와 연결파이프(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라솔 본체(3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상하각도조절수단(50)과;
    상기 제1지지체(41)와 지지봉(3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라솔 본체(3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각도조절수단(70)과;
    땅에 박히는 수직지지대(80)와 상기 연결파이프(60)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60)를 소정의 각도로 지향토록 한 높이조절수단(9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50,70,90)은
    돌출부(51)에 형성된 관통구멍(51a)과;
    치차(51c)를 구비하여 돌출부(51)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51a)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관통구멍(51a')과;
    상기 관통 구멍(51a)의 일측에 형성된 라체트(51b)와;
    돌출부(52)에 형성되며 내주연에 다수개의 사각홈(53a)을 구비한 관통구멍(53)과;
    다수의 사각돌기(54a)와, 상기 사각돌기(54a)보다 직경이 적은 치차(54d)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라체트(54b)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나사부(54c)가 형성된 축(54)으로 구성되어 상기 축(54)을 상기 관통구멍(51a)(53)(51a') 내에 삽입하고, 상기 축(54)의 타측에는 스프링(55)을 매개로 너트(56)를 나합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50,70,90)은
    돌출부(151)에 형성되며 내주연에 다수개의 사각홈(152a)을 구비한 2개의 관통구멍(152)과;
    관통구멍(153a)이 각각 형성된 3개의 돌출부(153)중 양측 돌출부(153)에 형성된 라체트(153b,153c)와;
    다수의 사각돌기(155a)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라체트(153b)와 계합되는 라체트(155b)가 형성된 중공의 제1축(155)과;
    다수의 사각돌기(156a)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라체트(153c)와 계합되는 라체트(156b)가 형성되며 암나사부(156c)가 형성된 제2축(156)과;
    상기 제1축(155)과 제2축(156)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축들(155,156)을 서로에 대해 탄발토록 한 스프링(157) 및;
    일측단에 숫나사부(158a)가 형성된 나사축(158)으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축(158)의 숫나사부(158a)를 상기 제1축(155)과 스프링(157)을 관통하여 제2축(156)의 암나사부(156c)에 나삽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33)과 제1지지체(41)는 나사결합 또는 핀결합에 의해서 파라솔 본체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지지장치.
KR2020020023164U 2002-08-02 2002-08-02 파라솔 지지장치 KR200293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164U KR200293682Y1 (ko) 2002-08-02 2002-08-02 파라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164U KR200293682Y1 (ko) 2002-08-02 2002-08-02 파라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82Y1 true KR200293682Y1 (ko) 2002-10-31

Family

ID=7312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164U KR200293682Y1 (ko) 2002-08-02 2002-08-02 파라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8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51Y1 (ko) 2012-02-17 2012-08-03 김성화 레져용 편심 파라솔
KR200471835Y1 (ko) 2012-08-24 2014-03-17 이재춘 파라솔 아답터
KR200474904Y1 (ko) 2012-09-20 2014-10-22 김세훈 레저용 파라솔
KR101496144B1 (ko) * 2014-09-30 2015-03-02 허귀선 지지대 각도조절 장치
KR101594454B1 (ko) * 2014-09-18 2016-02-16 이희상 경사각과 높이조절이 되는 비치파라솔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51Y1 (ko) 2012-02-17 2012-08-03 김성화 레져용 편심 파라솔
KR200471835Y1 (ko) 2012-08-24 2014-03-17 이재춘 파라솔 아답터
KR200474904Y1 (ko) 2012-09-20 2014-10-22 김세훈 레저용 파라솔
KR101594454B1 (ko) * 2014-09-18 2016-02-16 이희상 경사각과 높이조절이 되는 비치파라솔
KR101496144B1 (ko) * 2014-09-30 2015-03-02 허귀선 지지대 각도조절 장치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US8496019B2 (en) Tent
US6634609B2 (en) Universal accessory adapter for collapsible outdoor furniture
US20220127872A1 (en) Supporting base, table body and outdoor umbrella
CN106437286B (zh) 帐篷
EP1510145A1 (en) Height adjustable umbrella assembly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US5655558A (en) Multiple configuration tent structure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101425756B1 (ko) 높이 조정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KR101013609B1 (ko) 레저용 텐트
KR20090051407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20180020837A (ko) 스쿠터용 접이식 차양막
KR200221902Y1 (ko) 파라솔지지장치
KR200267594Y1 (ko) 천막용 절첩식 차양막
KR101614648B1 (ko) 멀티 차양 파라솔
KR200365539Y1 (ko)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KR20170017061A (ko) 파라솔지주 고정구
KR200289419Y1 (ko) 천막용 차양막
KR100473723B1 (ko) 다각 입체형상의 고정형 파라솔
KR200272635Y1 (ko) 절첩식 텐트용 폴
KR20050103433A (ko) 차양막 내부의 중심공간 활용도가 높고 차양각도 조절이가능한 파라솔
KR20090041759A (ko) 절첩식 파라솔
KR20200089044A (ko) 신축 방식의 접이 파라솔
KR200207091Y1 (ko) 파라솔용 차양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