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2341Y1 - 적층식 딸기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식 딸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341Y1
KR200292341Y1 KR2020020019289U KR20020019289U KR200292341Y1 KR 200292341 Y1 KR200292341 Y1 KR 200292341Y1 KR 2020020019289 U KR2020020019289 U KR 2020020019289U KR 20020019289 U KR20020019289 U KR 20020019289U KR 200292341 Y1 KR200292341 Y1 KR 200292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container
strawberry container
present
hoo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맹환
Original Assignee
장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맹환 filed Critical 장맹환
Priority to KR2020020019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34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딸기와 같이 무른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증대시키며 보관 및 이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대야 형상의 적층식 딸기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된 테두리에 걸림고리와 계합공으로 두개의 용기가 체결되게 하고, 바닥면에 이탈 방지턱을 돌설시켜 수평면상의 어떠한 방향의 진동이나 상하방향의 진동에 견딜 수 있게 하여, 보관과 운송 중의 손상으로 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뿐만아니라 농가의 일손을 경감시켜 소득 증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적층식 딸기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구부의 외주연을 따라 연설된 테두리에 "ㄱ" 형상의 걸림고리가 한개 이상 적정 간격으로 돌설되고, 상기 걸림고리 사이에 이와 결합되는 계합공이 뚫리며, 바닥면에 이탈 방지턱이

Description

적층식 딸기 용기{A strawberry container useing to heap up}
본 고안은 딸기와 같이 무른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품성을 증대시키며 보관 및 이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대야 형상의 적층식 딸기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된 테두리에 걸림고리와 계합공으로 두개의 용기가 체결되게 하고, 바닥면에 이탈 방지턱을 돌설시켜 수평면상의 어떠한 방향의 진동이나 상하방향의 진동에 견딜 수 있게 하여, 보관과 운송 중의 손상으로 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뿐만아니라 농가의 일손을 경감시켜 소득 증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적층식 딸기 용기에 관한 것이다.
딸기는 과육을 보호하는 외피가 없어 무른 과육이 외부에 직접 노출됨으로써 외부의 물리적 환경에 쉽게 손상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딸기를 다량으로 유통하고 보관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환경으로 부터 딸기를 보호할 수 있는 딸기 전용의 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종래의 딸기 용기로는 통상의 대야와 같은 형상을 가진 플라스틱 용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내부에 딸기를 수납하여 동일한 형상의 용기를 뒤집어 테두리가 서로 맞닿도록 덮은 후에, 접착 테이프로 포개어진 테두리를 고정시켜 딸기를 보호하고, 이송 및 보관시에는 상기와 같이 덮은 용기를 다수개씩 용기 바닥면이 접하도록 적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기는 딸기의 이송과 보관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테이핑 작업이 순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운송 및 보관에 있어 바닥면으로 적층되므로써 쉽게 이탈되어 용기가 부서짐은 물론이고 딸기의 상품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딸기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별도의 딸기 용기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구조는 테두리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바닥면에 수평의 돌기를 형성시켜, 두개의 용기를 엎어 테두리의 걸림돌기 끼리, 바닥면의 돌기 끼리 서로 걸리게 하여 테이핑 작업의 일손을 덜어 주고 이송과 보관시에 편리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용기는 구조적인 취약점이 있는데, 테두리 및 바닥면의 돌기는 수평의 일측 방향으로만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견고히 지지되지 못하고, 수직의 방향으로는 용기 자체의 하중에만 의존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용기의 상하 운동이나 차량의 출발과 제동시에 쉽게 적층된 상태가 흐물어져 용기가 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적층하여 사용하되 수평면상의 어떠한 방향의 진동이 있더라도 모두 지지되는 구조를 테두리에 형성시키고, 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요동에도 용기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하며, 적층시에 바닥면에서의 미끄러짐이 없도록 여러 방향으로 놓인 돌기를 형성시켜, 외피가 없어 손상되기 쉬운 딸기를 손쉽게 다량으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적층식 딸기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두리 2 : 이탈 방지턱 3, 3' : 걸림돌기
4 : 걸림고리 5 : 계합공 6 : 보강돌기
100 : 딸기 용기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개구부의 외주연을 따라 테두리(1)가 연설되고, 바닥면에 이탈 방지턱(2)이 일방향으로 돌설된 대야 형상의 적층식 딸기 용기(100)에 있어서, 끝단에 걸림돌기(3)가 있는 "ㄱ" 형상의 걸림고리(4)가 테두리(1)의 면을 따라 1개 이상 적정 간격으로 돌설되고, 상기 걸림고리(4) 사이에 이와 결합되는 계합공(5)이 뚫리며, 상기 계합공(5) 부위의 테두리(1) 저면에는 걸림돌기(3')가 돌설되고, 바닥면에는 이탈 방지턱(2)이 꼭지점부가 절개된 형상의 사각형 모양으로 돌설되며, 그 내측에 교차부가 절개된 "+" 형상의 이탈 방지턱(2)이 돌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테두리(1)에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 저면에 보강돌기 (6)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딸기 용기(100)는 각각의 테두리(1)면이 포개어져 딸기를 보호하고, 바닥면이 접하게 적층시켜 이송 및 보관하게 된다.
우선, 외피가 없어 과육이 쉽게 손상되는 딸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두개의 딸기 용기(100)를 겹쳐 수용하게 되는데, 하나의 딸기 용기(100)에 일정량의 딸기를 담고 다른 딸기 용기(100)를 뒤집어서 걸림고리(4)를 계합공(5)에 삽입시킨다. 본 고안은 테두리(1)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고리(4)와 계합공(5)이 있어 하나의 조합을 이룰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삽입시킨 후에 딸기 용기(100)를 회전시키면 걸림고리(4)의 끝단부에 돌설된 걸림돌기(3)와 계합공(5) 주위의 테두리 (1) 저면에 돌설된 걸림돌기(3')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딸기 용기(100)가 벗겨지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테두리 (1)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수평면상의 어떠한 방향으로의 힘이 발생하여도 상하로 포개진 딸기 용기(100)는 탈거되지 않으므로 딸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접착 테이프로 상하의 테두리(1)를 접착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이 단지 딸기 용기(100)를 덮는 것만으로 끝이나므로 바쁜 농가의 일손을 절약할 수 있고, 확실한 보호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림고리 (4)가 "ㄱ"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하 방향의 진동에 의한 딸기 용기(100)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단지 적층된 상태에서 상부의 하중에만 의존하여 상하 방향의 진동을 지지하였으나, 본 고안은 고리형상의 걸림고리(4)에 의하여 보다 더 확실하게 상하 방향의 힘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두개의 딸기 용기(100)를 이용하여 형성된 용기는 바닥면끼리 접촉되게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이송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바닥면의 적층 구조에 또 하나의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은 사각형의 각 변에 이탈 방지턱(2)을 돌설시키고, 그 사각형의 내측에 "+" 형상으로 이탈 방지턱(2)을 돌설시킴으로써, 바닥면끼리 접촉할 때 이탈 방지턱(2)이 서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는 일방향으로 두개의 돌기를 수평하게 돌설시켜 일측 방향으로만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본 고안은 사방으로 이탈 방지턱(2)을 돌설시킴으로써 어떠한 방향으로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과 같이 결합된 용기가 다수개 포개지면, 도 2에서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된 하부의 이탈 방지턱(2)과 점선으로 도시된 상부의 이탈 방지턱(2)이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서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차량으로 딸기를 다량으로 적층시켜 이송할 때에 회전과 제동 및 출발 등에 따른 다양한 방향으로의 관성력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딸기와 같은 무른 과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테두리(1)의 걸림고리(4)와 계합공(5)의 결합구조 및 바닥면의 이탈 방지턱(2)의 구조로 인하여 딸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수평면 상에서의 어떠한 방향은 물론이고 상하 방향의 운동도 모두 지지되는 구조가 테두리(1)에 형성되고, 적층시에 바닥면에서의 미끄러짐이 없도록 여러 방향으로 놓인 이탈 방지턱(2)이 돌설되어, 외피가 없어 손상되기 쉬운 딸기를 손쉽게 다량으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하 용기의 결합이 단순한 끼움방식만으로 견고히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바쁜 농가의 일손을 경감시켜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개구부의 외주연을 따라 테두리(1)가 연설된 대야 형상의 적층식 딸기 용기(100)에 있어서, 테두리(1)에 "ㄱ" 형상의 걸림고리(4)가 한개 이상 적정 간격으로 돌설되고 상기 걸림고리(4)의 사이에 이와 결합되는 계합공(5)이 뚫리며, 바닥면에 이탈 방지턱(2)이형상으로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딸기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걸림고리(4)의 끝단과 계합공(5)의 테두리(1) 저면에는 걸림돌기(3)(3')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딸기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테두리(1)의 저면에 보강돌기(6)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적층식 딸기 용기.
KR2020020019289U 2002-06-26 2002-06-26 적층식 딸기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92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89U KR200292341Y1 (ko) 2002-06-26 2002-06-26 적층식 딸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89U KR200292341Y1 (ko) 2002-06-26 2002-06-26 적층식 딸기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341Y1 true KR200292341Y1 (ko) 2002-10-19

Family

ID=7312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28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2341Y1 (ko) 2002-06-26 2002-06-26 적층식 딸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3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68B1 (ko) 2009-12-07 2010-08-24 권석웅 굴러내림이나 낙하가 용이한 사출성형되어진 자동판매기의 포장케이스.
KR20170000704U (ko) * 2016-09-01 2017-02-24 고동완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딸기 포장 용기
KR20170003464U (ko) * 2016-03-30 2017-10-12 김영덕 딸기보관용기
KR20190135127A (ko) * 2018-05-28 2019-12-06 김영덕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68B1 (ko) 2009-12-07 2010-08-24 권석웅 굴러내림이나 낙하가 용이한 사출성형되어진 자동판매기의 포장케이스.
KR20170003464U (ko) * 2016-03-30 2017-10-12 김영덕 딸기보관용기
KR200484939Y1 (ko) * 2016-03-30 2017-11-09 김영덕 딸기보관용기
KR20170000704U (ko) * 2016-09-01 2017-02-24 고동완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딸기 포장 용기
KR200486023Y1 (ko) 2016-09-01 2018-03-23 고동완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딸기 포장 용기
KR20190135127A (ko) * 2018-05-28 2019-12-06 김영덕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KR102087236B1 (ko) 2018-05-28 2020-03-13 김영덕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1947T3 (es) Ensamblaje de recipiente.
CA2576876C (en) Shipping container
KR101934745B1 (ko) 딸기 포장용기
KR200292341Y1 (ko) 적층식 딸기 용기
JPH0639792U (ja) 精密加工された薄板の収納容器
EP3565763B1 (en) Container
EP3747791B1 (en) Device for protecting frangible articles
JP2020029271A (ja) 容器
JP4187602B2 (ja) 包装用容器
KR100547268B1 (ko) 파렛트와 보호대의 결합구조
JP2008018988A (ja) 荷崩れ防止シート及び荷崩れ防止シートによる荷物の固定方法
JP3012002U (ja) 容器および容器用天蓋
JPS6320637Y2 (ko)
KR100771888B1 (ko) 캐리어 테이프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포장 방법
JP2521865Y2 (ja) 容器のカサ上げフレーム
JP6573067B2 (ja) 積載物拘束具
KR20190135127A (ko)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JP2002128111A (ja) 容器体
JP3108386B2 (ja) 段ボール箱等包装体の蓋止め具
JP3107177U (ja) 荷崩れ防止ネット
JP2005043708A (ja) 大型ペリクル収納容器
KR200185430Y1 (ko) 과일상자
JP3036091U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
WO2005066028A1 (en) Container wall capping arrangement
JP3086454U (ja) 梱包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6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6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